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026Y1 - 애완동물용 도포용기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도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026Y1
KR200497026Y1 KR2020210000539U KR20210000539U KR200497026Y1 KR 200497026 Y1 KR200497026 Y1 KR 200497026Y1 KR 2020210000539 U KR2020210000539 U KR 2020210000539U KR 20210000539 U KR20210000539 U KR 20210000539U KR 200497026 Y1 KR200497026 Y1 KR 2004970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application
applicator
contai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084U (ko
Inventor
신현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우기업
신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우기업, 신현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우기업
Priority to KR2020210000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026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0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0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0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50/00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도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개, 고양이 등의 애완용 동물의 상처 또는 피부병 발병시 용기캡을 분실하지 않고 치료부위에 약액을 넓은 부위에 신속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개선된 애완동물용 도포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튜브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약물을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본체부(102)와 상기 본체부(102)의 상단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도포부(104)를 구비하고, 상기 도포부(104)에 결합 설치되는 용기캡(106)을 포함하되, 상기 도포부(104)의 일측 상방으로 올라가면서 경사부가 형성되는 도포부 몸체(12)가 형성되고 상기 도포무 몸체(12)의 하단 외주면에는 환상돌기(14)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상면에는 절개슬릿(13)기 형성되어 지고 상기 도포부(104)의 외측면에 상기 용기캡(106)이 결합 설치되되, 상기 용기캡(106)은 원통형상의 캡몸체(16)로 형성되고 상기 캡몸체(16)의 중앙 내측 상면에는 하향하여 쐐기형상의 돌출침(18)이 형성되고 상기 캡몸체(16)의 하단 내주면에는 스토퍼돌기(20)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캡(106)을 도포부(104)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돌출침(18)이 상기 절개슬릿(13)을 절개하고 뚫어서 약물이 배출되도록 배출구멍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돌기(20)가 상기 환상돌기(14)와 마찰 결합하여 상기 환상돌기(14)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결합 고정되어 상기 용기캡(10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도포용기는 애완동물들의 상처 또는 피부병 발병시 피부에 직접적으로 손을 접촉하지 않고 도포용기를 이용하여 약액을 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애완동물들의 크기 또는 피부염, 상처 등의 분포 크기에 따라 약액을 조절하여 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용기캡을 본체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캡의 분실 또는 도포용기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취급과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성이 개선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충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도포용기{APPLICATOR VESSEL FOR A PET}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도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개, 고양이 등의 애완용 동물의 상처 또는 피부병 발병시 용기캡을 분실하지 않고 치료부위에 약액을 넓은 부위에 신속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개선된 애완동물용 도포용기에 관한 것이다.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용기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데 이러한 제품은 약물을 수용하는 원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로 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품은 캡에 일체로 형성된 침을 이용하여 용기 본체를 개방하여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도포용기는 캡이 쉽게 이탈되어 캡의 분실 우려가 있고 또는 부주의로 인하여 침이 용기 본체의 도포부에 홀을 형성하여 용기 본체 내의 약물이 외부로 누출되어 취급 및 조작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포부의 홀이 작아서 작은 동물이거나 작은 부위에는 도포가 가능하였으나 큰 동물이나 도포 부위가 넓은 경우에는 도포되는 약액의 양이 소량으로 일정한 양만 도포할 수 있었으므로 치료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번호 제10-0939004호(2010.01.20.) 대한민국 등록특허 번호 제10-1241350호(2013.03.04.)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와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 들의 피부염 치료, 진드기 감염의 예방과 치료, 내부기생충, 이(lice) 예방과 치료 및 심장 사상충 감염 등을 방지하기 위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도포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도포용기의 용기캡 내측에 돌출침을 형성하여 도포공을 뚫고 도포공을 통해 흐르는 약액을 이용하여 애완용 동물들의 피부에 손을 대지 않고 약을 도포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도포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용기 본체부에 형성된 용기캡에 다수의 도포공을 형성하여 작은 애완용 동물 및 큰 애완동물에 모두 적용하여 애완동물의 크기와 도포 부위의 크기에 따라 좁은 부위부터 넓은 부위에 결쳐서 약액을 신속하게 발라줄 수 있는 애완동물용 도포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도표용기의 도포부 외주면에 환상형의 홈을 형성하고 용기캡의 스토퍼 돌기를 결합하여 용기캡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도포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튜브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약물을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본체부(102)와 상기 본체부(102)의 상단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도포부(104)를 구비하고, 상기 도포부(104)에 결합 설치되는 용기캡(106)을 포함하되, 