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915B1 -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915B1
KR102142915B1 KR1020200030126A KR20200030126A KR102142915B1 KR 102142915 B1 KR102142915 B1 KR 102142915B1 KR 1020200030126 A KR1020200030126 A KR 1020200030126A KR 20200030126 A KR20200030126 A KR 20200030126A KR 102142915 B1 KR102142915 B1 KR 102142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order
piercing
arc radius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운철
양재현
Original Assignee
양운철
양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운철, 양재현 filed Critical 양운철
Priority to KR1020200030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1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65D51/2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림(51), 필름테두리(61) 및 캡단턱테두리(72)의 위치 및 구조를 적극 활용하여, 캡단턱테두리(72)에 인접한 커버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반경가장자리셀프홀(77b)을 마련하면서 필름테두리(61)에 인접한 플렉시블면(62)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62a)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원호반경가장자리블레이드(77c)를 피어서(77)의 구성으로 구비시켜, 음료를 마시고자 컵(50)을 기울었을 때 음료가 컵(50)의 측면에서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62a) 및 원호반경가장자리셀프홀(77b)을 직통하여 식음자의 입술에 곧바로 이를 수 있도록 하여 일반적인 병의 주둥이에 입술을 대고 마시는 것과 같이 음료의 흡입 타이밍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료의 출렁거림 또한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입술 주위로 음료가 흘러내리는 현상까지 철저히 없앨 수 있게 한 음료용기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음료용기{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를 마시고자 컵을 기울었을 때 음료가 컵의 측면에서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 및 원호반경가장자리셀프홀을 직통하여 식음자의 입술에 곧바로 이를 수 있도록 하여 일반적인 병의 주둥이에 입술을 대고 마시는 것과 같이 음료의 흡입 타이밍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료의 출렁거림 또한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입술 주위로 음료가 흘러내리는 현상까지 철저히 없앨 수 있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스나 커피, 우유, 홍차, 녹차 등과 같은 음료는 음료용기에 담겨져 밀봉된 채로 판매되고, 소비자는 음료용기의 밀봉을 해제하거나 스트로(Straw)를 꼽아 음료를 마시게 된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92788호)에 소개된 음료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를 소비자가 마실 수 있도록 한 용기(102)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컵(104)이 상광하협의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데, 컵(104)의 상단부에는 플랜지(106)가 형성되고, 컵(104)의 외주벽에는 스트로(108)가 고주파 가열로 부착된다.
그리고, 플랜지(106)의 상단면에는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은박지로 된 커버(110)가 고주파 가열로 부착되고, 컵(104)의 상단부에는 캡(112)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캡(112)은 상단부에 스트로(108)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한 플랩(Flap; 114)이 후미를 일체로 형성하면서 원호로 절취되어 형성되고, 캡(112)의 측벽 하부 둘레에는 고정역할을 하는 돌기(116)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캡(112)의 하단부에는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안내면(118)이 일체로 연장되면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벌려진다.
선행기술문헌 1에 소개된 음료용기의 결합 순서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컵(104)에 내용물을 채운 다음 커버(110)를 플랜지(106)의 상단부에 주파 가열하여 부착하고, 컵(104)의 외주벽에는 스트로(108)를 고주파 가열하여 부착하며, 이후로 캡(112)을 컵(104)의 상단부에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캡(112)은 안내면(118)이 플랜지(106)의 외주면에 의해 외측으로 벌려지면서 하강하여 돌기(116)가 플랜지(106)의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결합이 종료되는데, 이로 인해 캡(112)의 측벽은 플랜지(106)의 외주면에 밀착하게 되고, 돌기(116)는 플랜지(106)의 아래에 걸린 상태가 됨으로써 캡(112)은 컵(104)에 고정되면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음료용기는 내용물을 마시기 위하여 컵(104)의 외주벽에 고주파 가열로 부착된 스트로(108)를 활용하는데, 이러할 경우 작은 부품으로 된 스트로(108)를 통해 내용물을 마신 후 폐기하였을 때 수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각종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동식물에 악영향을 미치고, 특히 스트로(108)를 컵(104)의 외주벽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고주파 가열이라는 번거로운 작업을 하여야하고, 나아가 스트로(108)가 부착된 컵(104)의 외관이 복잡해지면서 보관 및 유통시 또한 어려움[보관시 떨어져 나가는 어려움과 유통시 스트로(108)의 점유공간만큼 밀착 적층시키지 못하는 어려움 등]에 처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컵의 필름을 보호하기 위하여 캡이 씌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3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피어서 및 송곳을 통한 필름의 피어싱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음료를 마시고자 컵을 기울린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음료용기는 음료를 내장하며 외향으로 돌출된 탑림(11)을 지닌 컵(10)과, 탑림(11) 위에 부착되어 컵(10)을 밀봉시키는 필름(20)과, 탑림(11)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캡(30)을 포함한다.
