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810B1 - 식품보관용 진공용기 - Google Patents

식품보관용 진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810B1
KR102423810B1 KR1020200141959A KR20200141959A KR102423810B1 KR 102423810 B1 KR102423810 B1 KR 102423810B1 KR 1020200141959 A KR1020200141959 A KR 1020200141959A KR 20200141959 A KR20200141959 A KR 20200141959A KR 102423810 B1 KR102423810 B1 KR 102423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vacuum
pist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7092A (ko
Inventor
정진옥
Original Assignee
정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옥 filed Critical 정진옥
Priority to KR1020200141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8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진공상태가 무단으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전하게 내용물 보호하도록 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개구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어 개폐하도록 된 개폐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덮개는,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개구에 끼움결속되는 밀폐몸체와, 상기 밀폐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상태로 형성하도록 된 진공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품보관용 진공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품보관용 진공용기{Vacuum container for food storage}
본 발명은 고온의 내용물(음식물 등)이 저장된 용기 내부에 대한 밀폐성을 가지면서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상태로 형성함으로써,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기의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진공상태가 무단으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전하게 내용물을 보호하도록 된 보온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은 용기내에 담겨지는 음식물의 온도가 일정한 시간동안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야외에 나들이를 가거나 기타의 목적을 가지고 보온병에 뜨겁거나 차거운 음식물을 담아준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보온병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을 먹고자 할때 음식물 자체의 온도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은 음식물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단열 보온기능을 갖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를 밀폐하며 음식물 인출구 개폐가 가능한 마개와, 상기 마개의 상부를 커버하고 덮개 대용으로 사용되면서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밀폐컵으로 구성된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0-0002117호(명칭: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2010.03.0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내주면이나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며, 보온병의 컵이나 보온도시락의 찬통으로 사용되는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내주면이나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며, 보온병의 컵이나 보온도시락의 국통 및 찬통으로 사용되는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된 상태에서 바닥부와 벽체에 의해 용기본체를 구성하는 안쪽 몸체와; 안쪽 몸체의 벽체 외주면을 감싸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결합되거나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성형되며 안쪽 몸체와 간섭되지 않는 내주면이나 외주면 일 부위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바깥쪽 몸체로 이루어진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은, 단순히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내부와 외부를 밀폐하는 보온성능만 가지고 있어 저장공간에서 내용물과 공기와의 접촉에 따른 산화변질은 방지하지 못하여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식품의 발효 및 부패를 보다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외부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도록 함과 동시에 식품이 저장된 용기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상태를 형성하도록 된 진공밀폐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 중 하나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6-0014377호(명칭: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2006.05.29.)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일정 크기의 수용 공간을 갖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면을 커버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상부면 중앙을 일정한 직경과 깊이로서 하향 요입되도록 한 실린더형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바닥면 중앙으로부터는 일정한 직경으로 상향 돌출되도록 하면서 내부는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한 관형상이며, 상단부측의 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제1 에어홀을 형성하고, 제1 에어홀의 하부측 내부는 제2 에어홀을 형성한 격벽에 의해 내부가 상하로 격리되도록 하는 유도관과; 상기 유도관의 상기 격벽의 상부에서 제2 에어홀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볼과; 상기 실린더형 가이드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을 가지며, 내부가 비고 상향 개방되도록 한 통형상이고, 바닥면은 상기 유도관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유도관과는 오링에 의해 실링되는 피스톤과; 상기 유도관의 상단부에 저면이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상하 유동이 가능하면서 상기 피스톤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오링을 구비하여 상기 오링을 수용하는 링홈은 내측의 공간이 복수의 제3 에어홀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 상부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하는 밸브체와; 상기 피스톤의 상단부에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과의 결합면 사이를 이격시킨 간극을 통해 에어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한 캡과; 상기 밸브체와 상기 캡 사이를 일정한 탄성력으로 유지시키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 내용물 고유의 맛이 쉽게 변하거나 변질되는 와인이나 맥주 등과 같은 일부의 주류나 음료 등과 같은 경우에는 개봉되어 사용된 후 개봉된 입구에 마개를 결합시켜 밀폐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이미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지속적으로 내용물과 접촉하게 되어 내용물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용기에 마개를 결합시키기 전에 용기의 내부를 다시 진공으로 만들어 주는 진공펌프기능을 가지는 마개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8-0007455호(명칭: 용기 마개용 진공 펌프/2008.06.04.)