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799B1 -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과 그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과 그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799B1
KR101405799B1 KR1020080077079A KR20080077079A KR101405799B1 KR 101405799 B1 KR101405799 B1 KR 101405799B1 KR 1020080077079 A KR1020080077079 A KR 1020080077079A KR 20080077079 A KR20080077079 A KR 20080077079A KR 101405799 B1 KR101405799 B1 KR 101405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lip
inside handle
ro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8355A (ko
Inventor
임용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7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799B1/ko
Publication of KR20100018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된 케이블 엔드와; 상기 케이블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케이블을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하는 로드 몸체와, 상기 로드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인사이드 핸들 유닛의 하우징에 탄성 변형되면서 끼워지는 클립으로 구성된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로드 몸체에 클립을 일체로 형성하여 체결부와 클립 간의 체결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충돌시 로드가 체결부로부터 쉽게 빠지지 못하므로 케이블이 당겨져 도어가 개방되는 일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과 그 체결구조{INSIDE HANDLE CABLE UNIT OF DOOR FOR VEHICLE AND MOUNTING STRUCTURE OF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과 그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사이드 핸들 유닛과의 체결력을 강하게 함으로써 충돌시 케이블이 탈거되어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과 그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의 (a)는 종래 인사이드 핸들 유닛과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의 분리 사시도, (b)는 (a)의 결합 사시도이다.
먼저, 인사이드 핸들 유닛(140)의 구성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인사이드 핸들 유닛(140)은 도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145)과, 하우징(145)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된 축(143)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어 탑승자가 파지하기 위한 인사이드 핸들(141)로 구성된다. 이 때, 축(143)에는 일단이 인사이드 핸들(141)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우징(145)에 결합되어 인사이드 핸들(141)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 스프링(144)이 마련되어 있다.
인사이드 핸들(141)의 내측면에는 후술할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110)의 케이블 엔드(112)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142)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45)의 일측에는 후술할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110)의 로드(120)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146)가 측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110)은 크게 케이블(111)과, 케이블(111)의 단부에 연결된 케이블 엔드(112)와, 케이블(111)의 둘레를 감싸며 케이블(111)을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하는 로드(120)로 구성된다.
이 때, 케이블 엔드(112)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45)에 형성된 삽입부(142)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된다.
로드(120)의 둘레에는 결합홈(130)이 원주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있어, 이 결합홈(130)이 체결부(146)에 끼워짐으로써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110)이 하우징(145)에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110)과 인사이드 핸들 유닛(140)의 체결구조에 있어서는, 로드(120)와 체결부(146)의 체결력이 약해서 충돌시 케이블(111)이 탈거되면서 케이블(111)이 당겨져 도어가 개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드와 체결부의 체결력을 강하게 함으로써 충돌시 케이블이 당겨져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과 그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에 따라,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된 케이블 엔드와; 상기 케이블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케이블을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하는 로드 몸체와, 상기 로드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인사이드 핸들 유닛의 하우징에 탄성 변형되면서 끼워지는 클립으로 구성된 로드에 의해 달성된다.
이 때, 상기 클립은 상기 로드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클립 몸체와, 상기 클립 몸체의 양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마련된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의 체결구조에 따라, 인사이드 핸들의 내측면에 형성된 삽입부에 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엔드가 삽입되고, 하우징에 형성된 체결부에 상기 케이블의 둘레를 감싸는 로드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클립이 탄성 변형되면서 끼움 결합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 때, 상기 클립은 상기 로드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 과하는 클립 몸체와, 상기 클립 몸체의 양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마련된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케이블의 직경과 동일한 정도로 개방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과되는 측면 개구와, 상기 측면 개구의 크기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상기 클립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으로 구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로드 몸체에 클립을 일체로 형성하여 체결부와 클립 간의 체결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충돌시 로드가 체결부로부터 쉽게 빠지지 못하므로 케이블이 당겨져 도어가 개방되는 일이 방지될 수 있는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과 그 체결구조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과 인사이드 핸들 유닛이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먼저, 인사이드 핸들 유닛(40)의 구성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인사이드 핸들 유닛(40)은 도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45)과, 하우징(45)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된 축(43)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어 탑승자가 파지하기 위한 인사이드 핸들(41)로 구성된다. 이 때, 축(43)에는 일단이 인사이드 핸들(41)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우징(45)에 결합되어 인사이드 핸들(41)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 스프링(44)이 마련되어 있다.
인사이드 핸들(41)의 내측면에는 후술할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10)의 케이블 엔드(12)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42)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45)의 일측에는 후술할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10)의 클립(30)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46)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체결부(46)는 후술할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10)의 케이블(11)이 통과되는 측면 개구(46a)와, 측면 개구(46a)의 크기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클립(30)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46b)으로 구성된다. 이 때, 측면 개구(46a)를 케이블(11)의 직경과 동일한 정도(d, 도 3의 (c) 참조)로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의 체결부(146)에 비해 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공(46b)에 체결되는 클립(30)과의 체결력이 강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10)은 케이블(11)과, 케이블(11)의 단부에 연결된 케이블 엔드(12)와, 케이블(11)의 둘레를 감싸며 케이블(11)을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하는 로드(20)로 구성된다.
케이블 엔드(12)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하우징(45)에 형성된 삽입부(42)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된다.
로드(20)는 로드 몸체(25)와, 로드 몸체(25)와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45)에 형성된 체결부(46)에 탄성 변형되면서 끼워지는 클립(30)으로 구성된다.
클립(30)은 로드 몸체(25)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케이블(11)이 통과하는 클립 몸체(31)와, 클립 몸체(31)의 양측으로 벌어진 형상으로 마련된 탄성체(3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10)이 인사이드 핸들 유닛(40)에 조립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10)의 케이블 엔드(12)를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42)의 위쪽에 위치시킨 후, 케이블 엔드(12)를 삽입부(42)에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하여 도 3의 (b)와 같이 조립한다.
그 후, 케이블 엔드(12)를 축(43)으로 하여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10)을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돌려 체결부(46)와의 간섭을 피한 후 케이블(11)을 로드(20)로부터 빼낸다(도 3의 (b) 참조).
다음, 케이블(11)을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개구(46a)로 삽입하여 체결공(46b)에 위치시킨 후, 도 3의 (d)와 같이 클립(30)을 체결공(46b)을 향해 끼우면 클립(30)의 탄성체(32)가 체결공(46b)을 지날 때에는 클립 몸체(31)를 향해 내측으로 수축되고 체결공(46b)을 완전히 통과하면 탄성체(32)가 복원되어 도 2와 같이 체결공(46b)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로드 몸체(25)에 클립(30)을 일체로 형성하여 체결부(46)와 클립(30) 간의 체결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충돌시 로드(20)가 체결부(46)로부터 쉽게 빠지지 못하므로 케이블(11)이 당겨져 도어가 개방되는 일이 방지될 수 있다. 더불어, 체결부(46)의 측면 개구(46a)의 크기가 케이블(11)의 직경과 동일한 정도(d)로 작게 형성됨으로써 클립(30)이 체결공(46b)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 것이다.
도 1의 (a)는 종래 인사이드 핸들 유닛과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의 분리 사시도, (b)는 (a)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과 인사이드 핸들 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이 인사이드 핸들 유닛에 조립되는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 11 : 케이블
12 : 케이블 엔드 20 : 로드
25 : 로드 몸체 30 : 클립
31 : 클립 몸체 32 : 탄성체
41 : 인사이드 핸들 42 : 삽입부
45 : 하우징 46 : 체결부
46a : 측면 개구 46b : 체결공

