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251A -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 - Google Patents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251A
KR20180112251A KR1020170042883A KR20170042883A KR20180112251A KR 20180112251 A KR20180112251 A KR 20180112251A KR 1020170042883 A KR1020170042883 A KR 1020170042883A KR 20170042883 A KR20170042883 A KR 20170042883A KR 20180112251 A KR20180112251 A KR 20180112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horizontal direction
handle
protrusio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6594B1 (ko
Inventor
국동훈
Original Assignee
국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동훈 filed Critical 국동훈
Priority to KR1020170042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594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운송 수단의 천정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봉이 삽입되는 링형 고정부재, 링형 고정부재의 하부에 구비된 결합 공간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되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의 하부에 구비된 결합 공간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승객이 손으로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가 확보됨과 동시에 탑승객이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에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됨에 따라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Handle Structure for Transport Means}
본 발명은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객이 손으로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가 확보됨과 동시에 탑승객이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에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됨에 따라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 교통 수단에는 좌석에 앉아있지 않고 서 있는 탑승객의 운행 중 안전을 위한 손잡이가 천정면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손잡이는 교통 수단 내에서 걸어서 이동하는 탑승객의 머리에 부딪히는 경우 그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갖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막상 탑승객이 자신의 체중을 지탱하기 위해서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는,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손잡이에 구비된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로 인해 탑승객은 손잡이를 잡고 있음에도 몸이 좌우로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객이 손으로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가 확보됨과 동시에 탑승객이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에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됨에 따라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는, 운송 수단의 천정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봉이 삽입되는 링형 고정부재(100); 상기 링형 고정부재(100)의 하부에 구비된 제1 결합 공간(150)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되는 연결부재(200); 및 상기 연결부재(200)의 하부에 구비된 제2 결합 공간(250)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되는 손잡이부(3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결합 공간(150)에 구비된 제1 걸림턱(155)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되는 제1 걸림구(27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걸림구(270)의 측면에는 제1 돌출턱(275)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돌출턱(275)과 상기 제1 걸림턱(15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돌출턱(275)과 상기 제1 걸림턱(155)을 이격시키는 제1 탄성체(17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탄성체(170)에 의해 상기 제1 돌출턱(275)과 상기 제1 걸림턱(155)이 이격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링형 고정부재(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탑승객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300)가 아래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제1 탄성체(170)가 압축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링형 고정부재(100)에 구비된 제1 고정 구간(157)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200)는 상기 링형 고정부재(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승객이 손으로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가 확보됨과 동시에 탑승객이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에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됨에 따라 탑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형상을 나타낸 도면, 및
도 3은 탑승객이 도 1에서의 손잡이부를 파지한 경우에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 내부의 구조적 변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는 링형 고정부재(100), 연결부재(200), 및 손잡이부(300)를 포함한다.
링형 고정부재(100)는 운송 수단의 천정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고정봉이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를 운송 수단의 천정면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링형 고정부재(100)의 내측 홀의 상하부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수평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고정봉이 삽입되는 링형 고정부재(100)의 내측 홀은 상하부가 직선으로 된 타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아울러, 고정봉의 링형 고정부재(100)와의 결합부위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그 단면이 상하부가 직선으로 된 타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고정봉과 결합된 링형 고정부재(100)는 고정봉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구속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링형 고정부재(100)의 회전이 구석되는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를 사용하는 탑승객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링형 고정부재(100)의 하부에는 연결부재(2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결합 공간(150)이 구비되어 있으며, 연결부재(200)의 상부에 구비된 제1 걸림구(270)는 링형 고정부재(100)의 하부에 구비된 제1 결합 공간(150)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 공간(150)은 링형 고정부재(100)의 하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 공간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 공간(150)은 약 3cm 정도의 직경값(제1 직경값)을 갖는 제1 원통형 공간과 약 4cm 정도의 직경값(제2 직경값)을 갖는 제2 원통형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 원통형 공간은 제1 원통형 공간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원통형 공간과 제2 원통형 공간의 직경 차이로 인해, 도 1에서와 같이 제1 원통형 공간과 제2 원통형 공간의 경계에는 제1 걸림턱(155)이 형성된다.