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향 개방되고, 내부는 일정량의 에어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하는 빈 공간을 이루는 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하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면의 중앙으로부터 일정한 직경과 높이로서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고, 내부에는 제1 에어홀을 형성한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는 중앙이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하면서 그의 상부면에는 하향의 홈을 형성한 밸브 시트가 안치되도록 하고, 상기 밸브 시트의 상부에는 볼이 안치되도록 한 관형상의 인렛부와; 상기 하우징에 삽입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향 개방되는 컵형상이며, 바닥면의 중앙에는 상기 인렛부가 관통하면서 오링에 의해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홀을 형성하고, 상단부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4 에어홀이 형성되도록 하며, 외주면에는 주면을 따라 하단부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걸쳐 복수의 가이드 블레이드가 형성되는 피스톤과; 저면 중심부가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서 상기 인렛부의 상단부에 얹혀져 고정되고,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오링이 삽입되도록 외주연 단면에는 내측으로 요입시켜 링홈을 형성하며, 삽입된 상기 오링의 안쪽으로는 링홈을 따라서 상부로 관통되도록 복수의 제3 에어홀을 형성한 밸브 플레이트와; 하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단부는 내주면이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과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하면서 연장된 상단부에는 상기 피스톤의 가이드 블레이드가 수직으로 승강 안내되도록 하는 수직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가이드 홀의 하단부측 내주면에는 일측 방향으로 잠금턱을 형성하는 링형 연결구와;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상부에 탄설되는 코일 스프링의 상부에서 상기 피스톤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캡;을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8-0104726호(명칭: 펌핑 마개/2008.10.24.)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피스톤의 승강작용에 의해 공기 유동관을 통해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도록 하는 펌핑부와; 용기 상단부에 끼워져서 용기가 밀폐되도록 하고, 상부에는 상기 펌핑부의 하단부가 밀착되면서 상기 공기 유동관 하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펌핑부에 의한 공기의 유출입 작용에 의해서 용기로 공기를 주입/배출시키도록 하여 상기 용기 상단부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마개부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펌핑 마개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51992호(명칭: 용기 마개용 진공 펌프/2014.11.04.)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용기와 연통되는 제1에어홀을 가지며 용기의 입구 내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패킹과, 상기 패킹의 내부에서 상기 제1에어홀에 안착된 승강볼과, 상기 패킹에 하부가 삽입된 상태로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바닥부를 통해 패킹의 상단에 수직으로 거치되며 상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제2에어홀이 형성된 관 형상의 인렛부와, 상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제3에어홀이 형성된 마개형태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상기 인렛부의 외주면에 가이드되는 제1가이드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용기의 입구 외주면에 가이드되는 제2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렛부와 용기의 입구를 따라 수직으로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외주면이 상기 피스톤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상기 인렛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외주면에는 오링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링홈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오링이 링홈을 기준으로 상부로 이동할 때 오링의 내측으로 링홈과 연통되는 제4에어홀이 형성된 밸브 플레이트와,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 플레이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피스톤이 강제 하강할 때 압축되어 하강한 피스톤에 상승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와, 강제 하강된 피스톤의 상승을 피스톤의 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이 인렛부의 바닥부 외주면에 돌출된 잠금돌기와, 상기 잠금돌기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피스톤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으로부터 피스톤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강제 하강된 피스톤이 회전되는 경우에 한하여 잠금돌기의 하단에 접촉되면서 피스톤의 상승을 제한하는 잠금턱으로 구성된 용기 마개용 진공 펌프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개들은, 고온의 식품(도시락) 등과 같은 내용물과 같이 압력이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는 보온용기(보온도시락 등)에서는 적합하게 적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는 압력에 의해 저장공간에 대하여 개폐하도록 된 체크밸브가 개방되어 진공상태 및 보온성이 무단으로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0-0002117호(2010.03.02.)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6-0014377호(2006.05.29.)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8-0007455호(2008.06.0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8-0104726호(2008.10.2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51992호(2014.11.