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134B1 - 자동차시트용 무단조절식 헤드레스트 가이드 - Google Patents

자동차시트용 무단조절식 헤드레스트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134B1
KR100903134B1 KR1020080091941A KR20080091941A KR100903134B1 KR 100903134 B1 KR100903134 B1 KR 100903134B1 KR 1020080091941 A KR1020080091941 A KR 1020080091941A KR 20080091941 A KR20080091941 A KR 20080091941A KR 100903134 B1 KR100903134 B1 KR 100903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guide
headrest
suppor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채식
Original Assignee
(주)현대공업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대공업,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현대공업
Priority to KR1020080091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시트의 상부에 부착되어 탑승자의 후두부를 지지하고 후방 추돌시 탑승자의 머리와 목을 보호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의 위치를 무단으로 조절한 후 고정하는 헤드레스트 가이드에 대한 것으로,
헤드레스트(10)와 연결된 지지대(11)가 관통하여 지지되고 외부로 돌출한 버튼(13)이 구성된 가이드(12)와, 이 가이드(12) 내에 구성되어 지지대(11)를 탄성에 의해 감싸 조이는 스프링(21)을 구성하되,
스프링의 일측(24)은 버튼(13)에 끼워지고, 스프링의 타측(25)은 가이드(12)에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시트용 무단조절식 헤드레스트 가이드이다.
헤드레스트, 자동차, 시트

Description

자동차시트용 무단조절식 헤드레스트 가이드 {stepless headrest guide for automobile seat}
본 발명은 자동차용시트의 상부에 부착되어 탑승자의 후두부를 지지하고 후방 추돌시 탑승자의 머리와 목을 보호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의 위치를 무단으로 조절한 후 고정하는 헤드레스트 가이드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후두부 위치에 따라 헤드레스트(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추돌사고시 후두부를 보호하고 운전시 후두부를 지지하게 되는데 종래의 헤드레스트(10)의 위치조절은 도 1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헤드레스트(10)와 시트(20)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대(11)에 일정한 간격으로 노치(23)를 가공하고,
시트(20) 상단에 고정되어 지지대(11)가 관통하여 지지되는 가이드(12)에 스토퍼(22)를 탄성에 의해 밀어내는 스프링(21)과
지지대(11)가 관통하며 스프링(21)의 탄성에 의해 노치(23)에 걸리며,한쪽이 가이드(12)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22)를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헤드레스트(10)는 스토퍼(22)를 손으로 밀어 스프링(21)을 수축시켜 스토퍼(22)가 노치(23)에 걸린 것을 해제한 후 탑승자의 후두부가 가장 잘 지지되는 위치와 근접한 위치에 지지대(11)를 이동하고 스토퍼(22)가 스프링(21)의 탄성에 밀려 노치(23)에 걸리도록 하여 헤드레스트(10)의 위치를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헤드레스트(10)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우선 지지대(11)에 가동된 노치(23)의 간격에 맞추어 헤드레스트(10)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탑승자의 후두부에 따른 최적의 위치로 이동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가이드(12) 내에 스프링(21)과 스토퍼(22)를 구성하고 지지대(11)에 노치(23)를 가공해야 하는 등 가공 방법 및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작비를 절감하는 것은 물론이고, 헤드레스트를 무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창안하여,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최적의 위치로 헤드레스트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에게 최적의 승차감을 제공하고, 추돌 사고시 탑승자의 후두부를 최대한 보호하도록 한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헤드레스트(10)와 연결된 지지대(11)가 관통하여 지지되고 외부로 돌출된 버튼(13)이 구성된 가이드(12)와,
이 가이드(12) 내에 구성되어 지지대(11)를 탄성에 의해 감싸 조이는 스프링(21)을 구성하되,
스프링의 일측(24)은 버튼(13)에 끼워지고, 스프링의 타측(25)은 가이드(12)에 끼워진 것이고,
또한 버튼(13)이 횡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시트용 무단조절식 헤드레스트 가이드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구성이 단순하고 무단으로 헤드레스트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가 절감되고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최적의 위치에 헤드레스트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승차감이 향상되고 추돌사고시 탑승자의 후두부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원리를 첨부한 도 3를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용 시트(20)에 부착되어 헤드레스트(10)의 지지대(11)가 관통하여 지지되는 가이드(12)는 외부로 돌출된 버튼(13)과 내부에 지지대(11)가 관통하는 스프링(21)이 구성된다.
이 스프링(21)은 코일형태로 내주면에 관통 삽입된 지지대(11)를 스프링(21)의 탄성력으로 감싸 조이는 것으로, 스프링의 일측(24)은 버튼(13)에 끼워지고, 스프링의 타측(25)은 가이드(12)에 끼워진다.
즉, 코일형태인 스프링(21)의 내경 지름은 지지대(11)의 지름보다 작은 것으로, 지지대(11)가 관통, 삽입되면 스프링(21)의 탄성에 의해 지지대(11)를 감싸 조이게 되므로 지지대(11)가 이 조임력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용 예를 도 4를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튼(13)을 누르면 스프링의 일측(24)은 밀리고 스프링의 타측(25)은 가이드(1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프링(21)의 내경이 지지대(11)의 지름보다 커지게 되어 지지대(11)를 조이지 못하게 되므로 지지대(11)를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헤드레스트(10)를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맞는 최적의 위치에 놓고 버튼(13)의 누름을 해제하면 스프링(21)의 탄성에 의해 스프링(21)의 내경이 다시 작아지면서 지지대(11)를 조이게 되므로 지지대(11)가 고정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11)의 위치를 무단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21)이 지지대(11)의 조임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코일의 수를 늘리거나 탄성력이 더 뛰어난 스프링(21)을 사용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버튼(13)을 회동하는 방법으로 스프링(13)의 조임력을 해제하여 지지대(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버튼(13)을 스프링(21)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가이드(12)의 버튼(13)이 끼워지는 구멍을 횡방향으로 넓게 구성하면,
도 6에서와 같이 버튼(13)을 스프링(21)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면 스프링의 일측(24)은 밀리고 스프링의 타측(25)은 가이드(1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프링(21)의 내경이 지지대(11)의 지름보다 커지게 되어 지지대(11)를 조이지 못하게 되므로 지지대(11)를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버튼(12)을 밀어 스프링(21)의 내경을 커지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힘보다 훨씬 적은 힘을 사용하여 스프링(21)의 내경을 커지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시트에 종래의 헤드레스트 가이드가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헤드레스트 가이드의 작동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헤드레스트 가이드를 예시한 단면도 및 사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헤드레스트 가이드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및 사시 단면도
도 5는 또 다른 구성의 본 발명 헤드레스트 가이드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사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헤드레스트
11: 지지대
12: 가이드
13: 버튼
20: 시트
21: 스프링
22: 스토퍼
23: 노치
24: 스프링의 일측
25: 스프링의 타측

