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336B1 -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8336B1
KR101708336B1 KR1020150065894A KR20150065894A KR101708336B1 KR 101708336 B1 KR101708336 B1 KR 101708336B1 KR 1020150065894 A KR1020150065894 A KR 1020150065894A KR 20150065894 A KR20150065894 A KR 20150065894A KR 101708336 B1 KR101708336 B1 KR 101708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hole
pin
intermitten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6280A (ko
Inventor
장은화
장석현
Original Assignee
장은화
장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은화, 장석현 filed Critical 장은화
Priority to KR1020150065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3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46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손잡이를 승객이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손잡이의 높이를 임의로 적절하게 조절사용할 수 있도록 고정바(B)에 고정되는 클램프(100), 상부는 클램프(100)에 조립되는 회동부재(200), 상기 회동부재(200)를 정관(50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00), 회동부재(200)를 지지하는 지지부(400)와, 조절관(600)을 내장하는 고정관(500)과, 상기 고정관(500)에 인장스프링(S2)으로 승강되게 내장되는 조절관(600), 단속볼(700), 단속볼(700)을 로킹.해제하는 작동봉(800), 가이드링(900), 고리를 구비한 손잡이(10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HANDLE FOR VEHICLES}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손잡이를 승객이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손잡이의 높이를 임의로 적절하게 조절사용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교통수단으로 이용되는 지하철 또는 도시철도차량이나 버스 등에는 주행중에 발생하는 진동과 급출발 및 급정차 등 돌발적인 승차 환경변화로부터 차량의 운행 중 앉지 못한 입석 승객이 손잡이를 잡아 승객의 편의와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차량 상부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손잡이는 성인의 평균신장을 고려하여 고정바에 일률적인 높이로 고정설치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키가 작은 승객이나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손잡이를 잡을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운행 중 차량의 급정거나 급출발 및 흔들림 발생 시 어린이들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서울시와 지하철 및 도시철도차량 관련 기관에서는 2007년 및 2008년에는 손잡이의 높이를 5㎝에서 10㎝정도를 낮추어 설치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하였으나 손잡이의 높이를 낮춤으로서 손잡이가 키 큰 사람에게는 얼굴이나 머리에 부딪히는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다.
이건 발명 출원인은 위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승객이 직접 본인의 높이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를 개발하여 특허공개번호 2009-0032431호로 출원하였다.
위의 특허 공개번호 2009-0032431호의 요지는 도1과 같이 차량의 고정바(B)에 고정되는 상,하부클램프(10,20)와, 상기 하부클램프(20)에 나사조립되는 연결봉(30)과, 상기 연결봉(30)에 스프링(S1)의 탄력을 받도록 유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곡면캡(40)과, 상기 곡면캡(40)에 고정되어 다수의 핀홈(51) 및 다단 볼단속홈(52)을 구비하는 고정관(50)과, 상기 고정관(50)에 인장스프링(S2)의 탄력을 받도록 승강가능하게 내장되어 단속핀(61) 및 볼삽입공(62)을 구비하는 조절관(60)과, 상기 볼삽입공(62)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단속볼(70)과, 조절관(60)에 압축스프링(S3)의 탄력을 받도록 승강가능하게 내장되어 단속볼(70)을 로킹 및 해제시키(B1)는 작동봉(80)과, 상기 조절관(60)의 상부에 장착되어 작동봉(80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링(90)과 상기 조절관(60)의 하부에 조립되어 핀공을 구비하는 손잡이(100)와, 상기 작동봉(80)의 하부에 나사조립되어 핀공으로 끼워지는 작동핀(200)과, 상기 작동핀(200)의 하부에 끼워지는 고리(300)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위의 특허출원은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손잡이의 높이를 승객이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임의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키가 작은 승객이나 어린이들도 