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의 내용물(식품 등)이 저장된 용기 내부에 대한 밀폐성을 가지면서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상태로 형성함으로써,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기의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됨과 아울러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진공상태가 무단으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전하게 내용물 보호하도록 된 식품보관용 진공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품보관용 진공용기는,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개구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어 개폐하도록 된 개폐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덮개는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개구에 끼움결속되는 밀폐몸체와, 상기 밀폐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상태로 형성하도록 된 진공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몸체에는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통공에는 지지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상기 통공을 폐쇄하되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통공을 개방하도록 된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수단은 상기 밀폐몸체에 구비되며 일단부가 개구된 내부에 길이를 가지는 슬라이드공간을 가지며 바닥에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스팀공이 형성되는 슬라이드튜브와, 상기 스팀공에 구비되며 상기 스팀공의 상부에 형성되는 압력차에 따라 상기 스팁공을 개폐하도록 된 스팀체크밸브와, 상기 슬라이드튜브의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결속되며 직선왕복운동시에 상기 스팀공을 통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펌프하도록 된 펌프부재와, 상기 펌프부재를 상기 슬라이드튜브에 선택적으로 결속하여 무단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펌프부재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튜브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밸브플레이트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구획되는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가지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팀채크밸브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스팀공을 폐쇄하도록 된 가압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보관용 진공용기는, 용기본체의 내부에 음식물 등과 같은 고온의 내용물 및 숙성이 가능한 내용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개폐덮개를 통해 용기본체의 개구를 폐쇄에 의해 밀폐하여 보관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에 따라 음식물을 처음 보관시와 동일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개폐덮개에 구비되는 진공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용기본체의 저장공간에서 공기를 펌프하여 외부로 제거함으로써 진공상태로 형성하고,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산화변질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함에 따라 보관되는 내용물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가압바 및 잠금부재를 통해서 용기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압력(증기압)에 의해 스팀체크밸브가 무단으로 개방 동작하여 용기본체의 진공상태가 무단으로 훼손됨이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에 따라, 용기본체에 저장된 음식물을 장시간 안전상태로 보관하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식품보관용 진공용기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식품보관용 진공용기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식품보관용 진공용기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한 식품보관용 진공용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식품보관용 진공용기를 구성하는 잠금부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식품보관용 진공용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용기(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진공용기(1)는 고온의 내용물(음식물 등)이 저장되는 보온도시락에 특히 적합하게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음식물을 보관 및 휴대하여 식사시 풍미가 훼손되지 않은 음식물을 섭취하도록 하는 것에 특히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보온성과 비산화변질성을 가지면서 음식물을 장시간 안전하고 풍미있게 보관 및 휴대하는 것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의한 진공용기(1)는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2)와, 상기 용기본체(2)의 상부 개구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어 개폐하도록 된 개폐덮개(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용기본체(2)의 내부에 저장하고자 하는 내용물(음식물)을 수용하여 저장한 후 상기 용기본체(2)의 개구를 상기 개폐덮개(3)를 통해 폐쇄하여 상기 용기본체(2)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면서 보관 및 휴대하게 된다.
상기에서 용기본체(2)는, 종래 공지된 기술이 선택되어 외부에 대하여 열적보온하도록 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개폐덮개(3)에는 상기 용기본체(2)의 개구에 대하여 밀폐하도록 된 메인패킹(31)이 구비되어 외부에 대한 밀봉을 안정적으로 구현하도록 하며, 상기 메인패킹(31)은 종래 공지된 기술에서 선택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용기본체(2)에는 내부에 상기 개폐덮개(3)를 수용하여 외부에 대하여 보호하도록 된 보호캡(10)이 탈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캡(10)을 통해 상기 개폐덮개(3)를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에 대하여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에 의한 진공용기(1)에서, 상기 개폐덮개(3)는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면서 상기 용기본체(2)의 상부 개구에 끼움결속되는 밀폐몸체(32)와, 상기 밀폐몸체(32)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본체(2)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상태로 형성하도록 된 진공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용기본체(2)의 개구를 상기 밀폐몸체(32)를 통해 폐쇄한 후 상기 진공수단(4)을 통해 상기 밀폐몸체(32)를 통해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상기 용기본체(2)의 내부에서 공기를 외부로 펌프하여 배기함으로써 진공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2)의 내부에 음식물 등과 같은 고온의 내용물이 저장한 상태에서나 아니면 숙성을 위한 내용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공기와의 접촉시에 발생되는 산화변질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함에 따라 내용물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보관하게 된다.
