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1677A - 캔용기 - Google Patents

캔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1677A
KR20040051677A KR1020020078629A KR20020078629A KR20040051677A KR 20040051677 A KR20040051677 A KR 20040051677A KR 1020020078629 A KR1020020078629 A KR 1020020078629A KR 20020078629 A KR20020078629 A KR 20020078629A KR 20040051677 A KR20040051677 A KR 20040051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reaction plate
wings
pac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만조
Original Assignee
심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만조 filed Critical 심만조
Priority to KR1020020078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1677A/ko
Publication of KR20040051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67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을 담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가 전면 개방된 몸체와; 몸체의 상단 둘레로부터 몸체의 외측 하단부쪽으로 몸체와 예각을 이루면서 소정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경사 테두리와; 중심부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몸체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반동판과, 몸체와 반동판 사이의 밀봉 유지를 위해 반동판의 내주면에 설치된 패킹과, 반동판의 둘레에 반동판의 내면쪽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반동판과 둔각을 이루면서 소정 간격으로 배열 형성되고 종단에 각각 걸림편이 형성된 다수개의 날개들을 구비한 뚜껑으로 구성된 캔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캔용기는 상부면 전체가 착탈식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용기 전체가 스틸로 제조될 수 있어 알루미늄 뚜껑을 구비한 일반적인 캔용기에 비해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동시에 재활용이 용이하여 종래의 캔용기 폐기처분으로 인해 발생하던 환경오염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으며, 몸체 내부에 담긴 내용물(음료수 등)을 컵의 분위기로 안정되게 마실 수 있고, 남은 내용물(음료수, 음식물 등)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캔용기{Can}
본 발명은 캔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몸체의 상부면 전체를 착탈식 뚜껑으로 커버하여 캔용기 전체가 스틸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 담긴 내용물(음료수 등)을 컵의 분위기로 마실 수 있도록 하며, 남은 내용물(음료수, 음식물 등)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캔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량음료, 탄산음료, 주류, 차, 커피 등의 음료수를 담아 저장하기 위한 캔용기는 상부면에 필요시 개구를 만들 수 있는 개구편이 형성되어 있고, 개구편의 일단에 개구탭이 장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개구탭을 앞으로 잡아당기면 개구편이 몸체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면서 개구가 만들어지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는 캔용기의 개구탭을 이용하여 개구를 만든 다음 개구를 통해 내부 음료수를 마시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캔용기는 음료수가 담기는 몸체 부분은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스틸로 제조되나, 개구편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면은 기술적인 문제로 인하여 스틸이 아닌 고가의 알루미늄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이처럼 캔용기에 알루미늄이 사용되면 제조원가가 비싸지고, 캔용기가 단일 재질이 아닌 2가지 재질(스틸과 알루미늄)로 제조되면 재활용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스틸과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캔용기는 각각을 스틸부분과 알루미늄부분으로 분리해야만 재활용이 가능한데, 캔용기를 일일이 스틸부분과 알루미늄부분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많은비용과 노력이 들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재활용하기가 곤란하여 많은 수량이 폐기 처분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 환경오염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캔용기는 내부 음료수가 흘러나오는 개구가 좁기 때문에 음료수가 흘러나올 때 그 흐름이 부드럽지 못하여 컵과 같이 상부가 전면 개방된 용기를 이용하여 음료수를 마실 때보다 불편하였고, 내부에 남은 음료수의 양을 쉽게 확인할 수도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캔용기는 일단 개구를 만들고 나면 개구를 다시 닫을 수 없기 