손잡이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운행 중 어린이들의 안전을 크게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단속볼이 볼삽입공으로부터 빠지지 않은 경우가 있어 손잡이의 길이 조절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으며 손잡이를 회동하는데 힘이 들어 손잡이를 잡는 것이 불편하였고 조립이 어렵고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 2009-003243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단속볼이 볼삽입공으로부터 빠져 있어 손잡이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손잡이의 회전으로 승객이 손잡이를 잡는 것이 편리하고, 부품의 조립을 쉽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중교통의 고정바(B)에 설치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차량의 고정바(B)의 키(B1)에 대응되는 키홈(111)을 형성한 상부클램프(110)와 중앙에는 회동부재(200)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홀(121)을 형성한 하부클램프(120)로 구성되어 고정바(B)에 나사(130)로 고정하는 클램프(100)와;
상부는 조립부(220)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클램프(120)의 조립홀(121)에 고정조립되고 하부는 구(210)로 만들어 고정관(500)의 상부에 회동되게 고정부재(300)에 의하여 고정조립되는 회동부재(200)와;
중앙에 중앙홀(310)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홀(310)은 중앙으로 경사진 경사면(320)을 만들고 외주는 다단으로 형성하여 상기 회동부재(200)가 회동되게 고정관(500)의 상부에 고정조립하는 고정부재(300)와;
볼(410) 압축스프링(S1) 및 중앙에 스프링홀(421)을 형성한 받침대(420)를 구비하여 고정관(500)의 단차가 형성된 상단부(540)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200)를 지지하고 회전을 제한하는 지지부(400)와;
내경의 상부는 대구경을 상기 대구경의 하부는 소구경인 단차를 갖고 상부 대구경에는 고정부재(300)을 고정하고 소구경의 상단부(540)는 스프링설치바(510)를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설치바홀(541)을 형성하고, 하부는 방사상 교호로 형성된 다수의 핀홈(520) 및 다단의 볼단속홈(530)을 구비하고 오링(550)을 조립하여 조절관(600)이 내경으로 상하이동되는 고정관(500)과;
상부 외면에는 상기 고정관(500)의 핀홈(520)과 볼단속홈(530)에 대응하는 단속핀(610), 볼삽입공(620)이 형성되고 상부는 다단으로 만들어 가이드부재(900)를 조립하고 인장스프링(S2)을 연결하는 스프링연결공(630)을 구비하고 내경에는 적소에는 작동봉(800)의 작동핀(820)을 안내하는 작동핀홀(641)이 형성되고 압축스프링(S3)를 받치는 스프링받침(640)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관(500)에서 인장스프링(S2)의 탄력으로 승강가능하게 내장되는 조절관(600)와;
상기 볼삽입공(620)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단속볼(700)과;
상부는 프렌지(811)와 단속볼(700)을 로킹 및 해제시키는 단속부(810)와 상기 단속부(810)의 하부는 작동봉(800)을 안내하고 손잡이(1000)의 핀공(1010)으로 끼워져 고리(1030)를 설치하는 작동핀(820)을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조절관(600)에 형성된 스프링받침(640)의 상부에 압축스프링(S3)의 탄력으로 승강가능하게 조절관(600)에 내장설치되는 작동봉(800)과;
외주는 다단으로 형성하고 중앙에 작동봉(800)이 끼워지는 설치홀(910)이 구비하여 상기 작동봉(800)의 가이드링설치부(830)에 유동되게 설치하여 조절관(600)의 상부에 고정조립하여 작동봉(800)의 중심을 잡아주고 작동봉(800)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링(900)과;
상부에는 상기 작동봉(800)의 작동핀(820) 일단이 십입되어 돌출되는 핀공(1010)과 하부에는 고리(1030)를 안내하는 고리홈(1020)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봉(800)의 작동핀(820) 하부에 고리(1030)를 끼워 상기 조절관(600)의 하단에 고정조립되는 차량용 손잡이(10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부재(200)의 구(210) 구(21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볼홀(211) 및 볼홈(21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속부는 상부는 가이드링(900)을 삽입설치하는 가이드링설치부(830)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링설치부(830)의 하단은 프렌지(811)를 형성하고 상기 프렌지(811)의 하부는 단속볼(700)을 로킹 해제시키는 상광하협의 경사진 테이퍼(812)를 구비되고 상기 테이퍼(812)의 하부에는 자석(81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손잡이의 높이를 승객이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임의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키가 작은 승객이나 어린이들도 손잡이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운행 중 어린이들의 안전을 크게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효과는 평상시는 단속볼이 볼삽입공으로부터 