상기 도포부(104)의 일측 상방으로 올라가면서 경사부가 형성되는 도포부 몸체(12)가 형성되고 상기 도포무 몸체(12)의 하단 외주면에는 환상돌기(14)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상면에는 절개슬릿(13)기 형성되어 지고 상기 도포부(104)의 외측면에 상기 용기캡(106)이 결합 설치되되, 상기 용기캡(106)은 원통형상의 캡몸체(16)로 형성되고 상기 캡몸체(16)의 중앙 내측 상면에는 하향하여 쐐기형상의 돌출침(18)이 형성되고 상기 캡몸체(16)의 하단 내주면에는 스토퍼돌기(20)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캡(106)을 도포부(104)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돌출침(18)이 상기 절개슬릿(13)을 절개하고 뚫어서 약물이 배출되도록 배출구멍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돌기(20)가 상기 환상돌기(14)와 마찰 결합하여 상기 환상돌기(14)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결합 고정되어 상기 용기캡(10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포부(104)의 도포부 몸체(12)의 하단 외주면에 보조돌기(15)가 더 형성되고, 상기 용기캡(106)의 캡몸체(16)의 하단 내주면에 보조돌기(21)가 더 형성되어 상기 용기캡(106)이 도포부(104)의 외주에 결합할 때, 상기 보조돌기(21)가 보조돌기(15)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포부(104)의 도포부 몸체(12)의 상단 중앙 상면에 순환슬릿(17)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캡(106)의 캡몸체(16)의 상단 내측 천정면에 순환침(19)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캡(106)이 도포부(104)의 외주에 결합할 때, 상기 순환침(19)이 순환슬릿(17)을 절개하여 용기 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공이 형성되도록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도포용기는 애완동물들의 상처 또는 피부병 발병시 피부에 직접적으로 손을 접촉하지 않고 도포용기를 이용하여 약액을 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애완동물들의 크기 또는 피부염, 상처 등의 분포 크기에 따라 약액을 조절하여 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용기캡을 본체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캡의 분실 또는 도포용기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취급과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성이 개선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충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도포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도포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도포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도포용기의 다른 일실시예의 용기캡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도포용기의 다른 일실시예의 도포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본 고안은,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튜브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약물을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본체부(102)와 상기 본체부(102)의 상단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도포부(104)를 구비하고, 상기 도포부(104)에 결합 설치되는 용기캡(106)을 포함하되, 상기 도포부(104)의 일측 상방으로 올라가면서 경사부가 형성되는 도포부 몸체(12)가 형성되고 상기 도포무 몸체(12)의 하단 외주면에는 환상돌기(14)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상면에는 절개슬릿(13)기 형성되어 지고 상기 도포부(104)의 외측면에 상기 용기캡(106)이 결합 설치되되, 상기 용기캡(106)은 원통형상의 캡몸체(16)로 형성되고 상기 캡몸체(16)의 중앙 외측 상면에는 하향하여 쐐기형상의 돌출침(18)이 형성되고 상기 캡몸체(16)의 하단 내주면에는 스토퍼돌기(20)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캡(106)을 도포부(104)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돌출침(18)이 상기 절개슬릿(13)을 우측부분을 절개하고 다운데를 밀고 들어가면서 약물이 배출되도록 배출구멍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돌기(20)가 상기 환상돌기(14)와 마찰 결합하여 상기 환상돌기(14)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결합 고정되어 상기 용기캡(10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포부(104)의 도포부 몸체(12)의 하단 외주면에 보조돌기(15)가 더 형성되고, 상기 용기캡(106)의 캡몸체(16)의 하단 내주면에 보조돌기(21)가 더 형성되어 상기 용기캡(106)이 도포부(104)의 외주에 결합할 때, 상기 보조돌기(21)가 보조돌기(15)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포부(104)의 도포부 몸체(12)의 상단 중앙 상면에 순환슬릿(17)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캡(106)의 캡몸체(16)의 상단 내측 천정면에 순환침(19)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캡(106)이 도포부(104)의 외주에 결합할 때, 상기 순환침(19)이 순환슬릿(17)을 절개하여 용기 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공이 형성되도록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도포용기의 전체적인 구조 및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도포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도포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도포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도포용기의 다른 일실시예의 용기캡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도포용기의 다른 일실시예의 도포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도포용기는, 도 1 내지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물을 수용하는 튜브 타입의 본체부(102)와, 상기 본체부(102)의 상단에 형성된 도포부(104)와, 상기 도포부(104)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용기캡(106)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도포용기(100)는 개,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들의 벼룩에 의한 피부염 치료, 진드기 감염의 예방과 치료, 내부기생충, 이(lice) 예방과 치료 및 심장사상충 감염의 예방목적으로 하는 Selamectin, Moxidectin, Imidacloprid, Fipronil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액체 제품으로 이루어진 약액을 본체부(102)에 담도록 원통용기의 튜브 타입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도포용기는 의약품에 접촉하는 직접 용기이며 사용시 동물 피부에 닿는 것으로서 갖추어야 할 구비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약품에 사용되는 첨가제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glycol), 에탄올(Ethanol) 등 유기용매가 사용됨에 따라 이러한 성분에 견디어야 한다.