때문에 마시고 남은 음료수(특히 탄산가스가 함유된 맥주, 콜라, 사이다 등)의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부면 전체를 착탈식 뚜껑으로 만들어 용기 전체가 스틸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컵의 분위기로 마실 수 있도록 하며, 남은 내용물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캔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의 지름이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재활용을 위해 몸체를 수거할 때 몸체끼리 포개진 상태에서 압착되어 수거 부피가 줄어들도록 한 캔용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물 포장 과정에서 탄산가스나 질소가스가 내용물과 함께 충전된 후 기밀이 유지된 상태일 경우 몸체와 뚜껑 사이의 내부 압력을 해제시켜 뚜껑을 쉽게 열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수 있는 캔용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캔용기는 내용물을 담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가 전면 개방된 몸체와; 몸체의 상단 둘레로부터 몸체의 외측 하단부쪽으로 몸체와 예각을 이루면서 소정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경사 테두리와; 중심부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몸체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반동판과, 몸체와 반동판 사이의 밀봉 유지를 위해 반동판의 내주면에 설치된 패킹과, 반동판의 둘레에 반동판의 내면쪽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반동판과 둔각을 이루면서 소정 간격으로 배열 형성되고 종단에 각각 걸림편이 형성된 다수개의 날개들을 구비한 뚜껑으로 구성되고, 날개들 사이로 몸체의 상단이 삽입되면 날개들의 걸림편이 경사 테두리의 종단에 걸려 뚜껑이 몸체에 장착 고정되고, 뚜껑이 몸체에 장착 고정된 상태에서 반동판의 중심부가 아래로 눌려 오목해지면 날개들이 반동력에 의해 반동판의 외측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걸림편이 경사 테두리의 종단으로부터 이탈되어 뚜껑이 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경사 테두리는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몸체는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몸체와 경사 테두리와 뚜껑은 스틸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사 테두리의 종단은 날개들의 폭과 동일한 간격을 기준으로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날개들의 걸림편은 경사 테두리의 종단과 동일한 각도 및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와 뚜껑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소정의 내용물이 탄산가스나 질소가스와 함께 충전된 후 기밀이 유지된 상태일 경우 캔용기의 내부공간의 압력 상태를 해제시켜 뚜껑을 열 수 있도록 날개들 중 하나(이하 압력해제용 날개라 함)에는 반동판과의 경계선 부근에 슬릿이 형성되고, 압력해제용 날개의 종단에는 압력해제용 날개와 예각을 이루는 동시에 종단부가 슬릿을 통과하여 패킹에 접촉되어 있다가 외력이 가해지면 종단부가 패킹을 밀면서 패킹과 몸체의 상단 사이에 개구를 발생시켜 몸체와 뚜껑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압력 상태를 해제시키는 압력해제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압력해제수단의 종단부는 패킹에 접촉되고 평평하게 형성된 1차 삽입부와, 1차 삽입부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중심부가 돌출된 2차 삽입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력해제용 날개와 압력해제수단 사이에는 압력해제수단이 몸체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로킹부재가 더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캔용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뚜껑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캔용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압력해제수단이 내부공간의 압력을 해제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캔용기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캔용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200: 경사 테두리
300: 뚜껑 310: 반동판
320: 패킹 330: 걸림편
340a, 340b: 날개 350: 슬릿