빠져 있어 손잡이의 길이를 용이하고 손잡이의 회전으로 승객이 손잡이를 잡는 것이 편리하고 부품의 조립이 쉬워 인건비가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1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4,5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a,8b,8c,8d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a,1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4,5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a,8b,8c,8d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량의 고정바(B)에 고정되는 클램프(100), 상부는 하부클램프(120)에 조립되고 하부는 구(210)를 구비하여 고정부재(300)에 조립되는 회동부재(200), 상기 회동부재(200)의 구(210)와 조립되어 고정관(50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00), 볼(410) 스프링(S1) 및 받침대(420)를 구비하여 회동부재(200)를 지지하고 회전을 제한하는 지지부(400)와, 상기 고정부재(300)을 고정하고 스프링설치바(510) 인장스프링(S2) 핀홈(520) 볼단속홈(530)을 구비하고 조절관(600)을 내장하는 고정관(500)과, 상기 고정관(500)에 인장스프링(S2)에 의해 승강되게 내장되고 단속핀(610) 볼삽입공(620) 스프링연결공(630) 작동핀홀(641) 및 스프링받침(640)을 구비하는 조절관(600), 상기 볼삽입공(620)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단속볼(700), 상기 조절관(600)에 내장되어 상부는 단속볼(700)을 로킹.해제하는 테이퍼(812) 및 자석(813)을 구비한 단속부(810)와 하부에는 작동봉(800)을 안내하고 고리(1030)를 설치하는 작동핀(820)이 구비된 작동봉(800), 상기 작동봉(800)에 설치되어 작동봉(80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링(900), 상기 조절관(600)의 하단에 조립되는 차량용 손잡이(1000), 상기 작동봉(800) 하부에 끼워지는 고리(1030)로 구성된다.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 차량의 천장에 적정간극으로 설치된 고정바(B)에는 승객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클램프(100)로 손잡이(1000)가 조립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100)는 고정바(B)에 견고하게 조립되는데 손잡이를 사용하는 도중에 손잡이(100)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램프(100)를 고정하는 부분의 고정바(B)에는 키(B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크램프(100)는 고정바(B)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부클램프(110)와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클램프(120)를 구비되는데 고정바(B)의 상부에 조립되는 상부클램프(110)에는 고정바(B)의 키(B1)에 대응되는 키홀(111)을 만들고 고정바(B)의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클램프(120)의 중앙에는 회동부재(200)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홀(121)을 형성하여 상기 조립홀(121)에 회동부재(200)를 조립설치한 후에 상.하클램프(110,120)가 고정바(B)에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130)체결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회동부재(200)는 고정부재(300)를 매개로 고정관(500)을 고정바(B)에 조립설치하여 회동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는 조립부(220)를 형성하고 하부는 구(210)를 구비하여 상기 조립부(220)는 상기 하부클램프(120)에 형성된 조립홀(121)에 조립하고 구(210)는 고정부재(300)에 의하여 고정관(500)에 조립한다.
상기 구(210)는 회동부재(200)에 설치된 고정관(500) 및 손잡이(1000)를 잡고 돌리는 경우에 구(210)에 의하여 자유롭게 회동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구(210)와 조립부(120)의 사이에는 연결바(230)를 구비하는데 연결바(230)는 얇은 지름을 갖는 것에 의하여 회동부재(200)의 회전시에 연결부재(200)에 의하여 회전이 방해됨이 없이 자유롭게 큰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구(210)의 하부에는 볼홀(211) 및 볼홈(212)을 형성하여 구(210)에 의하여 고정관(500)이 회동하였을시에 용이하게 회동되어 이동하도록 하였고, 볼홀(211)은 손잡이(1000)를 잡고 있지 아니할때 고정부재(300)의 하부에 조립되어 있는 지지부(400)의 스프링(S1)과 볼(410)에 의하여 손잡이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부재(300)는 상기 회동부재(200)를 고정관(500)에 조립하기 위해 고정관(50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중앙에 중앙홀(310)을 형성하고 상부면(320)는 중앙이 얇게 경사지고 외주는 다단으로 되어 있다.
상기 중앙홀(310)은 상기 회동부재(200)에 구비되어 있는 구(210)의 지름보다 적게 만들어 회동부재(200)가 중앙홀(310)에 끼워져 조립하였을시에 구(210)가 고정부재(3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부재(300)로부터 회동부재(200)가 분리 이탈되지 못하게 하였다.
