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726B1 -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 - Google Patents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726B1
KR101991726B1 KR1020170161051A KR20170161051A KR101991726B1 KR 101991726 B1 KR101991726 B1 KR 101991726B1 KR 1020170161051 A KR1020170161051 A KR 1020170161051A KR 20170161051 A KR20170161051 A KR 20170161051A KR 101991726 B1 KR101991726 B1 KR 101991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ifting
support bar
approach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2059A (ko
Inventor
박성영
김가현
유세희
지서현
이동진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61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7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2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의 일측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사람의 손을 감지하는 경우 펴지도록 접철식으로 구성하고 펴진 상태의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손잡이가 걸려있는 지지바에 고정되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사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대중교통 입석용 손잡이의 일측에 구성되어 사람의 접근을 인지하는 접근센서; 상기 접근센서에 의해 사람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부 및 하부로 나뉘어 접철되도록 구성되어 손잡이를 잡아 당기면 펴지도록 구성되고 손잡이에 가해지는 힘이 사라지면 상부 및 하부로 나뉜 부분이 접철되도록 구성된 접철부재; 및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입석용 손잡이가 펴지고 승객이 손잡이를 잡아 당기면 대중교통 수단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바에 상부에 형성된 홈에 대응하는 돌기가 내삽되고 승객이 손잡이를 놓으면 상기 홈과 돌기의 결합이 풀리면서 고정이 풀리도록 승하강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키가 작은 어린이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안정감을 높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FOLDING HANDLE FOR STANDING PASSENGER IN PUBLIC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의 일측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사람의 손을 감지하는 경우 펴지도록 접철식으로 구성하고 펴진 상태의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손잡이가 걸려있는 지지바에 고정되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사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특정의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버스나 전철 등과 같은 각종 대중교통 차량의 실내에는 흔들림이나 충격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가 좌석의 등받이 또는 루프 등에 고정된 지지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지지바에 매달린 손잡이의 경우 차량의 주행이나 코너링, 급제동, 급출발 시 등에 승객이 손을 들어올려서 붙잡고 몸을 지탱 및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관성에 의해 넘어지거나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지지용 바에 설치되는 손잡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에 연결되는 스트랩(3)과, 이 스트랩(3)에 고정되는 핸드홀드(hand hold)(2) 및 스트랩(3)이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바(1)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입석 승객용 핸드홀트(2)는 승객이 핸드홀드(2)를 잡은 상태에서 몸의 위치나 방향을 변경하게 되면 고무재질의 스트랩(3)이 금속재질의 지지바(1)와 접촉 및 마찰 간섭되어 불쾌감을 유발하는 소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그 매달린 위치가 성인남성의 평균 신장치를 기준 및 고려하여 차체바닥과 일률적인 높이를 두고 설정되어 있는 특성상 여성 또는 어린이 등과 같이 신장이 상대적으로 기준치보다 작은 승객의 경우에는 핸드홀드(2)가 닿지 않아 이를 잡지 않은 상태로 탑승할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차량의 급정거나 급출발 및 흔들림 발생 시 자칫 안전사고 유발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핸드홀드(2)에 손이 겨우 닿는 정도인 승객의 경우 핸드홀드(2)를 잡는 것이 상당히 어려울 수밖에 없는 데다 핸드홀드(2)를 잡더라도 장시간 동안 불편한 자세를 유지해야만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르게 마련이다. 