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983B1 -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 - Google Patents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983B1
KR102623983B1 KR1020230091467A KR20230091467A KR102623983B1 KR 102623983 B1 KR102623983 B1 KR 102623983B1 KR 1020230091467 A KR1020230091467 A KR 1020230091467A KR 20230091467 A KR20230091467 A KR 20230091467A KR 102623983 B1 KR102623983 B1 KR 102623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cover
instep
shoe
forefoot
t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1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훈
Original Assignee
임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훈 filed Critical 임성훈
Priority to KR1020230091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0Face guards, e.g. for ice hockey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의 밑창을 제외한 앞코 부분부터 발등 부분까지를 커버하는 방수커버본체; 신발의 발등 부분에 대응되는 방수커버본체의 발등부에 구성되어 방수커버본체의 발등부가 신발의 발등 부분에 밀착 커버되도록 하는 발등와이어; 및 방수커버본체의 앞꿈치부와 발등부 사이에 해당되는 앞꿈치부의 양측 하단부에 각각 구성되어 방수커버본체의 앞꿈치부 양측 하단부가 신발의 앞꿈치 부분에 밀착 커버되도록 하는 앞꿈치와이어를 포함하는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Waterproof cover for footwear}
본 발명은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의 밑창을 제외한 앞코 부분부터 발등 부분까지 밀착 및 커버되어 빗물이나 바닥의 물에 의해 신발의 앞코부터 발등 부분이 젖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 우산을 사용하게 되는데, 우산을 쓰고 걸어가면 사람의 몸체는 보호할 수 있으나 바닥에 고인 빗물, 바람 등에 의해 신발이 젖어버리고, 신발 안의 발까지 젖어버려 불쾌한 상태로 하루를 지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가죽으로 만들어진 구두는 물기로 인해 젖으면 가죽이 상하고, 신발이 변형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특히, 골프장에서와 같이 풀잎이 있는 곳에서 비가 온 후 걸어야 하는 경우, 신발은 물론 바지 하단부까지 젖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신발 보호 커버가 이용되고 있으며, 그 구조는 물기가 침투되지 않는 방수천이 신발 전체를 감싸며, 상측의 개구부에는 발목을 감싸는 밴드가 설치되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외부의 빗물로부터 신발을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신발 보호 커버는 장시간 사용시 신발 밑창에 위치된 방수천의 부위가 닳게되어 결국에는 찢어지므로 수명이 매우 짧아 일회용으로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0001) 등록실용 20-0308058
(특허문헌 0002) 등록특허 10-1285939
(특허문헌 0003) 등록실용 20-0324916
(특허문헌 0004) 등록실용 20-033775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의 밑창을 제외한 앞코 부분부터 발등 부분까지 밀착 및 커버되어 빗물이나 바닥의 물에 의해 신발의 앞코부터 발등 부분이 젖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의 밑창을 제외한 앞코 부분부터 발등 부분까지를 커버하는 방수커버본체; 신발의 발등 부분에 대응되는 방수커버본체의 발등부에 구성되어 방수커버본체의 발등부가 신발의 발등 부분에 밀착 커버되도록 하는 발등와이어; 및 방수커버본체의 앞꿈치부와 발등부 사이에 해당되는 앞꿈치부의 양측 하단부에 각각 구성되어 방수커버본체의 앞꿈치부 양측 하단부가 신발의 앞꿈치 부분에 밀착 커버되도록 하는 앞꿈치와이어를 포함하는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가 제공된다.