상기 상부면(320)은 중심부에 형성한 중앙홀(310)으로 얇아지도록 경사를 만들어 구(210)에 의하여 고정부재(300)가 회전할시에 고정부재(300)의 상부면(320)이 구(2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손잡이의 회전각도를 크게 할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고정부재(300)의 외주를 다단으로 만들어 고정관(500)의 상부에 고정부재(300)를 삽입하여 조립할시 견고하게 고정조립되고 고정관(500)의 외주 이상으로 고정부재(300)의 외주가 돌출하지 않도록하였고 고정부재(300)와 고정관(500)은 접착제 볼트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조립한다.
지지부(400)는 고정관(500)의 내경 상부 소구경의 상단부(540)에 설치되어 회동부재(200)를 지지하고 회전을 제한하는 것으로 볼(410) 압축스프링(S1) 및 중앙에 스프링홀(421)을 형성한 받침대(420)를 구비하여 상기 받침대(420)에 중앙에 형성한 스프링홀(421)에 압축스프링(S1)을 조립설치하고 상기 압축스프링(S1)위에 볼(410)을 얹져 볼(410)이 회동부재(200)의 구(210)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볼(410)은 구(210)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것이므로 손잡이(1000)가 회동할때에 구(210)에 의하여 부드럽게 회전하도록 하였고 압축스프링(S1)의 탄성에 의하여 볼(410)이 두(210)의 볼홀(211)에 들어가는 경우에는 회전을 제한하고 손잡이(1000)에 힘을 더 가해 압축스프링(S1)의 탄성력 이상으로 손잡이(1000)에 힘이 가하는 경우에는 볼(410)이 볼홀(211)에서 빠져나와 손잡이(100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볼홈(212)에 볼(410)이 들어가는 경우에는 볼(410)이 볼홀(212)을 따라 이동하여 손잡이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고정관(500)은 상부에 고정부재(300)로 회동부재(200)를 조립하고 내경에는 조절관(600)이 상하이동되는 내장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내경은 다단의 구경을 갖도록 상부는 넓은 대구경(W1)으로 만들고 하부는 작은 소구경(W2)으로 만들어 단차를 갖는 소구경(W2)의 상단부(540)에는 스프링설치바홀(541)을 구비하고 하부는 방사상 교호로 형성된 다수의 핀홈(520) 및 다단의 볼단속홈(530)과 내경 하부에는 오링(550)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관(500)의 내경 상부의 지름이 큰 대구경(W1)에는 고정부재(300)을 고정조립하고 상대적으로 내경의 지름적은 소구경(W2)의 단차부분인 상단부(540)에 형성한 스프링설치바홀(541)에 스프링설치바(510)를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설치바(510)의 상부에 지지부(400)를 적층 조립한 후에 고정부재(300)를 대구경(W2)에 압입하여 고정한다.
상기 고정관(500)와 고정부재(300)는 볼트로 조립할 수 있고 접착제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관(500)의 소구경의 단차를 갖는 상단부(540)에 형성된 스프링설치바홀(541)에는 압축스프링(S1)을 연결하는 스프링설치바(510)를 설치하고 한다.
또 상기 고정관(500)의 하부 소구경 내면에는 적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핀홈(520)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면 핀홈(520)들 사이에는 다수의 볼단속홈(530)이 다단으로 형성된다.
상기 핀홈(520)은 내경에 조절관(600)을 조립할시 조절관(600)의 단속핀(610)을 끼울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한편 손잡이(1000)의 높이조절시에 조절관(600)의 단속핀(610)이 걸려 외부로 안전히 빠지지 않도록 하부는 막힌 구조를 하고 있으며 조절관(600)이 고정관(500)의 내경에서 상하이동시 단속핀(610)을 안내하여 고장관(500)을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속볼홈(530)은 상기 소구경 내면에 다단의 장홈으로 형성하여 단속볼(700)이 단속볼홈(530) 인입되고 이탈되어 단속과 해재하는 것이다.
조절관(600)은 인장스프링(S2)의 탄력으로 고정관(500)에서 승강가능하게 고정관(500)에 내장설치되는 것으로, 외주에 단차를 갖는 파이프로 만들고 상부에는 인장스프링(S2)을 연결하기 위한 스프링연결공(630)이 형성되고, 상부 외면에는 고정관(500)의 핀홈(520)에 각각 끼워지는 다수의 단속핀(610))이 돌출되고, 조절관(600)의 상부 단속핀(610)들 사이에는 단속볼(700)이 끼워지는 다수의 볼삽입공(620)이 형성되며, 조절관(600)의 내면 적소에는 압축스프링(S3)을 지지하는 스프링받침(640)이 형성된다.
