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186Y1 - 차단기의 키 록 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의 키 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186Y1
KR200438186Y1 KR2020060033043U KR20060033043U KR200438186Y1 KR 200438186 Y1 KR200438186 Y1 KR 200438186Y1 KR 2020060033043 U KR2020060033043 U KR 2020060033043U KR 20060033043 U KR20060033043 U KR 20060033043U KR 200438186 Y1 KR200438186 Y1 KR 200438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reaker
lock
lock device
loc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3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환
양홍익
이상철
안길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33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186Y1/ko
Priority to ES07020822.8T priority patent/ES2541496T3/es
Priority to EP20070020822 priority patent/EP1944780B1/en
Priority to MYPI20071880A priority patent/MY160154A/en
Priority to CN2007101600686A priority patent/CN101211699B/zh
Priority to RU2007149072/09A priority patent/RU2382432C2/ru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1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8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locking switch parts by a key or equivalent removable member
    • H01H9/285Locking mechanisms incorporated in the switch assembly and operable by a key or a special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6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rod or lever linkage, e.g. togg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2Mounting on perforated supports by means of screws or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의 키 록 장치는 키가 삽입되는 키삽입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키몸체와, 상기 키의 회전에 의하여 직선으로 이동되면서 차단기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이동되는 연결 링크를 구속시키는 로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금 상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단기, 키 록 장치

Description

차단기의 키 록 장치 {KEY LOCK DEVICE FOR CURCUIT BREAKER}
도 1은 일반적인 차단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키 록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키 록 장치의 후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키 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키 록 장치 및 차단기를 오프시키기 위한 오프 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의 키 록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키 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키 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의 키 록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개폐기구부 13: 오프 버튼
40: 키 록 장치 50: 지지프레임
61: 제1키몸체 62: 제2키몸체
70: 클립 80: 후크
90: 로크부재 99: 스프링
본 고안은 차단기의 키 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공간을 줄이고 잠금 상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단기의 키 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배전반에 내장되어 통상 시에는 전기 선로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고, 전기 선로의 과부하, 단락, 지락 등의 사고 시에는 사고 전류를 차단하여 전력 계통상의 회로 및 기기를 보호하는 전력기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단기의 키 록 장치(120)는 회전축의 회전력을 기구적 연결을 통해 변환하여 투입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압축된 투입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가동접촉자를 이동시켜 회로를 개폐하는 개폐기구부(110)를 복개하는 커버(111)에 설치된다.
상기 개폐기구부(110)의 커버(111)에는 차단기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온 버튼(112) 및 오프 버튼(113)이 설치된다.
차단기의 키 록 장치(120)는 차단기를 오프된 상태로 기구적으로 잠그는 장치로서, 키 록 장치(120)에 의하여 차단기가 잠금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키를 가지고 있는 관리자가 록킹을 해제하지 않는 한 차단기의 온 동작을 행할 수 없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단기의 키 록 장치(120)는 상기 개폐기구부(110)의 커버(111)에 고정되고 키가 삽입되는 키삽입홀(121)이 형성 되는 키몸체(122)와, 상기 키몸체(122)를 상기 개폐기구부(110)의 커버(111)에 고정시키는 클립(123)과, 상기 키몸체(122)와 연결되어 키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는 로크부재(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크부재(124)는 상기 키몸체(122)에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공(125)이 형성되는 연결부(126)와, 상기 연결부(126)로부터 편심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로크부(127)로 구성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 상태의 차단기를 오프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오프 구조는 상기 개폐기구부(110)를 지지하는 프레임(1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되면서 복수의 링크로 차단기를 오프시키기 위한 기구적 신호를 전달하는 오프 래치(131)와, 상기 오프 버튼(113)과 상기 오프 래치(131)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오프 버튼(113)의 동작에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오프 래치(131)를 회전시키는 연결 링크(132)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단기의 키 록 장치(120)는 관리자가 상기 오프 버튼(113)을 누르면, 상기 오프 버튼(113)이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오프 버튼(113)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연결 링크(132)가 이동하면서 상기 오프 래치(131)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오프 래치(131)의 회전력이 상기 오프 래치(131)와 연결되는 복수의 링크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차단기가 오프 상태로 복귀된다.