한편, 연결부재(200)는 다양한 직경의 원통이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부재로서, 연결부재(200)의 상부는 링형 고정부재(100)와의 걸림 방식의 결합을 형성하고, 연결부재(200)의 하부는 손잡이부(300)와의 걸림 방식의 결합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200)의 상부에는 원통형 피스톤 형상의 제1 걸림구(27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 걸림구(270)의 상부 외측에는 환형 돌출턱(제1 걸림턱(155))이 제1 걸림구(270)의 원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제1 걸림구(270)는 제1 결합 공간(150)에서의 상부 공간인 제2 원통형 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걸림턱(155)에 설치되어 있는 용수철 등의 제1 탄성체(170)에 의해 제1 결합 공간(150)의 제1 걸림턱(155)과 제1 걸림구(270)의 제1 돌출턱(275)은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탑승객이 손잡이부(300)를 파지하지 않음으로써, 하향으로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즉, 손잡이 구조체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제1 탄성체(170)에 의해 제1 걸림턱(155)과 제1 돌출턱(275)은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결과, 제1 걸림부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 곡면인 제1 라운드부(277)가 제1 고정 구간(157) 및 제1 걸림턱(155)에 구속되지 않게 되며, 그 결과 도 2에서와 같이 손잡이부(300)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확보하게 된다.
즉, 손잡이 구조체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손잡이부(300)가 수평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됨에 따라, 운송 수단 내에서 탑승객이 걸어서 이동하는 중에 탑승객의 머리가 손잡이부(300)에 만약 부딪히게 되는 경우라도 그 충격이 최소화되게 된다.
한편, 연결부재(200)의 하부에는 손잡이부(300)의 상부에 구비된 원통형 피스톤 형상의 제2 걸림구(37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결합 공간(250)이 구비되어 있으며, 손잡이부(300)의 상부에 구비된 제2 걸림구(370)는 연결부재(200)의 하부에 구비된 제2 결합 공간(250)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 공간(250)은 연결부재(200)의 하부로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 공간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 공간(250)은 약 1.5cm 정도의 직경값(제3 직경값)을 갖는 제3 원통형 공간과 약 2.5cm 정도의 직경값(제4 직경값)을 갖는 제4 원통형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4 원통형 공간은 제3 원통형 공간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3 원통형 공간과 제4 원통형 공간의 직경값의 차이로 인해, 도 1에서와 같이, 제3 원통형 공간과 제4 원통형 공간의 경계에는 제2 걸림턱(255)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손잡이부(300)의 상부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원통형 피스톤 형상의 제2 걸림구(37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2 걸림구(370)의 상부 외측에는 환형 돌출턱(제2 걸림턱(255))이 제2 걸림구(370)의 원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제2 걸림구(370)는 제2 결합 공간(250)에서의 상부 공간인 상기 제4 원통형 공간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 결합 공간(250)의 제2 걸림턱(255)에 설치되어 있는 용수철 등의 제2 탄성체(270)에 의해 제2 걸림턱(255)과 제2 걸림구(370)의 제2 돌출턱(375)은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손잡이 구조체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2 탄성체(270)에 의해 제2 걸림턱(255)과 제2 돌출턱(375)은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결과, 제2 걸림구(37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 곡면인 제2 라운드부(377)가 제2 고정 구간(257) 및 제2 걸림턱(255)에 구속되지 않게 되며, 그 결과 도 2에서와 같이 손잡이부(300)는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확보하게 된다.
즉, 손잡이 구조체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손잡이부(300)가 수평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됨에 따라, 운송 수단 내에서 걸어서 이동하는 탑승객의 머리가 손잡이부(300)에 만약 부딪히게 되는 경우라도 그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탑승객이 도 1에서의 손잡이부(300)를 파지한 경우에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 내부의 구조적 변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운송 수단을 이용하는 탑승객이 손잡이부(3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체중을 지탱하게 되면, 손잡이부(300)는 하방으로 당겨지게 되며, 그에 따라 제1 탄성체(170) 및 제2 탄성체(270)가 압축된다.