이에 따라 입석 승객이 자신의 신체조건 및 편의에 따라 손잡이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구조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들은 각각이 높낮이를 조절할 수는 있지만 그 사용방향을 조절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고, 아울러 승객이 붐비는 러시아워(rush hour) 때에는 그 개수의 부족으로 인해 한정된 인원의 승객만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많은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 공개 제20-1998-053297호(고안의 명칭 : 길이 가변형 버스손잡이의 구조)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를 통해 사람의 손을 감지하는 경우 펴지도록 접철식으로 구성되고 잡아당기면 고정되도록 하여 키가 작은 어린이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안정성을 높인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는, 대중교통 입석용 손잡이의 일측에 구성되어 사람의 접근을 인지하는 접근센서; 상기 접근센서에 의해 사람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부 및 하부로 나뉘어 접철되도록 구성되어 손잡이를 잡아 당기면 펴지도록 구성되고 손잡이에 가해지는 힘이 사라지면 상부 및 하부로 나뉜 부분이 접철되도록 구성된 접철부재; 및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입석용 손잡이가 펴지고 승객이 손잡이를 잡아 당기면 대중교통 수단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바에 상부에 형성된 홈에 대응하는 돌기가 내삽되고 승객이 손잡이를 놓으면 상기 홈과 돌기의 결합이 풀리면서 고정이 풀리도록 승하강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철부재는, 상기 지지바에 고정된 상부 연결부재와 상기 손잡이에 연결된 하부 연결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접철식으로 구동되는 축인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따라 상기 입석용 손잡이의 상부 연결부재와 하부 연결부재가 접힌 상태로 지지되도록 인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접근센서에 의해 사람의 접근이 인지되면 상기 입석용 손잡이를 펴진 상태로 일정 시간동안 지지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하강하는 승하강부; 상기 승하강부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승하강부가 하강하면 상기 홈에 내삽되는 돌기; 및 상기 지지바와 상기 승하강부를 연결하여 상기 지지바에 지지된 상태로 지지바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핸드홀드로부터 손을 놓으면, 상기 내삽된 돌기가 홈과의 결합이 풀리면서 상부로 복귀하도록 하고 탄성에 반대되는 힘으로 잡아당기면 압축되면서 상기 돌기가 홈에 내삽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는, 상기 승하강부의 각각의 측면 단부로 연장되어 구성된 다수의 지지날개; 및 상기 지지날개의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되어 일측은 상기 지지날개에 걸쳐진 상태로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상부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는 센서를 통해 사람의 손을 감지하는 경우 펴지도록 접철식으로 구성되고 잡아당기면 고정되도록 하여 키가 작은 어린이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는 평상시에는 고정되지 않고 흔들리다가 사람을 인지하면 펴지도록 하고 펴진상태에서 잡아당기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안정감을 높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대중교통 입석 승객용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의 접철부재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의 고정부재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의 접철부재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의 고정부재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접근센서(100), 접철부재(200) 및 승강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근센서(100)는 대중교통 입석용 손잡이(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사람의 접근을 인지하도록 구성된다. 접근센서(100)는 사람의 접근이 감지되면 작동하여 후술하는 접철부재(200)를 작동시킨다.
접철부재(200)는 접근센서(100)에 의해 사람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입석용 손잡이(10)의 핸드홀드(12)가 자동으로 펴지도록 구성되며, 접철부재(200)는 회전축(210), 탄성부재(220), 연결부재(230, 235) 및 모터(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부재(230, 235)는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상부는 상부 연결부재(230)로 칭하고, 하부는 하부 연결부재(235)으로 칭하기로 한다. 회전축(210)은 지지바(14)에 구성된 승강부재(300)의 스트랩(350)에 고정된 상부 연결부재(230)와 핸드홀드(12)에 연결된 하부 연결부재(235)가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접철식으로 접혔다 펴지거나 펴졌다 졉혀지도록 하는 구심점이 된다.
상부 연결부재(230)의 일측은 승강부재(300)에 고정된 다수의 스트랩(350)을 모아 고정시키고 타측은 회전축(210)에 의해 연결된 하부 연결부재(235)가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하부 연결부재(235)는 일측은 회전축(210)에 의해 상부 연결부재(230)의 타측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은 핸드홀드(12)와 결합된다.
접근센서(100)는 상부 연결부재(230)와 하부 연결부재(235)의 일측에 구성하되, 바람직하게는 하부 연결부재(235)에서 핸드홀드(12)에 근접한 일측에 구성하여 사용자가 핸드홀드(12)를 잡아 당길 의사가 있음을 인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핸드홀드(12)를 잡기 위해 손을 벋치는 것을 인지하기 좋은 지점에 설치하도록 한다.
탄성부재(220)는 회전축(210)에 따라 입석용 손잡이(10)의 하부 연결부재(235)가 상부 연결부재(230)에 대하여 접힌 상태로 가로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인장력을 제공한다. 즉 탄성부재(220)는 상부 연결부재(230)와 하부 연결부재(235)가 탄성에 의해 접철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탄성부재(220)는 토션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모터(240)는 접근센서(100)에 의해 사람의 접근이 인지되면 입석용 손잡이(10)의 하부 연결부재(235)가 상부 연결부재(230)로부터 펴진 상태로 일직선으로 지지되도록 구동시킨다. 즉 모터(240)는 전술한 탄성부재(220)가 유지하는 상태의 반대방향의 힘으로 동작하여 탄성부재(220)의 인장력이 증가되도록 한다.
