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289B1 -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289B1
KR102073289B1 KR1020190008867A KR20190008867A KR102073289B1 KR 102073289 B1 KR102073289 B1 KR 102073289B1 KR 1020190008867 A KR1020190008867 A KR 1020190008867A KR 20190008867 A KR20190008867 A KR 20190008867A KR 102073289 B1 KR102073289 B1 KR 102073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everage
outlet
self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운철
Original Assignee
양운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운철 filed Critical 양운철
Priority to KR1020190008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1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65D51/2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30)의 탑림(11)에 필름(20)이 부착되어 컵(10)을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필름(20)을 보호하기 위하여 캡(30)을 탑림(11)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조립시킨 후, 캡(30)으로부터 상하 회동가능한 피어서(40)의 수평 상태로서 필름(20)을 커버링하여 보호토록 하는 반면 피어서(40)의 하강 회동으로[식음자가 눌러서 하강 회동시킴] 셀프출구(32a)를 마련함[피어서(40)의 하강 회동으로 커버면(32) 자체에 음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셀프출구(32a)가 마련됨]과 동시에 필름(20)을 관통시켜 필름출구(21)를 형성시켜 컵(10)을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21) 및 셀프출구(32a)를 경유하여 음료가 빠져나오면서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고, 구체적으로 스트로가 없는 단일의 캡(30)에 마련된 피어서(40)로서 평상시 수평 상태로서 필름(20)을 커버링하여 보호토록 할 수 있는 반면 피어서(40)의 하강 회동시 필름출구(21) 및 셀프출구(32a)의 마련으로 음료를 간단히 마실 수 있도록 하여 여러 가지 문제시되고 있는 스트로를 요구치 않아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제조 및 유통시의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음료용기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음료용기{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로가 없는 캡 자체에 마련된 피어서로서 평상시 수평 상태로서 필름을 커버링하여 보호토록 할 수 있는 반면 피어서의 하강 회동시 필름출구 및 셀프출구의 마련으로 음료를 간단히 마실 수 있도록 하여 여러 가지 문제시되고 있는 스트로를 요구치 않아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제조 및 유통시의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스나 커피 우유 홍차 녹차 등과 같은 음료는 음료용기에 담겨져 밀봉된 채로 판매되고, 소비자는 음료용기의 밀봉을 해제하거나 스트로(Straw)를 꼽아 음료를 마시게 된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92788호)에 소개된 음료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를 소비자가 마실 수 있도록 한 용기(102)에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게 한 컵(104)이 상광하협의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구성되는데, 컵(104) 상단부에는 플랜지(106)가 형성되고, 컵(104) 외주벽에는 스트로(108)가 고주파 가열로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플랜지(106) 상단면에는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은박지로 된 커버(110)가 고주파 가열로 부착 고정되고, 컵(104) 상단부에는 캡(112)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캡(112)은 상단부에 스트로(108)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한 플랩(Flap; 114)이 후미를 일체로 형성하면서 원호로 절취되어 형성되고, 캡(112)의 측벽 하부 둘레에는 고정역할을 하는 돌기(116)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캡(112) 하단부에는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안내면(118)이 일체로 연장되면서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벌려져 형성된다.
