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117U - 등산화용 방수 덮개 - Google Patents

등산화용 방수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117U
KR20100002117U KR2020080011053U KR20080011053U KR20100002117U KR 20100002117 U KR20100002117 U KR 20100002117U KR 2020080011053 U KR2020080011053 U KR 2020080011053U KR 20080011053 U KR20080011053 U KR 20080011053U KR 20100002117 U KR20100002117 U KR 201000021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king boots
waterproof sheet
waterproof
cover
hi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유리
Original Assignee
장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유리 filed Critical 장유리
Priority to KR2020080011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117U/ko
Publication of KR201000021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11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18Devices for holding overshoes in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1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20Heel-less over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중(雨中) 산행 시 등산화의 내부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하고 안전한 산행이 가능하도록 발목에 직접 착용하는 등산화용 방수 덮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발목, 등산화의 입구 및 등산화의 끈을 결속하는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부채꼴로 형성된 방수시트와, 방수시트의 양측 단부에 마련되는 제1접착부재와, 방수시트의 일면 중앙에 마련되는 걸고리와, 방수시트의 상단을 발목에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밴드와, 방수시트의 양측에서 돌출되는 고정밴드 및 고정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수시트는 발목을 감싸는 상단부, 등산화의 입구를 감싸는 중단부 및 끈을 결속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등산화 전체를 덮는 하단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단부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고, 중단부는 연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며, 하단부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된다.
등산화, 등산복, 방수 덮개, 탄성밴드, 고정밴드, 걸고리,