Claims (2)

  1. 위치가 무단(無段)으로 조절되는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headrest)(10)의 지지대(11)가 관통하여 지지되고 외부로 돌출된 버튼(13)이 구성되는 가이드(12)에 있어서,
    가이드(12) 내부에는 지지대(11)를 감싸 조이는 코일형태의 스프링(21)이 설치되되;
    스프링의 일측(24)은 버튼(13)에 끼워지고, 스프링의 타측(25)은 가이드(12)에 끼워져 고정되어;
    버튼(13)에 외력이 작용되면 스프링(21)의 내경이 확대되면서 지지대(11)의 조임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시트용 무단조절식 헤드레스트 가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12)의 버튼(13)이 끼워지는 구멍을 횡방향으로 넓게 구성하여 버튼(13)이 횡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시트용 무단조절식 헤드레스트 가이드.
KR1020080091941A 2008-09-19 2008-09-19 자동차시트용 무단조절식 헤드레스트 가이드 KR100903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941A KR100903134B1 (ko) 2008-09-19 2008-09-19 자동차시트용 무단조절식 헤드레스트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941A KR100903134B1 (ko) 2008-09-19 2008-09-19 자동차시트용 무단조절식 헤드레스트 가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134B1 true KR100903134B1 (ko) 2009-06-16

Family

ID=4098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941A KR100903134B1 (ko) 2008-09-19 2008-09-19 자동차시트용 무단조절식 헤드레스트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1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404A1 (en) * 2011-12-01 2013-06-06 Woobo Tech Co., Ltd. Apparatus for moving headrest
KR101576384B1 (ko) 2014-07-25 2015-12-09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KR101683428B1 (ko) 2016-06-29 2016-12-0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헤드레스트 가이드 조립체
KR20190094761A (ko) 2018-02-06 2019-08-14 광명산업(주) 무단 업다운 헤드레스트
KR20200017900A (ko) 2018-08-10 2020-02-19 광명산업(주) 무단 업다운 헤드레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589U (ko) * 1994-09-26 1996-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로킹장치
JP2002360374A (ja) * 2001-06-07 2002-12-17 Bizen Hatsujo Kk ヘッドレスト装置に使用される支持棒止め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589U (ko) * 1994-09-26 1996-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로킹장치
JP2002360374A (ja) * 2001-06-07 2002-12-17 Bizen Hatsujo Kk ヘッドレスト装置に使用される支持棒止め具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1404A1 (en) * 2011-12-01 2013-06-06 Woobo Tech Co., Ltd. Apparatus for moving headrest
KR101576384B1 (ko) 2014-07-25 2015-12-09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KR101683428B1 (ko) 2016-06-29 2016-12-0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헤드레스트 가이드 조립체
KR20190094761A (ko) 2018-02-06 2019-08-14 광명산업(주) 무단 업다운 헤드레스트
KR20200017900A (ko) 2018-08-10 2020-02-19 광명산업(주) 무단 업다운 헤드레스트
KR102088705B1 (ko) 2018-08-10 2020-03-16 광명산업(주) 무단 업다운 헤드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134B1 (ko) 자동차시트용 무단조절식 헤드레스트 가이드
KR101297308B1 (ko) 차량 좌석에 어린이 안전 좌석을 부착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U2013273802B2 (en) Mechanical side impact protection for a child restraint
JP6027249B2 (ja) ロッキングタング
JP5182843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304673B1 (ko) 자동차 헤드레스트의 유동 및 소음방지용 지지봉가이드
US10988062B2 (en) Vehicle seat
US20070164593A1 (en) Articulating headrest assembly
JP2013014320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5903941B2 (ja) ネックサポート装置
CN107187413B (zh) 座椅安全带卷收器总成
KR101592527B1 (ko) 안전벨트 웨빙 가이드
JP2010208466A (ja) シートベルト位置調節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075194B1 (ko) 자동차시트용 무단조절식 헤드레스트 가이드
JP2007106356A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
JP2007118841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構造
JP2010058744A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EP2746096B1 (en) Dynamic child restraint
KR101714236B1 (ko) 시트벨트의 로어앵커 커버
KR101054781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장치
KR102024049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좌석벨트 시스템
KR102663173B1 (ko) 차량용 시트
JP2011178238A (ja) ヘッドレスト支持装置
US10336293B2 (en) Motor vehicle comprising improved deflection member of a safety belt device and method
EP2108551B1 (en) Bel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