이때, 모터(240)에 의해 상부 연결부재(230)와 하부 연결부재(235)가 일직선으로 지지된 상태는 대략 5초 내지 30초 동안만 유지되도록 제공하고, 해당 시간이 초과되면 모터(240)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모터(240)의 동작이 꺼지면, 탄성부재(220)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입석용 손잡이(10)의 하부 연결부재(235)가 상부 연결부재(230)에 대하여 접힌 상태로 90도의 각도 또는 120도 보다 작은 각도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바람직하게는 하부 연결부재(235)가 상부 연결부재(230)에 대하여 90도 각도로 지지되도록 한다.
승강부재(300)는 지지바(14)의 상부에 위치된다. 승강부재(300)는 접철부재(200)에 의해 입석용 손잡이(10)가 펴지고, 승객이 손잡이(10)의 핸드홀드(12)를 잡아당기면 승강부재(300)에 의해 지지바(14)에 고정되고 다시 핸드홀드(12)를 놓으면 고정이 풀리도록 구성된다.
승강부재(300)는 승하강부(310), 돌기(320) 및 지지스프링(330, 332), 지지날개(334) 및 스트랩(3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돌기(320)는 지지바(14)의 대응하는 부분에 구성된 홈(34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승하강부(310)는 지지바(14)의 상부에 위치하며 지지바(14)와 2개의 지지스프링(312, 314)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스프링(312, 314)은 탄성과 사용자가 핸드홀드(12)를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승하강부(310)가 승하강하도록 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연결부재(230, 235)와 연결된 핸드홀드(12)를 잡아당기면 탄성을 가진 지지스프링(330, 332)이 압축되면서 하부로 하강하여 돌기(320)가 홈(340)에 내삽되어 고정되고, 사용자가 핸드홀드(12)를 놓으면 탄성에 의해 지지스프링(330, 332)에 의해 승하강부(310)가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핸드홀드(12)를 잡아당기면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하강하여 지지바(14)에 구성된 홈(340)에 승하강부(310)의 중심에 형성된 돌기(320)가 내삽되어 고정된다. 반대로 핸드홀드(12)를 놓게 되면, 지지스프링(330, 332)의 힘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승하강부(310)는 지지바(14)의 상부에 2개 이상의 지지스프링(330, 332)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바(14)의 홈(340)에 고정된다. 따라서 승하강부(310)에 구성된 돌기(320)는 승하강부(310)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승하강부(310)가 하강하면 대응하는 위치에 구성된 홈(340)에 내삽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지지스프링(330, 332)은 승하강부(310)가 지지바(14)에 지지된 상태로 지지바(14)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핸드홀드(12)로부터 손을 놓으면, 상기 내삽된 돌기(340)가 홈(320)과의 결합이 풀리면서 상부로 복귀하도록 하고 탄성에 반대되는 힘으로 잡아당기면 지지스프링(330, 332)이 압축되면서 돌기(340)가 홈(320)에 내삽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사람이 핸드홀드(12)에 힘을 가하지 않는 상태가 되면, 지지스프링(330, 332)의 탄성이 작용하여 돌기(340)와 홈(320)의 결합된 상태가 풀리게 되고 승하강부(310)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승하강부(310)가 지지바(14)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인 원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는 사람의 인력이 핸드홀드(12)에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접철부재(200)는 접혀진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지지날개(334)는 승하강부(310)의 각각의 측면 단부로 연장되어 구성된다.