Description

등산화용 방수 덮개{WATERPROOF COVER FOR MOUNTAIN-CLIMBING BOOTS}
본 고안은 등산화용 방수 덮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우중(雨中) 산행 시 등산화의 내부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하고 안전한 산행이 가능하도록 발목에 직접 착용하는 등산화용 방수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 오는 날 산행을 하거나 산행을 하는 도중 비를 만나면 등산화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어 심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특히, 이러한 불편함을 감수하고 산행을 계속할 경우 발의 건강에 악영향을 주거나 등산화 내에서 발이 미끄러져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
등산화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등산화의 표면 또는/및 등산화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즉, 전자의 경우 등산화의 방수 기능이 저하된 경우 또는 끈을 묶는 부분을 통해 유입되며, 후자의 경우 등산복의 가랑이를 타고 등산화의 입구로 유입된다. 특히, 반바지를 착용한 경우라면 등산화의 입구와 발목 사이로 빗물이 직접 유입되거나 다리를 따라 흘러내려 유입되기도 한다.
한편, 우리나라 성인 남녀의 발목둘레는 대략 20~30㎝이고, 판매되고 있는 등산화(걷기 전용 등산화)의 입구둘레는 대략 35~45㎝이다. 이와 같이 등산화의 입구둘레를 크게 제작함으로써 산행 시 발목을 접고 펴는 과정에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하지만 비가 오게 되면 등산화의 입구와 발목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목에 직접 착용하여 등산화의 입구와 발목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산화용 방수 덮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끈을 결속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등산화 전체를 덮을 수 있고, 발목을 접고 펴는 과정에서 불편함이 없으며 하단이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산화용 방수 덮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용 방수 덮개는, 사용자의 발목, 등산화의 입구 및 끈을 결속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등산화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부채꼴로 형성된 방수시트와, 방수시트의 양측 단부에 마련되는 제1접착부재와, 방수시트의 일면 중앙에 마련되는 걸고리와, 방수시트의 상단을 발목에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밴드와, 방수시트의 양측에서 돌출되는 고정밴드 및 고정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수시트는 발목을 감싸는 상단부, 등산화의 입구를 감싸는 중단 부 및 끈을 결속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등산화 전체를 덮는 하단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단부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고, 중단부는 연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며, 하단부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용 방수 덮개는 부채꼴로 형성된 방수시트에 의해 발목, 등산화의 입구 및 끈을 결속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등산화 전체를 덮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등산화의 입구와 발목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수시트의 일면(내측면)에 걸고리가 마련되고 양측에 고정밴드 및 고정구가 마련되어 산행 시 방수시트의 하단이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방수시트는 신축성을 갖는 상단부, 연성을 갖는 중단부 및 강성을 갖는 하단부로 이루어져, 산행 시 발목을 접고 펴는 과정에서 불편함이 없고 수풀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없으며 내구성이 우수하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용 방수 덮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전면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용 방수 덮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배면 전개도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용 방수 덮개의 제2 내지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용 방수 덮개는 발목에 직접 착용하여 등산화의 내부 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등산화용 방수 덮개(100)의 제1실시예를 살펴보면, 방수시트(110), 제1접착부재(120), 걸고리(130), 탄성밴드(140a), 고정밴드(150) 및 고정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용 방수 덮개(100)의 각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해가 용이하도록 도 6을 추가로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방수시트(110)는 사용자의 발목(200), 등산화(300)의 입구(310) 및 등산화(300)의 끈(320) 결속부분을 포함하여 등산화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부채꼴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의 상기 방수시트(110)는 그 용도에 따라 사용자의 발목(200)과 접촉하는 상단부(112), 등산화(300)의 입구(310)를 감싸는 중단부(114) 및 등산화(300)의 끈(320) 결속부분을 포함하여 등산화 전체를 덮는 하단부(116)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수시트(110)의 상단부(112)는 빗물이 사용자의 발목(200)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단부(112)는 발목(200)에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아야 하고, 피부에 이상반응 생기거나 혈액순환에 지장이 없어야 하며, 반복되는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근육의 수축작용을 방해하지 말아야 한다. 즉, 두께가 얇고 부드러우면서 신축성이 우수한 재질이어야 한다. 이러한 재질로는 방수 처리된 천, 고무, PVC(Poly Vinyl Chloride), PU(Poly urethane),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EVA(Ethylene vinyl acetate), 고어텍스 등이 있으며, 이때 두께는 약 0.03~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시트(110)의 중단부(114)는 사용자의 발목(200)을 감싸 빗물이 직 접 유입됨을 방지하고 산행 시 발목(200)의 움직임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중단부(114)는 두껍지 않으면서 부드럽고 연성을 갖는 재질이어야 한다. 일례로, 방수 처리된 천, 고무, PVC(Poly Vinyl Chloride), PU(Poly urethane),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EVA(Ethylene vinyl acetate), 고어텍스 등이 이에 해당하며, 이때 두께는 약 0.03~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시트(110)의 하단부(116)는 등산화(300)의 상면, 즉 등산화(300)의 끈(320)을 결속하는 부분을 덮어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부분으로, 산행 시 풀, 나뭇가지, 돌 등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아니하도록 적당한 두께와 강도를 갖는 재질인 것이 좋다. 