360: 압력해제수단 370: 로킹부재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캔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캔용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뚜껑의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캔용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압력해제수단이 내부공간의 압력을 해제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캔용기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캔용기는 음료수나 음식물 등의 내용물(C)을 담기 위한 내부공간(V)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가 전면 개방된 몸체(100)와; 몸체(100)의 상단 둘레에 몸체(100)와 예각을 이루면서 장착된 경사 테두리(200)와; 몸체(100)의 상부 전체를 밀폐 혹은 개방하는 착탈식 뚜껑(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추후 재활용을 위해 몸체(100)가 수거될 때 서로 다른 캔용기의 몸체끼리 여러 개 포개진 상태에서 압착되어 수거 부피가 줄어들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경사 테두리(200)는 몸체(100)의 상단 둘레로부터 몸체(100)의 외측 하단부쪽으로 몸체(100)와 예각을 이루면서 소정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몸체(100)와 별개로 스틸로 제조되어 몸체(10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뚜껑(300)은 중심부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몸체(10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반동판(310)과, 몸체(100)와 반동판(310) 사이의 밀봉 유지를 위해 반동판(310)의 내주면에 설치된 패킹(320)과, 반동판(310)의 둘레에 반동판(310)의 내면쪽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반동판(310)과 둔각을 이루면서 소정 간격으로 배열 형성되고 종단에 각각 걸림편(330)이 형성된 다수개의 날개들(340a, 340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날개들(340a, 340b)과 각각의 걸림편(3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동판(310)과 일체로 형성된 후 각각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패킹(320)은 여러 가지 코팅재로 형성될 수 있고, 패킹(320)으로 인해 몸체(100)와 뚜껑(3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V)은 밀폐가 가능해지고, 내부공간(V)에 담긴 내용물(C)도 항상 제 맛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날개들(340a, 340b) 중 하나(이하 압력해제용 날개라 함, 340a)에는 반동판(310)과의 경계선 부근에 슬릿(slit,350)이 형성되고, 압력해제용 날개(340a)의 종단에는 압력해제용 날개(340a)와 예각을 이루는 동시에 종단부가 슬릿(350)을 통과하여 패킹(320)에 접촉되어 있다가 외력이 가해지면 종단부가 패킹(320)을 밀면서 패킹(320)과 몸체(100)의 상단 사이에 개구를 발생시켜 몸체(100)와 뚜껑(30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V)의 압력 상태를 해제시키는 압력해제수단(36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압력해제수단(360)은 몸체(100)와 뚜껑(30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V)에 소정의 내용물(C)이 탄산가스나 질소가스와 함께 충전된 후 기밀이 유지된 상태일 경우 캔용기 내부의 압력 상태를 해제시켜 뚜껑(300)을 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해제수단(360)의 종단부는 패킹(320)에 접촉되고 평평하게 형성된 1차 삽입부(362)와, 1차 삽입부(362)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중심부가 돌출된 2차 삽입부(364)로 구성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먼저 1차 삽입부(362)가 패킹(320)을 내부공간(V)쪽으로 밀어 내부 압력으로 인해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는 패킹(320)과 몸체(100)의 상단 사이에 틈을 만들고, 이어서 2차 삽입부(364)의 돌출된 중심부가 계속 패킹(320)을 내부공간(V)쪽으로 밀면서 패킹(320)과 몸체(100)의 상단 사이 간격을 더 크게 벌려 결국 캔용기의 내부 압력 상태를 해제시킨다. 상기 압력해제수단(360)과 1차 삽입부(362) 및 2차 삽입부(36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해제용 날개(340a)와 일체로 형성된 후 각각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압력해제수단(360)의 형상은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하므로 압력해제수단(360)의 형상이 본원의 요지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경사 테두리(200)의 종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들(340a, 340b)의 폭과 동일한 간격을 기준으로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날개들(340a, 340b)의 걸림편(330) 역시 경사 테두리(200)의 종단과 동일한 각도 및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뚜껑(300)을 몸체(100)에 결합할 때 날개들(340a, 340b)의 걸림편(330)이 경사 테두리(200)의 종단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뚜껑(300)을 경사진 방향(고→저, 도 1의 A 방향)으로 돌리면 날개들(340a, 340b)의 걸림편(330)이 경사 테두리(200)의 종단을 따라 이동하면서 약간 하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반동판(310)과 패킹(320)이 몸체(100)의 상단쪽으로 밀착되어 결국 뚜껑(300)이 몸체(100)에 보다 단단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몸체(100)와 경사 테두리(200)와 뚜껑(300)은 모두 스틸로 제조된다. 즉, 상기 뚜껑(300)에는 종래와 같이 개구편이 없으므로 알루미늄으로 제조될 필요가 없다.