상기에서 밀폐몸체(32)는,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측면에는 상기 메인패킹(31)이 구비되어 상기 용기본체(2)와의 밀폐성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에서 밀폐몸체(32)에는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통공(321)이 구비되며, 상기 통공(321)에는 지지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상기 통공(321)을 폐쇄하되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통공(321)을 개방하도록 된 개폐밸브(33)가 구비된다.
즉, 상기 용기본체(2)에서 상기 개폐덮개(3)를 분리하여 개방하기 전에 상기 개폐밸브(33)를 통해 상기 통공(321)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되므로서, 상기 용기본체(2)의 내부를 외부에 대하여 공간적으로 연결하여 외부의 공기가 상기 용기본체(2)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내용물에서 자체적으로 발산되는 증기압(고온의 수증기압) 또는 내용물의 숙성으로 인한 가스압을 외부로 배기하여 상기 용기본체(2)의 내부압력을 안정적으로 형성한 후 상기 개폐덮개(3)를 분리하도록 함에 따라 사용품질의 안전성을 극대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에 의한 진공용기(1)에서 상기 진공수단(4)은, 상기 밀폐몸체(32)에 구비되며 일단부가 개구된 내부에 길이를 가지는 슬라이드공간을 가지며 바닥에 상기 용기본체(2)의 내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스팀공(41)이 형성되는 슬라이드튜브(42)와, 상기 스팀공(41)에 구비되며 상기 스팀공(41)의 상부에 형성되는 압력차에 따라 상기 스팁공(41)을 개폐하도록 된 스팀체크밸브(43)와, 상기 슬라이드튜브(42)의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결속되며 직선왕복운동시에 상기 스팀공(41)을 통해 상기 용기본체(2)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펌프하도록 된 펌프부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밀폐몸체(32)를 통해 상기 용기본체(2)를 외부에 대해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튜브(42)의 내부에 결속된 상기 펌프부재(5)를 선택적으로 직선왕복운동하여 상기 스팀체크밸브(43)에 의해 상기 스팀공(41)이 개폐로 반복함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2)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강제 배기된다.
이때, 상기 펌프부재(5)의 직선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스팀공(41)의 상측 공간에서의 압력차가 발생되어 상기 스팀체크밸브(43)를 개폐하게 되어 상기 용기본체(2)의 내부공기가 원할하게 배기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에 의한 진공용기(1)에서 상기 펌프부재(5)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튜브(42)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밸브플레이트(51)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구획되는 상부공간(A)과 하부공간(B)을 각각 가지는 피스톤(52)과, 상기 피스톤(52)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팀체크밸브(43)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스팀공(41)을 폐쇄하도록 된 가압바(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피스톤(52)이 상기 슬라이드튜브(42)의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상기 밸브플레이트(51)에 의해 구획분할되는 상기 피스톤(52) 내부의 상부공간(A)과 하부공간(B)의 점유면적이 서로 가변되면서 상기 스팀공(41)에서 배기되는 상기 용기본체(2)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펌프하게 된다.
상기에서 피스톤(52)의 상부공간(A)에는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배기공(5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배기공(521)을 통해 상기 스팀공(41)에서 배기되어 상기 하부공간(B)과 상기 상부공간(A)을 경유하여 이동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게 된다.