그리고, 관리자가 키를 상기 키몸체(122)의 키삽입홀(121)에 삽입 후 회전시키면, 상기 로크부재(124)가 회전되면서 상기 로크부재(124)의 로크부(127)가 상기 연결 링크(132)에 형성되는 돌출부(133)와 접촉되면서 상기 연결 링크(132)의 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오프 래치(131)는 차단기의 오프 상태가 되도록 회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차단기의 온 동작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단기의 키 록 장치(120)는 상기 개폐기구부(110)의 커버(111)에 부착되므로, 합성 수지등의 재질을 갖는 상기 커버(111)의 변형에 의하여 상기 로크부재(124)와 상기 연결 링크(132)와의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는 경우, 차단기의 잠금 상태의 신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단기의 키 록 장치(120)는 상기 로크부재(124)가 회전되어 상기 연결 링크(132)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로크부재(124)의 회전 반경만큼 비교적 큰 설치 공간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오프 버튼과 오프 래치와의 사이의 연결 링크의 이동을 방지하는 로크부재를 직선 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설치 공간을 줄이고 차단기의 잠금 상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단기의 키 록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의 키 록 장치는 키가 삽입되는 키삽입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키몸체와, 상기 키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직선 운동하면서 차단기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이동되는 연결 링크를 구속시키는 로 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의 키 록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의 키 록 장치(40)는 회전축의 회전력을 기구적 연결을 통해 변환하여 투입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압축된 투입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가동접촉자를 이동시켜 회로를 개폐하는 개폐기구부(10)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개폐기구부(10)의 전방측을 복개하는 커버(11)에는 차단기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온 버튼(12) 및 오프 버튼(13)이 설치된다. 상기 온 버튼(12)이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게 되면 압축된 투입스프링이 그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인장되고, 이와 같은 투입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이 복수의 링크의 연결을 통하여 가동접촉자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가동접촉자가 이동되면서 차단기의 온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오프 버튼(13)이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게 되면 복수의 링크의 연결을 통하여 가동접촉자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면서 차단기가 오프 상태가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의 키 록 장치(40)는 상기 개폐기구부(10)의 상측에 설치되는 패널(15)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50)과, 상기 지지프레임(50)에 고정되고 키가 삽입되는 키삽입홀(65)이 각각 형성되는 제1키몸체(61) 및 제2키몸체(62)와, 상기 제1키몸체(61) 및 제2키몸체(62)를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50)에 고정시키는 제1클립(70a) 및 제2클립(70b)과, 상기 제1키몸체(61) 및 제2키몸체(62)에 각각 연결되어 키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1후 크(80a) 및 제2후크(80b)와, 상기 제1후크(80a) 및 제2후크(80b)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후크(80a) 및 제2후크(80b)의 회전에 의하여 직선 운동하는 로크부재(90)와, 상기 로크부재(90)를 상기 지지프레임(50)에 탄성적으로 지지시키는 스프링(9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50)은 상기 제1키몸체(61) 및 제2키몸체(62)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구(51, 52)가 형성되는 고정부(53)와, 상기 고정부(53)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개폐기구부(10)의 상측에 설치되는 패널(15)에 고정되는 지지부(54)와, 상기 지지부(54)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로크부재(9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삽입홀(55)이 형성되어 상기 로크부재(90)를 지지함과 아울러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56)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지지부(54)와 상기 패널(15)은 볼트로 체결되는 것이 그 조립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리벳 또는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클립(70a) 및 제2클립(70b)은 상기 지지프레임(50)의 고정부(53)에 고정되는 지지부(71a, 71b)와, 상기 지지부(71a, 71b)로부터 상기 키몸체(60)의 폭만큼의 거리를 두고 연장되어 상기 제1키몸체(61) 및 제2키몸체(62)에 고정되는 한 쌍의 레그부(72a, 72b)로 구성된다.
상기 제1후크(80a) 및 제2후크(80b)는 상기 제1키몸체(61) 및 제2키몸체(62)에 연결되도록 결합공(81)이 형성되는 연결부(82a, 82b)와, 상기 연결부(82a, 82b)의 일측에서 상기 로크부재(90)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83a, 83b)로 구성된다.