이때, 캡(30)은 탑림(11)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조립되는 착탈테두리(31)와, 착탈테두리(31)의 상단으로부터 내향으로 씌워져 필름(20)을 보호하는 커버면(32)과, 커버면(32)으로부터 상하 회동가능하면서 수평 상태시 필름(20)을 커버링하여 보호하고 하강 회동시 셀프출구(32a)를 마련함과 동시에 필름(20)을 관통시켜 필름출구(21)를 형성시키는 피어서(40)를 포함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음료용기는 셀프출구(32a)가 커버면(32)의 내측에 마련됨과 동시에 필름출구(21) 역시 필름(20)의 내측에 형성되어, 음료를 마시고자 컵(10)을 기울었을 때 음료가 컵(10)의 측면에서 필름(20)을 타고 넘어가 필름출구(21)를 경유하여 빠져나간 후 다시 커버면(32)을 타고 넘어가 셀프출구(32a)를 통해 배출되는 여러 고개를 넘어야만 하여 식음자가 음료를 마실 때 음료의 흡입 타이밍을 맞추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음료의 출렁거림으로 인하여 입술 주위로 흘러내리는 현상까지 초래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2788호 - 음료용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73289호 - 음료용기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를 마시고자 컵을 기울었을 때 음료가 컵의 측면에서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 및 원호반경가장자리셀프홀을 직통하여 식음자의 입술에 곧바로 이를 수 있도록 하여 일반적인 병의 주둥이에 입술을 대고 마시는 것과 같이 음료의 흡입 타이밍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료의 출렁거림 또한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입술 주위로 음료가 흘러내리는 현상까지 철저히 없앨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의 용이한 섭취를 위한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의 형성 및 캡의 제작시 적층 용이를 위한 캡전체원형상승테두리의 완성이라는 두 가지의 추구하는 바를 모두 만족케 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을 뚫기 위하여 피어서의 하강 회동 후 피어서를 다시 상승 회동시키고자 할 때 양측틈새 사이로 엄지와 검지를 넣어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의 양단을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어서의 하강 회동시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의 양측방향으로 돌출된 양측한계편이 양측단턱에 걸쳐지면서 하강한계를 결정지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의 피어싱의 보장과 더불어 위생적인 사항까지 모두 만족케 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후측힌지라인을 기준으로 피어서를 상승 회동시켜 뒤로 젖힐 때 끼움홈에 끼움돌기가 끼워지도록 하여 음료를 마시고자 컵을 기울었을 경우 피어서가 앞으로 다시 복귀하여 음료 섭취를 방해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을 뚫기 위하여 피어서의 하강 회동 후 피어서를 다시 상승 회동시키고자 할 때 손잡이홈에 검지를 밀착시켜 간단히 들어올릴 수 있도록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어서의 하강 회동 및 상승 회동시 피어서의 무게에 의해 커버판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피어서의 회동 동작을 더욱 안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료를 내장하며 외향으로 돌출된 탑림을 지닌 컵과; 상기 탑림에 고착되는 필름테두리를 지니면서 상기 컵의 중심을 향하여 씌워진 플렉시블면을 지닌 필름과; 상기 탑림의 측면에 조립되는 캡사이드테두리, 상기 필름테두리에 밀착되는 캡단턱테두리 및 상기 플렉시블면을 피어싱하는 피어서를 가지면서 상기 플렉시블면을 보호하는 커버판을 구비한 캡을 포함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피어서는 상기 커버판 내에 후측힌지라인으로 연결되어 상하 회동가능하면서 수평 상태시 상기 플렉시블면을 커버링하여 보호하는 한편 하강 회동시 상기 캡단턱테두리에 인접한 상기 커버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반경가장자리셀프홀을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필름테두리에 인접한 상기 플렉시블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을 형성시키는 원호반경가장자리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탑림, 필름테두리 및 캡단턱테두리의 위치 및 구조를 적극 활용하여, 캡단턱테두리에 인접한 커버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반경가장자리셀프홀을 마련하면서 필름테두리에 인접한 플렉시블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원호반경가장자리블레이드를 피어서의 구성으로 구비시켜, 음료를 마시고자 컵을 기울었을 때 음료가 컵의 측면에서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 