여기서, 방수커버본체는, 실리콘 또는 TPE 재질을 가지고 꼭지점이 뭉뚝한 속이 빈 반원뿔 형상을 가지며, 신발의 앞코 부분에 대응되는 앞코부, 신발의 앞꿈치 부분에 대응되는 앞꿈치부, 신발의 아치 부분에 대응되는 아치부 및 신발의 발등 부분에 대응되는 발등부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는, 방수커버본체의 앞꿈치부와 아치부의 연결 부위에 구성되어 앞꿈치부와 아치부의 접힘 동작을 통해 방수커버본체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길이가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길이가변수단은, 방수커버본체의 앞꿈치부와 아치부의 연결 부위에 구성되어 방수커버본체의 앞꿈치부와 아치부의 연결 부위가 신발의 앞꿈치 부분과 아치 부분에 밀착 커버되도록 하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길이가변수단은, 방수커버본체의 앞꿈치부와 아치부에 각각 암수 구조로 구성되고 방수커버본체의 아치부가 앞꿈치부의 상면으로 말리면서 접혀진 후 상호간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는, 방수커버본체의 발등부의 양측 하단부를 상호간 연결하면서 구성되어 발등부가 신발의 밑창에 걸림 지지되는 고정밴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밴드수단은, 방수커버본체의 발등부 양측 하단부 중 안쪽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밴드; 방수커버본체의 발등부 양측 하단부 중 바깥쪽면에 구성되는 복수개의 제1고정버튼; 및 고정밴드의 타단에 구성되고 고정밴드의 타단이 신발의 밑창 부분을 경유하면서 발등부의 안쪽면으로부터 바깥쪽면까지 연장시 복수개의 제1버튼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고정밴드에 의해 방수커버본체의 발등부가 신발의 밑창에 걸림 지지되도록 하는 제2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밴드수단은, 고정밴드의 타단이 고정되는 방수커버본체의 발등부 양측 하단부 중 바깥쪽면에 구성되고 상호간 결합되는 제1버튼과 제2버튼을 커버하는 마감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의 밑창을 제외한 앞코 부분부터 발등 부분까지 밀착 및 커버되어 빗물이나 바닥의 물에 의해 신발의 앞코부터 발등 부분이 젖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를 나타낸 좌측, 우측 및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방수커버가 신발에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방수커버가 길이가변수단을 통해 방수커버의 길이가 가변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의 방수커버가 고정밴드수단을 통해 신발에 착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100)는, 방수 및 형상의 변형이 가능한 재질을 가지고 신발(10)의 밑창을 제외한 앞코 부분부터 발등 부분까지를 커버하는 형상을 가지는 방수커버본체(110), 신발(10)의 발등 부분에 대응되는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에 아치형을 가지면서 구성되어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가 신발(10)의 발등 부분에 밀착 커버되도록 하는 발등와이어(130) 및 방수커버본체(110)의 앞꿈치부(112)와 발등부(114) 사이에 해당되는 앞꿈치부(112)의 양측 하단부에 각각 일자형 또는 유선형을 가지면서 구성되어 방수커버본체(110)의 앞꿈치부(112) 양측 하단부가 신발(10)의 앞꿈치 부분에 밀착 커버되도록 하는 앞꿈치와이어(140) 등을 포함한다.
방수커버본체(110)는, 신발(10)의 밑창을 제외한 앞코 부분부터 발등 부분을 커버하면서 밀착되어 빗물 등에 의해 신발(10)의 해당 부분이 젖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소정의 탄력을 가지며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실리콘 또는 TPE 재질을 가지고 꼭지점이 뭉뚝한 속이 빈 반원뿔 형상을 통하여, 신발(10)의 밑창을 제외한 앞코 부분부터 발등 부분을 커버하면서 밀착되어 방수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방수커버본체(110)는, 신발(10)의 앞코 부분에 대응되는 앞코부(111), 신발(10)의 앞꿈치 부분에 대응되는 앞꿈치부(112), 신발(10)의 아치 부분에 대응되는 아치부(113) 및 신발의 발등 부분에 대응되는 발등부(114)로 구분되며, 앞코부(111)는 2T, 앞꿈치부(112)와 아치부(113)는 1T 및 발등부(114)는 3T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내구성과 형상가변성을 확보하면서도 후술된 고정밴드수단(160)이 발등부(114)에 구성되는 경우 고정밴드수단(160)이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수커버본체(110)는, 발등부(114)의 중앙 부분에 신발끈이 관통되는 신발끈관통공(115)이 형성되어 신발끈을 통해 신발(10)의 발등 부분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향상된 착용성이 제공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방수커버본체(110)는, 아치부(113)의 하면에 신발끈이 결착되도록 하는 결착부재, 일예로, 후크 등이 구성되어 신발끈을 통해 신발(10)의 발등 부분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향상된 착용성이 제공되도록 하여도 좋다.