아울러, 상기 압력해제수단(360)과 압력해제용 날개(340a) 사이에는 압력해제수단(360)이 몸체(100)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소정 형상의 로킹부재(370)를 더 삽입하고, 로킹부재(370) 삽입된 상태로 날개들(340a, 340b)의 외주를 비닐포장(도면상 도시되지 않음) 등으로 덮어씌워 제품화하면, 사용자의 취급 부주의로 원하지 않을 때 캔용기의 내부 압력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캔용기의 뚜껑 개·폐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내용물 포장 과정에서 탄산가스나 질소가스가 내용물(C)과 함께 충전된 후 기밀이 유지된 상태의 캔용기를 살펴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0)의 반동판(310) 중심부는 상부로 볼록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반동판(3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날개들(340a, 340b)은 반동판(310)과 둔각을 이루면서 걸림편(330)이 경사 테두리(200)의 종단에 맞물려 있고, 압력해제수단(360)과 압력해제용 날개(340a) 사이에는 로킹부재(370)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로킹부재(370)를 제거한 다음 압력해제수단(360)의 종단부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쪽으로 밀면 먼저 평평하게 형성된 압력해제수단(360)의 1차 삽입부(362)가 캔용기의 내부공간(V)쪽으로 패킹(320)을 밀어 패킹(320)과 몸체(100)의 상단 사이에 틈을 만들고, 이어서 중심부가 돌출된 압력해제수단(360)의 2차 삽입부(364)가 패킹(320)을 계속 밀면서 패킹(320)과 몸체(100)의 상단 사이 간격을 더 크게 벌려 결국 캔용기 내부의 압력 상태를 해제시킨다. 그 후, 사용자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동판(310)의 중심부를 누르면 반동판(310)이 오목하게 되고, 동시에 반동판(3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날개들(340a, 340b)이 반동력에 의해 반동판(310)의 외측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걸림편(330)이 경사 테두리(200)의 종단으로부터 이탈된다. 그 결과, 뚜껑(300)은 몸체(100)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고, 사용자는 뚜껑(300)이 제거되어 상부 전면이 개방된 몸체(100)의 내부에 담긴 내용물(C)을 컵의 분위기로 안정되게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는 내용물(C)을 섭취하면서큰 개구를 통해 몸체(100)의 내부에 남은 내용물(C)의 양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몸체(10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뚜껑(300)의 반동판(310) 하부면을 위로 밀어 오목한 상태로 되어 있던 반동판(310)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볼록하게 만든 다음 날개들(340a, 340b)의 종단을 경사 테두리(200)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뚜껑(300)을 몸체(100)쪽으로 밀면 날개들(340a, 340b)의 종단이 경사 테두리(200)의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날개들(340a, 340b)은 약간씩 벌어진 상태가 되고, 이후 뚜껑(300)의 패킹(320)이 몸체(100)의 상단에 도달하고 날개들(340a, 340b)의 걸림편(330)이 경사 테두리(200)의 종단 아래로 이동하는 순간 날개들(340a, 340b)의 금속 복원력으로 인해 걸림편(230)이 경사 테두리(200)의 종단쪽으로 회동하여 경사 테두리(200)의 종단에 맞물리게 된다. 그 결과, 뚜껑(300)은 다시 몸체(100)에 장착 고정되게 되고, 몸체(100)와 뚜껑(3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V)도 밀폐된다. 이 때, 사용자가 뚜껑(300)을 경사 테두리(200)의 경사진 방향(도 1의 A 방향)으로 약간만 돌려주면 날개들(340a, 340b)의 걸림편(330)이 경사 테두리(200)의 종단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약간 하강함으로써 반동판(310)과 패킹(320)도 몸체(100)의 상단쪽으로 더 이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결국 뚜껑(300)이 몸체(100)의 상단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뚜껑(300)은 몸체(100)에 쉽게 착·탈될 수 있고, 몸체(100)에 장착될 때는 내부공간(V)을 밀폐시켜 주므로 사용자는 내용물(C)을 섭취할 때 수시로 먹고 남은 내용물(C)을 캔용기의 내부에 그대로 밀봉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탄산가스가 함유된 맥주, 콜라, 사이다 등의 음료수도 마시고 남았을 때뚜껑(300)만 몸체(100)에 장착 고정시켜 보관하면 패킹(320)에 의해 탄산가스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제 맛을 그대로 간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상 도시된 바는 없으나 도 3a에 도시된 캔용기의 압력해제용 날개(340a)와 압력해제수단(360) 사이에 로킹부재(370)가 더 삽입되고, 로킹부재(370)가 삽입된 상태에서 날개들(340a, 340b)의 외주가 비닐포장 등으로 덮어씌워진 경우 사용자는 우선 비닐포장을 뜯고 로킹부재(370)를 제거한 후 상기에서 설명된 동작을 반복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캔용기는 음료수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과자나 각종 음식물의 포장 및 