및 원호반경가장자리셀프홀을 직통하여 식음자의 입술에 곧바로 이를 수 있도록 하여 일반적인 병의 주둥이에 입술을 대고 마시는 것과 같이 음료의 흡입 타이밍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료의 출렁거림 또한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입술 주위로 음료가 흘러내리는 현상까지 철저히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필름테두리에 인접한 플렉시블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을 형성시키기 위한 피어서의 원호반경가장자리블레이드가 다름 아닌 캡의 캡단턱테두리에 인접한 커버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도록 하면서도 바로 이 원호반경가장자리블레이드로부터 피어싱외곽상승테두리를 상승시켜 궁극적으로 캡전체원형상승테두리를 완성토록 함으로써, 음료의 용이한 섭취를 위한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의 형성 및 캡의 제작시 적층 용이를 위한 캡전체원형상승테두리의 완성이라는 두 가지의 추구하는 바를 모두 만족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을 뚫기 위하여 피어서의 하강 회동 후 피어서를 다시 상승 회동시키고자 할 때 양측틈새 사이로 엄지와 검지를 넣어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의 양단을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피어서의 하강 회동시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의 양측방향으로 돌출된 양측한계편이 양측단턱에 걸쳐지면서 하강한계를 결정지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의 피어싱의 보장과 더불어 위생적인 사항까지 모두 만족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후측힌지라인을 기준으로 피어서를 상승 회동시켜 뒤로 젖힐 때 끼움홈에 끼움돌기가 끼워지도록 하여 음료를 마시고자 컵을 기울었을 경우 피어서가 앞으로 다시 복귀하여 음료 섭취를 방해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을 뚫기 위하여 피어서의 하강 회동 후 피어서를 다시 상승 회동시키고자 할 때 손잡이홈에 검지를 밀착시켜 간단히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피어서의 하강 회동 및 상승 회동시 피어서의 무게에 의해 커버판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피어서의 회동 동작을 더욱 안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소개된 음료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컵의 필름을 보호하기 위하여 캡이 씌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피어서 및 송곳을 통한 필름의 피어싱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음료를 마시고자 컵을 기울린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피어서의 상승 회동시의 필름을 생략한 사시도.
도 5d 및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피어서의 하강 회동시를 나타내는 종단면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피어서의 하강 회동 후 상승 회동시를 나타내는 종단면 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피어서의 하강 회동 후 상승 회동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피어서의 상승 회동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 적용된 캡을 다수 개로 적층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에 적용된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피어서(77)의 상승 회동시의 필름(60)을 생략한 사시도이고, 도 5d 및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피어서(77)의 하강 회동시를 나타내는 종단면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피어서(77)의 하강 회동 후 상승 회동시를 나타내는 종단면 사시도이고,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피어서(77)의 하강 회동 후 상승 회동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피어서(77)의 상승 회동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는 도 5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를 내장하며 외향으로 돌출된 탑림(51)을 지닌 컵(50)과; 탑림(51)에 고착되는 필름테두리(61)를 지니면서 컵(50)의 중심을 향하여 씌워진 플렉시블면(62)을 지닌 필름(60)과; 탑림(51)의 측면에 조립되는 캡사이드테두리(71), 필름테두리(61)에 밀착되는 캡단턱테두리(72) 및 플렉시블면(62)을 피어싱(Piercing)하는 피어서(Piercer; 77)를 가지면서 플렉시블면(62)을 보호하는 커버판(76)을 구비한 캡(70)을 포함한다.