이러한 재질로는 방수 처리된 천, 고무, PVC(Poly Vinyl Chloride), PU(Poly urethane),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EVA(Ethylene vinyl acetate), 고어텍스 등이 있으며, 이때 두께는 약 0.1~3㎜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방수시트(110)는 발목(200)만을 감쌀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방수시트(110)의 상단부(112)를 사용자의 무릎까지 연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부(112), 중단부(114) 및 하단부(116)로 이루어진 방수시트(11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방수시트(110)를 발목(200)에 고정하기 위한 제1접착부재(120)가 마련되며, 그 선단에는 파지부(122)가 연장되어 상기 방수시트(110)의 접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벨크로 파스 너를 일례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접착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방수시트(110), 좀 더 상세하게는 하단부(116)의 일면 중앙에는 걸고리(130)가 마련되어, 방수시트(110)의 착용 시 이를 이용하여 방수시트(110)를 등산화(300)의 끈(320)에 걸어 고정한다. 이와 같이 걸고리(130)를 이용하여 방수시트(110)를 고정하면 산행 중 발목을 접고 폄을 반복하더라도 상기 방수시트(110)의 하단부(116)가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고리(130)는 방수시트(110)의 하단부(116)가 등산화(300)의 끈(320) 결속부분을 포함하여 등산화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하단부(116)의 내측면 중앙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시트(110)의 양측에는 고정밴드(150)와 고정구(160)가 마련되어, 산행 중 발목을 접고 펴는 과정에서 상기 방수시트(110)의 하단부(116)가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고정밴드(150)와 고정구(160)는 일반적인 벨트와 버클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탄성밴드(140a)는 방수시트(110), 좀 더 상세하게는 방수시트(110)의 상단부(112)를 발목에 밀착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일체형(도 1 및 도 2의 140a)과 분리형(도 3의 140b, 도 4의 140c)으로 구분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체형 탄성밴드(140a)는 방수시트(110)의 상단 일측에서 연장되고, 선단의 내측면과 둘레의 일부에 제2접착부재(142)가 마련되며, 선단에는 파지부(144)가 더 연장된다. 이와 같이 구조의 일체형 탄성밴드(140a)는 방수시트(110)를 착용함과 동시에 그 상단부(112)를 감아 고정하므로 사용이 간편 하다.
반면, 분리형 탄성밴드(140b, 140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제1형태, 140b)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제2형태, 140c)로 다시 구분된다. 먼저, 제1형태(140b)는 방수시트(110)와 별도로 마련되고, 그 일단의 내면과 타단의 표면에 제2접착부재(142)가 마련되며 그 선단에는 파지부(144)가 더 연장된다. 그리고 제2형태(140c)는 제1형태(140b)와 같이 방수시트(110)와 별도로 마련되되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접착부재 없이 착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분리형 탄성밴드(140b, 140c)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착용을 할 수 있으므로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밴드를 일체형(140a)과 분리형(140b, 140c)만을 예시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일체형(140a)에 분리형(140b, 140b)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분리형 제1형태(140b) 및 제2형태(140c)에 제2형태(140c)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분리형 제2형태(140c)의 경우 대, 중, 소의 규격화된 크기로 제작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용 방수 덮개(100)는 산행 시 발에서 발생하는 땀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방수시트(110)의 하단부(116)에 소정 크기의 배출공(172)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그물망(174)이 마련되며, 상기 배출공(172)의 일측에는 개폐시트(176)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배출공(172)의 둘레와 상기 개폐시트(174)의 일단부에는 제3접착부재(176)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출수단(170)은 산행 시 발생하는 땀을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 이외에 비가 오지 않을 경우 등산화(300)의 내부로 공기가 잘 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용 방수 덮개(100)를 착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등산화(300)를 신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목(200)에 감아 착용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130)를 이용하여 방수시트(110)를 등산화(300)의 끈(320) 결속 부분에 고정하고, 사용자의 발목(200)을 감싸도록 방수시트(110)를 감아 착용한다. 이때, 제1접착부재(120)를 이용하여 방수시트(11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방수시트(110)의 착용이 완료되면, 탄성밴드(140)를 이용하여 방수시트(110)를 발목(200)에 밀착되게 부착한다(도 7 참조). 이때, 상기 방수시트(110)의 상단부(112)가 밀착된 발목은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아야 하고, 피부에 이상반응 생기거나 혈액순환에 지장이 없어야 하며, 반복되는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근육의 수축작용을 방해하지 말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밴드(150)를 이용하여 방수시트(110)를 하향으로 당긴 후, 등산화(300) 바닥을 감싸고 고정구(160)에 고정한다. 그리고 그 위에 긴 바지 등산복(330)을 덮으면 완성된다.
결론적으로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용 방수 덮개(100)는 부채꼴로 형성된 방수시트(110)에 의해 발목, 등산화(300)의 입구(310) 및 끈(320)을 결속하는 부분을 모두 덮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등산화(300)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산화용 방수 덮개의 구성 및 착용과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용 방수 덮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전면 전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용 방수 덮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배면 전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용 방수 덮개의 제2 내지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전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등산화용 방수 덮개를 착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등산화용 방수 덮개 110: 방수시트
120: 제1접착부재 130: 걸고리
140a, 140b, 140c: 탄성밴드 150: 고정밴드
160: 고정구 170: 배출수단