선행기술문헌에 소개된 음료용기의 결합 순서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컵(104)에 내용물을 채운 다음 커버(110)를 플랜지(106) 상단부에 부착하면서 고주파 가열하여 고정되게 하고, 컵(104) 외주벽에는 스트로(108)를 고주파 가열하여 부착 고정시키며, 이후로 캡(112)을 컵(104) 상단부에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캡(112)은 안내면(118)이 플랜지(106) 외주면에 의해 외측으로 벌려지면서 하강하여 돌기(116)가 플랜지(106)의 아래에 위치하게 되므로서 결합이 종료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캡(112)의 측벽은 플랜지(106)의 외주면에 밀착하게 되고, 동시에 돌기(116)는 플랜지(106)의 아래에 걸려진 상태가 됨으로서 캡(112)은 컵(104)에 고정되면서 결합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소비자가 내용물을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스트로(108)를 컵(104)으로부터 탈락시키고, 캡(112)에 형성된 플랩(114)을 젖혀 통로를 개방시킨 다음 스트로(108)를 오픈된 통로에서 컵(104)측으로 끼우면, 스트로(108)의 선단부는 커버(110)를 관통하면서 컵(104)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소비자는 스트로(108)를 통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음료용기는 내용물을 마시기 위하여 컵(104)의 외주벽에 고주파 가열로 부착된 스트로(108)를 활용하는데, 이러할 경우 작은 부품으로 된 스트로(108)를 통해 내용물을 마신 후 폐기하였을 때 수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각종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동식물에 악영향을 미치고, 특히 스트로(108)를 컵(104)의 외주벽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고주파 가열이라는 번거로운 작업을 하여야하고, 나아가 스트로(108)가 부착된 컵(104)의 외관이 복잡해지면서 보관 및 유통시 또한 어려움[보관시 떨어져 나가는 어려움과 유통시 스트로(108)의 점유공간만큼 밀착 적층시키지 못하는 어려움 등]에 처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92788호 - 음료용기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로를 사용하지 않고서 음료를 마실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캡의 커버면으로부터 상하 회동가능한 피어서의 수평 상태로서 필름을 커버링하여 보호토록 하는 반면 피어서의 하강 회동으로[식음자가 눌러서 하강 회동시킴] 셀프출구를 마련함[피어서의 하강 회동으로 커버면 자체에 음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셀프출구가 마련됨]과 동시에 필름을 관통시켜 필름출구를 형성시켜 컵을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 및 셀프출구를 경유하여 음료가 빠져나오면서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로가 없는 단일의 캡에 마련된 피어서로서 평상시 수평 상태로서 필름을 커버링하여 보호토록 할 수 있는 반면 피어서의 하강 회동시 필름출구 및 셀프출구의 마련으로 음료를 간단히 마실 수 있도록 하여 여러 가지 문제시되고 있는 스트로를 요구치 않아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제조 및 유통시의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블레이드의 수평 상태시 커버면과 함께 필름을 보호하는 반면 블레이드의 하강 회동시 좌측절개라인, 우측절개라인 및 전측절개라인에 의해 분리되어 있어 셀프출구를 자체 마련함과 동시에 필름에 필름출구를 형성시켜 컵을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 및 셀프출구를 경유하여 음료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블레이드의 박판에 의해 수평 상태시 커버면과 더불어 필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하강 회동시 셀프출구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하강 회동시 전첨단부를 통해 필름을 관통하여 필름출구를 간단히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을 보호하기 위한 박판의 두께가 얇더라도 좌박판편 및 우하측면으로 박판의 틀을 유지케 함과 동시에 전첨단부까지 지지케 하여 하강 회동시의 필름의 관통을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실현토록 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컵을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를 통해 배출된 음료가 후상향편, 좌상향편 및 우상향편에 의해 형성된 중심가이드터널 속으로 안내되면서 셀프출구로 용이하게 빠져나가 식음자로 하여금 더욱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료가 캡 및 필름 사이의 공간에 고이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컵을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를 통해 배출된 음료가 좌하향편, 우하향편 및 전하향편에 의해 형성된 외곽가이드터널 속으로 중심가이드터널과 더불어 안내되면서 셀프출구로 용이하게 빠져나가 식음자로 하여금 더 더욱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료가 캡 및 필름 사이의 공간에 고이는 현상을 더욱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컵을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 및 셀프출구로 빠져나온 음료를 모두 마실 수 없는 경우, 즉 미량의 음료가 남을 경우 탑융기테두리에 의해 마련된 수용홈에 임시 머물면서 셀프출구를 통해 낙하될 수 있도록 하여 컵을 들거나 탁자 위에 내려놓을 때 음료가 캡 위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컵을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 및 셀프출구로 빠져나온 