상기 단속핀(610)은 손잡이(1000)의 높이조절 시 조절관(600)이 고정관(500)의 외부로 완전히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조절관(60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절관(600)의 상하이동을 안내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볼삽입공(620)의 구경은 작동볼(700)의 구경보다 약간 크게 만들고 작동봉(800)의 상하이동으로 단속볼(700)의 이동으로 록킹시는 작동볼(700)이 조절관(600)의 외주로 돌출이동되어 볼단속홈(530)에 들어가게 하는 것이고 해재시는 볼단속홈(530)에서 빠져나온 단속볼(700)을 조절관(600)의 내경의 설치되어 있는 작동봉(800)의 자석(813)으로 이동하게 하는 이동통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인장스프링(S2)은 상기 지지부(400)의 받침대(420)과 가이드링(900) 사이에 배치되도록 고정관(500)에 내장되어 조절관(600)에 인장력을 부여하여 조절관(600)이 고정관(500)에서 상하 이동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인장스프링(S2)의 상단은 고정관(500)의 소구경에 단차의 상단부(540)에 형성된 스프링설치홀(910)에 설치되는 스프링설치바(510)에 연결되고, 인장스프링(S2)의 하단은 조절관(600)의 상부에 형성된 스프링연결공(630)에 연결된다.
상기 조절관(600)의 내면 적소에 만든 스프링받침(640)은 중앙에는 작동핀홀(641)을 만들어 작동봉(800)의 작동핀(820)이 끼워져 스프링받침(640)에 설치된 압축스프링(S3)의 탄성에 의하여 작동봉(800)을 지지하여 상하 유동되게 하는 것이다.
단속볼(700)은 조절관(600)의 볼삽입공(620)에 수평으로 유동가능하게 각각 끼워져 조립되는 것으로, 단속볼(700)이 로킹되면 조절관(600)은 상하로 이동할 수 없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단속볼(700)이 해제되면 조절관(600)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작동봉(800)은 상기 조절관(600)의 내경 소정 위치에 형성된 스프링받침(6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압축스프링(S3)의 탄력을 받아 상하이동 가능하게 조절관(600)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부는 단속볼(700)을 로킹.해제하는 단속부(810)와 하부에는 작동봉(800)을 안내하고 고리(1030)를 설치하는 작동핀(820)이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압축스프링(S3)은 작동봉(800)의 작동핀(8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절관(600)의 스프링받침(640) 상부에 탄설되는 것으로, 압축스프링(S3)은 평상시는 단속볼(700)의 로킹이 해재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봉(800)을 상부로 이동하여 테이퍼(812)에 의하여 단속볼(410)이 간섭받지 않도록 작동봉(800)을 상승시키(B1)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단속부(810)는 다단으로 형상이고 상단은 가이드링(900)을 삽입설치하는 가이드링설치부(830)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링설치부(830)의 하단에는 프렌지(811)를 형성하고 상기 프렌지(811)의 하부에는 단속볼(700)을 로킹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직경이 하방으로 작아지는 상광하협의 경사진 테이퍼(812)를 구비되고 상기 테이퍼(812)의 하부에는 영구자석(813)이 조립되어 있다.