탑림(51)은 컵(50) 속에 음료를 투입할 때 자동화공정 중 로봇 등으로 용이하게 파지케 하기 위한 구성이면서 음료가 내장된 음료용기의 유통시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음료는 컵(50)에 내장된 상태에서 외부로 쏟아지지 않도록 필름(60)으로 밀봉되는데, 유통 및 보관시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찢겨지거나 파손될 수 있어 캡(70)으로 씌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때 필름(60)은 탑림(51)에 고착되는 필름테두리(61)를 지니면서 컵(50)의 중심을 향하여 씌워진 플렉시블면(62)을 지니고, 캡(70)은 탑림(51)의 측면에 예를 들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캡사이드테두리(71), 필름테두리(61)에 밀착되어 음료의 누수를 차단토록 실링(Sealing) 기능을 수행하는 캡단턱테두리(72) 그리고 플렉시블면(62)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커버판(76)을 구비하며, 이때 커버판(76)은 플렉시블면(62)을 피어싱하는 피어서(77)를 가진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피어서(77)는 커버판(76) 내에 후측힌지라인(77a)으로 연결되어 상하 회동가능하면서 수평 상태시 플렉시블면(62)을 커버링하여 보호하는 한편 하강 회동시 캡단턱테두리(72)에 인접한 커버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반경가장자리셀프홀(77b)을 마련함과 동시에 필름테두리(61)에 인접한 플렉시블면(62)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62a; 도 6c)을 형성시키는 원호반경가장자리블레이드(77c)를 구비한다.
필름테두리(61)는 탑림(51)을 따라 고착되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캡단턱테두리(72)는 원형으로 된 필름테두리(6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탑림(51), 필름테두리(61) 및 캡단턱테두리(72)의 위치 및 구조를 적극 활용하여, 캡단턱테두리(72)에 인접한 커버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반경가장자리셀프홀(77b)을 마련하면서 필름테두리(61)에 인접한 플렉시블면(62)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62a)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원호반경가장자리블레이드(77c)를 피어서(77)의 구성으로 구비시켜, 음료를 마시고자 컵(50)을 기울었을 때 음료가 컵(50)의 측면에서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62a) 및 원호반경가장자리셀프홀(77b)을 직통하여 식음자의 입술에 곧바로 이를 수 있도록 하여 일반적인 병의 주둥이에 입술을 대고 마시는 것과 같이 음료의 흡입 타이밍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료의 출렁거림 또한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입술 주위로 음료가 흘러내리는 현상까지 철저히 없앨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 적용된 캡(70)을 다수 개로 적층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 적용된 캡(70)은 도 5a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단턱테두리(72)로부터 상승된 캡외곽상승테두리(73)를 구비하고, 피어서(77)는 원호반경가장자리블레이드(77c)로부터 상승되어 캡외곽상승테두리(73)와 더불어 캡전체원형상승테두리(C)를 완성하는 피어싱외곽상승테두리(77d)를 구비한다.