음료를 모두 마실 수 없는 경우, 즉 미량의 음료가 남을 경우 컵을 바르게 세웠을 때 탑융기테두리에 의해 마련된 수용홈에 임시 머물면서, 바람직하게는 수용홈의 경사홈에 신속하게 고이면서 다시 셀프출구를 통해 빠르게 낙하될 수 있도록 하여 컵을 들거나 탁자 위에 내려놓을 때 음료가 캡 위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더욱 철저히 방지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컵을 피어서 방향으로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로 음료가 빠져나온 체적만큼 공기가 채워지도록 하여 에어홀이 없는 경우 필름출구로부터 음료가 빠져나오면서 공기가 동시에 들어가 서로 버블처럼 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컵을 피어서 방향으로 기울었을 때 필름 및 캡 사이의 공간으로 음료가 머무를 경우 캡과 탑림 사이의 틈새로 음료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단턱으로 하여금 탑림의 상단에 긴밀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내향돌출라인으로 하여금 탑립의 하단을 긴밀하게 지지케 하여 음료의 누수현상을 더욱 철저히 방지케 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료를 내장하며 외향으로 돌출된 탑림을 지닌 컵과, 상기 탑림 위에 부착되어 상기 컵을 밀봉시키는 필름과, 상기 탑림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캡을 포함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탑림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조립되는 착탈테두리와,
상기 착탈테두리의 상단으로부터 내향으로 씌워져 상기 필름을 보호하는 커버면과,
상기 커버면으로부터 상하 회동가능하면서 수평 상태시 상기 필름을 커버링하여 보호하고 하강 회동시 셀프출구(Self Exit Hole)를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필름을 관통시켜 필름출구를 형성시키는 피어서(Piercer)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트로를 사용하지 않고서 음료를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캡의 커버면으로부터 상하 회동가능한 피어서의 수평 상태로서 필름을 커버링하여 보호토록 하는 반면 피어서의 하강 회동으로[식음자가 눌러서 하강 회동시킴] 셀프출구를 마련함[피어서의 하강 회동으로 커버면 자체에 음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셀프출구가 마련됨]과 동시에 필름을 관통시켜 필름출구를 형성시켜 컵을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 및 셀프출구를 경유하여 음료가 빠져나오면서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트로가 없는 단일의 캡에 마련된 피어서로서 평상시 수평 상태로서 필름을 커버링하여 보호토록 할 수 있는 반면 피어서의 하강 회동시 필름출구 및 셀프출구의 마련으로 음료를 간단히 마실 수 있도록 하여 여러 가지 문제시되고 있는 스트로를 요구치 않아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제조 및 유통시의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수평 상태시 커버면과 함께 필름을 보호하는 반면 블레이드의 하강 회동시 좌측절개라인, 우측절개라인 및 전측절개라인에 의해 분리되어 있어 셀프출구를 자체 마련함과 동시에 필름에 필름출구를 형성시켜 컵을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 및 셀프출구를 경유하여 음료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박판에 의해 수평 상태시 커버면과 더불어 필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하강 회동시 셀프출구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하강 회동시 전첨단부를 통해 필름을 관통하여 필름출구를 간단히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필름을 보호하기 위한 박판의 두께가 얇더라도 좌박판편 및 우하측면으로 박판의 틀을 유지케 함과 동시에 전첨단부까지 지지케 하여 하강 회동시의 필름의 관통을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실현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컵을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를 통해 배출된 음료가 후상향편, 좌상향편 및 우상향편에 의해 형성된 중심가이드터널 속으로 안내되면서 셀프출구로 용이하게 빠져나가 식음자로 하여금 더욱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료가 캡 및 필름 사이의 공간에 고이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컵을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를 통해 배출된 음료가 좌하향편, 우하향편 및 전하향편에 의해 형성된 외곽가이드터널 속으로 중심가이드터널과 더불어 안내되면서 셀프출구로 용이하게 빠져나가 식음자로 하여금 더 더욱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료가 캡 및 필름 사이의 공간에 고이는 현상을 더욱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컵을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 및 셀프출구로 빠져나온 음료를 모두 마실 수 없는 경우, 즉 미량의 음료가 남을 경우 탑융기테두리에 의해 마련된 수용홈에 임시 머물면서 셀프출구를 통해 낙하될 수 있도록 하여 컵을 들거나 탁자 위에 내려놓을 때 음료가 캡 위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컵을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 및 셀프출구로 빠져나온 음료를 모두 마실 수 없는 경우, 즉 미량의 음료가 남을 경우 컵을 바르게 세웠을 때 탑융기테두리에 의해 마련된 수용홈에 임시 머물면서, 바람직하게는 수용홈의 경사홈에 신속하게 고이면서 셀프출구를 통해 빠르게 낙하될 수 있도록 하여 컵을 들거나 탁자 위에 내려놓을 때 음료가 캡 위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더욱 