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310Y1 -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 - Google Patents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310Y1
KR200437310Y1 KR2020060031329U KR20060031329U KR200437310Y1 KR 200437310 Y1 KR200437310 Y1 KR 200437310Y1 KR 2020060031329 U KR2020060031329 U KR 2020060031329U KR 20060031329 U KR20060031329 U KR 20060031329U KR 200437310 Y1 KR200437310 Y1 KR 2004373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ntainer
discharge portion
container body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우형
Original Assignee
조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우형 filed Critical 조우형
Priority to KR2020060031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310Y1/ko
Priority to PCT/KR2007/005678 priority patent/WO200806007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3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3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2Apparatus for compressin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누름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숙성식품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정한 내용물을 보관 또는 저장할 수 있고 보관된 내용물을 외부로 투출할 수 있는 투출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를 개폐시키는 마개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상기 투출부(12)는 동일한 내경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마개(20)의 내측에 상기 투출부(12)에 삽입되도록 상기 투출부(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되, 상기 마개(20)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된 누름망(30)과; 상기 누름망(30)에 관통되고, 상기 투출부(12)의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마개(20)의 내측에 삽입되는 유출방지링(3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투출부, 누름망, 유출방지링, 마개, 숙성용기

Description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AGING CONTAINER HAVED A PLUG FOR RISING PREVENTION}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숙성용기의 분리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부상방지용 마개가 결합된 상태의 숙성용기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숙성용기의 사용상태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숙성용기의 사용상태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접철부가 구비된 숙성용기를 보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용기본체 12: 투출부
13: 걸림돌기 15: 접철부
20: 마개 22: 체결돌기
30: 누름망 35: 유출방지링
본 고안은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누름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숙성식품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 는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금술 또는 음식물 등을 보관하여 숙성시키는 용기는 일정 크기를 갖는 용기본체와, 마개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투출부에는 외주면으로 숫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숫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암사사가 상기 마개의 내주연에 형성된다.
이 경우 숙성식품은 공기와 접촉할 경우 화학적 반응에 의해 변질되어 그 맛을 얻을 수 없게 됨에 따라 숙성식품의 보관시 누름돌 등을 집어 넣어 숙성재료가 국물에 잠기도록 함으로써 숙성재료가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숙성식품의 내용물을 꺼낼 때마다 누름돌 등을 들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여름철에는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마개의 내주면에 가압바 등을 구비시켜 용기에 마개를 결합시키는 경우 자연스럽게 숙성식품의 내용물을 가압하도록 하여 부상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국물에 의해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차단시키고 있으나, 상기 가압바가 편심되게 눌러지거나 일측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일부 내용물이 외부공기에 노출되어 쉽게 신선감을 상실하게 되며, 상기 가압바의 동작을 위한 스프링 등의 부품이 더 구비됨에 따라 원가상승과 더불어 제품의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과실 등을 이용하여 술을 담는 경우에는 상기 누름돌 등을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가압바를 이용할 수 없어 담금술에 사용되는 재료가 부상됨에 따라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피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얼음설탕을 넣어 과실 등의 부상을 방지하고 있으나 얼음설탕의 제조 에 따른 비용 등 생산여건으로 인하여 생산량이 저조함으로써 공급에 비하여 수요를 충족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과실주의 경우 별도의 누름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숙성용기 내부에 보관된 과실 등의 추출재료의 부상을 방지함으로써 추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음식물의 경우 숙성시 부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신선함을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부상에 따른 마개의 개방을 차단시킴으로써 음식물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형성됨에 따라 원가절감과 더불어 대량생산이 가능한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일정한 내용물을 보관 또는 저장할 수 있고 보관된 내용물을 외부로 투출할 수 있는 투출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를 개폐시키는 마개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상기 투출부(12)는 동일한 내경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마개(20)의 내측에 상기 투출부(12)에 삽입되도록 상기 투출부(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되, 상기 마개(20)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된 누름망(30)과; 상기 누름망(30)에 관통되고, 상기 투출부(12)의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마개(20)의 내측에 삽입되는 유출방지링(3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기본체(10)의 몸통부에는 수축 또는 신장되게 접철부(15)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안전마개 및 이와 결합되는 용기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숙성용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부상방지용 마개가 결합된 상태의 숙성용기의 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숙성용기의 사용상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숙성용기의 사용상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접철부가 구비된 숙성용기를 보인 상태도이다.
상기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는 일정한 내용물을 보관 또는 저장할 수 있고 보관된 내용물을 외부로 투출할 수 있는 투출부(12)가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투출부(12)에 결합되어 내용물이 노출되거나 외부로 투출되지 않도록 개폐시키는 마개(20)와, 상기 마개의 내측에 구비된 누름망(30) 및 상기 투출부(12)에 단부에 접촉되는 유출방지링(35)으로 구성된다.
상기 투출부(12)는 동일한 내경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단부의 외주연에서부터 일정 길이만큼 걸림돌기(13)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마개(20)의 내주연에는 상기 걸림돌기(13)에 체결되도록 체결돌기(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개(20)의 내측에는 상기 투출부(12)에 삽입되도록 상기 투출부(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는 상기 누름망(30)이 상기 마개(20)의 외 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누름망(30)은 일정 간격으로 통공이 형성되거나 일정 두께를 갖는 와이어로 짜여진 망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의 가압력에 찌그러지지 않을 정도의 내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누름망(30)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의 마개(20)가 상기 투출부(12)에 결합되면, 상기 누름망(30)의 투출부(12)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보관된 식품을 가압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용기본체(10)에 과실 등과 함께 술이 담긴 경우에는 과실을 가압시킴으로써 술에 잠기도록 하여 과실성분을 보다 쉽게 추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본체(10)의 투출부(12) 상의 공기와 접촉되지 않게 하여 변질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음식물인 경우에는 음식물을 가압시킴으로써 국물에 잠기도록 하여 변질을 방지함과 아울러 신선함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특히 숙성에 따라 상측으로 부상되는 압력 및 음식물에 의해 마개가 손쉽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출방지링(35)은 상기 누름망(30)에 관통된 상태로 상기 마개(20)의 내측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투출부(12)의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의 몸통부에는 수축 또는 신장되게 접철부(15)가 구비되어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내장되는 식품의 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를 수축 또는 신장시키기 위하여 상기 접철부(15)를 도5와 같이 도시하였으나, 상기 용기본체(10)를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로 형성하여 식품의 내장공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에 투출부(12)를 형성시키지 않고 용기본체(10) 자체를 투출부(12)와 같이 형성하여 마개(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용기본체(10)에 숙성시킬 식품 즉, 과실 등을 이용한 담금술이나 음식물을 투입시킨 후 마개(20)를 결합시킨다.
상기 마개(20)가 용기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걸림돌기(13)와 체결돌기(22)가 나사결합된 상태로 용기본체(10)의 투출부(12)를 폐쇄시키게 되고, 유출방지링(35)에 의해 용기본체(10)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지 않도록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상기 과실 등을 이용하여 술을 담는 경우에는 과실이 상기 마개(20)에 일체로 형성된 누름망(30)에 의해 가압되어 술에 잠기게 되고, 음식물의 경우에는 국물에 잠긴 상태에 있게 된다.
즉, 상기 누름망(30)을 통해 술 또는 국물은 통과하지만 상기 과실 또는 음식물은 누름망(3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 있게 되어 용기본체(10)의 내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시키게 되고, 술의 경우 과실성분을 보다 원활하게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과실주의 경우 별도의 누름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숙성용기 내부에 보관된 과실 등의 추출재료의 부상을 방지함으로써 추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음식물의 경우 숙성시 부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신선함을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부상에 따른 마개의 개방을 차단시킴으로써 음식물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형성됨에 따라 원가절감과 더불어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손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일정한 내용물을 보관 또는 저장할 수 있고 보관된 내용물을 외부로 투출할 수 있는 투출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를 개폐시키는 마개로 구성된 용기에 있어서,
    상기 투출부(12)는 동일한 내경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마개(20)의 내측에 상기 투출부(12)에 삽입되도록 상기 투출부(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되, 상기 마개(20)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된 누름망(30)과,
    상기 누름망(30)에 관통되고, 상기 투출부(12)의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마개(20)의 내측에 삽입되는 유출방지링(3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의 몸통부에는 수축 또는 신장되게 접철부(1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
KR2020060031329U 2006-11-16 2006-12-08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 KR2004373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329U KR200437310Y1 (ko) 2006-11-16 2006-12-08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
PCT/KR2007/005678 WO2008060079A1 (en) 2006-11-16 2007-11-12 Aging container having a plug for rising preven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784 2006-11-16
KR2020060031329U KR200437310Y1 (ko) 2006-11-16 2006-12-08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310Y1 true KR200437310Y1 (ko) 2007-11-28