자동화공정으로 캡(70)을 제작하면서 이동시킬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캡(70)을 적층시킬 수 있어야 하고, 이때 캡전체원형상승테두리(C)는 상하 적층되는 캡(70) 상호간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필름테두리(61)에 인접한 플렉시블면(62)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62a)을 형성시키기 위한 피어서(77)의 원호반경가장자리블레이드(77c)가 다름 아닌 캡(70)의 캡단턱테두리(72)에 인접한 커버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도록 하면서도 바로 이 원호반경가장자리블레이드(77c)로부터 피어싱외곽상승테두리(77d)를 상승시켜 궁극적으로 캡전체원형상승테두리(C)를 완성토록 함으로써, 음료의 용이한 섭취를 위한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62a)의 형성 및 캡(70)의 제작시 적층 용이를 위한 캡전체원형상승테두리(C)의 완성이라는 두 가지의 추구하는 바를 모두 만족케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캡(70)은 캡외곽상승테두리(73)로부터 내향된 캡외곽수평테두리(74)와, 캡외곽수평테두리(74)로부터 하향되어 커버판(76)에 이어지는 캡외곽하강테두리(75)를 포함하고, 피어서(77)는 후측힌지라인(77a)으로부터 펼쳐져 원호반경가장자리셀프홀(77b)을 커버링하는 피어싱판(77j)과, 피어싱외곽상승테두리(77d)로부터 내향된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77e)와,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77e)로부터 하향되어 피어싱판(77j)에 이어지는 피어싱외곽하강테두리(77f)를 포함하여, 음료의 용이한 섭취를 위한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62a)의 형성 및 캡(70)의 제작시 적층 용이를 위한 캡전체원형상승테두리(C)의 완성이라는 두 가지 기능을 보다 적극적으로 만족케 하는 것이다.
이때, 캡외곽상승테두리(73), 캡외곽수평테두리(74) 및 캡외곽하강테두리(75)의 양단은 피어싱외곽상승테두리(77d),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77e) 및 피어싱외곽하강테두리(77f)의 양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양측틈새(T)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하여,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62a)을 뚫기 위하여 피어서(77)의 하강 회동 후 피어서(77)를 다시 상승 회동시키고자 할 때 양측틈새(T) 사이로 엄지와 검지를 넣어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77e)의 양단을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에 적용된 캡(7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캡외곽상승테두리(73), 캡외곽수평테두리(74) 및 캡외곽하강테두리(75)의 양단은 피어싱외곽상승테두리(77d),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77e) 및 피어싱외곽하강테두리(77f)의 양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양측틈새(T)를 마련하면서 양측단턱(D1)을 더 구비하고,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77e)는 양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피어서(77)의 하강 회동시 양측단턱(D1)에 걸쳐지면서 하강한계를 결정짓는 양측한계편(77g)을 더 포함한다.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플렉시블면(62)에 피어싱되는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62a)은 필름테두리(61)에 인접한 플렉시블면(62)의 가장자리를 따라 뚫려지기 때문에 컵(50)을 기울었을 때 음료의 충분한 배출을 가능하게 되고, 반면 피어서(77)의 하강 회동시 원호반경가장자리블레이드(77c)가 플렉시블면(62)을 뚫고 지나치게 하강할 경우 원호반경가장자리블레이드(77c)가 음료 속으로 직접 침수될 수 있어 위생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피어서(77)의 하강 회동시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77e)의 양측방향으로 돌출된 양측한계편(77g)이 양측단턱(D1)에 걸쳐지면서 하강한계를 결정지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62a)의 피어싱의 보장과 더불어 위생적인 사항까지 모두 만족케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캡(7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77e)의 중심에 형성된 끼움홈(77h)과, 커버판(76)으로부터 돌출되어 끼움홈(77h)에 끼워지는 끼움돌기(76a)를 더 포함하여, 후측힌지라인(77a)을 기준으로 피어서(77)를 