철저히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입술에 소폭탑융기테두리가 맞닿을 경우 음료의 용이하고도 신속한 입 속으로의 투입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컵을 피어서 방향으로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로 음료가 빠져나온 체적만큼 공기가 채워지도록 하여 에어홀이 없는 경우 필름출구로부터 음료가 빠져나오면서 공기가 동시에 들어가 서로 버블(Bubble)처럼 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컵을 피어서 방향으로 기울었을 때 필름 및 캡 사이의 공간으로 음료가 머무를 경우 캡과 탑림 사이의 틈새로 음료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단턱으로 하여금 탑림의 상단에 긴밀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내향돌출라인으로 하여금 탑립의 하단을 긴밀하게 지지케 하여 음료의 누수현상을 더욱 철저히 방지케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소개된 음료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컵의 필름을 보호하기 위하여 캡이 씌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피어서 및 송곳을 통한 필름의 피어싱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음료를 마시고자 컵을 기울린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컵(10)의 필름(20)을 보호하기 위하여 캡(30)이 씌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피어서(40) 및 송곳(36)을 통한 필름(20)의 피어싱(Piercing)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는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를 내장하며 외향으로 돌출된 탑림(11)을 지닌 컵(10)과, 탑림(11) 위에 부착되어 컵(10)을 밀봉시키는 필름(20)과, 탑림(11)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캡(30)을 포함한다.
탑림(11)은 컵(10) 속에 음료를 투입할 때 자동화 공정 중 로봇 등으로 용이하게 파지케 하기 위한 구성이면서 음료가 내장된 음료용기의 유통시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음료는 컵(10)에 내장된 상태에서 외부로 쏟아지지 않도록 필름(20)으로 밀봉되는데, 유통 및 보관시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찢겨지거나 파손될 수 있어 캡(30)으로 씌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때 캡(30)은 컵(10)의 탑림(11)에 긴밀히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서 음료를 마시고자 컵(10)을 기울린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캡(30)은 도 2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림(11)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조립되는 착탈테두리(31)와, 착탈테두리(31)의 상단으로부터 내향으로 씌워져 필름(20)을 보호하는 커버면(32)과, 커버면(32)으로부터 상하 회동가능하면서 수평 상태시 필름(20)을 커버링하여 보호하고 하강 회동시 셀프출구(Self Exit Hole; 32a)를 마련함과 동시에 필름(20)을 관통시켜 필름출구(21)를 형성시키는 피어서(Piercer; 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는 스트로를 사용하지 않고서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스트로는 선행기술문헌에서도 확인한 바와 같이 부품이 작고 날카로워 각종 환경오염으로 인한 동식물에 악영향을 미치면서 컵(10)에 부착시키는 작업 또한 어려울 뿐만 아니라 번거롭고, 유통 및 보관 역시 불편한 여러 가지 단점을 안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스트로를 사용하지 않고서 필름(20)에 뚫려진 필름출구(21) 및 캡(30)에 마련된 셀프출구(32a)를 경유하여 음료를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캡(30)의 탑림(11)에 필름(20)이 부착되어 컵(10)을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필름(20)을 보호하기 위하여 캡(30)을 탑림(11)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조립시킨 후, 캡(30)의 커버면(32)으로부터 상하 회동가능한 피어서(40)의 수평 상태로서 필름(20)을 커버링하여 보호토록 하는 반면 피어서(40)의 하강 회동으로[식음자가 눌러서 하강 회동시킴] 셀프출구(32a)를 마련함[피어서(40)의 하강 회동으로 커버면(32) 자체에 음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셀프출구(32a)가 마련됨]과 동시에 필름(20)을 관통시켜 필름출구(21)를 형성시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10)을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21) 및 셀프출구(32a)를 경유하여 음료가 빠져나오면서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스트로가 없는 단일의 캡(30)에 마련된 피어서(40)로서 평상시 수평 상태로서 필름(20)을 커버링하여 보호토록 할 수 있는 반면 피어서(40)의 하강 회동시 필름출구(21) 및 셀프출구(32a)의 마련으로 음료를 간단히 마실 수 있도록 하여 여러 가지 문제시되고 있는 스트로를 요구치 않아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제조 및 유통시의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피어서(40)는 커버면(32)에 후측힌지라인(41)으로 연결되면서 좌측절개라인(42), 우측절개라인(43) 및 전측절개라인(44)에 의해 분리되어 수평 상태시 필름(20)을 커버링하여 보호하고 하강 회동시 셀프출구(32a)를 마련함과 동시에 필름(20)을 관통시켜 필름출구(21)를 형성시키는 블레이드(Blade; 45)를 포함한다.