상기 로크부재(90)는 바디부(91)와, 상기 바디부(91)의 상측에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후크(80a)의 돌출부(83a)와 접촉되어 연동되는 제1접촉부(92)와, 상기 제1접촉부(92)의 하측에 평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후크(80b)의 돌출부(83b)와 접촉되어 연동되는 제2접촉부(93)와, 상기 바디부(91)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99)이 지지되는 스프링 시트부(95)와, 상기 스프링 시트부(95)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99)이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제1후크(80a) 및 제2후크(80b)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상기 케이스(5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로크부(94)로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 상태의 차단기를 오프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오프 구조는 상기 개폐기구부(10)를 지지하는 프레임(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되면서 복수의 링크로 차단기를 오프시키기 위한 기구적 신호를 전달하는 오프 래치(31)와, 상기 오프 버튼(13)과 상기 오프 래치(31)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오프 버튼(13)의 동작에 따라 직선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오프 래치(31)를 회전시키는 연결 링크(3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의 키 록 장치(40)는 관리자가 상기 오프 버튼(13)을 누르면, 상기 오프 버튼(13)이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오프 버튼(13)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연결 링크(32)가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 링크(32)가 상기 오프 래치(31)를 밀면서 상기 오프 래치(31)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오프 래치(31)의 회전력이 상기 오프 래치(31)와 연결되는 복수의 링크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차단기가 오프 상태로 복귀된다.
그리고, 관리자가 키를 상기 제1키몸체(61) 또는 제2키몸체(62)의 키삽입홀(65)에 삽입 후 회전시키면, 상기 제1후크(80a) 또는 제2후크(80b)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후크(80a)의 돌출부(83a) 또는 제2후크(80b)의 돌출부(83b)가 상기 로크부재(90)의 제1접촉부(92) 또는 제2접촉부(93)와 접촉된 상태로 밀게 되면서 상기 로크부재(9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크부재(90)의 로크부(94)가 상기 연결 링크(32)에 구비된 돌출부(33)와 접촉되면서 상기 연결 링크(32)의 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오프 래치(31)는 차단기의 오프 상태가 되도록 회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차단기의 임의 투입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차단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과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키를 상기 제2키몸체(62)의 키삽입홀(65)에 삽입 후 회전시키면, 상기 제2후크(80b)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2후크(80b)의 돌출부(83b)가 상기 로크부재(90)의 제2접촉부(93)로부터 이격된다. 그러나, 상기 제1후크(80a)의 돌출부(83a)가 상기 로크부재(90)의 제1접촉부(93)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로크부재(90)의 구속상태는 해제되지 않는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키를 상기 제1키몸체(61)의 키삽입홀(65)에 삽입 후 회전시키면, 상기 제1후크(80a)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1후크(80a)의 돌출부(83a)가 상기 로크부재(90)의 제1접촉부(92)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로크부재(90)의 구속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스프링(99)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로크부재(9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 크부재(90)의 로크부(94)가 상기 연결 링크(32)의 돌출부(33)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연결 링크(32)의 구속이 해제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 링크(32)가 이동 가능하게 되면서 차단기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키를 상기 제1키몸체(61)의 키삽입홀(65)에 삽입 후 회전시키더라고, 상기 제2키몸체(61)의 키삽입홀(65)에 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후크(80a)의 돌출부(83a)가 상기 로크부재(90)의 제1접촉부(92)로부터 이격되지만 상기 제2후크(80b)의 돌출부(83b)가 상기 로크부재(90)의 제2접촉부(92)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로크부재(90)의 구속상태는 해제되지 않는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키를 상기 제2키몸체(62)의 키삽입홀(65)에 삽입 후 회전시키면, 상기 제2후크(80b)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2후크(80b)의 돌출부(83b)가 상기 로크부재(90)의 제2접촉부(93)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로크부재(90)의 구속 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스프링(99)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로크부재(9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크부재(90)의 로크부(94)가 상기 연결 링크(32)의 돌출부(33)로부터 이탈 되면서 상기 연결 링크(32)의 구속이 해제되며 상기 연결 링크(32)가 이동 가능하게 되면서 차단기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의 키 록 장치(40)는 상기 제1키몸체(61) 및 상기 제2키몸체(62)의 키삽입홀(65)에 키를 삽입 회전시켜 상기 로크부재(90)의 구속을 해제시켜야 비로소 상기 연결 링크(32)가 이동 가능하게 되면서 차단기의 잠 금 상태가 