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910Y1 -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 - Google Patents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910Y1
KR200452910Y1 KR2020100011938U KR20100011938U KR200452910Y1 KR 200452910 Y1 KR200452910 Y1 KR 200452910Y1 KR 2020100011938 U KR2020100011938 U KR 2020100011938U KR 20100011938 U KR20100011938 U KR 20100011938U KR 200452910 Y1 KR200452910 Y1 KR 200452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vertical bar
rail
columnar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원
Original Assignee
(주)한국에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에이앤지 filed Critical (주)한국에이앤지
Priority to KR2020100011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9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9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1/00Turntables; Traversers;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other rail vehicles or dollies
    • B61J1/02Turntables; Integra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 전환을 위해 턴테이블을 쉽게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턴테이블의 회전 전후에 턴테이블이 유동하지 않고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는, 상면에 레일바이크가 주행할 수 있는 레일이 장착되는 턴테이블과, 턴테이블의 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에 결합되는 샤프트와, 턴테이블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턴테이블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는 구동수단과, 턴테이블의 상면 일측에 턴테이블을 관통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바 및 수직바의 하방 지면에 설치되어 수직바가 하강한 경우 수직바와 결합함으로써 턴테이블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갖는 회전저지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Hand turn table apparatus for rail bike}
본 고안은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 전환을 위해 턴테이블을 쉽게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턴테이블의 회전 전후에 턴테이블이 유동하지 않고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일바이크(rail bike)는 철로 위에서 탑승자가 페달을 밟아 철로 위를 움직이는 탈것의 하나로, 열차가 운행되지 않는 철로 위에 설치되어 놀이기구로 이용되고 있다.
레일바이크로는 하나의 레일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모노형 레일바이크와 두 개의 레일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4륜형 레일바이크가 있는데, 탑승자가 페달을 밟아 출발지에서 출발한 후 도착지에서 주행방향을 전환시켜 원 출발지로 돌아오는 형태로 주행되고 있으며, 원 출발지로 돌아온 레일바이크로 다시 출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또다시 방향을 전환시켜야 한다.
종래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수동으로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6375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철도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레일바이크와, 레일바이크의 출발점과 도착점에 구비되어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하는 턴테이블과, 턴테이블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가드와, 턴테이블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구비된 롤러에 의하여 회전하는 턴테이블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은 레일바이크를 손쉽게 방향전환 할 수 있어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레일바이크의 방향전환에 따르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은 턴테이블을 회전시킨 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수동으로 턴테이블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턴테이블의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턴테이블 상에 위치한 레일바이크로 다시 주행을 하는 과정에서 턴테이블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유동하게 되어 턴테이블 상의 레일과 철도레일이 연결되지 못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레일바이크가 턴테이블 상의 레일을 벗어나는 과정에서 레일에서 이탈될 수 있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 전환을 위해 턴테이블을 쉽게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특히 턴테이블의 회전 전후에 턴테이블이 유동하지 않고 고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면에 레일바이크가 주행할 수 있는 레일이 장착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에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턴테이블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 일측에 상기 턴테이블을 관통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하방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바가 하강한 경우 상기 수직바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저지수단;을 포함하는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는 기둥형 몸체와, 상기 기둥형 몸체의 상단부 외주에 돌출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구동수단의 기둥형 몸체는 하방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내측 공간부와, 외주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홀과, 상기 제1홀의 상단부와 연결되도록 외주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홀을 가지며, 상기 회전저지수단의 수직바는 상기 구동수단의 기둥형 몸체에 형성된 내측 공간부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외주에서 돌출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기둥형 몸체에 형성된 제1홀 및 제2홀을 관통할 수 있는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돌출부를 가져, 상기 수직바의 돌출부가 상기 기둥형 몸체의 제1홀에 위치하면 상기 수직바가 하강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이 저지되고, 상기 수직바의 돌출부가 상기 기둥형 몸체의 제2홀에 위치하면 상기 수직바의 하강이 저지되어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기둥형 몸체는 상기 제2홀의 끝단에 하향 형성되는 함몰부를 가지며, 상기 수직바의 돌출부가 상기 함몰부에 끼워져 수평 유동이 방지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전저지수단의 고정부재는 상기 수직바의 하단부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고정홀 또는 고정홈을 갖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전저지수단의 수직바는 중공 또는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수직바의 중공 또는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고정돌기를 갖는다.