후측라인은 탄성의 성질이 있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캡(30)의 커버면(32) 및 피어서(4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의 라인으로 형성하여 마련할 수 있고, 블레이드(45)의 수평 상태시 커버면(32)과 함께 필름(20)을 보호하는 반면 블레이드(45)의 하강 회동시[식음자가 눌러 하강 회동시킴] 좌측절개라인(42), 우측절개라인(43) 및 전측절개라인(44)에 의해 분리되어 있어 셀프출구(32a)를 자체 마련함과 동시에 필름(20)에 필름출구(21)를 형성시켜 컵(10)을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21) 및 셀프출구(32a)를 경유하여 음료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블레이드(45)는 후측힌지라인(41)으로부터 전방으로 펼쳐진 박판(45a)과, 박판(45a)의 전측단으로부터 하향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전첨단부(45b)를 포함한다.
블레이드(45)의 박판(45a)에 의해 수평 상태시 커버면(32)과 더불어 필름(2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하강 회동시 셀프출구(32a)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하강 회동시 전첨단부(45b)를 통해 필름(20)을 관통하여 필름출구(21)를 간단히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박판(45a)의 좌측단 및 우측단으로부터 전첨단부(45b)와 이웃하여 연결되도록 균등하게 하향으로 돌출된 좌박판편(45c) 및 우박판편(45d)을 더 포함하여, 필름(20)을 보호하기 위한 박판(45a)의 두께가 얇더라도 좌박판편(45c) 및 우하측면으로 박판(45a)의 틀을 유지케 함과 동시에 전첨단부(45b)까지 지지케 하여 하강 회동시의 필름(20)의 관통을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실현토록 한다.
나아가, 블레이드(45)는 박판(45a)의 후측힌지라인(41), 좌측단 및 우측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연결되도록 균등하게 돌출되어 중심가이드터널(46)을 형성시키는 후상향편(45e), 좌상향편(45f) 및 우상향편(45g)을 포함한다.
컵(10)을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21)를 통해 배출된 음료가 후상향편(45e), 좌상향편(45f) 및 우상향편(45g)에 의해 형성된 중심가이드터널(46) 속으로 안내되면서 셀프출구(32a)로 용이하게 빠져나가 식음자로 하여금 더욱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료가 캡(30) 및 필름(20) 사이의 공간에 고이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커버면(32)은 좌측절개라인(42), 우측절개라인(43) 및 전측절개라인(44)으로부터 하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연결되도록 균등하게 돌출되어 중심가이드터널(46)에 대향되는 외곽가이드터널(33)을 형성시키는 좌하향편(33a), 우하향편(33b) 및 전하향편(33c)을 포함한다.
컵(10)을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21)를 통해 배출된 음료가 좌하향편(33a), 우하향편(33b) 및 전하향편(33c)에 의해 형성된 외곽가이드터널(33) 속으로 중심가이드터널(46)과 더불어 안내되면서 셀프출구(32a)로 용이하게 빠져나가 식음자로 하여금 더 더욱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료가 캡(30) 및 필름(20) 사이의 공간에 고이는 현상을 더욱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캡(30)은 커버면(32)의 가장자리로부터 솟아올라 컵(10)을 바르게 세웠을 때 필름출구(21) 및 셀프출구(32a)를 경유한 음료로 하여금 커버면(32) 위로 임시 고이면서 셀프출구(32a)를 통해 다시 낙하될 수 있도록 수용홈(35)을 마련하는 탑융기테두리(34)를 포함한다.