보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캔용기는 몸체(100)와 경사 테두리(200)와 뚜껑(300)이 모두 단일 재질(스틸)로 제조되므로 재활용을 위해 몸체(100)와 뚜껑(300)을 따로 분리할 필요가 없어 재활용이 용이하고, 몸체(100)의 형태 특성상 몸체(100)를 여러 개 포갤 수 있으므로 몸체(100)를 수거할 때 여러 개 포갠 상태에서 압착하면 수거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어 수거 비용이 절감되고, 알루미늄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스틸로만 제조되므로 일반적인 캔용기에 비해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캔용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경사 테두리(200')가 몸체(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캔용기와 같이 경사 테두리(200')가 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면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캔용기보다 구조가 단순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캔용기는 상부면 전체가 착탈식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용기 전체가 스틸로 제조될 수 있어 알루미늄 뚜껑을 구비한 일반적인 캔용기에 비해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동시에 재활용이 용이하여 종래의 캔용기 폐기처분으로 인해 발생하던 환경오염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으며, 몸체의 형태 특성상 몸체의 수거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어 수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몸체 내부에 담긴 내용물(음료수 등)을 컵의 분위기로 안정되게 마실 수 있고, 남은 내용물(음료수, 음식물 등)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금속으로 제조된 캔용기에 있어서,
    내용물을 담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가 전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 둘레로부터 상기 몸체의 외측 하단부쪽으로 상기 몸체와 예각을 이루면서 소정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경사 테두리와;
    중심부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반동판과, 상기 몸체와 상기 반동판 사이의 밀봉 유지를 위해 상기 반동판의 내주면에 설치된 패킹과, 상기 반동판의 둘레에 상기 반동판의 내면쪽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반동판과 둔각을 이루면서 소정 간격으로 배열 형성되고 종단에 각각 걸림편이 형성된 다수개의 날개들을 구비한 뚜껑으로 구성되고,
    상기 날개들 사이로 상기 몸체의 상단이 삽입되면 상기 날개들의 걸림편이 상기 경사 테두리의 종단에 걸려 상기 뚜껑이 상기 몸체에 장착 고정되고,
    상기 뚜껑이 상기 몸체에 장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반동판의 중심부가 아래로 눌려 오목해지면 상기 날개들이 반동력에 의해 상기 반동판의 외측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걸림편이 상기 경사 테두리의 종단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뚜껑이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테두리는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와 상기 경사 테두리와 상기 뚜껑은 스틸로 제조되고,
    상기 경사 테두리의 종단은 상기 날개들의 폭과 동일한 간격을 기준으로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날개들의 걸림편은 상기 경사 테두리의 종단과 동일한 각도 및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뚜껑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소정의 내용물이 탄산가스나 질소가스와 함께 충전된 후 기밀이 유지된 상태일 경우 상기 내부공간의 압력 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뚜껑을 열 수 있도록 상기 날개들 중 하나(이하 압력해제용 날개라 함)에는 상기 반동판과의 경계선 부근에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압력해제용 날개의 종단에는 상기 압력해제용 날개와 예각을 이루는 동시에 종단부가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패킹에 접촉되어 있다가 외력이 가해지면 종단부가 상기 패킹을 밀면서 상기 패킹과 상기 몸체의 상단 사이에 개구를 발생시켜 상기 몸체와 상기 뚜껑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압력 상태를 해제시키는 압력해제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해제수단의 종단부는 상기 패킹에 접촉되고 평평하게 형성된 1차 삽입부와, 상기 1차 삽입부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중심부가 돌출된 2차 삽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해제용 날개와 상기 압력해제수단 사이에는 상기 압력해제수단이 상기 몸체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로킹부재가 더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