해제되므로 하나의 키몸체가 구비되는 종래의 차단기에 비하여 잠금 상태에 대한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의 키 록 장치(40)는 오프 버튼(13)과 오프 래치(31)와의 사이의 연결 링크(32)의 이동을 방지하는 로크부재(90)를 직선 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그 크기를 줄여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금 상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의 키 록 장치(40)는 상기 개폐기구부(10)의 상부측에 고정되는 패널(15)에 고정되므로, 상기 개폐기구부(10)의 전방측을 복개하는 커버(11)에 고정되는 종래의 키 록 장치에 비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의 키 록 장치(40)는 복수의 키몸체를 구비하고 각 키몸체를 동시에 작동시켜 차단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잠금 상태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키가 삽입되는 키삽입홀이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키몸체와;
    상기 복수의 키몸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키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는 복수의 후크와;
    상기 키의 회전에 의하여 직선으로 이동되면서 차단기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이동되는 연결 링크를 구속시키는 로크부재와;
    상기 로크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단기의 키 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키몸체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서 상기 로크부재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키 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연장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후크의 돌출부와 각각 접촉되어 연동되는 복수의 접촉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이 지지되는 스프링 시트부와;
    상기 스프링 시트부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이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후크의 회전에 따라 직선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연결 링크를 구속시 키는 로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키 록 장치.
KR2020060033043U 2006-12-29 2006-12-29 차단기의 키 록 장치 KR200438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3043U KR200438186Y1 (ko) 2006-12-29 2006-12-29 차단기의 키 록 장치
ES07020822.8T ES2541496T3 (es) 2006-12-29 2007-10-24 Dispositivo de cerradura de llave para un disyuntor
EP20070020822 EP1944780B1 (en) 2006-12-29 2007-10-24 Key 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MYPI20071880A MY160154A (en) 2006-12-29 2007-10-31 Key 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CN2007101600686A CN101211699B (zh) 2006-12-29 2007-12-21 用于断路器的钥匙锁装置
RU2007149072/09A RU2382432C2 (ru) 2006-12-29 2007-12-28 Зам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лючом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выключателя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3043U KR200438186Y1 (ko) 2006-12-29 2006-12-29 차단기의 키 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186Y1 true KR200438186Y1 (ko) 2008-01-29

Family

ID=4133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3043U KR200438186Y1 (ko) 2006-12-29 2006-12-29 차단기의 키 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1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340Y1 (ko) 2010-07-08 2010-09-24 강호중 여닫이문의 잠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340Y1 (ko) 2010-07-08 2010-09-24 강호중 여닫이문의 잠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4780B1 (en) Key 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EP2325856B1 (en) Key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200440695Y1 (ko) 차단기의 키 록 장치
JP2008513628A (ja) 電子式ドアボルト受金具機構
US5719363A (en) Mechanical switching device such as a circuit breaker and a safety device for the circuit breaker
US6911614B2 (en) Circuit breaker
JPH0993729A (ja) 電気機器収容箱の扉錠
JP3694728B2 (ja) 車両用シートロック装置
KR20110135548A (ko) 백업레버를 갖는 자동차용 도어래치
KR200438186Y1 (ko) 차단기의 키 록 장치
JP4301476B2 (ja) バックル
KR101806612B1 (ko) 차량용 잠금 방지 도어래치
JP2006504384A (ja) 差し込みフレーム中に電力用開閉器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
US20180025878A1 (en) Electronic switching device
GB2276416A (en) Locking device for trunk lids
KR200458045Y1 (ko) 차량용 썬루프 작동 스위치
KR200469030Y1 (ko) 차단기의 핸들 인터록 장치
JP6007129B2 (ja) ドアロック装置
US6040751A (en) Battery section switch
KR101409957B1 (ko) 도어 오픈스위치가 구비된 도어락 조립체
GB2283782A (en) Locking device for trunk lids
CN1323412C (zh) 用于手动电动机起动器的开关机构
KR101230908B1 (ko) 자동차용 댐핑 후드 래치 장치
CN215220559U (zh) 用于操作机构的联锁装置和联锁机构
JP2004049358A (ja) 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