따라서 방수커버본체(110)에 의하면, 신발(10)의 밑창을 제외한 앞코 부분부터 발등 부분을 커버하면서 방수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간편한 착용을 가능하게 하고 신발(10)의 밑창 부분이 파단되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여 수명이 향상되도록 하고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등와이어(130)는, 신발(10)의 발등 부분에 대응되는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에 아치형을 가지면서 구성되어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가 신발(10)의 발등 부분에 밀착 커버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방수커버본체(110)의 제조시 발등부(114)에 일체로 이중 사출되어 구성되거나 내면이나 외면에 접착되면서 구성될 수 있고, 소정의 탄성과 복원성을 가지는 아치형의 탄성와이어 또는 형상기억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발등와이어(130)에 의하면, 방수커버본체(110)가 신발(10)에 착용시 발등부(114)가 신발(10)의 발등 부분에 소정의 탄성을 통해 끼워진 후 그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신발(10)을 착용한 착용자가 보행을 하더라도 신발(10)의 앞코 부분으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앞꿈치와이어(140)는, 방수커버본체(110)의 앞꿈치부(112)와 발등부(114) 사이에 해당되는 앞꿈치부(112)의 양측 하단부에 각각 구성되어 방수커버본체(110)의 앞꿈치부(112) 양측 하단부가 신발(10)의 앞꿈치 부분에 밀착 커버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방수커버본체(110)의 제조시 앞꿈치부(112)의 해당 부위에 일체로 이중 사출되어 구성되거나 내면이나 외면에 접착되면서 구성될 수 있고, 소정의 탄성과 복원성을 가지는 아치형의 탄성와이어 또는 형상기억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앞꿈치와이어(140)에 의하면, 방수커버본체(110)가 신발(10)에 착용시 앞꿈치부(112) 하단부가 신발(10)의 앞꿈치 부분 하단부를 소정의 탄성을 통해 가압하여 신발(10)을 착용한 착용자가 보행을 하여 앞꿈치부(112)가 반복적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더라도 신발(10)의 앞꿈치 부분으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는, 방수커버본체(110)의 앞꿈치부(112)와 아치부(113)의 연결 부위에 구성되어 앞꿈치부(112)와 아치부(113)의 접힘 동작을 통해 방수커버본체(11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길이가변수단(150)을 더 포함한다.
길이가변수단(150)은, 방수커버본체(110)의 앞꿈치부(112)와 아치부(113)의 연결 부위에 아치형을 가지면서 구성되어 방수커버본체(110)의 앞꿈치부(112)와 아치부(113)의 연결 부위가 신발(10)의 앞꿈치 부분과 아치 부분에 밀착 커버되도록 하는 연결와이어(151)와, 방수커버본체(110)의 앞꿈치부(112)와 아치부(113)에 각각 암수 구조로 구성되고 연결와이어(151)를 기준으로 방수커버본체(110)의 아치부(113)가 앞꿈치부(112)의 상면으로 말리면서 접혀진 후 상호간 결합되어 방수커버본체(11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결합부재(15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와이어(151)는, 방수커버본체(110)의 제조시 앞꿈치부(112)와 아치부(113)의 해당 부위에 일체로 이중 사출되어 구성되거나 내면이나 외면에 접착되면서 구성될 수 있고, 소정의 탄성과 복원성을 가지는 일자형 또는 유선형의 탄성와이어 또는 형상기억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152)는, 방수커버본체(110)의 제조후 앞꿈치부(112)와 아치부(113)의 중앙 부위에 리벳 또는 접착되는 암수 구조의 후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가변수단(150)에 의하면, 방수커버본체(110)의 아치부(113)가 연결와이어(151)를 통해 앞꿈치부(112)의 상면으로 말리면서 접혀진 후 결합부재(152)의 결속을 통해 길이가 가변되어 신발(10)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는,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의 양측 하단부를 상호간 연결하면서 구성되어 발등부(114)가 신발(10)의 밑창에 걸림 지지되어 착용성을 향상시키는 고정밴드수단(160)을 더 포함한다.