상기 프렌지(812)는 상기 조절관(600)의 내경보다 약간 적은 크기로 만들고 가이드링설치부(830)에 설치한 가이드링(900)를 받쳐 지지하고 조절관(600)의 내경에 지지봉(800)이 직선으로 상하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테이퍼(812)는 손잡이(1000)를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는 조절관(600)의 스프링받침(640)에 설치된 압축스프링(S3)에 의해 작동봉(800)이 상부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작동봉(800)이 위로 올라가 있을시는 단속부(810)의 테이퍼(812)도 같이 위로 올라가 테이퍼(812)와 단속볼(700)이 접촉되지 않아 단속볼(410)이 테이퍼(812)에 의하여 이동을 제한받지 않아 단속볼(700)은 단속부(810)의 자석(813)에 부착되어 로킹이 해제되므로 조절관(600)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 손잡이(1000)의 고리(1030)를 하부로 당기면 상기 작동봉(800)도 하부로 이동되고 이때 작동봉(800)은 압축스프링(S3)을 압축시키면서 하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단속부(810)의 테이퍼(812)과 단속볼(700)이 접촉되어 테이퍼(812)에 의하여 단속볼(700)이 외측으로 밀려 단속볼(700)은 볼삽입공(620)을 통해 조절관(600)의 외주로 돌출 이동하여 고정관(500)의 볼단속홈(530)에 끼워져 로킹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 같이 단속볼(700)이 로킹되면 조절관(600)은 상하로 이동할 수 없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자석(813)은 테이퍼(812)의 하부에 링으로 만든 영구자석을 조립설치하여 로킹이 해제되어 었을시는 볼삽입공(620)으로부터 단속볼(700)을 이탈시켜 단속볼(700)을 부착하여 작은 힘으로 손잡이(1000)를 이동하도록 하였고, 로킹 해제시 단속볼(700)이 볼단속공(620)으로 부터 빠지지 않아 손잡이(1000)의 길이가 조절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고 또 조절관(600)에 단속볼(700)을 조립시 자석(813)에 단속볼(700)을 부착하여 조립할 수 있어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핀(820)은 단속부(810)의 하단부에 일체로 만들고 하부에 고리(1030)를 조립하는 고리홀(821)을 구비하여 작동봉(800)의 작동핀(8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작동핀(820)의 하부가 손잡이(1000)의 핀공(101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고리(1030)를 조립한다.
가이드링(900)은 작동봉(800)의 프렌지(811) 상부 가이드링설치부(830)에 설치되어 조절관(600)의 내경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외주는 다단으로 만들고 중앙에 작동봉(800)이 끼워지는 중앙에 설치홀(910)이 구비하여 작동봉(800)의 가이드링설치부(830)에 이동되게 조립되고 작동봉(800)의 중심을 잡아주면서 압축스프링(S3)에의해 상하이동되는 작동봉(800)의 승하강을 안내한다.
손잡이(1000)는 차량 운행 중 좌석에 앉지 못한 입석 승객이 잡아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승객이 잡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관(600)의 하부에 견고하게 조립되고, 손잡이(1000)의 중앙 상부에는 작동봉(800)의 작동핀(820)을 끼울 수 있도록 작동핀공(1010)이 형성되고 고리(1030)를 삽입할 수 있는 고리홀(10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1000)를 조절관(600)에 끼워져 접착제 또는 나사체결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연결부(1040)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1000)의 파지부에는 고리(1030)가 삽입되는 고리홀(1020)을 형성하여 손잡이(1000)의 고리(1030)를 잡았을시에 고리(1030)가 고리홀(1020)에 들어가 작동을 하부로 이동하여 작동봉(800)을 하부로 당겨 고정하는 것이다.
고리(1030)는 작동봉(800)을 용이하게 하부로 당기기 위해 작동핀(820)의 하부의 형성된 작동핀홀(821)에 조립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고리(1030)를 잡으면 작동핀(820)에 의하여 작동봉(800)이 하강하게 되어 조절관(600)의 이동을 단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고정관(500)의 외부에는 그 표면에 광고를 기재된 광고부재(500)가 장착하여 다양한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작동핀(820)에 끼워진 고리(1030)를 제거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이와 같이 고리(1030)를 제거하면 승객들이 임의로 손잡이(10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손잡이의 높이 사용을 설명하면 승객이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추도록 도 8a와 같이 손잡이(1000)를 하부로 당겨서 손잡이(100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한 후 도 8b와 같이 고리(1030)를 잡으면 압축스프링(S3)이 압축되면서 작동봉(800)의 테이퍼(812)를 형성한 단속부(81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단속볼(700)을 외측으로 밀어 단속볼(700)이 해당 위치에 있는 볼단속홈(530)에 끼워져 로킹되어 조절관(600)은 상하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손잡이(1000)는 조절된 높이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도8c와 같이 손잡이의 고리(1030)를 놓으면 단속볼(700)의 볼단속홈(530)으로 부터 빠져나와 로킹이 해제되면서 인장스프링(S2)의 복원력에 의해 조절관(600)이 자동적으로 상승하여 도 8d와 같이 손잡이(1000)의 높이는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볼홈(211)에 볼(410)이 들어가 손잡이(100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210)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210)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클램프 110 : 상부클램프
120 : 하부클램프 200 : 회동부재
210 : 구 220 : 조립부
230 : 연결바 300 : 고정부재
310 : 중앙홀 320 : 상부면
400 : 지지대 410 : 볼
420 : 받침대 500 : 고정관