Family

ID=4163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329U KR200437310Y1 (ko) 2006-11-16 2006-12-08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3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128B1 (ko) * 2017-06-05 2018-07-18 구승서
KR20180114587A (ko) * 2017-04-11 2018-10-19 박창환 재생잉크용 여과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587A (ko) * 2017-04-11 2018-10-19 박창환 재생잉크용 여과장치
KR101945100B1 (ko) * 2017-04-11 2019-02-01 박창환 재생잉크용 여과장치
KR101879128B1 (ko) * 2017-06-05 2018-07-18 구승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90826A1 (en) Structure for Storing Perishable Liquid
KR100969703B1 (ko)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KR200437310Y1 (ko) 부상방지용 마개를 갖는 숙성용기
KR101813556B1 (ko) 첨가제 희석을 위한 용기 결합형 첨가제 주입캡슐
KR200449757Y1 (ko) 음료 용기
JP2007314226A (ja) 密封容器
KR100920184B1 (ko) 용기 밀폐용 진공펌프
US20080085347A1 (en) Vacuum marination device
KR101566809B1 (ko) 차 우림기
KR20120032245A (ko) 용기용 진공펌프
KR200261338Y1 (ko)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KR100418409B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KR200363592Y1 (ko) 가스 누출 방지 용기
KR100682854B1 (ko) 물병
KR20140053495A (ko) 숙성식품의 부상방지를 위한 누름수단을 구비한 숙성용기
KR200429596Y1 (ko) 음료용기
KR200313473Y1 (ko) 음료 용기
KR200273100Y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KR200277791Y1 (ko) 배출구의 공기차단변을 형성한 튜브용기
KR102423810B1 (ko) 식품보관용 진공용기
KR20040051677A (ko) 캔용기
JP3101972U (ja) スパークリングワイン等保存用ガスボンベ
KR200236134Y1 (ko) 마개 달린 저장용기
KR960003071Y1 (ko) 식품 숙성 용기
KR200395253Y1 (ko) 용적 가변이 가능한 탄산음료수용 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