고정밴드수단(160)은,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 양측 하단부 중 안쪽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되는 고정밴드(161),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 양측 하단부 중 바깥쪽면에 구성되는 복수개의 제1고정버튼(162) 및 고정밴드(161)의 타단에 구성되고 고정밴드(161)의 타단이 신발(10)의 밑창 부분을 경유하면서 발등부(114)의 안쪽면으로부터 바깥쪽면까지 연장시 복수개의 제1버튼(16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고정밴드(161)에 의해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가 신발(10)의 밑창에 걸림 지지되도록 하는 제2버튼(163)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밴드(161)는,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 양측 하단부 중 안쪽면에 일단이 리벳 또는 접착되고 PVC 재질과 0.2T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소정의 내구성과 가변성을 확보하여 신발(10)의 밑창에 답압되더라도 쉽게 파단되지 않고 방수커버본체(110)가 신발(10)의 밑창에 걸림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버튼(162)은 복수개가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 양측 하단부 중 바깥쪽면에 리벳 또는 접착 구성되고, 제2버튼(163)은 고정밴드(161)의 타단에 리벳 또는 접착 구성되며, 상호간 암수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1버튼(162) 중 어느 하나에 제2버튼(163)이 체결되는 것을 통해 고정밴드(161)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고정밴드수단(160)은, 고정밴드(161)의 타단이 고정되는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 양측 하단부 중 바깥쪽면에 구성되고 상호간 결합되는 제1버튼(162)과 제2버튼(163)을 커버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마감커버(164)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고정밴드수단(160)에 의하면,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가 고정밴드(161)를 통해 신발(10)의 밑창에 걸림 지지되어 보다 안정적인 착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는, 신발(10)의 앞코 부분에 대응되는 방수커버본체(110)의 앞코부(111)에 아치형을 가지면서 구성되어 방수커버본체(110)의 앞코부(111)가 신발(10)의 앞코 부분에 밀착 커버되도록 하는 앞코와이어(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앞코와이어(미도시)는, 신발(10)의 앞코 부분에 대응되는 방수커버본체(110)의 앞코부(111)에 아치형을 가지면서 구성되어 방수커버본체(110)의 앞코부(111)가 신발(10)의 앞코 부분에 밀착 커버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방수커버본체(110)의 제조시 앞코부(111)에 일체로 이중 사출되어 구성되거나 내면이나 외면에 접착되면서 구성될 수 있고, 소정의 탄성과 복원성을 가지는 아치형의 탄성와이어 또는 형상기억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앞코와이어(미도시)에 의하면, 방수커버본체(110)가 신발(10)에 착용시 앞코부(111)가 신발(10)의 앞코 부분에 소정의 탄성을 통해 끼워진 후 그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신발(10)을 착용한 착용자가 보행을 하더라도 신발(10)의 앞코 부분으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신발(10)의 밑창을 제외한 앞코 부분부터 발등 부분까지 방수커버본체(110)가 커버하면서 위치된다.
이때, 신발(10)의 앞코 부분에 대응되는 방수커버본체(110)의 앞코부(111)에 앞코와이어(미도시)가 구성되는 경우 앞코와이어(미도시)에 의해 앞코부(111)가 신발(10)의 앞코 부분에 소정의 탄성을 통해 끼워진 후 그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신발(10)의 발등 부분에 대응되는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에 구성된 발등와이어(130)에 의해 발등부(114)가 신발(10)의 발등 부분에 소정의 탄성을 통해 끼워진 후 그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신발(10)의 앞꿈치 부분의 양측 하단부에 대응되는 방수커버본체(110)의 앞꿈치부(112) 양측 하단부에 구성된 앞꿈치와이어(140)에 의해 앞꿈치부(112) 하단부가 신발(10)의 앞꿈치 부분 하단부를 소정의 탄성을 통해 가압한다.