510 : 스프링설치바 520 : 핀홈
530 : 볼단속홈 540 : 상단부
600 : 조절관 610 : 단속핀
620 : 볼단속공 630 : 스프링연결공
640 : 스프링받침 700 : 단속볼
800 : 작동봉 810 : 단속부
820 : 작동핀 830 : 가이드링설치부\
900 : 가이드링 1000 : 손잡이

Claims (4)

  1. 대중교통의 고정바(B)에 설치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차량의 고정바(B)의 키(B1)에 대응되는 키홈(111)을 형성한 상부클램프(110)와 중앙에는 회동부재(200)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홀(121)을 형성한 하부클램프(120)로 구성되어 고정바(B)에 나사(130)로 고정하는 클램프(100)와; 상부는 조립부(220)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클램프(120)의 조립홀(121)에 고정조립되고 하부는 구(210)로 만들어 고정관(500)의 상부에 회동되게 고정부재(300)에 의하여 고정조립되는 회동부재(200)와; 중앙에 중앙홀(310)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홀(310)은 중앙으로 경사진 경사면(320)을 만들고 외주는 다단으로 형성하여 상기 회동부재(200)가 회동되게 고정관(500)의 상부에 고정조립하는 고정부재(300)와; 볼(410). 압축스프링(S1) 및 중앙에 스프링홀(421)을 형성한 받침대(420)를 구비하여 고정관(500)의 단차가 형성된 상단부(540)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200)를 지지하고 회전을 제한하는 지지부(400)와; 내경의 상부는 대구경을 상기 대구경의 하부는 소구경인 단차를 갖고 상부 대구경에는 고정부재(300)을 고정하고 소구경의 상단부(540)는 스프링설치바(510)를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설치바홀(541)을 형성하고, 하부는 방사상 교호로 형성된 다수의 핀홈(520) 및 다단의 볼단속홈(530)을 구비하고 오링(550)을 조립하여 조절관(600)이 내경으로 상하이동되는 고정관(500)과; 상부 외면에는 상기 고정관(500)의 핀홈(520)과 볼단속홈(530)에 대응하는 단속핀(610), 볼삽입공(620)이 형성되고 상부는 다단으로 만들어 가이드부재(900)를 조립하고 인장스프링(S2)을 연결하는 스프링연결공(630)을 구비하고 내경에는 적소에는 작동봉(800)의 작동핀(820)을 안내하는 작동핀홀(641)이 형성되고 압축스프링(S3)를 받치는 스프링받침(640)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관(500)에서 인장스프링(S2)의 탄력으로 승강가능하게 내장되는 조절관(600)과; 상기 볼삽입공(620)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단속볼(700)과; 상부는 프렌지(811)와 단속볼(700)을 로킹 및 해제시키는 단속부(810)와 상기 단속부(810)의 하부는 작동봉(800)을 안내하고 손잡이(1000)의 핀공(1010)으로 끼워져 고리(1030)를 설치하는 작동핀(820)을 일체로 구비하여 상기 조절관(600)에 형성된 스프링받침(640)의 상부에 압축스프링(S3)의 탄력으로 승강가능하게 조절관(600)에 내장설치되는 작동봉(800)과; 외주는 다단으로 형성하고 중앙에 작동봉(800)이 끼워지는 설치홀(910)이 구비하여 상기 작동봉(800)의 가이드링설치부(830)에 유동되게 설치하여 조절관(600)의 상부에 고정조립하여 작동봉(800)의 중심을 잡아주고 작동봉(800)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링(900)과; 상부에는 상기 작동봉(800)의 작동핀(820) 일단이 십입되어 돌출되는 핀공(1010)과 하부에는 고리(1030)를 안내하는 고리홈(1020)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봉(800)의 작동핀(820) 하부에 고리(1030)를 끼워 상기 조절관(600)의 하단에 고정조립되는 차량용 손잡이(10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200)의 구(210)의 하부에는 볼홀(211) 및 볼홈(21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0)의 상부면(320)는 중앙홀으로 얇은 두께를 갖게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상부는 가이드링(900)을 삽입설치하는 가이드링설치부(830)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링설치부(830)의 하단은 프렌지(811)를 형성하고 상기 프렌지(811)의 하부는 단속볼(700)을 로킹 해제시키는 상광하협의 경사진 테이퍼(812)를 구비되고 상기 테이퍼(812)의 하부에는 자석(81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KR1020150065894A 2015-05-12 2015-05-12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KR101708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894A KR101708336B1 (ko) 2015-05-12 2015-05-12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894A KR101708336B1 (ko) 2015-05-12 2015-05-12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547 Division 2014-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280A KR20160046280A (ko) 2016-04-28
KR101708336B1 true KR101708336B1 (ko) 2017-02-21

Family

ID=55915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894A KR101708336B1 (ko) 2015-05-12 2015-05-12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3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251A (ko) * 2017-04-03 2018-10-12 국동훈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
KR20200121020A (ko) 2019-04-15 2020-10-23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손잡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손잡이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5014A (zh) * 2016-05-20 2016-08-31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一种新型公交吊环把手
ITUA20163725A1 (it) * 2016-05-24 2017-11-24 Marius George Pirlitescu Dispositivo di presa, particolarmente per l'impiego in mezzi pubblici e simili.