또한,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면에 레일바이크가 주행할 수 있는 레일이 장착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에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턴테이블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는 기둥형 몸체와, 상기 기둥형 몸체의 상단부 외주에 돌출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 일측에 상기 턴테이블을 관통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강하여 지면에 꽂혀 고정됨으로써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하는 수직바;를 포함하는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에 의하면,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전환하고자 할 때 턴테이블을 쉽게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특히 턴테이블의 회전 전후에 회전저지수단으로 인해 턴테이블의 회전이 저지됨과 동시에 유동이 방지되어 그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턴테이블의 회전 가부를 수동으로 손쉽게 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의 요부에 관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의 개략적인 작동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는 턴테이블(100), 샤프트(200), 구동수단(300) 및 회전저지수단(400)을 포함하여, 구동수단(300)을 통해 수동으로 턴테이블(100)을 회전시킬 수 있고, 더욱이 회전저지수단(400)을 통해 턴테이블(100)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턴테이블(100)은 레일바이크(도시되지 않음, 이하 같음)가 상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면에 장착되는 레일(110)을 갖는다. 그리고 턴테이블(100)은 원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샤프트(200)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턴테이블(100)은 지면과 대략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되어야 하므로, 턴테이블(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면은 함몰 형성되어 턴테이블(100)과 하방 지면 사이에 공간부(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되어야 하고, 공간부에 샤프트(200), 가이드 롤러(500) 및 회전저지수단(400)의 고정부재(420) 등이 설치된다.
한편, 턴테이블(100)은 턴테이블(100)로 진입하는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반대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해 180°로 회전되거나, 또는 직각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해 90°로 회전될 수 있으며, 나아가 임의의 각도로 회전될 수도 있다. 즉, 턴테이블(100) 외부의 레일(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 각도에 맞게 턴테이블(100)의 회전이 가능하다.
샤프트(200)는 턴테이블(100)의 축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턴테이블(100)의 하방 지면에 설치되고 턴테이블(100)의 하면과 결합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샤프트(200)로는 턴테이블(1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가능하며, 일반적으로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턴테이블에 적용될 수 있는 샤프트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20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수단(300)은 턴테이블(100)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 턴테이블(100)의 상면 일측에 장착된다. 구동수단(300)으로는 손으로 잡고 턴테이블(100)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라도 적용가능하겠지만, 기둥형 몸체(310)와 손잡이(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여기에서, 기둥형 몸체(310)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원기둥 형상이 가장 바람직하겠으나,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기둥형 몸체(310)는 턴테이블(100)의 상면 일측, 대략 가장자리 부근에 장착된다. 턴테이블(100)의 상면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덜 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손잡이(320)는 기둥형 몸체(310)의 상단부 외측에 돌출형성된다. 이 경우, 기둥형 몸체(310)의 높이와 손잡이(320)의 설치높이는 턴테이블(100)의 외부에서 탑승자 또는 관리자가 손으로 손잡이(320)를 잡고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을 정도이면 된다. 그리고 손잡이(320)는 턴테이블(100)의 바깥쪽에서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턴테이블(100)의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레일바이크가 턴테이블(100)의 상면에 위치한 후 그 주행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차한 탑승자 또는 관리자가 구동수단(300)의 손잡이(320)를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여 밀거나 당기면 턴테이블(100)이 회전된다.