한편, 신발(10)이 방수커버본체(110) 보다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길이가변수단(150)에 의해 방수커버본체(110)의 아치부(113)가 연결와이어(151)를 통해 앞꿈치부(112)의 상면으로 말리면서 접혀진 후 결합부재(152)의 결속을 통해 길이가 가변되어 신발(10)의 크기가 작더라도 방수커버본체(110)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밴드수단(160)에 의해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가 고정밴드(161)를 통해 신발(10)의 밑창에 걸림 지지되어 보다 안정적인 착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10)의 밑창을 제외한 앞코 부분부터 발등 부분까지 방수커버본체(110)가 밀착 및 커버됨으로써, 빗물이나 바닥의 물에 의해 신발(10)의 앞코부터 발등 부분이 젖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신발(10)의 밑창을 제외한 앞코 부분부터 발등 부분까지를 커버하는 방수커버본체(110); 신발(10)의 발등 부분에 대응되는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에 구성되어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가 신발(10)의 발등 부분에 밀착 커버되도록 하는 발등와이어(130); 방수커버본체(110)의 앞꿈치부(112)와 발등부(114) 사이에 해당되는 앞꿈치부(112)의 양측 하단부에 각각 구성되어 방수커버본체(110)의 앞꿈치부(112) 양측 하단부가 신발(10)의 앞꿈치 부분에 밀착 커버되도록 하는 앞꿈치와이어(140); 및 방수커버본체(110)의 앞꿈치부(112)와 아치부(113)의 연결 부위에 구성되어 앞꿈치부(112)와 아치부(113)의 접힘 동작을 통해 방수커버본체(11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길이가변수단(150)을 포함하고,
    방수커버본체(110)는,
    실리콘 또는 TPE 재질을 가지고 꼭지점이 뭉뚝한 속이 빈 반원뿔 형상을 가지며,
    신발(10)의 앞코 부분에 대응되는 앞코부(111), 신발(10)의 앞꿈치 부분에 대응되는 앞꿈치부(112), 신발(10)의 아치 부분에 대응되는 아치부(113) 및 신발의 발등 부분에 대응되는 발등부(114)로 구분되고,
    발등부(114)의 중앙 부분에 신발끈이 관통되는 신발끈관통공(115)이 형성되며,
    길이가변수단(150)은,
    방수커버본체(110)의 앞꿈치부(112)와 아치부(113)의 연결 부위에 구성되어 방수커버본체(110)의 앞꿈치부(112)와 아치부(113)의 연결 부위가 신발(10)의 앞꿈치 부분과 아치 부분에 밀착 커버되도록 하는 연결와이어(151)와;
    방수커버본체(110)의 앞꿈치부(112)와 아치부(113)에 각각 암수 구조로 구성되고 방수커버본체(110)의 아치부(113)가 앞꿈치부(112)의 상면으로 말리면서 접혀진 후 상호간 결합되는 결합부재(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앞코부(111)는 2T, 앞꿈치부(112)와 아치부(113)는 1T 및 발등부(114)는 3T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의 양측 하단부를 상호간 연결하면서 구성되어 발등부(114)가 신발(10)의 밑창에 걸림 지지되는 고정밴드수단(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고정밴드수단(160)은,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 양측 하단부 중 안쪽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밴드(161);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 양측 하단부 중 바깥쪽면에 구성되는 복수개의 제1고정버튼(162); 및
    고정밴드(161)의 타단에 구성되고 고정밴드(161)의 타단이 신발(10)의 밑창 부분을 경유하면서 발등부(114)의 안쪽면으로부터 바깥쪽면까지 연장시 복수개의 제1버튼(16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고정밴드(161)에 의해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가 신발(10)의 밑창에 걸림 지지되도록 하는 제2버튼(1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
  9. 제8항에 있어서, 고정밴드수단(160)은,
    고정밴드(161)의 타단이 고정되는 방수커버본체(110)의 발등부(114) 양측 하단부 중 바깥쪽면에 구성되고 상호간 결합되는 제1버튼(162)과 제2버튼(163)을 커버하는 마감커버(16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