둘째, 유효성분으로 하는 셀라멕틴(Selamectin), 목시덱틴(Moxidectin), ㅇ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피프로닐(Fipronil) 등과 같은 성분과 반응이 없어야 한다.
셋째, 용기의 끝부분(동물의 피부와 닿는 부분)은 피부접촉시 스크레치에 의한 피부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포부(104)의 상면은 매끈하고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태이어야 한다.
넷째, 사용시 용기내부에 약품 잔량이 없이 모두 밖으로 나올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다섯째, 튜브를 1회 눌러 안의 내용물이 모두 모두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할 경우 2~3회 반복 할 수 있도록 튜브가 탄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재질로서는 본체부(102)와 용기캡(106)은 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02)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용기캡(106)은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102)는 원통형상의 본체 몸체(10)와, 상기 본체 몸체(10)의 상부에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도포부 몸체(12)로 형성된 도포부(104)를 구비한다.
상기 도포부(104)의 도포부 몸체(12)의 중단 외주면부에는 다수의 돌기(14)가 형성된다.
상기 도포부 몸체(12)의 상단 중앙부에는 절개슬릿(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슬릿(13)은 후술되는 돌출침(18)에 의해 절개되고 약액이 배출되도록 구멍이 형성되도록 얇은 막으로 이루어지고 오목하게 형성되며 도포부 몸체(12)의 두께의 1/2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 몸체(10)는 약액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02)에서 내측의 약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한손으로 적당한 힘을 가해 본체부(102)를 눌렀을 때 약물이 충분히 방출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본체부(102)의 도포부(104)는 동물에 직접 접촉하는 면으로써 편평하거나 완만하게 둥근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동물에의 접촉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05)는 본체부(102)의 상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수평면을 기준으로 1~20°의 각도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용기캡(106)의 결합, 진입 및 분리시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도포부(104)에는 용기캡(106)이 씌워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본체부(102)는 원통형상의 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에는 도포부(104)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포부(104)는 상방향으로 직경이 좁아지면서 경사부(105)가 형성되는 도포부 몸체(1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포부(104)는 도포부 몸체(12)의 하단 외주면 둘레를 따라서 환상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상돌기(14)는 상기 용기캡(106)과 결합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상기 용기캡(106)은 상기 도포부(104)에 대응하여 상방에서 하방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부는 경사부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캡몸체(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몸체(16)의 내측 상단 중앙의 우측부에는 하향하도록 연장 돌출되어 돌출침(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침(18)은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면은 수직하게 타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캡(106)의 중앙 외측 상부에서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캡몸체(16)의 하단 내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환상형의 스토퍼돌기(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캡몸체(16)의 상단 중앙부에는 누름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몸체(16)의 하단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 슬릿돌기(24)들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손으로 잡았을 때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22)는 상기 돌출침(18)이 도포부(104)에 형성된 절개슬릿(13)을 뚫고 들어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중앙을 기점으로 완만한 라운드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 누름부(22)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 또는 검지 손가락의 완만한 굴곡과 일치하여 부드러운 접촉감을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도포용기(100)는 상기 본체부(102)의 상부에 형성된 도포부(104)에 용기캡(106)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용기캡(106)은 상기 도포부(104)에 씌워지되, 상기 돌출침(18)이 절개슬릿(13)을 뚫지 않은 상태로 외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캡(106)의 하단면부가 상기 도포부(104)의 환상돌기(1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도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2)의 상부에 용기캡(106)이 위치하고 결합이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상기 본체부(102)의 상부에 도포부(10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포부(104)의 상부에 용기캡(106)이 씌워져 있다.