턴테이블(100)의 용이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턴테이블(100)의 하방에 샤프트(200)를 중심으로 하여 원둘레를 이루도록 가이드 롤러(500)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500)는 일반적으로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턴테이블에 적용되고 있는 수단이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저지수단(400)은 턴테이블(100)의 회전 가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수직바(410) 및 고정부재(420)를 포함한다. 수직바(410)는 턴테이블(100)의 상면 일측에 턴테이블(100)을 관통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부재(420)는 수직바(410)의 하방 지면에 설치되며, 수직바(410)가 하강한 경우 수직바(410)와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바(410)가 하강하여 고정부재(420)와 결합하게 되면 턴테이블(100)의 회전이 저지되고, 수직바(410)가 상승하여 고정부재(420)와의 결합이 해제되어야 턴테이블(100)의 회전이 가능하다.
참고로, 도 1에는 하나의 고정부재(420)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고정부재(420)는 필요에 따라, 예컨대 턴테이블(100)의 회전이 필요한 각도에 따라 복수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저지수단(400)의 수직바(410)와 고정부재(420)의 결합관계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420)에 고정홈(422)을 형성하여 수직바(410)의 하단부가 끼워지도록 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이 경우, 고정부재(420)에 고정홈(422) 대신에 고정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직바(410)의 하단부는 고정부재(420)의 고정홈(422)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직바(410)가 하강하면 하단부가 고정부재(420)의 고정홈(422)에 끼워져 결합되어, 턴테이블(100)의 회전이 저지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회전저지수단의 수직바에 중공을 형성하거나, 또는 하단부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고정부재의 상면에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양자를 결합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따라서, 수직바가 하강하면 수직바의 중공 또는 결합홈에 고정부재의 고정돌기가 끼워져 결함됨으로써, 턴테이블이 회전이 저지된다.
참고로, 회전저지수단(400)의 고정부재(420)는 턴테이블(100)의 하방 지면 상에 설치되는 것 외에, 지면에 매설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수직바(410)의 하강거리가 더 길어진다는 차이만 있을 뿐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회전저지수단은 고정부재가 제외되고 수직바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수직바가 지면에 꽂혀 고정됨으로써 턴테이블(100)의 회전저지가 가능하며, 특히 수직바는 하단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저지수단(400)의 수직바(410)는 구동수단(300)과 별도의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겠으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300)과 같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설치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고 작동도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구동수단(300)의 기둥형 몸체(310)는 하방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내측 공간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 이하 같음)를 가지며, 회전저지수단(400)의 수직바(410)는 기둥형 몸체(310)의 내측 공간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구동수단(300)의 기둥형 몸체(310)는 제1홀(312)과 제2홀(314)을 갖는데, 제1홀(312)은 기둥형 몸체(310)의 외주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홀(314)은 기둥형 몸체(310)의 외주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홀(312)의 상단부와 연결된다. 이 경우, 제1홀(312)은 수직바(410)가 일정 거리로만 하강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고, 제2홀(314)은 수직바(410)가 하강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이와 대응하여, 기둥형 몸체(310)의 내측 공간부에 삽입되는 수직바(410)는 외주에서 돌출되는 돌출부(412)를 가지며, 돌출부(412)는 기둥형 몸체(310)의 제1홀(312)과 제2홀(314)을 관통할 수 있는 길이로 연장형성된다.
여기에서, 수직바(410)의 돌출부(412)가 기둥형 몸체(310)의 제1홀(312)에 위치하게 되면, 기둥형 몸체(310)의 제1홀(31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수직바(410) 및 돌출부(412)가 하강을 하게 되지만, 기둥형 몸체(310)의 제1홀(312)의 하단에서 수직바(410)의 돌출부(412)가 기둥형 몸체(310)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수직바(410)가 하강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수직바(410)의 돌출부(412)가 기둥형 몸체(310)의 제2홀(314)에 위치하게 되면, 기둥형 몸체(310)의 제2홀(314)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수직바(410)의 돌출부(412)가 기둥형 몸체(310)의 제2홀(314)에 끼워져 하강을 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직바(410)의 하강이 저지된다.