Claims (15)

  1. 사용자의 발목, 등산화의 입구 및 등산화의 끈을 결속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등산화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부채꼴로 형성된 방수시트; 및
    상기 방수시트의 상단을 발목에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화용 방수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의 양측 단부에 마련되는 제1접착부재 및 상기 방수시트의 일면 중앙에 마련되는 걸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화용 방수 덮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의 양측에서 돌출되는 고정밴드와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화용 방수 덮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는, 발목을 감싸는 상단부, 등산화의 입구를 감싸는 중단부 및 끈을 결속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등산화 전체를 덮는 하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화용 방수 덮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의 상단부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방수 덮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의 중단부는 연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화용 방수 덮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의 하단부는 강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화용 방수 덮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는 방수시트의 상단 일측에서 연장되고, 선단의 내측면과 둘레의 일부에 제2접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화용 방수 덮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는 방수시트와 별도로 마련되며, 일단의 내측면과 타단의 표면에는 제2접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화용 방수 덮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화용 방수 덮개.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의 하단부에는 배출공이 마련되고, 상기 배출공의 일측에는 개폐시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화용 방수 덮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시트의 일단부와 상기 배출공의 둘레에는 제3접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화용 방수 덮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의 내부에는 그물망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화용 방수 덮개.
  14.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의 상단부는 무릎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화용 방수 덮개.
  15.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접착부재의 선단에는 파지부가 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화용 방수 덮개.
KR2020080011053U 2008-08-19 2008-08-19 등산화용 방수 덮개 KR201000021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053U KR20100002117U (ko) 2008-08-19 2008-08-19 등산화용 방수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053U KR20100002117U (ko) 2008-08-19 2008-08-19 등산화용 방수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117U true KR20100002117U (ko) 2010-03-02

Family

ID=4419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053U KR20100002117U (ko) 2008-08-19 2008-08-19 등산화용 방수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117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834A (ko) * 2018-06-19 2019-12-30 김요한 신발 보호대
KR20220057092A (ko) 2020-10-29 2022-05-09 정진옥 식품보관용 진공용기
KR102623983B1 (ko) * 2023-07-14 2024-01-10 임성훈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
KR20240000567U (ko) 2022-09-23 2024-04-01 이각표 신축성을 갖는 신발 방수 커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834A (ko) * 2018-06-19 2019-12-30 김요한 신발 보호대
KR20220057092A (ko) 2020-10-29 2022-05-09 정진옥 식품보관용 진공용기
KR20240000567U (ko) 2022-09-23 2024-04-01 이각표 신축성을 갖는 신발 방수 커버
KR102623983B1 (ko) * 2023-07-14 2024-01-10 임성훈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81764B (zh) 带有允许轻松穿脱的闭合机构的鞋类
JP2002306204A (ja) 陸上競技用シューズ
US10136684B2 (en) Molded watersports and cold climate accessories
WO2008027271A2 (en) Footwear cover
CA2257737C (en) Boot with easy-to-use upper closure
WO1999034757A1 (en) Adjustable ankle brace system
KR20100002117U (ko) 등산화용 방수 덮개
JP2013124440A (ja) バッグ兼用レッグウォーマー
US9398778B2 (en) Water-resistant waders incorporating a waist lock system
KR101957969B1 (ko) 소방장화용 방수덧신
JP4047871B2 (ja) 甲留めベルトで係合する靴
KR100742397B1 (ko) 등산화 결착용 보호대
JP7150299B2 (ja) 歩行補助具
KR200479975Y1 (ko) 등산용 스패츠
CN201085103Y (zh) 可与雨衣相连的防雨鞋裤套
CA2991698C (en) Molded watersports and cold climate accessories
KR200481987Y1 (ko) 레저용 각반
KR200307968Y1 (ko) 롱 스패츠
KR200461471Y1 (ko) 치마형 우의
JP2007029678A (ja) 足首固定帯付き靴
KR101312329B1 (ko) 휴대가능한 덧장화
JP3122797U (ja) ベルト付スリッパ
US20140082813A1 (en) Pants guard
KR20230041431A (ko) 무릎 신전력 강화 기구
JP2017064089A (ja) ルームシュー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