상승 회동시켜 뒤로 젖힐 때 끼움홈(77h)에 끼움돌기(76a)가 끼워지도록 하여 음료를 마시고자 컵(50)을 기울었을 경우 피어서(77)가 앞으로 다시 복귀하여 음료 섭취를 방해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어싱외곽하강테두리(77f)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형성된 손잡이홈(77i)을 더 포함하여,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62a)을 뚫기 위하여 피어서(77)의 하강 회동 후 피어서(77)를 다시 상승 회동시키고자 할 때 손잡이홈(77i)에 검지를 밀착시켜 간단히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캡(70)은 후측힌지라인(77a)의 양측 커버판(76)으로부터 돌출되어 캡외곽하강테두리(75)에 일체화된 양측돌출편(D2)을 더 포함하여, 피어서(77)의 하강 회동 및 상승 회동시 피어서(77)의 무게에 의해 커버판(76)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피어서(77)의 회동 동작을 더욱 안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피어서(77)의 상승 회동시 피어싱판(77j)의 양측을 지지하여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주스나 커피, 우유, 홍차, 녹차, 등과 같은 음료를 밀봉시켜 판매하는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50 : 컵 51 : 탑림
60 : 필름 61 : 필름테두리
62 : 플렉시블면 62a :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
70 : 캡 71 : 캡사이드테두리
72 : 캡단턱테두리 73 : 캡외곽상승테두리
74 : 캡외곽수평테두리 75 : 캡외곽하강테두리
76 : 커버판 76a : 끼움돌기
77 : 피어서 77a : 후측힌지라인
77b : 원호반경가장자리셀프홀 77c : 원호반경가장자리블레이드
77d : 피어싱외곽상승테두리 77e :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
77f : 피어싱외곽하강테두리 77g : 양측한계편
77h : 끼움홈 77i : 손잡이홈
77j : 피어싱판 T : 양측틈새
D1 : 양측단턱 D2 : 양측돌출편
C : 캡전체원형상승테두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음료를 내장하며 외향으로 돌출된 탑림(51)을 지닌 컵(50)과; 상기 탑림(51)에 고착되는 필름테두리(61)를 지니면서 상기 컵(50)의 중심을 향하여 씌워진 플렉시블면(62)을 지닌 필름(60)과; 상기 탑림(51)의 측면에 조립되는 캡사이드테두리(71), 상기 필름테두리(61)에 밀착되는 캡단턱테두리(72) 및 상기 플렉시블면(62)을 피어싱하는 피어서(77)를 가지면서 상기 플렉시블면(62)을 보호하는 커버판(76)을 구비한 캡(70)을 포함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피어서(77)는 상기 커버판(76) 내에 후측힌지라인(77a)으로 연결되어 상하 회동가능하면서 수평 상태시 상기 플렉시블면(62)을 커버링하여 보호하는 한편 하강 회동시 상기 캡단턱테두리(72)에 인접한 상기 커버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반경가장자리셀프홀(77b)을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필름테두리(61)에 인접한 상기 플렉시블면(62)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62a)을 형성시키는 원호반경가장자리블레이드(77c)를 구비하고,
    상기 캡(70)은 상기 캡단턱테두리(72)로부터 상승된 캡외곽상승테두리(73)를 구비하고,
    상기 피어서(77)는 상기 원호반경가장자리블레이드(77c)로부터 상승되어 상기 캡외곽상승테두리(73)와 더불어 캡전체원형상승테두리(C)를 완성하는 피어싱외곽상승테두리(77d)를 구비하고,
    상기 캡(70)은 상기 캡외곽상승테두리(73)로부터 내향된 캡외곽수평테두리(74)와, 상기 캡외곽수평테두리(74)로부터 하향되어 상기 커버판(76)에 이어지는 캡외곽하강테두리(75)를 포함하고,
    상기 피어서(77)는 상기 후측힌지라인(77a)으로부터 펼쳐져 상기 원호반경가장자리셀프홀(77b)을 커버링하는 피어싱판(77j)과, 상기 피어싱외곽상승테두리(77d)로부터 내향된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77e)와, 상기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77e)로부터 하향되어 상기 피어싱판(77j)에 이어지는 피어싱외곽하강테두리(77f)를 포함하고,