KR200488242Y1 (ko) * 2017-02-21 2019-01-04 장석현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CN107139792A (zh) * 2017-06-08 2017-09-08 李艳贞 一种公交挂环扶手
CN108237958B (zh) * 2018-01-08 2020-09-22 涡阳林叶商贸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式公交车把手
CN108528307B (zh) * 2018-04-03 2020-09-29 台州市黄岩瑞鼎塑模有限公司 一种公交车可调节拉手
CN108973814B (zh) * 2018-08-23 2020-12-29 嘉兴日雅光电有限公司 一种增加摩擦力的公交车吊环
CN111942248B (zh) * 2020-08-24 2021-09-03 浙江农业商贸职业学院 一种公交车内置可调高度的悬挂拉手
CN112644355A (zh) * 2020-12-24 2021-04-13 孟思毅 一种方便不同群体扶持的公共交通工具扶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561Y1 (ko) 2005-10-19 2006-01-23 주식회사 현대엔지니어링 차량용 손잡이
KR200438513Y1 (ko) 2006-10-27 2008-02-20 장복규 입석 승객용 손잡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2431A (ko) 2007-09-28 2009-04-01 장은화 차량용 손잡이 높이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561Y1 (ko) 2005-10-19 2006-01-23 주식회사 현대엔지니어링 차량용 손잡이
KR200438513Y1 (ko) 2006-10-27 2008-02-20 장복규 입석 승객용 손잡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251A (ko) * 2017-04-03 2018-10-12 국동훈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
KR102046594B1 (ko) * 2017-04-03 2019-11-19 국동훈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
KR20200121020A (ko) 2019-04-15 2020-10-23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손잡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손잡이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280A (ko)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336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JP6589027B2 (ja) ベルト調整装置
US9004586B2 (en) Vehicle seat assembly
US7255401B2 (en) Automobile headrest
US20130187428A1 (en) Portable and adjustable head and neck rest
KR102400927B1 (ko) 자동차 시트의 파워 스위블 장치
KR20130070027A (ko) 자동차 헤드레스트의 유동 및 소음방지용 지지봉가이드
US11642268B2 (en) Lifting system
KR100903134B1 (ko) 자동차시트용 무단조절식 헤드레스트 가이드
KR200488242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DK201470594A1 (en) Clamping device for being connected with hitch ball
JP2003259935A (ja) ヘッドレスト装置
CN206443492U (zh) 一种桌边椅
JP3137453U (ja) 自転車サドル盗難防止装置
KR101714236B1 (ko) 시트벨트의 로어앵커 커버
KR100802834B1 (ko)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CN210212120U (zh) 一种儿童座椅安全装置
KR200452910Y1 (ko)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
JP2012230261A (ja) 事務機器の振動吸収装置
KR200477990Y1 (ko) 이륜차용 등받이
KR101587818B1 (ko) 가구용 받침다리
JP4425439B2 (ja) チヤイルドシート用ベルト調節器具
KR200465737Y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동식 높이조절장치
JP2008119425A (ja) 吊り下げ装置
KR101598957B1 (ko) 이음 및 유격방지 기능을 가진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의 폴가이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