KR1020230091467A 2023-07-14 2023-07-14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 KR102623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467A KR102623983B1 (ko) 2023-07-14 2023-07-14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467A KR102623983B1 (ko) 2023-07-14 2023-07-14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983B1 true KR102623983B1 (ko) 2024-01-10

Family

ID=89511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1467A KR102623983B1 (ko) 2023-07-14 2023-07-14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98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058Y1 (ko) 2002-11-18 2003-03-19 황우필 신발 보호 커버
KR200324916Y1 (ko) 2003-05-22 2003-09-03 정혜경 신발 방수용 착용구
KR200337752Y1 (ko) 2003-10-08 2004-01-07 황우필 신발 커버
JP2004057432A (ja) * 2002-07-29 2004-02-26 Takao Aisaka 紐靴の防水具
KR20100002117U (ko) * 2008-08-19 2010-03-02 장유리 등산화용 방수 덮개
JP3173551U (ja) * 2011-11-04 2012-02-09 ▲かん▼茂星 折畳み式の底無し雨避け靴カバー
KR101285939B1 (ko) 2011-10-13 2013-07-12 최문철 방수용 신발 스패츠
KR20190105423A (ko) * 2018-03-05 2019-09-17 현정규 신발 보호용 캡
KR102300241B1 (ko) * 2021-02-15 2021-09-08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캐스트 슈즈용 발가락 보호 신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7432A (ja) * 2002-07-29 2004-02-26 Takao Aisaka 紐靴の防水具
KR200308058Y1 (ko) 2002-11-18 2003-03-19 황우필 신발 보호 커버
KR200324916Y1 (ko) 2003-05-22 2003-09-03 정혜경 신발 방수용 착용구
KR200337752Y1 (ko) 2003-10-08 2004-01-07 황우필 신발 커버
KR20100002117U (ko) * 2008-08-19 2010-03-02 장유리 등산화용 방수 덮개
KR101285939B1 (ko) 2011-10-13 2013-07-12 최문철 방수용 신발 스패츠
JP3173551U (ja) * 2011-11-04 2012-02-09 ▲かん▼茂星 折畳み式の底無し雨避け靴カバー
KR20190105423A (ko) * 2018-03-05 2019-09-17 현정규 신발 보호용 캡
KR102300241B1 (ko) * 2021-02-15 2021-09-08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캐스트 슈즈용 발가락 보호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6336A (en) Protective overshoe
US7631440B2 (en) Shoe with anatomical protection
US8056149B2 (en) Combination sock and shoe
CN110381764A (zh) 带有允许轻松穿脱的闭合机构的鞋类
US8959795B2 (en) Flip flop and slipper in one/convertible sandal slipper
CN104544704A (zh) 登山靴
US20200229531A1 (en) Shoe with improved strap assembly
US4562654A (en) Ski shoe for cross-country skiing
US1187778A (en) Antislipping overshoe.
US20090094862A1 (en) Heel stabilizer
KR102623983B1 (ko) 신발용 빗물 방수커버
KR100533544B1 (ko) 신발 위에 착용하는 방수 덧신
US20220322783A1 (en) Article of Footwear for Sand Surfaces
US20100000120A1 (en) Heel stabilizer
US20120060390A1 (en) Footwear
KR100742397B1 (ko) 등산화 결착용 보호대
US20080307675A1 (en) Heel Stabilizer
US20060277789A1 (en) Shoe glove boot
KR200337752Y1 (ko) 신발 커버
WO2007031790A2 (en) Debris exclusion garment for use with footwear
KR101188698B1 (ko) 깁스 환자용 신발
KR200450812Y1 (ko) 방수신발커버
CN210018036U (zh) 无底鞋套
US2438826A (en) Woman's protective hosiery and shoe covering
JP3100977U (ja) 履き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