KR920003933Y1 - 버스의 승객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버스의 승객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933Y1
KR920003933Y1 KR2019900012786U KR900012786U KR920003933Y1 KR 920003933 Y1 KR920003933 Y1 KR 920003933Y1 KR 2019900012786 U KR2019900012786 U KR 2019900012786U KR 900012786 U KR900012786 U KR 900012786U KR 920003933 Y1 KR920003933 Y1 KR 920003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us
binding hole
passeng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27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273U (ko
Inventor
우병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27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933Y1/ko
Publication of KR9200042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2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9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버스의 승객용 손잡이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상태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결합정면도로서, 제3a도는 1단 위치의 정면도, 제3b도는 2단 위치의 정면도, 제3c도는 3단 위치의 정면도.
제4도는 종래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 11 : 손잡이 링
12 : 보스 13 : 조절봉
14 : 결착공 15 : 지지구
16 : 결착구멍 17 : 조절안내홈
19 : 조절핀 17a, 17b, 17c : 위치요홈
본 고안은 버스의 입석 승객들이 자세확보등을 위해 사용하는 버스의 승객용 손잡이에 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의 길이를 승객의 신장에 따라 일정범위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승객용 손잡이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승객용 손잡이는 첨부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천정에 연결설치된 철봉형 레일(31)에 가죽 또는 합성수지재등의 지지끈(32)으로서 손잡이 링(33)을 결합설치하여 손잡이(30)를 구성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버스의 승객용 손잡이는 버스 천정의 철봉형 레일(31)에서 손잡이링(33) 까지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승객들의 신장의 차이, 즉 어른과 어린이들 또는 키가 큰 사람과 작은 사람의 차이로 인한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버스의 승객용 손잡이는 버스 천정에 장착된 손잡이의 길이, (즉 바닥에서 부터의 높이) 일반적인 평균신장에 맞도록 조정하여 장착되었기 때문에 키가 작은 승객이나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손잡이를 잡기 위하여 뒷꿈치를 들거나 손잡이에 매달리듯하게 잡아야 하므로서 안정된 자세로 손잡이를 사용할 수 없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승객의 신장(키)에 따라 손잡이의 길이를 1-3단으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버스의 승객용 손잡이를 제공하고져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내용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스의 내부천정에 장착된 통상의 철봉형 레일(21)에 승객용 손잡이(10)를 장착함에 있어서, 상부에 보스(12)를 가진 손잡이링(11)을 결착공(14)이 형성된 조절봉(13)에 의해 지지구(15)와 결합구성하되, 상기 지지구(15)의 내부에는 조절봉(13) 결착구멍(16)을 형성하고, 그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조절안내홈(17)을 형성하여 이 조절안내홈(17)의 상단에는 1단 위치요홈(17a), 중단에는 2단위치 요홈(17b), 하단에는 3단위치요홈(17c)을 각각 형성하였으며, 상기 손잡이 링(11)에 보울트(18)로서 고정결합된 조절봉(13)은 상기 지지구(15)의 내부 결착구멍(16)에 삽입되어 지지구(15)의 조절안내홈(17)과 조절봉(13)의 결착공(14)을 관통시킨 조절핀(19)의 일단을 고정캡(20)과 스크류(21)로 체결고정하므로서 승강 작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승객용 손잡이이다.
첨부도면 중 미설명 부호 22는 철봉형 레일(21)과 손잡이(10)의 연결구, 23은 체결보울트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버스의 승객용 손잡이는 첨부도면 제3a도, 제3b도, 제3c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를 승객의 신장에 적절하게 조절되게끔 조절핀(19)의 위치를 지지구(10)의 나선형 조절안내홈(17)을 따라 승강시켜줌으로서 제3a도의 1단 위치요홈(17a) 또는 제3b도의 2단 위치요홈(17b)이나 제3c도의 3단 위치요홈(17c)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상기 각 위치요홈(17a), (17b), (17c)의 어느 위치 요홈에 위치시켜 놓드라도 상관없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승객용 손잡이의 길이를 일정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조절 사용할 수 있으므로, 승객들 스스로가 손잡이의 길이를 조정하여 안정된 자세로서 손잡이를 사용하므로 보다 편리함을 제공하여 주는 매우 실용적이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그 실시에 있어서 조절봉(13)과 지지구(5)의 길이를 임의로 조정하고, 상기 지지구(15)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나선형 조절안내홀(17)과 각 위치 요홈을 임의로 조정 구성하므로서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것이며, 버스에 국한하지 않고 국철이나 지하철등의 승합차량에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

