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2329B1 - 휴대가능한 덧장화 - Google Patents

휴대가능한 덧장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2329B1
KR101312329B1 KR1020120062935A KR20120062935A KR101312329B1 KR 101312329 B1 KR101312329 B1 KR 101312329B1 KR 1020120062935 A KR1020120062935 A KR 1020120062935A KR 20120062935 A KR20120062935 A KR 20120062935A KR 101312329 B1 KR101312329 B1 KR 101312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ots
neck
present
b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건
Original Assignee
서영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건 filed Critical 서영건
Priority to KR1020120062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2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2Shoe lacing fastenings with elastic l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가능한 덧장화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덧장화는 방수 재질의 겉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부착되는 밑창으로 구성되는 덧장화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목부분에는 개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밑창에는 상기 본체의 하부를 둘러싸는 이음부가 부착되고, 상기 이음부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적어도 두 개의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리를 통과하는 조임 수단을 통해 상기 본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가능한 덧장화{PORTABLE OVERBOOTS}
본 발명은 신발 위에 덧신는 장화에 관한 것이며, 좀 더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덧장화에 관한 것이다.
장화는 일반적으로 우천시나 방수를 목적으로 착용하는 것으로, 고무소재와 같은 방수성 소재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장화를 신고 일상생활을 하기에는 일반적인 신발에 비하여 상당히 불편하다. 한편 신발위에 덧신을 수 있는 덧장화의 경우에는 필요한 경우에만 신발위에 덧신은 후에 다시 벗으면 되므로 편리한 점이 있지만 장화만 신은 경우에 비하여 불편하고, 장화와 장화속 신발이 잘 맞지 않는 경우에는 신발이 장화속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오는 날 오전에 덧장화를 신었다가, 오후에 비가 그치는 경우에 덧장화만을 벗는다고 해도, 장화의 특성상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휴대하기 쉽지않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덧장화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수 재질의 겉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부착되는 밑창으로 구성되는 덧장화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목부분에는 개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밑창 상단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적어도 두 개의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리를 통과하는 조임 수단을 통해 상기 본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장화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밑창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본체의 하부를 둘러싸는 이음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연결고리는 상기 이음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에서, 상기 본체는 방수 재질의 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에서, 상기 본체의 목부의 개폐부는 지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에서, 상기 본체의 목부분 상단 개구부는 착용시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신축성이 있는 밴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덧장화를 이용하면, 천이나 경량의 고무 등과 같은 방수재질의 겉감으로 구성된 장화를 사용함으로써, 부피를 조절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장화 본체와 장화속 신발을 밀착시킬 수 있도록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서 신발이 장화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고리를 통하여 끈이 장화의 밑창이 아닌 발등부나 목 등을 휘감을 수 있도록 하여 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장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장화의 측면 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장화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장화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덧장화를 가방에 휴대한 예를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장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장화는 방수 재질의 겉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1)와 본체(1) 하부에 부착되는 밑창(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장화의 세부구성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장화 본체(1)는 휴대가 편리하도록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방수재질의 천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용이하게 접었다 펼 수 있는 경량의 탄력적인 고무재질 등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의 겉감을 구성하는 방수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1)의 목부분에는 신고 벗기 편리하도록 개폐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11)는 지퍼를 이용하여 여닫게 하거나 벨크로를 이용하여 종아리 두께에 맞추어 폭을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의 목부분 상단 개구부는 착용시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신축성이 있는 밴딩부(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밴딩부(12)는 신축성 있는 고무밴드를 이용하거나 벨크로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조이도록 할 수도 있다.
밑창(2)은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이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요철이 형성된 고무로 구성될 수 있다. 밑창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밑창(2) 상단에는 본체(1)의 하부를 둘러싸는 이음부(21)가 부착될 수 있고, 이음부(21)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적어도 두 개의 연결고리(22)가 형성되어, 연결고리(22)를 통과하는 조임 수단(23)을 통해 상기 본체(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장화속에 운동화를 신은 경우 운동화와 장화에서 이탈하지 않고 밀착될 수 있도록, 끈이나 벨트와 같은 조임수단(23)을 연결고리(22)에 통과시켜서 본체(1)의 발등부나 목부분을 둘러 감아서 발 크기에 맞도록 본체(1)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연결고리(22)를 이용하면 조임수단(23)을 밑창까지 휘감을 필요가 없으므로 조임수단(23)의 오염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장화의 측면 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덧장화 본체와 밑창 사이에는 이음부(21)에는 연결고리(22)가 형성되어 있고, 끈(23)을 연결고리(22)에 통과시켜서 장화와 장화 속 신발이 밀착할 수 있도록 조여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장화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장화의 목부분 상부는 흘러 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밴딩부(12)가 형성되어 있고, 덧장화 본체와 밑창 사이에는 연결고리(22)를 통과한 끈(21)을 이용하여 장화속 신발에 밀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장화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장화의 목부분 후면에는 지퍼로 구성된 개폐부(11)가 형성되어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덧장화를 용이하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상부에는 벨크로를 이용한 밴딩부(12)가 형성되어 덧장화의 목부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덧장화를 가방에 휴대한 예를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장화(100)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접을 수 있는 천이나 경량의 고무재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덧장화(100)를 벗어서 간편하게 가방(200)에 휴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본체
11: 개폐부
12: 밴딩부
2: 밑창
21: 이음부
22: 연결고리
23: 조임수단