이때, 수직바(410)는 돌출부(412)가 기둥형 몸체(310)의 제1홀(312)과 제2홀(314)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기둥형 몸체(310)의 내측 공간부에서 회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따라서 구동수단(300)의 손잡이(320)를 잡고 턴테이블(10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회전저지수단(400)의 수직바(410)를 상승시킨 후 회전시켜 돌출부(412)가 구동수단(300)의 기둥형 몸체(310)에 형성된 제2홀(314)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턴테이블(100)을 회전시킨 후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서는 수직바(410)를 회전시켜 돌출부(412)가 기둥형 몸체(310)의 제1홀(312)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하며, 수직바(410)는 돌출부(412)가 기둥형 몸체(310)의 제1홀(312)에 위치하게 되면 자유낙하를 하게 된다. 참고로, 수직바(410)를 상승 및 회전시키고자 할 때, 수직바(410)의 돌출부(412)를 손으로 잡고 수동으로 조작하면 된다.
한편, 구동수단(300)의 기둥형 몸체(310)는 제2홀(314)의 끝단에 하향 형성되는 함몰부(315)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함몰부(315)는 회전저지수단(400)의 수직바(410)가 기둥형 몸체(310)의 상단에서 회전되는 경우 기둥형 몸체(310)의 제2홀(314)에 삽입되는 돌출부(412)의 수평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함몰부(315)는 돌출부(412)가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면 되고, 그 형상으로는 사각형, 반원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다만, 수직바(410)의 돌출부(412)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당하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레일바이크가 턴테이블(100)로 진입하기 전에, 턴테이블(100)은 회전저지수단(400)에 의해 회전될 수 없는 상태에 놓여져 있다. 즉,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저지수단(400)의 수직바(410)가 하강하여 그 하단부가 고정부재(420)에 고정홈(422)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턴테이블(100)은 회전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유동도 발생하지 않는다.
레일바이크가 턴테이블(100)로 진입하여 상면에 위치하게 된 후, 레일바이크의 주행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턴테이블(10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저지수단(400)의 수직바(410)를 상승시켜 고정부재(420)와의 결합상태를 해제하여야 하며, 수직바(410)의 하강이 저지되도록 수직바(410)를 회전시켜 돌출부(412)가 구동수단(300)의 기둥형 몸체(310)에 형성된 제2홀(314)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수직바(410)의 돌출부(412)가 기둥형 몸체(310)의 함몰부(315)에 끼워지도록 하면 돌출부(412)의 수평 유동이 방지된다. 이후, 구동수단(300)의 손잡이(320)를 손으로 잡고 일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턴테이블(100)이 회전된다.
턴테이블(10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킨 후 레일바이크로 주행을 하기 전에 다시 턴테이블(100)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회전저지수단(400)의 돌출부(412)를 잡고 수직바(410)를 회전시켜 돌출부(412)가 구동수단(300)의 기둥형 몸체(310)에 형성된 제1홀(312)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하며, 돌출부(412)가 기둥형 몸체(310)의 제1홀(312)에 위치하면 수직바(410)가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직바(410)의 돌출부(412)를 계속 손으로 잡고 서서히 하강시키거나, 손을 놓고 자유낙하시킬 수 있으며, 기둥형 몸체(310)의 제1홀(312)의 하단에서 수직바(410)의 하강이 정지된다. 수직바(410)가 하강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바(410)의 하단부가 고정부재(420)의 고정홈(422)에 끼워져 결합되고, 그에 따라 턴테이블(100)의 회전이 저지될 뿐만 아니라 유동도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후 안전하게 레일바이크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100 : 턴테이블 200 : 샤프트
300 : 구동수단 310 : 기둥형 몸체
312 : 제1홀 314 : 제2홀
320 : 손잡이 400 : 회전저지수단
410 : 수직바 412 : 돌출부
420 : 고정부재 422 : 고정홈
500 : 가이드 롤러

Claims (7)

  1. 상면에 레일바이크가 주행할 수 있는 레일이 장착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의 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턴테이블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는 구동수단; 및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 일측에 상기 턴테이블을 관통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하방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바가 하강한 경우 상기 수직바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저지수단;을 포함하는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는 기둥형 몸체와, 상기 기둥형 몸체의 상단부 외주에 돌출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의 기둥형 몸체는 하방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내측 공간부와, 외주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홀과, 상기 제1홀의 상단부와 연결되도록 외주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홀을 가지며, 상기 회전저지수단의 수직바는 상기 구동수단의 기둥형 몸체에 형성된 내측 공간부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외주에서 돌출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기둥형 몸체에 