상기에서 밸브플레이트(51)는, 외측면이 상기 피스톤(52)의 내측면과 밀폐되게 안내되도록 된 판(板;plate) 형상의 '판체'로 이루어지며, 일부위에 상기 하부공간(B)과 상기 상부공간(A)을 공간적으로 연결하도록 연통공(511)이 형성되어 상기 스팀공(41)에서 배기되는 상기 용기본체(2)의 내부공기가 상기 하부공간(B)을 경유하여 상기 상부공간(A)으로 유도된 후 외부로 배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진공용기(1)에서, 상기 밸브플레이트(51)는 내부에 상기 스팀공(41) 및 상기 스팀체크밸브(43)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52)의 직선운동방향으로 길이를 가지고 내,외가 공간적으로 연통되는 유도공(421)이 형성되도록 상기 슬라이드튜브(42)의 바닥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된 지지관(422)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피스톤(52)의 바닥에는 상기 지지관(422)의 외측면이 관통하면서 직선이동가능하게 끼움결속되는 결속공(5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피스톤(52)이 상기 지지관(422)을 통해 안내되면서 상기 슬라이드튜브(42)의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하게 되어 이동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피스톤(52)의 직선왕복운동시에 상기 지지관(422)의 상단에 고정된 상기 밸브플레이트(51)를 통해 상기 하부공간(B)과 상부공간(A)의 체적이 가변되어 상기 용기본체(2)의 공기가 외부로 펌프되어 배기된다.
상기에서 밸브플레이트(51)와 상기 피스톤(52)의 상부내측면의 사이에는 상기 피스톤(52)을 상부로 탄성가압하도록 된 탄성스프링(54)이 설치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피스톤(52)을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중에 상기 피스톤(52)을 원위치하여 초기화하는 상태를 상기 탄성스프링(54)에 의해 구현하도록 되어 작업이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피스톤(52)은 일단이 개구되며 타단인 바닥에는 상기 결속공(522)이 형성된 하부몸체(523)와, 상기 하부몸체(523)의 개구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스프링(54)의 일단이 지지되어 상기 밸브플레이트(51)에 대하여 탄성지지되는 상부몸체(5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부몸체(523)의 내부에 상기 밸브플레이트(51)와 상기 탄성스프링(54)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524)를 결합하여 상기 탄성스프링(54)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상기에서 하부몸체(523)의 상기 결속공(522)에는 상기 지지관(422)의 외부에 밀착되면서 밀폐하며 안내되도록 된 '실링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가스켓'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524)에는 상기 가압바(53)가 상기 피스톤(52)의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밸브플레이트(51)와 상기 지지관(422)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52)의 직선왕복운동시 상기 가압바(53)가 상기 지지관(422)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안내되며, 종단이 상기 스팀체크밸브(43)를 가압하므로서 상기 스팀체크밸브(43)가 무단으로 개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에서 밸브플레이트(51)에는 상기 가압바(53)의 외부와 밀착되어 밀폐하면서 안내하도록 된 '밀폐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밀폐부재는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가스켓'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에 의한 진공용기(1)에서, 상기 진공수단(4)은 상기 펌프부재(5)를 상기 슬라이드튜브(42)에 선택적으로 결속하여 무단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잠금부재(6)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잠금부재(6)를 통해 상기 펌프부재(5)를 상기 슬라이드튜브(42)에 확고히 고정하게 됨에 따라 상기 가압바(53)에 의한 상기 스팀체크밸브(43)의 폐쇄를 확고히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2)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발생되는 압력(증기압) 및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스팀체크밸브(43)가 무단으로 개방동작하므로서 상기 용기본체(2)의 진공상태가 무단으로 훼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본체(2)에 저장된 음식물을 장시간 안전하게 보온을 유지하면서 보관하도록 되므로 사용의 품질이 극대화 된다.