KR1020020078629A 2002-12-11 2002-12-11 캔용기 KR200400516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629A KR20040051677A (ko) 2002-12-11 2002-12-11 캔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629A KR20040051677A (ko) 2002-12-11 2002-12-11 캔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677A true KR20040051677A (ko) 2004-06-19

Family

ID=37345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629A KR20040051677A (ko) 2002-12-11 2002-12-11 캔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167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757B1 (ko) * 2012-11-19 2014-11-13 배창현 일회용 밀폐용기
US9750375B2 (en) 2014-03-07 2017-09-05 Muhyun BYUN Sink splash guard and securing device
KR20200001075U (ko) 2018-11-16 2020-05-26 조아람 다중 식품 포장 용기
KR20210136537A (ko) 2020-05-08 2021-11-17 조윤서 기체질소 주입이 가능한 캔 및 이것을 이용한 기체질소 주입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8696A (en) * 1977-02-25 1978-03-14 Polysar Resins, Inc. Containers and closures therefor
KR860001549Y1 (ko) * 1983-01-17 1986-07-19 영풍제관주식회사 밀봉용 뚜껑
KR200194403Y1 (ko) * 1998-03-14 2000-10-02 박지환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소형 수납통
KR200202846Y1 (ko) * 2000-05-31 2000-11-15 김이현 캔 용기의 뚜껑안전 구조
KR200253222Y1 (ko) * 2001-07-31 2001-11-22 심만조 캔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8696A (en) * 1977-02-25 1978-03-14 Polysar Resins, Inc. Containers and closures therefor
KR860001549Y1 (ko) * 1983-01-17 1986-07-19 영풍제관주식회사 밀봉용 뚜껑
KR200194403Y1 (ko) * 1998-03-14 2000-10-02 박지환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소형 수납통
KR200202846Y1 (ko) * 2000-05-31 2000-11-15 김이현 캔 용기의 뚜껑안전 구조
KR200253222Y1 (ko) * 2001-07-31 2001-11-22 심만조 캔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757B1 (ko) * 2012-11-19 2014-11-13 배창현 일회용 밀폐용기
US9750375B2 (en) 2014-03-07 2017-09-05 Muhyun BYUN Sink splash guard and securing device
KR20200001075U (ko) 2018-11-16 2020-05-26 조아람 다중 식품 포장 용기
KR20210136537A (ko) 2020-05-08 2021-11-17 조윤서 기체질소 주입이 가능한 캔 및 이것을 이용한 기체질소 주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4332B1 (en) Stoppers for individual beverage containers
US5452818A (en) Reusable beverage can closure
US9289083B2 (en) Food container with discard compartment
US7275653B2 (en) Reclosable container lid
US5244113A (en) Container lid assembly
US20010022304A1 (en) Container
EP3196143A1 (en) Lid structure for a container and container fitted with the lid
US5950857A (en) Leak resistant and squeeze resistant liquid box container
US20120233968A1 (en) Liquid container and method of serving a liquid
US20100021089A1 (en) Re-sealable spigot for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WO2008020301A1 (en) A drinking vessel
US20220371871A1 (en) Implement for Opening Sealed Beverage Lever Tab Cans, Twist Cap Bottles and Pop-Off Cap Bottles
US5346088A (en) Reusable beverage can cap
US3268792A (en) Beverage container with drinking straw
WO1998054061A1 (fr) Capsule de fermeture pour boite metallique pour boissons
KR20040051677A (ko) 캔용기
US5221020A (en) Reusable beverage can cap
KR200253222Y1 (ko) 캔용기
KR102142915B1 (ko) 음료용기
WO1993003973A1 (en) A container cap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GB2344580A (en) Multicompartment beverage container
AU2010212412A1 (en) Reusable container closure
KR200435196Y1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FR2769597A1 (fr) Boite metallique pourvue d&#39;un goulot a vis pour boiss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