상기 용기캡(106)의 내측에 형성된 돌출침(18)의 하끝단은 상기 도포부(104)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된 절개슬릿(13)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용기캡(106)의 하변부는 상기 도포부(104)에 형성된 환상돌기(14)의 상부에 걸려서 아래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정지되고, 상기 용기캡(106)의 하변과 상기 스토퍼돌기(20)의 간격은 상기 본체부(102)의 몸체(10)의 상면과 상기 용기캡(106)의 하변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거나 더 짧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용기캡(106)의 하변과 상기 스토퍼돌기(20)의 간격이 더 클 경우에는 상기 용기캡(106)을 눌렀을 때 용기캡(106)의 하변이 상기 몸체(10)의 상면부에 접촉하여 상기 돌출침(18)이 도포부(104) 상면의 절개슬릿(13)을 완전하게 뚫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돌출침(18)이 절개슬릿(13)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용기캡(106)의 상면에 형성된 누름부(22)를 엄지손가락 또는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가압하여 누른다.
상기 용기캡(106)이 가압되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돌출침(18)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돌출침(18)이 절개슬릿(13)의 우측부를 뚫고 들어가면서 도포부(104)에 약제가 배출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돌출침(18)은 상기 절개슬릿(13)의 중앙보다 그 외측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중앙보다 외측으로 형성됨으로써 중앙 사출부위가 아닌 일반 두께를 갖는 부위를 뚫고 들어가면서 가운데 부분의 절개슬릿(13) 부위를 밀고 들어가면서 구멍이 형성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돌출침(18)의 우측부는 - 바람직하기로는 바깥쪽 방향에는 -수직하게 형성되고 좌측부는 - 바람직하기로는 내측 중앙방향에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이 절개슬릿(13)의 바깥쪽에서 가운데 방향으로 밀고 들어가면서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왜냐하면 중앙부위에는 제품의 사출시 마무리되는 부분이 위치하므로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밀고 내려갈 경우에는 쉽게 뚫리지 않거나 일정하게 뚫리지 않기 때문에 중앙부위의 외측측부에서 밀고 내려가도록 함으로써 절개슬릿(13)을 절개하여 배출공을 원할하게 뚫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돌출침(18)에 의해 절개슬릿(13)이 뚫리면 상기 용기캡(106)은 상기 몸체(10)의 상면부에 위치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스토퍼 돌기(20)가 환상돌기(14)의 하향으로 내려가면 상기 환상돌기(14)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 돌기(20)가 상기 환상돌기(14)의 하부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용기캡(106)이 쉽게 분리되지 않고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용기캡(106)은 미사용시 스토퍼 돌기(20)에 의해 걸림 결합되고, 사용시에는 위로 잡아당겨서 분리한 후에 사용된다.
상기 환상돌기(14)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 돌기(20)도 반원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캡을 상방으로 잡아 당겼을 때 마찰력이 생기면서 쉽게 빠지지 않고 걸리도록 되어 있어서 일정한 마찰력 이상으로 힘을 주어 잡아 당김으로써 빠질 수 있도록 결합 설치됨으로써 보관 및 취급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돌출침(18)은 용기 끝 부분을 눌러 구멍을 낸 다음 용기캡(106)을 제거하여 사용하는 형태이며, 돌출침(18)은 부러지거나 구부러지지 않도록 견고한 구조 및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캡(106)의 후면은 중간 지점이 일정 깊이로 함몰된 누름부(22)를 포함함으로써 외력을 가하여 도포부(104)의 일측에 구멍을 내기가 더욱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절개슬릿(13)은 상기 용기캡(106)의 두께보다 1/2 - 1/3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돌출침(18)이 상기 용기캡(106)과 동일한 재질인 경우에는 쉽게 뚫리지 않고 부러지거나 휘어지게 되므로 배출구멍을 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도포용기의 다른 일실시예의 용기캡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도포용기의 다른 일실시예의 도포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용기캡(106)의 캡몸체(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몸체(16)의 상단 내측 천정면 중앙 좌측부에 돌출침(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침(18)의 근접한 부위-중앙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순환침(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순환침(19)은 상기 돌출침(18)에 비하여 소정의 간격(C)이 형성되도록 1/2 내지 1/3의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침(19)은 상기 도포부(14)의 상면에 공기구멍을 형성하여 공기가 들어가서 화살표와 같이 튜브 내에서 공기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캡몸체(16)의 하단 내주면에는 스토퍼돌기(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돌기(20)의 하단부에는 소정의 간격(B)이 형성되도록 보조돌기(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정의 간격(B)은 상기 소정의 간격(C)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용기캡(106)은 상기 도포부(104)에 결합되는바, 상기 도포부(104)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도포부 몸체(12)가 형성되고, 상기 도포부 몸체(12)의 하단 외주면에는 환상돌기(14)가 형성되고, 상기 환상돌기(14)의 근접한 하단부에는 소정의 간격(D)으로 보조돌기(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환상돌기(14)와 보조돌기(15)는 전술된 스토퍼돌기(20)와 보조돌기(21)과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B)과 소정의 간격(C)이 동일하도록 형성한다.