    상기 캡외곽상승테두리(73), 캡외곽수평테두리(74) 및 캡외곽하강테두리(75)의 양단은 상기 피어싱외곽상승테두리(77d),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77e) 및 피어싱외곽하강테두리(77f)의 양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양측틈새(T)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5. 음료를 내장하며 외향으로 돌출된 탑림(51)을 지닌 컵(50)과; 상기 탑림(51)에 고착되는 필름테두리(61)를 지니면서 상기 컵(50)의 중심을 향하여 씌워진 플렉시블면(62)을 지닌 필름(60)과; 상기 탑림(51)의 측면에 조립되는 캡사이드테두리(71), 상기 필름테두리(61)에 밀착되는 캡단턱테두리(72) 및 상기 플렉시블면(62)을 피어싱하는 피어서(77)를 가지면서 상기 플렉시블면(62)을 보호하는 커버판(76)을 구비한 캡(70)을 포함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피어서(77)는 상기 커버판(76) 내에 후측힌지라인(77a)으로 연결되어 상하 회동가능하면서 수평 상태시 상기 플렉시블면(62)을 커버링하여 보호하는 한편 하강 회동시 상기 캡단턱테두리(72)에 인접한 상기 커버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반경가장자리셀프홀(77b)을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필름테두리(61)에 인접한 상기 플렉시블면(62)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62a)을 형성시키는 원호반경가장자리블레이드(77c)를 구비하고,
    상기 캡(70)은 상기 캡단턱테두리(72)로부터 상승된 캡외곽상승테두리(73)를 구비하고,
    상기 피어서(77)는 상기 원호반경가장자리블레이드(77c)로부터 상승되어 상기 캡외곽상승테두리(73)와 더불어 캡전체원형상승테두리(C)를 완성하는 피어싱외곽상승테두리(77d)를 구비하고,
    상기 캡(70)은 상기 캡외곽상승테두리(73)로부터 내향된 캡외곽수평테두리(74)와, 상기 캡외곽수평테두리(74)로부터 하향되어 상기 커버판(76)에 이어지는 캡외곽하강테두리(75)를 포함하고,
    상기 피어서(77)는 상기 후측힌지라인(77a)으로부터 펼쳐져 상기 원호반경가장자리셀프홀(77b)을 커버링하는 피어싱판(77j)과, 상기 피어싱외곽상승테두리(77d)로부터 내향된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77e)와, 상기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77e)로부터 하향되어 상기 피어싱판(77j)에 이어지는 피어싱외곽하강테두리(77f)를 포함하고,
    상기 캡외곽상승테두리(73), 캡외곽수평테두리(74) 및 캡외곽하강테두리(75)의 양단은 상기 피어싱외곽상승테두리(77d),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77e) 및 피어싱외곽하강테두리(77f)의 양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양측틈새(T)를 마련하면서 양측단턱(D1)을 더 구비하고,
    상기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77e)는 양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피어서(77)의 하강 회동시 상기 양측단턱(D1)에 걸쳐지면서 하강한계를 결정짓는 양측한계편(77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6. 삭제
  7. 음료를 내장하며 외향으로 돌출된 탑림(51)을 지닌 컵(50)과; 상기 탑림(51)에 고착되는 필름테두리(61)를 지니면서 상기 컵(50)의 중심을 향하여 씌워진 플렉시블면(62)을 지닌 필름(60)과; 상기 탑림(51)의 측면에 조립되는 캡사이드테두리(71), 상기 필름테두리(61)에 밀착되는 캡단턱테두리(72) 및 상기 플렉시블면(62)을 피어싱하는 피어서(77)를 가지면서 상기 플렉시블면(62)을 보호하는 커버판(76)을 구비한 캡(70)을 포함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피어서(77)는 상기 커버판(76) 내에 후측힌지라인(77a)으로 연결되어 상하 회동가능하면서 수평 상태시 상기 플렉시블면(62)을 커버링하여 보호하는 한편 하강 회동시 상기 캡단턱테두리(72)에 인접한 상기 커버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반경가장자리셀프홀(77b)을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필름테두리(61)에 인접한 상기 플렉시블면(62)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반경가장자리피어싱홀(62a)을 형성시키는 원호반경가장자리블레이드(77c)를 구비하고,
    상기 캡(70)은 상기 캡단턱테두리(72)로부터 상승된 캡외곽상승테두리(73)를 구비하고,
    상기 피어서(77)는 상기 원호반경가장자리블레이드(77c)로부터 상승되어 상기 캡외곽상승테두리(73)와 더불어 캡전체원형상승테두리(C)를 완성하는 피어싱외곽상승테두리(77d)를 구비하고,
    상기 캡(70)은 상기 캡외곽상승테두리(73)로부터 내향된 캡외곽수평테두리(74)와, 상기 캡외곽수평테두리(74)로부터 하향되어 상기 커버판(76)에 이어지는 캡외곽하강테두리(75)를 포함하고,
    상기 피어서(77)는 상기 후측힌지라인(77a)으로부터 펼쳐져 상기 원호반경가장자리셀프홀(77b)을 커버링하는 피어싱판(77j)과, 상기 피어싱외곽상승테두리(77d)로부터 내향된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77e)와, 상기 피어싱외곽수평테두리(77e)로부터 하향되어 상기 피어싱판(77j)에 이어지는 피어싱외곽하강테두리(77f)를 포함하고,
    상기 캡(70)은 상기 후측힌지라인(77a)의 양측 상기 커버판(76)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캡외곽하강테두리(75)에 일체화된 양측돌출편(D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8. 삭제