컵(10)을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21) 및 셀프출구(32a)로 빠져나온 음료를 모두 마실 수 없는 경우, 즉 미량의 음료가 남을 경우 탑융기테두리(34)에 의해 마련된 수용홈(35)에 임시 머물면서 셀프출구(32a)를 통해 낙하될 수 있도록 하여 컵(10)을 들거나 탁자 위에 내려놓을 때 음료가 캡(30) 위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수용홈(35)은 피어서(40) 주위의 커버면(32)을 낮게 경사지도록 하여 컵(10)을 바르게 세웠을 때 필름출구(21) 및 셀프출구(32a)를 경유한 음료로 하여금 신속하게 고이면서 다시 셀프출구(32a)를 통해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홈(35a)을 더 포함한다.
컵(10)을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21) 및 셀프출구(32a)로 빠져나온 음료를 모두 마실 수 없는 경우, 즉 미량의 음료가 남을 경우 컵(10)을 바르게 세웠을 때 탑융기테두리(34)에 의해 마련된 수용홈(35)에 임시 머물면서, 바람직하게는 수용홈(35)의 경사홈(35a)에 신속하게 고이면서 셀프출구(32a)를 통해 빠르게 낙하될 수 있도록 하여 컵(10)을 들거나 탁자 위에 내려놓을 때 음료가 캡(30) 위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더욱 철저히 방지한다.
그리고, 탑융기테두리(34)는 컵(10)을 피어서(40) 방향으로 기울었을 때 경사홈(35a)에 고인 음료가 용이하게 흘러나갈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지닌 소폭탑융기테두리(34a)를 구비하여, 입술에 소폭탑융기테두리(34a)가 맞닿을 경우 음료의 용이하고도 신속한 입 속으로의 투입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피어서(40)는 커버면(32)의 일측에 마련되고, 커버면(32)의 타측에 하향 돌출되어 하강누름에 의해 필름(20)을 관통하여 에어홀(22)을 형성시키는 송곳(36)을 더 포함한다.
컵(10)을 피어서(40) 방향으로 기울었을 때 필름출구(21)로 음료가 빠져나온 체적만큼 공기가 채워지도록 하여 에어홀(22)이 없는 경우 필름출구(21)로부터 음료가 빠져나오면서 공기가 동시에 들어가 서로 버블(Bubble)처럼 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며, 이를 위하여 커버면(32)의 타측에 하향 돌출된 하강누름을 간단히 누르면서 피어서(40)의 박판(45a)을 함께 눌러 에어홀(22)과 더불어 셀프출구(32a) 및 필름출구(21)를 동시에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착탈테두리(31)는 탑림(11)의 상단에 맞닿는 단턱(31a)을 가짐과 동시에 탑림(11)의 하단을 긴밀하게 지지하는 내향돌출라인(31b)을 포함한다.
컵(10)을 피어서(40) 방향으로 기울었을 때 필름(20) 및 캡(30) 사이의 공간으로 음료가 머무를 경우 캡(30)과 탑림(11) 사이의 틈새로 음료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단턱(31a)으로 하여금 탑림(11)의 상단에 긴밀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내향돌출라인(31b)으로 하여금 탑립의 하단을 긴밀하게 지지케 하여 음료의 누수현상을 더욱 철저히 방지케 하는 것이다.