그 결과, 연결부재(200)의 제1 걸림구(270)는 링형 고정부재(100)에 구비된 제1 결합 공간(150)의 하부 공간이자 제1 걸림구(270)를 고정시키는 구간(제1 고정 구간(157))에 해당하는 제1 원통형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며, 도 3에서와 같이 제1 걸림구(270)의 직경과 제1 원통형 공간의 직경은 동일하기 때문에, 연결부재(200)는 링형 고정부재(100)에 하부에 좌우 이동이 결박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그에 따라, 손잡이부(300)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는 상태가 되며, 그 결과 탑승객은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손잡이부(300)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경우에 제1 걸림구(270)에 구비된 제1 돌출턱(275)은 제1 걸림턱(155)에 걸림으로써, 연결부재(200)가 링형 고정부재(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손잡이부(300)에 상부에 구비된 제2 걸림구(370)는 연결부재(200)에 구비된 제2 결합 공간(250)의 하부 공간이자 제2 걸림구(370)를 고정시키는 구간(제2 고정 구간(257))에 해당하는 제3 원통형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며, 도 3에서와 같이 제2 걸림구(370)의 직경과 제3 원통형 공간의 직경은 동일하기 때문에, 손잡이부(300)는 연결부재(200)의 하부에 좌우 이동이 결박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그에 따라, 손잡이부(300)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는 상태에 있게 되며, 그 결과 탑승객은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손잡이부(300)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경우에 제2 걸림구(370)에 구비된 제2 돌출턱(375)은 제2 걸림턱(255)에 걸림으로써, 손잡이부(300)가 연결부재(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탑승객이 손잡이부(300)를 파지한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제1 탄성체(170)와 제2 탄성체(270)가 다시 탄성 복원되게 되며,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는 도 1에서와 같은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링형 고정부재, 150: 제1 결합 공간,
155: 제1 걸림턱, 157: 제1 고정 구간,
170: 제1 탄성체, 200: 연결부재,
250: 제2 결합 공간, 255: 제2 걸림턱,
257: 제2 고정 구간, 270: 제2 탄성체,
275: 제1 돌출턱, 277: 제1 라운드부,
300: 손잡이부, 370: 제2 걸림구,
375: 제2 돌출턱, 377: 제2 라운드부.

Claims (3)

  1. 운송 수단의 천정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봉이 삽입되는 링형 고정부재(100);
    상기 링형 고정부재(100)의 하부에 구비된 제1 결합 공간(150)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되는 연결부재(200); 및
    상기 연결부재(200)의 하부에 구비된 제2 결합 공간(250)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되는 손잡이부(300)
    를 포함하는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결합 공간(150)에 구비된 제1 걸림턱(155)에 걸림 방식으로 설치되는 제1 걸림구(27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인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구(270)의 측면에는 제1 돌출턱(275)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돌출턱(275)과 상기 제1 걸림턱(15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돌출턱(275)과 상기 제1 걸림턱(155)을 이격시키는 제1 탄성체(170)를 더 포함하는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
KR1020170042883A 2017-04-03 2017-04-03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 KR102046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883A KR102046594B1 (ko) 2017-04-03 2017-04-03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883A KR102046594B1 (ko) 2017-04-03 2017-04-03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251A true KR20180112251A (ko) 2018-10-12
KR102046594B1 KR102046594B1 (ko) 2019-11-19

Family

ID=6387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883A KR102046594B1 (ko) 2017-04-03 2017-04-03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5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182Y1 (ko) * 2003-01-28 2003-05-09 김흥배 차량용 손잡이 기구
KR20070014499A (ko) * 2005-07-28 2007-02-01 전성호 버스 승객용 손잡이
KR101708336B1 (ko) * 2015-05-12 2017-02-21 장은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182Y1 (ko) * 2003-01-28 2003-05-09 김흥배 차량용 손잡이 기구
KR20070014499A (ko) * 2005-07-28 2007-02-01 전성호 버스 승객용 손잡이
KR101708336B1 (ko) * 2015-05-12 2017-02-21 장은화 높이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594B1 (ko)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9552B2 (en) Carabiner
CN101400411B (zh) 单索或双索的系索和溜索设备
US20070199135A1 (en) Protective garment, such as protective coat, and drag harness
CN107000802A (zh) 用于自行车的防盗装置
US9522736B2 (en) Fixation device comprising a toggle joint, for an aircraft seat
KR20180112251A (ko) 운송 수단용 손잡이 구조체
CN112912643A (zh) 钩环组件
KR101595316B1 (ko) 차량용 필라트림 고정클립
US20150266428A1 (en) Vehicle article holder
KR102529441B1 (ko) 커튼에어백 필라 어셈블리
JP2007276024A (ja) 遠隔操作用ヤットコに用いるアダプタ
JP2017038508A (ja) 間接活線工具のアダプ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作業方法
US9199365B1 (en) Vehicle ball joint and suspension removal tool
TWM471780U (zh) 安全帶之扣鎖裝置
JP2011151940A (ja) 宙乗り機移動補助装置
JP2018069955A (ja) 車両の乗降用グリップ構造
KR101753693B1 (ko) 체결장치
KR200380484Y1 (ko) 차량용 손잡이
JP3197528U (ja) アクセサリーを兼ねた吊り下げ具
JP2019124354A (ja) ボールジョイント装置
KR101751650B1 (ko) 천장패널의 낙하 방지장치
KR101405799B1 (ko)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과 그 체결구조
KR100802834B1 (ko)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KR20150054571A (ko) 시트 벨트 장치
KR101657904B1 (ko) 흔들림방지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