Claims (5)

  1.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된 케이블 엔드와;
    상기 케이블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케이블을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하는 로드 몸체와, 상기 로드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인사이드 핸들 유닛의 하우징에 탄성 변형되면서 끼워지는 클립으로 구성된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로드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클립 몸체와, 상기 클립 몸체의 양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마련된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
  2. 삭제
  3. 인사이드 핸들의 내측면에 형성된 삽입부에 케이블이 연결된 케이블 엔드가 삽입되고, 하우징에 형성된 체결부에 상기 케이블의 둘레를 감싸는 로드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클립이 탄성 변형되면서 끼움 결합되며,
    상기 클립은 상기 로드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클립 몸체와, 상기 클립 몸체의 양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마련된 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케이블 유닛의 체결구조.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케이블의 직경과 동일한 정도로 개방되어 상기 케이블이 통과되는 측면 개구와, 상기 측면 개구의 크기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상기 클립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케이블 유닛의 체결구조.
KR1020080077079A 2008-08-06 2008-08-06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과 그 체결구조 KR101405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079A KR101405799B1 (ko) 2008-08-06 2008-08-06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과 그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079A KR101405799B1 (ko) 2008-08-06 2008-08-06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과 그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355A KR20100018355A (ko) 2010-02-17
KR101405799B1 true KR101405799B1 (ko) 2014-06-13

Family

ID=4208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079A KR101405799B1 (ko) 2008-08-06 2008-08-06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과 그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7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111B1 (ko) * 2010-05-20 2012-03-22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조립성이 개선된 케이지 구조
KR101134382B1 (ko) * 2010-06-18 2012-04-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용 도어 열림 방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907U (ko) * 1996-07-27 1998-04-30 양재신 자동차용 후드릴리즈 레버의 케이블 고정관
JP2004308183A (ja) * 2003-04-04 2004-11-04 Yuhshin Co Ltd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20050123461A (ko) * 2004-06-25 2005-12-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907U (ko) * 1996-07-27 1998-04-30 양재신 자동차용 후드릴리즈 레버의 케이블 고정관
JP2004308183A (ja) * 2003-04-04 2004-11-04 Yuhshin Co Ltd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20050123461A (ko) * 2004-06-25 2005-12-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355A (ko) 201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4193B2 (en) Vehicle door inner handle cable connection
US7251409B2 (en) Cable strain relief design for limited space through-hole applications
US20080298925A1 (en) Two-piece clip
WO2007058013A1 (ja)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ランプ
KR20100046226A (ko) 댐퍼 장치
US9776578B2 (en) Clip and pillar garnish fixing structure
US8695682B2 (en) Pull bar device for a sunshade assembly
KR20180112849A (ko) 그로밋
KR101405799B1 (ko) 차량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케이블 유닛과 그 체결구조
WO2011155088A1 (ja) グロメット
US7435092B2 (en) Retainer harness clip apparatus
KR20140000371U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노브
KR20090007196A (ko) 물품의 고정 구조 및 힌지 장치
JP5096895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2002218623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およびプロテクタの車体固定構造
KR20070052123A (ko) 엔진 본체와 엔진커버 결합장치
JP6248992B2 (ja) 電線ガイド装置
JP2007008341A5 (ko)
JP2006166640A (ja) ケーブル保護カバー
JP2011147309A (ja) ケーブル用クランプ
KR100804279B1 (ko) 박스의 커버장착구조
JP6203772B2 (ja) スクリューホール用キャップ
WO2017145760A1 (ja) グロメ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ワイヤハーネス
CN215685422U (zh) 吹风机
WO2022181802A1 (ja) 車両用外装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