형성된 제1홀 및 제2홀을 관통할 수 있는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돌출부를 가져, 상기 수직바의 돌출부가 상기 기둥형 몸체의 제1홀에 위치하면 상기 수직바가 하강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이 저지되고, 상기 수직바의 돌출부가 상기 기둥형 몸체의 제2홀에 위치하면 상기 수직바의 하강이 저지되어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 몸체는 상기 제2홀의 끝단에 하향 형성되는 함몰부를 가지며, 상기 수직바의 돌출부가 상기 함몰부에 끼워져 수평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저지수단의 고정부재는 상기 수직바의 하단부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고정홀 또는 고정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저지수단의 수직바는 중공 또는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홈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수직바의 중공 또는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고정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
  7. 상면에 레일바이크가 주행할 수 있는 레일이 장착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의 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턴테이블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는 기둥형 몸체와, 상기 기둥형 몸체의 상단부 외주에 돌출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 일측에 상기 턴테이블을 관통하여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강하여 지면에 꽂혀 고정됨으로써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하는 수직바;를 포함하는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
KR2020100011938U 2010-11-19 2010-11-19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 KR200452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938U KR200452910Y1 (ko) 2010-11-19 2010-11-19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938U KR200452910Y1 (ko) 2010-11-19 2010-11-19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910Y1 true KR200452910Y1 (ko) 2011-03-31

Family

ID=4424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938U KR200452910Y1 (ko) 2010-11-19 2010-11-19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9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3027A (zh) * 2018-02-11 2018-07-24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汽车换电站旋转输送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098Y1 (ko) 2004-06-16 2004-09-16 하나농업기계 주식회사 소금운반대차용 교차레일 회전대
KR100702617B1 (ko) 2006-05-22 2007-04-04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관광 레져용 카트 운행 시스템 및 레일트랙 보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098Y1 (ko) 2004-06-16 2004-09-16 하나농업기계 주식회사 소금운반대차용 교차레일 회전대
KR100702617B1 (ko) 2006-05-22 2007-04-04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관광 레져용 카트 운행 시스템 및 레일트랙 보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3027A (zh) * 2018-02-11 2018-07-24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汽车换电站旋转输送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0110B1 (en) Cup-holder with adjustable depth
KR101708336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ES2944539T3 (es) Cabina de ascensor
KR101547650B1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US10000221B2 (en) Pit cover
KR200452910Y1 (ko) 레일바이크용 수동식 턴테이블 장치
KR20150013411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100988364B1 (ko) 레일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CN103726729A (zh) 一种城市轨道车辆移门的手动解锁装置
CN102020173B (zh) 电梯轿厢扶手结构
KR101079850B1 (ko) 레일 바이크용 턴테이블 장치
CN203669556U (zh) 一种城市轨道车辆移门的手动解锁装置
KR101448382B1 (ko)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일체형 접이식 주차블록
KR101451093B1 (ko) 리니어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교량 등 설치대
EP1918183A2 (en) Device for facilitating the parking of motorcycles or the like, particularly for parking in tight spaces
US8839995B2 (en) Security device for a spare-wheel pick-up system
KR101251005B1 (ko) 자동차 운반선에서 자동차 추락 방지용 턱의 고정장치
CN208533407U (zh) 一种带自锁滚动装置的挡车器
KR20140033737A (ko) 맨홀
KR20120001862U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CA3010525C (en) Point switch, and railway network comprising at least one point switch of said type
KR101810101B1 (ko) 기능성 가로등
CN204528961U (zh) 一种用于无机房电梯的停车装置
CN210563657U (zh) 停车场的停车取放装置
KR101660263B1 (ko) 매립형 자전거 주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