  1. 버스의 내부천정에 장착된 통상의 철봉형 레일(21)에 승객용 손잡이(10)를 장착함에 있어서, 상부에 보스(12)를 가진 손잡이링(11)을 결착공(14)이 형성된 조절봉(13)에 의해 지지구(15)와 결합구성하되, 상기 지지구(15)의 내부에는 조절봉(13) 결착구멍(16)을 형성하고, 그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조절안내홈(17)을 형성하여 이 조절안내홈(17)의 상단에는 1단 위치요홈(17a), 중단에는 2단위치 요홈(17b), 하단에는 3단위치 요홈(17c)을 각각 형성하였으며, 상기 손잡이 링(11)에 보울트(18)로서 고정결합된 조절봉(13)은 상기 지지구(15)의 내부 결착구멍(16)에 삽입되어 지지구(15)의 조절안내홈(7)과 조절봉(13)의 결착공(14)을 관통시킨 조절핀(19)의 일단을 고정캡(20)과 스크류(21)로 체결고정하므로서 승강 작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승객용 손잡이.
KR2019900012786U 1990-08-24 1990-08-24 버스의 승객용 손잡이 KR9200039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2786U KR920003933Y1 (ko) 1990-08-24 1990-08-24 버스의 승객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2786U KR920003933Y1 (ko) 1990-08-24 1990-08-24 버스의 승객용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273U KR920004273U (ko) 1992-03-25
KR920003933Y1 true KR920003933Y1 (ko) 1992-06-13

Family

ID=19302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2786U KR920003933Y1 (ko) 1990-08-24 1990-08-24 버스의 승객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9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606B1 (ko) * 2000-12-08 2003-07-07 권만현 조리 용기의 조리시간 조절장치
KR100923351B1 (ko) * 2008-01-16 2009-10-22 서울메트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606B1 (ko) * 2000-12-08 2003-07-07 권만현 조리 용기의 조리시간 조절장치
KR100923351B1 (ko) * 2008-01-16 2009-10-22 서울메트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273U (ko) 199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57588B2 (ja) 自動車の物品支持具および物品拘束クロスバーの可調整取付具
CA2369309A1 (en) Running board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 running board
US4261550A (en) Foldable handrail structure
KR920003933Y1 (ko) 버스의 승객용 손잡이
KR930009826A (ko) 화물조임벨트용 착탈식 단말 금구
JPS62127052A (ja) 松葉杖
US20020162717A1 (en) Automatically extending foot seat
ATE276897T1 (de) Sitzuntergestell mit lastfussstruktur
CN111845473A (zh) 一种便于旋转调节的轻量化客车座椅
KR0136692Y1 (ko) 버스 손잡이의 높이조절장치
KR19980066667U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승합차의 승객용 손잡이
CN2141789Y (zh) 一种可拆卸车用后置箱装置
KR970002191Y1 (ko) 길이조절 가능한 승객용 손잡이
KR100241384B1 (ko) 자동차의 실내손잡이 장치
JPS6222442Y2 (ko)
US20010054434A1 (en) Height-adjusting medical crutch
CN216915665U (zh) 一种房车的物品固定套件
JPH0269414U (ko)
CN205931093U (zh) 一种折叠车
KR0113792Y1 (ko) 차량용 손잡이
EP0940556A2 (en) Arrangement on a ladder
KR0138320Y1 (ko) 자동차용 유압식 잭의 보조 나사구조
KR0115738Y1 (ko) 차량의 손잡이
KR880003799Y1 (ko) 높이조정고무
JPS5839242Y2 (ja) 自動車用荷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