스트랩(336)은 지지날개(334)에 걸쳐진 상태로 브라켓(338)에 의해 고정된다. 고정된 각각의 스트랩(336)들은 상부 연결부재(230)에 연결된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식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입석용 손잡이 12 : 핸드홀드
14 : 지지바 100 : 접근센서
200 : 접철부재 210 : 회전축
220 : 탄성부재 230, 235 : 연결부재
240 : 모터 300 : 승강부재
310 : 승하강부 320 : 돌기
330, 332 : 지지스프링 334 : 지지날개
336 : 스트랩 338 : 브라켓

Claims (4)

  1. 대중교통 입석용 손잡이의 일측에 구성되어 사람의 접근을 인지하는 접근센서;
    상부 및 하부로 나뉘어 접철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접근센서에 의해 사람의 접근이 감지되면 손잡이가 펴지도록 구성되고 손잡이에 가해지는 힘이 사라지면 상부 및 하부로 나뉜 부분이 접혀지도록 구성된 접철부재; 및
    지지바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입석용 손잡이가 펴지고 승객이 손잡이를 잡아 당기면 대중교통 수단의 상부에 고정된 지지바에 상부에 형성된 홈에 대응하는 돌기가 내삽되고 승객이 손잡이를 놓으면 상기 홈과 돌기의 결합이 풀리면서 고정이 풀리도록 승하강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재는,
    상기 지지바에 고정된 상부 연결부재와 상기 손잡이에 연결된 하부 연결부재가 회동 가능하도록 접철식으로 구동되는 축인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따라 상기 입석용 손잡이의 상부 연결부재와 하부 연결부재가 접힌 상태로 지지되도록 인장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접근센서에 의해 사람의 접근이 인지되면 상기 입석용 손잡이를 펴진 상태로 일정 시간동안 지지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지지바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하강하는 승하강부;
    상기 승하강부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승하강부가 하강하면 상기 홈에 내삽되는 돌기; 및
    상기 지지바와 상기 승하강부를 연결하여 상기 지지바에 지지된 상태로 지지바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핸드홀드로부터 손을 놓으면, 상기 내삽된 돌기가 홈과의 결합이 풀리면서 상부로 복귀하도록 하고 탄성에 반대되는 힘으로 잡아당기면 압축되면서 상기 돌기가 홈에 내삽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스프링;을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의 각각의 측면 단부로 연장되어 구성된 다수의 지지날개; 및
    상기 지지날개의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되어 일측은 상기 지지날개에 걸쳐진 상태로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상부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
KR1020170161051A 2017-11-28 2017-11-28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 KR101991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051A KR101991726B1 (ko) 2017-11-28 2017-11-28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051A KR101991726B1 (ko) 2017-11-28 2017-11-28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059A KR20190062059A (ko) 2019-06-05
KR101991726B1 true KR101991726B1 (ko) 2019-06-21

Family

ID=66845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051A KR101991726B1 (ko) 2017-11-28 2017-11-28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7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512Y1 (ko) 2004-09-02 2004-12-04 전효정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KR100862255B1 (ko) 2007-12-04 2008-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아웃사이드핸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297U (ko) 1996-12-31 1998-10-07 박병재 길이가변형 버스손잡이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512Y1 (ko) 2004-09-02 2004-12-04 전효정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KR100862255B1 (ko) 2007-12-04 2008-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아웃사이드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059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0216A (en) Convertible seat for vehicles
JP3550610B2 (ja) 自動車用座席一体型子供用座席
US4431234A (en) Vehicle passenger restraint
KR102208169B1 (ko) 차량용 시트
KR101305677B1 (ko) 뒷좌석을 이용한 카시트의 상시 장착장치
KR101991726B1 (ko)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
CN202557340U (zh) 集成儿童座椅的汽车后排座椅
JP6744069B2 (ja) 車両の乗降用グリップ構造
KR101526393B1 (ko) 차량용 시트 조절장치
CN218805356U (zh) 一种可调式汽车座椅
KR101283755B1 (ko)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JPH11321422A (ja) 乗物用吊り具
KR100499779B1 (ko) 자동차의 안전 시트
JPH0223481Y2 (ko)
KR0127069B1 (ko) 자동차의 보조시트 장치
JPH10129992A (ja) 産業車両の運転台
KR102104278B1 (ko) 노약자 편의성을 갖춘 버스
JP4141658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3132908U (ja) 乗降補助具
JP3737717B2 (ja) 乗用車のバリアフリ−用アシストグリップ
KR200346527Y1 (ko) 차량의 어린이용 안전시트
JP3055171U (ja) 乗物用吊り具
JPH07215172A (ja) 遊戯用乗物の乗客保持装置
KR19990027576U (ko) 버스의 보조시트에 설치된 안전 손잡이
KR20050059767A (ko) 차량의 어린이용 안전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