KR1020200030126A 2020-03-11 2020-03-11 음료용기 KR102142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126A KR102142915B1 (ko) 2020-03-11 2020-03-11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126A KR102142915B1 (ko) 2020-03-11 2020-03-11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915B1 true KR102142915B1 (ko) 2020-08-10

Family

ID=7204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126A KR102142915B1 (ko) 2020-03-11 2020-03-11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690A (ko) 2021-04-06 2022-10-13 양운철 음료용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788B1 (ko) 2003-02-25 2003-07-28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전동식 모빌랙 제어방법
JP2005022757A (ja) * 2003-06-12 2005-01-27 Toyo Seikan Kaisha Ltd カップ型容器の開封部材
KR101518667B1 (ko) * 2014-03-27 2015-05-07 박성웅 개폐가 가능한 일회용 컵뚜껑
KR200483188Y1 (ko) * 2017-01-10 2017-04-14 주식회사 에이에프프라텍 일회용 컵 뚜껑
KR102073289B1 (ko) 2019-01-23 2020-02-04 양운철 음료용기
KR20200012549A (ko) * 2018-07-27 2020-02-05 씨제이제일제당 (주) 컵 뚜껑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788B1 (ko) 2003-02-25 2003-07-28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전동식 모빌랙 제어방법
JP2005022757A (ja) * 2003-06-12 2005-01-27 Toyo Seikan Kaisha Ltd カップ型容器の開封部材
KR101518667B1 (ko) * 2014-03-27 2015-05-07 박성웅 개폐가 가능한 일회용 컵뚜껑
KR200483188Y1 (ko) * 2017-01-10 2017-04-14 주식회사 에이에프프라텍 일회용 컵 뚜껑
KR20200012549A (ko) * 2018-07-27 2020-02-05 씨제이제일제당 (주) 컵 뚜껑
KR102073289B1 (ko) 2019-01-23 2020-02-04 양운철 음료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690A (ko) 2021-04-06 2022-10-13 양운철 음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8914B1 (en) Spill-resistant container
US5894952A (en) Spill-resistant cup lid with condiment funnel and stirring rod
EP3124394B1 (en) Combined wine glass and wine bottle package
US7100790B2 (en) Spill-resistant metered flow cap for a cup
US6164485A (en) Container lid
US4703873A (en) Reusable lid for beverage cans
US20090050641A1 (en) Cup lid with an anti-splash ergonomic shape
US20080156802A1 (en) Sip lid for a container
KR102073289B1 (ko) 음료용기
WO2008020301A1 (en) A drinking vessel
CA2864430A1 (en) Handle
WO2013043211A1 (en) Single serving beverage vessel with a resealable lid
JPH09512774A (ja) 飲物通しカップ蓋
US8459491B2 (en) Hot beverage container assembly and insert
US9169060B2 (en) Beverage container for brewing apparatus
JP4802590B2 (ja) 開封機能付キャップ及び包装体
US9302824B2 (en) Beverage container lid
US20050218141A1 (en) Lid with spoon
US20060249521A1 (en) Spill-resistant container
KR102142915B1 (ko) 음료용기
AU2012218148B2 (en) Hot beverage container assembly, insert, and method
US10081462B2 (en) Overcap with means to facilitate the opening of a container and the subsequent direct consumption of its content
US9457948B2 (en) Hot beverage container assembly and insert
KR101567544B1 (ko) 스마트 음료용기
KR20220138690A (ko)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