상기에서 잠금부재(6)는 상기 슬라이드튜브(42)의 바닥면에서 하측방향으로 하부경사면(61)을 가지는 잠금홈(62)과, 상기 피스톤(52)의 저면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하부경사면(61)에 안내되는 중에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잠금홈(62)에 거치되는 돌출단(63)과, 상기 피스톤(52)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안내바(64)와, 상기 슬라이드튜브(42)에 고정되며 내측면에 상기 안내바(64)가 안내되는 안내홈(65)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하부경사면(61)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바(64)의 종단이 안내되는 상부경사면(66)을 가지며 상기 안내바(64)의 종단이 지지되는 지지돌부(67)가 형성된 잠금링(6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에 의해 상기 피스톤(52)이 상기 슬라이드튜브(42)의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할 때 상기 피스톤(52)의 외측면에 형성된 상기 안내바(64)가 상기 잠금링(68)의 안내홈(65)을 관통하면서 안내됨에 따라 안정적인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용기본체(2)에 대한 진공상태를 형성한 후 상기 피스톤(52)을 잠금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피스톤(52)의 하부몸체(523)의 바닥부가 상기 슬라이드튜브(42)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최대한 가압하여 직선이동시키면 상기 돌출단(63)이 상기 잠금홈(62)의 하부경사면(61)에 안내되면서 회전하고, 상기 잠금홈(62)에 거치됨과 동시에 상기 안내바(64)의 단부가 상기 안내홈(65)을 관통한 후 상기 잠금링(68)에서 상기 안내홈(65)의 일측저면이 형성되는 상부경사면(66)에 안내되면서 회전하고 상기 지지돌부(67)에 지지되어 잠금된다.
즉, 상기 피스톤(52)의 하부는 상기 돌출단(63)이 상기 잠금홈(62)에 거치되고, 상기 피스톤(52)의 상측은 상기 안내바(64)의 단부가 상기 지지돌부(67)의 저면에 지지되면서 맞춤되게 끼움결속됨에 따라 무단으로 잠금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피스톤(52)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피스톤(52)을 잡고 도면상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는데, 이때 상기 돌출단(63)과 상기 안내바(64)가 상기 잠금홈(62) 및 상기 지지돌부(67)에서 이탈하면서 상기 하부경사면(61) 및 상기 상부경사면(66)을 통해 안내됨에 따라 상기 안내바(64)가 상기 안내홈(65)을 관통하도록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안내바(64)가 상기 안내홈(65)을 관통하여 안내하도록 되면서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과정 중 잠금링(68)에서 안내홈(65)의 일측부에는 상기 안내바(64)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저지턱(69)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부(67)와 상기 상부경사면(66)을 통해 안내되면서 회전운동하는 상기 안내바(64)가 상기 안내홈(65)에서 과도하게 이격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52)의 잠금해제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진공용기 10 : 보호캡
2 : 용기본체 3 : 개폐덮개
31 : 메인패킹 32 : 밀폐몸체
321 : 통공 33 : 개폐밸브
4 : 진공수단 41 : 스팀공
42 : 슬라이드튜브 421 : 유도공
422 : 지지관 43 : 스팀체크밸브
5 : 펌프부재 51 : 밸브플레이트
511 : 연통공 52 : 피스톤
521 : 배기공 522 : 결속공
523 : 하부몸체 524 : 상부몸체
53 : 가압바 54 : 탄성스프링
6 : 잠금부재 61 : 하부경사면
62 : 잠금홈 63 : 돌출단
64 : 안내바 65 : 안내홈
66 : 상부경사면 67 : 지지돌부
68 : 잠금링 69 : 저지턱
A : 상부공간 B : 하부공간

Claims (5)

  1.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개구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어 개폐하도록 된 개폐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진공용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덮개는,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개구에 끼움결속되는 밀폐몸체와, 상기 밀폐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공기를 배기하여 진공상태로 형성하도록 된 진공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진공수단은, 상기 밀폐몸체에 구비되며 일단부가 개구된 내부에 길이를 가지는 슬라이드공간을 가지며 바닥에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스팀공이 형성된 슬라이드튜브와, 상기 스팀공에 구비되며 상기 스팀공의 상부에 형성되는 압력차에 따라 상기 스팀공을 개폐하도록 된 스팀체크밸브와, 상기 슬라이드튜브의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결속되며 직선왕복운동시에 상기 스팀공을 통해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펌프하도록 된 펌프부재와, 상기 펌프부재를 상기 슬라이드튜브에 선택적으로 결속하여 무단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펌프부재는, 길이를 가진상태로 상기 슬라이드튜브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밸브플레이트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구획되는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가지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팀체크밸브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스팀공을 폐쇄하도록 된 가압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슬라이드튜브의 바닥면에서 하측방향으로 하부경사면을 가지는 잠금홈과, 