왜냐하면, 상기 스토퍼돌기(20)와 보조돌기(21)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결합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간격(B)이 소정의 간격(D)보다 더 크면 유동성이 커져서 슬립이 발생하거나 겉돌게 됨으로써 본체부(102)의 약제가 틈사이로 흘러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고, 상기 소정의 간격(B)이 소정의 간격(D)보다 더 작으면 결합이 불균형하게 이루어지므로 분리탈착되어 분실의 위험이 발생하거나 돌출침(18)에 의해 절개슬릿(13)의 구멍이 뚫리지 않기 때문이다.
이어서, 상기 도포부(104)의 상면 중앙에는 절개슬릿(13)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슬릿(13)의 우측부에는 순환슬릿(17)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슬릿(13)은 상기 돌출침(18)과 대응하고, 상기 순환슬릿(17)은 상기 순환침(19)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먼저, 1차적으로 상기 누름부(22)를 가압하여 돌출침(18)이 하강하여 외측부터 중앙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절개슬릿(13)을 절개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돌기(20)가 상기 환상돌기(14)에 결합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2차적으로 상기 누름부(22)를 더 가압하여 상기 순환침(19)이 상기 순환슬릿(17)을 절개하여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돌기(21)가 상기 보조돌기(15)를 타고 넘어가서 결합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용기캡(106)은 상기 돌출침(18)에 의해서 절개슬릿(13)이 밀려 들어가면서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순환침(19)에 의해서 순환슬릿(17)이 절개되어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도포부(104)는 작은 크기의 애완용동물이거나 작은 상처부위 또는 작은 전염부위에는 상기 돌출침(18)을 이용하여 절개슬릿(13)을 뚫어서 사용하고 더 큰 애완용 동물이나 큰 상처 부위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빠르게 도포해야 하므로 절개슬릿(13)과 순환슬릿(17)을 모두 뚫어서 공기순환이 화살표방향과 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도포액이 더 많은 양이 더 빠르게 나오도록 하여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실시예로, 개, 고양이의 양쪽 견갑골 사이의 목 부위 털을 헤쳐서 피부가 나오도록 한 다음, 동물 체중에 따라 0.25mL ~ 4mL를 2주 간격 또는 월 1회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그 도포양을 증가하여 순환슬릿(17)을 절개하여 0.5ml - 8ml로 도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본체 몸체 12 : 도포부 몸체
13 : 절개슬릿 14 : 환상돌기
16 : 캡 몸체 17 : 순환슬릿
18 : 돌출침 19 : 순환침
20 : 스토퍼 돌기 21 : 보조돌기
22 : 도포공 24 : 환상돌부
100: 도포용기 102 : 본체부
104 : 도포부 106 : 용기캡

Claims (3)

  1.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튜브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약물을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본체부(102)와 상기 본체부(102)의 상단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도포부(104)를 구비하고, 상기 도포부(104)에 결합 설치되는 용기캡(106)을 포함하되,
    상기 도포부(104)의 일측 상방으로 올라가면서 경사부가 형성되는 도포부 몸체(12)가 형성되고 상기 도포부 몸체(12)의 하단 외주면에는 환상돌기(14)가 형성되고 중앙 상면에는 절개슬릿(13)기 형성되어 지고 상기 도포부(104)의 외측면에 상기 용기캡(106)이 결합 설치되되,
    상기 용기캡(106)은 원통형상의 캡몸체(16)로 형성되고 상기 캡몸체(16)의 중앙 내측 상면에는 하향하여 쐐기형상의 돌출침(18)이 형성되고 상기 캡몸체(16)의 하단 내주면에는 스토퍼돌기(20)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캡(106)을 도포부(104)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돌출침(18)이 상기 절개슬릿(13)을 절개하고 뚫어서 약물이 배출되도록 배출구멍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돌기(20)가 상기 환상돌기(14)와 마찰 결합하여 상기 환상돌기(14)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결합 고정되어 상기 용기캡(10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도포부(104)의 도포부 몸체(12)의 하단 외주면에 보조돌기(15)가 더 형성되고, 상기 용기캡(106)의 캡몸체(16)의 하단 내주면에 보조돌기(21)가 더 형성되어 상기 용기캡(106)이 도포부(104)의 외주에 결합할 때, 상기 보조돌기(21)가 보조돌기(15)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도포부(104)의 도포부 몸체(12)의 상단 중앙 상면에 순환슬릿(17)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캡(106)의 캡몸체(16)의 상단 내측 천정면에 순환침(19)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캡(106)이 도포부(104)의 외주에 결합할 때, 상기 순환침(19)이 순환슬릿(17)을 절개하여 용기 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공이 형성되도록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순환침(19)은 상기 돌출침(18)에 비하여 소정의 간격(C)이 형성되도록 1/2 내지 1/3의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도포부(104)의 상면에 공기구멍을 형성하여 공기가 들어가서 화살표와 같이 튜브 내에서 공기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도포용기.