이러한 탑림(11)의 외측을 따라 하강하는 착탈테두리(31)에 의해 탑림(11)을 사이에 두고 단턱(31a) 및 내향돌출라인(31b)이 위아래에서 샌드위치 밀착하여 음료의 누수를 철저하게 방지토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음료의 누수방지는 최소한 음료를 마시는 시간 동안 충분한 것이며, 일정 기간이 지날 경우 캡(30) 자체의 탄성이 작아져 헐거워질 수 있음은 이해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스나 커피 우유 홍차 녹차 등과 같은 음료를 밀봉시켜 판매하는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 : 컵 11 : 탑림
20 : 필름 21 : 필름출구
22 : 에어홀 30 : 캡
31 : 착탈테두리 31a : 단턱
31b : 내향돌출라인 32 : 커버면
32a : 셀프출구 33 : 외곽가이드터널
33a : 좌하향편 33b : 우하향편
33c : 전하향편 34 : 탑융기테두리
34a : 소폭탑융기테두리 35 : 수용홈
35a : 경사홈 36 : 송곳
40 : 피어서 41 : 후측힌지라인
42 : 좌측절개라인 43 : 우측절개라인
44 : 전측절개라인 45 : 블레이드
45a : 박판 45b : 전첨단부
45c : 좌박판편 45d : 우박판편
45e : 후상향편 45f : 좌상향편
45g : 우상향편 46 : 중심가이드터널

Claims (11)

  1. 음료를 내장하며 외향으로 돌출된 탑림(11)을 지닌 컵(10)과, 상기 탑림(11) 위에 부착되어 상기 컵(10)을 밀봉시키는 필름(20)과, 상기 탑림(11)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캡(30)을 포함하는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30)은 상기 탑림(11)에 착탈 가능하게 밀착 조립되는 착탈테두리(31)와, 상기 착탈테두리(31)의 상단으로부터 내향으로 씌워져 상기 필름(20)을 보호하는 커버면(32)과, 상기 커버면(32)으로부터 상하 회동가능하면서 수평 상태시 상기 필름(20)을 커버링하여 보호하고 하강 회동시 셀프출구(32a)를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필름(20)을 관통시켜 필름출구(21)를 형성시키는 피어서(40)를 포함하고,
    상기 피어서(40)는 상기 커버면(32)에 후측힌지라인(41)으로 연결되면서 좌측절개라인(42), 우측절개라인(43) 및 전측절개라인(44)에 의해 분리되어 수평 상태시 상기 필름(20)을 커버링하여 보호하고 하강 회동시 상기 셀프출구(32a)를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필름(20)을 관통시켜 상기 필름출구(21)를 형성시키는 블레이드(45)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45)는 상기 후측힌지라인(41)으로부터 전방으로 펼쳐진 박판(45a)과, 상기 박판(45a)의 전측단으로부터 하향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전첨단부(45b)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45)는 상기 박판(45a)의 후측힌지라인(41), 좌측단 및 우측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연결되도록 균등하게 돌출되어 중심가이드터널(46)을 형성시키는 후상향편(45e), 좌상향편(45f) 및 우상향편(45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45a)의 좌측단 및 우측단으로부터 상기 전첨단부(45b)와 이웃하여 연결되도록 균등하게 하향으로 돌출된 좌박판편(45c) 및 우박판편(45d)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면(32)은 상기 좌측절개라인(42), 우측절개라인(43) 및 전측절개라인(44)으로부터 하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연결되도록 균등하게 돌출되어 상기 중심가이드터널(46)에 대향되는 외곽가이드터널(33)을 형성시키는 좌하향편(33a), 우하향편(33b) 및 전하향편(33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7. 제1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30)은 상기 커버면(32)의 가장자리로부터 솟아올라 상기 컵(10)을 바르게 세웠을 때 상기 필름출구(21) 및 셀프출구(32a)를 경유한 음료로 하여금 상기 커버면(32) 위로 임시 고이면서 다시 상기 셀프출구(32a)를 통해 낙하될 수 있도록 수용홈(35)을 마련하는 탑융기테두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35)은 상기 피어서(40) 주위의 상기 커버면(32)을 낮게 경사지도록 하여 상기 컵(10)을 바르게 세웠을 때 상기 필름출구(21) 및 셀프출구(32a)를 경유한 음료로 하여금 신속하게 고이면서 다시 상기 셀프출구(32a)를 통해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홈(35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탑융기테두리(34)는 상기 컵(10)을 상기 피어서(40) 방향으로 기울었을 때 상기 경사홈(35a)에 고인 음료가 용이하게 흘러나갈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지닌 소폭탑융기테두리(34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0. 제1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서(40)는 상기 커버면(32)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커버면(32)의 타측에 하향 돌출되어 하강누름에 의해 상기 필름(20)을 관통하여 에어홀(22)을 형성시키는 송곳(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1. 제1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테두리(31)는 상기 탑림(11)의 상단에 맞닿는 단턱(31a)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탑림(11)의 하단을 긴밀하게 지지하는 내향돌출라인(3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KR1020190008867A 2019-01-23 2019-01-23 음료용기 KR102073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867A KR102073289B1 (ko) 2019-01-23 2019-01-23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867A KR102073289B1 (ko) 2019-01-23 2019-01-23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289B1 true KR102073289B1 (ko) 2020-02-04