상기 피스톤의 저면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하부경사면에 안내되는 중에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잠금홈에 거치되는 돌출단과, 상기 피스톤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안내바와, 상기 슬라이드튜브에 고정되며 내측면에 상기 안내바가 안내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하부경사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바의 종단이 안내되는 상부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안내바의 종단이 지지되는 지지돌부가 형성된 잠금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본체에는 내부에 상기 개폐덮개를 수용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에 대하여 상기 개폐덮개를 보호하기 위해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된 보호캡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보관용 진공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몸체에는 외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통공에는 지지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상기 통공을 폐쇄하되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통공을 개방하도록 된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보관용 진공용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41959A 2020-10-29 2020-10-29 식품보관용 진공용기 KR102423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959A KR102423810B1 (ko) 2020-10-29 2020-10-29 식품보관용 진공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959A KR102423810B1 (ko) 2020-10-29 2020-10-29 식품보관용 진공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092A KR20220057092A (ko) 2022-05-09
KR102423810B1 true KR102423810B1 (ko) 2022-07-21

Family

ID=81582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959A KR102423810B1 (ko) 2020-10-29 2020-10-29 식품보관용 진공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8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494B1 (ko) * 2014-12-12 2016-05-31 주식회사 에어제로 진공 밀폐용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6861B2 (en) 2003-04-22 2006-04-11 Touchsensor Technologies Llc Electronic door latch system with water rejection filtering
KR20080007455A (ko) 2005-04-08 2008-01-21 핸세 엔바이러멘탈, 아이엔씨. 진동 테이블
KR101512338B1 (ko) 2007-05-29 2015-04-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100002117U (ko) 2008-08-19 2010-03-02 장유리 등산화용 방수 덮개
KR20130131838A (ko) * 2012-05-25 2013-12-04 김누리 진공펌프가 결합된 진공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494B1 (ko) * 2014-12-12 2016-05-31 주식회사 에어제로 진공 밀폐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092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59452A (en) Ice cap container for picnic jug cooler
KR101021611B1 (ko) 잠금수단을 가지는 에어리스 이중화장품용기
JP6042804B2 (ja) 過圧安全バルブ
KR20030029425A (ko) 진공보존용 병마개
CN107531377B (zh) 用于容纳饮料的容器组件、用于制造容器组件的预成型组件和制造容器组件的方法
US20200223603A1 (en) Food ja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2423810B1 (ko) 식품보관용 진공용기
CA2946314A1 (en) Self-cooling beverage container having a heat exchange unit using liquid carbon dioxide
US4986452A (en) Pumping device for liquid containers
KR101793837B1 (ko)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KR101625494B1 (ko) 진공 밀폐용기
US10443919B2 (en) Self-cooling food or beverage container having a heat exchange unit using liquid carbon dioxide and having a dual function valve
EP2225165B1 (en) Bottle with cap which keeps the liquid contained in it effervescent and fresh even after partial consumption of the liquid
JP5980660B2 (ja) 密閉容器
KR100920184B1 (ko) 용기 밀폐용 진공펌프
KR200445176Y1 (ko) 진공 용기
KR20120032245A (ko) 용기용 진공펌프
KR200478717Y1 (ko) 찻물의 우림과 동시에 마심이 가능한 텀블러
KR100829021B1 (ko) 탄산가스 방출 방지용 병마개
CN109843736B (zh) 盖子自动开闭式容器
KR101384032B1 (ko) 탄산가스 누출 방지 장치가 부가된 음료 병의 병마개
KR101676027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2392838B1 (ko) 3단 스테인리스 봉이 삽입된 탄산빠짐 방지 자동음료배출마개
KR102398342B1 (ko) 기밀성 및 인출성을 높힌 탄산가스 음료병 유출 방지마개
KR100562370B1 (ko)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