Claims (5)

  1. 방수 재질의 겉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부착되는 밑창으로 구성되는 덧장화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목부분에는 개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밑창 상단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적어도 두 개의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리를 통과하는 조임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의 발등부나 목부분을 휘감아서 조임으로써 상기 본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장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밑창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본체의 하부를 둘러싸는 이음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연결고리는 상기 이음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장화.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방수 재질의 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장화.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목부의 개폐부는 지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장화.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목부분 상단 개구부는 착용시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신축성이 있는 밴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장화.
KR1020120062935A 2012-06-13 2012-06-13 휴대가능한 덧장화 KR101312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935A KR101312329B1 (ko) 2012-06-13 2012-06-13 휴대가능한 덧장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935A KR101312329B1 (ko) 2012-06-13 2012-06-13 휴대가능한 덧장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2329B1 true KR101312329B1 (ko) 2013-10-02

Family

ID=4963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935A KR101312329B1 (ko) 2012-06-13 2012-06-13 휴대가능한 덧장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23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8780A (en) 1987-03-02 1988-12-06 Boggs Ernest R Overboot
JPH0389591U (ko) * 1989-12-22 1991-09-12
KR200293821Y1 (ko) 2002-06-28 2002-11-01 안종회 골프화용 방수 덧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8780A (en) 1987-03-02 1988-12-06 Boggs Ernest R Overboot
JPH0389591U (ko) * 1989-12-22 1991-09-12
KR200293821Y1 (ko) 2002-06-28 2002-11-01 안종회 골프화용 방수 덧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25846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mbining an athletic shoe and conventional ankle brace to limit active ankle inversion
EP0415996A1 (en) Adjustable tension ankle support
KR101642339B1 (ko) 장화
US20070039207A1 (en) Pant protector
KR101081184B1 (ko) 신축조절장치가 부설된 신발
MXPA06010502A (es) Soporte para tobillo para ser fijado a calzado, y calzado equipado con el.
KR101957969B1 (ko) 소방장화용 방수덧신
KR101312329B1 (ko) 휴대가능한 덧장화
US20040078997A1 (en) Decorative footwear for an exposed foot
KR20100002117U (ko) 등산화용 방수 덮개
KR102060454B1 (ko) 휴대가 용이한 신발용 투명 방수 커버
KR101730627B1 (ko) 기능성 슬리퍼
KR101649149B1 (ko) 신고 벗기 용이한 유아용 신발
KR101623120B1 (ko) 이물질 방지를 위한 스패츠 양말
KR101861959B1 (ko) 풋 팩
CN209547078U (zh) 一种鞋子
KR200479975Y1 (ko) 등산용 스패츠
CN216363859U (zh) 足部用具以及具有病毒防护外罩的鞋
US20240032625A1 (en) Protective Footgear Device
CN214317173U (zh) 一种松紧度可调的休闲鞋
KR102619373B1 (ko) 신발 커버를 갖는 우비
KR102369072B1 (ko) 보아시스템 및 스트랩이 적용된 리프팅화
JP2003180406A (ja)
CN210581243U (zh) 一种可暗藏折叠袜套式涉溪鞋
KR200481987Y1 (ko) 레저용 각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