Family

ID=6957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867A KR102073289B1 (ko) 2019-01-23 2019-01-23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28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915B1 (ko) 2020-03-11 2020-08-10 양운철 음료용기
KR200493834Y1 (ko) 2020-10-05 2021-06-10 소윤섭 음료용기용 리드지
KR20220002084U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다우기업 애완동물용 도포용기
KR20220138690A (ko) 2021-04-06 2022-10-13 양운철 음료용기
KR20230123904A (ko)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피플러스 음용 용기용 리드 포장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788B1 (ko) 2003-02-25 2003-07-28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전동식 모빌랙 제어방법
JP2006069658A (ja) * 2004-09-06 2006-03-16 Mikasa Sangyo Kk カップ型容器の開封補助具
JP2009154952A (ja) * 2007-12-27 2009-07-16 Yoshino Kogyosho Co Ltd 蓋付カップ容器
KR20100109627A (ko) * 2009-04-01 2010-10-11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음료 포장용기용 포장 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788B1 (ko) 2003-02-25 2003-07-28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전동식 모빌랙 제어방법
JP2006069658A (ja) * 2004-09-06 2006-03-16 Mikasa Sangyo Kk カップ型容器の開封補助具
JP2009154952A (ja) * 2007-12-27 2009-07-16 Yoshino Kogyosho Co Ltd 蓋付カップ容器
KR20100109627A (ko) * 2009-04-01 2010-10-11 이생테크노팩 주식회사 음료 포장용기용 포장 캡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915B1 (ko) 2020-03-11 2020-08-10 양운철 음료용기
KR200493834Y1 (ko) 2020-10-05 2021-06-10 소윤섭 음료용기용 리드지
KR20220002084U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다우기업 애완동물용 도포용기
KR200497026Y1 (ko) * 2021-02-18 2023-07-05 주식회사 다우기업 애완동물용 도포용기
KR20220138690A (ko) 2021-04-06 2022-10-13 양운철 음료용기
KR20230123904A (ko)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피플러스 음용 용기용 리드 포장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289B1 (ko) 음료용기
KR900000264B1 (ko) 주둥이가 있는 분배 용기 및 그 뚜껑
US5979647A (en) Lid for container
CN1099267C (zh) 用来制作饮料的浸泡器单元
CN102379630B (zh) 饮料桶
KR101460705B1 (ko) 컵 뚜껑 및 그 휴대용 보호 케이스
CA1283382C (en) Closure for hot beverage container
WO2006046730A1 (en) Bottle cap
US8833587B2 (en) Reusable beverage cup
SI9600251A (en) Shaker and blender
MX2011002926A (es) Tapa para botella.
US20130224343A1 (en) Beverage container for brewing apparatus
US20040094549A1 (en) Drink-through lid seal and method of use
CA2636549A1 (en) Splash-inhibiting beverage container lid
CA3123615C (en) Pad with a relatively large outlet opening comprising a soluble beverage preparation product for use in a coffee machine
WO2008020301A1 (en) A drinking vessel
US11203472B2 (en) Dispensing device for a drink bottle
WO2004035392A2 (en) Cup lid for dispensing hot fluids
GB2159490A (en) Combination container for two liquids
EP1874648B1 (en) Closure arrangement
US20130220142A1 (en) Beverage container for brewing apparatus
WO2005105612A1 (ja) プラスチック容器
KR200455438Y1 (ko) 일회용 원두커피 추출용기
KR102142915B1 (ko) 음료용기
JP3231264U (ja) 口栓付き及びキャップ付きのコップ用使い捨て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