  2. 삭제
  3. 삭제
KR2020210000539U 2021-02-18 2021-02-18 애완동물용 도포용기 KR2004970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539U KR200497026Y1 (ko) 2021-02-18 2021-02-18 애완동물용 도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539U KR200497026Y1 (ko) 2021-02-18 2021-02-18 애완동물용 도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84U KR20220002084U (ko) 2022-08-25
KR200497026Y1 true KR200497026Y1 (ko) 2023-07-05

Family

ID=8306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539U KR200497026Y1 (ko) 2021-02-18 2021-02-18 애완동물용 도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02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37610B1 (en) 1999-11-08 2006-05-10 Capnia Incorporated Apparatus for co-application of gases and drugs
JP2016503369A (ja) 2012-11-21 2016-02-04 アール.ピー.シェーラー テクノロジーズ、エルエルシー ディスペンサー付き単回使用容器
KR102073289B1 (ko) * 2019-01-23 2020-02-04 양운철 음료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4390B2 (ja) * 1995-05-29 1999-10-18 ぺんてる株式会社 液体容器
JP3922910B2 (ja) 2001-10-31 2007-05-30 参天製薬株式会社 段差部を備えた点眼容器
KR101241350B1 (ko) 2011-05-17 2013-03-11 이강준 캡 일체형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37610B1 (en) 1999-11-08 2006-05-10 Capnia Incorporated Apparatus for co-application of gases and drugs
JP2016503369A (ja) 2012-11-21 2016-02-04 アール.ピー.シェーラー テクノロジーズ、エルエルシー ディスペンサー付き単回使用容器
KR102073289B1 (ko) * 2019-01-23 2020-02-04 양운철 음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84U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0598B2 (en) Outer cover of a pen needle for a drug delivery pen
US11786670B2 (en) Pen needle removal device for a drug delivery device
US5531703A (en) Applicator for semisolid medications
US11701476B2 (en) Cap for medical injector
US11154662B2 (en) Cap with hemisphere portion for medical injector
JP4731797B2 (ja) 座薬等のアプリケータ器具
US10328197B2 (en) Pen needle to facilitate manipulation by users having physical or visual impairment
US11337894B2 (en) Syringe adapter for animal medication
US2589426A (en) Injector
US20180133403A1 (en) Self-administered injection device and method
AU4423589A (en) Applicator for administering mastitis treatment
US4614035A (en) Hand held apparatus for destroying hypodermic needles
JP7325426B2 (ja) ペンニードル器具
KR200497026Y1 (ko) 애완동물용 도포용기
US3067742A (en) Smallpox vaccine system
US10092707B2 (en) T-shaped cap for medical injector
AU2002245633B2 (en) Applicator having partial insertion cannula
EP2620124A1 (en) Injection syringe
US10136978B2 (en) Dosing apparatus
KR200495577Y1 (ko)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
US20210093801A1 (en) Dermal injection guide device
KR200497888Y1 (ko) 바이알 홀더
RU2375013C1 (ru) Капельница для лекарственных препаратов для животных
ES2685048B1 (es) Dispositivo precargado monodosis y desechable para la aplicación de productos en cavidad vagina o rectal
US20220296821A1 (en) Pen needl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