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350B1 - 캡 일체형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캡 일체형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350B1
KR101241350B1 KR1020110046422A KR20110046422A KR101241350B1 KR 101241350 B1 KR101241350 B1 KR 101241350B1 KR 1020110046422 A KR1020110046422 A KR 1020110046422A KR 20110046422 A KR20110046422 A KR 20110046422A KR 101241350 B1 KR101241350 B1 KR 101241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tube
container
container body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8461A (ko
Inventor
이강준
이수아
이두재
Original Assignee
이강준
이두재
이수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준, 이두재, 이수아 filed Critical 이강준
Priority to KR1020110046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350B1/ko
Publication of KR20120128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12Connections between body and closure-receiving bu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ub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본체의 상부에 캡을 사출 성형하여 용기본체와 캡을 일체형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각각 별도 제작한 캡과 튜브를 결합하여 사용하지 않게 하게 하여 캡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캡 일체형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필름으로 된 원통형의 튜브로 구성된 용기본체와 캡으로 이루어진 튜브용기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상부에 관통된 배출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목부와 상기 목부의 하측으로부터 목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약간 경사지게 갈떼기 형상으로 된 어깨가 구성된 어깨부를 용기본체의 상부와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용기본체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경첩부와 상기 경첩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짧은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캡몸체와 상기 캡몸체의 중앙에 캡 상부 내면과 일체형으로 돌출 구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결합부가 구성된 캡을 사출 성형하여 용기본체와 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캡 일체형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으로서, 사용시에 캡의 분리가 필요 없어 캡의 분실이 발생하지 아니하고 튜브용기 상부의 어깨부와 캡을 동시에 사출하여 용기본체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생산 비용이 적고 용기본체와 캡의 조립공정이 삭제되어 생산성이 양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캡 일체형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Tube Vessel Assembly with Cap and the Method of Making It}
본 발명은 캡 일체형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의 상부에 캡을 사출 성형하여 용기본체와 캡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각각 별도 제작한 캡과 튜브를 결합하여 사용하지 하게 하여 캡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캡 일체형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약, 염색제 및 일부 고추장 등의 크림 타입 제품은 튜브용기 내에 충진되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데 이러한 제품을 충진하고 있는 튜브용기는 용기본체와 별도의 분리 구성되어 목부에 체결되는 캡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용기본체와 캡이 분리된 종래기술의 튜브용기를 살펴보면,
필름 원단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여 절단된 필름을 원통형으로 말아 양단을 용착하여 원통형의 튜브를 제작하고, 제작된 튜브를 금형에 안치하여 튜브 상부의 어깨를 사출하여 튜브와 어깨가 일체형이 되게 하며 이때 튜브의 상부 목부도 동시에 형성된 용기본체를 제작하고 용기본체와 별도로 캡을 사출 성형하여 각각 별도로 제작된 용기본체와 캡을 결합한 튜브용기가 유통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튜브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배출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이 숫나사로 형성된 원통형의 목부(112)와, 상기 목부(112)의 하측으로부터 목부(11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약간 경사지게 갈떼기 형상으로 된 어깨(111)와, 상기 어깨(111)의 단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크림 타입의 충진물이 채워지고 하부는 융착에 의하여 밀폐된 튜브(110)로 구성된 용기본체(100)가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0)의 목부(112)의 숫나사와 결합되고 별도로 제작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결합부(121)와, 상기 결합부(121)와 이격되면서 동심원으로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캡몸체(122)와, 상기 결합부(121)의 상부와 캡몸체(122)의 상부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상부면(123)으로 구성된 캡(120)이 구성된다.
다른 실시 예의 종래기술은 원통형의 용기본체의 상부 가장자리에 안치되고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짧은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캡몸체와, 상기 캡몸체의 중앙에 일체형으로 돌출되면서 관통공을 형성하고 용기본체의 목부의 숫나사에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원통형의 결합부와, 상기 캡몸체의 외주연에 캡몸체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경첩부와, 상기 경첩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중앙 내면에 목부를 밀폐하는 밀폐부가 돌출 구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캡을 일체형으로 사출하여 용기본체와 캡이 별도로 제작되어 용기본체와 캡을 결합한 튜브용기가 유통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튜브용기는 각각 별도로 제작된 캡에서 캡의 결합부 암나사를 용기본체 목부 숫나사에 나사 결합하게 되면 캡이 용기본체에 결합되고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 튜브용기가 유통된다.
상기 종래기술의 튜브용기는 어깨와 튜브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용기본체와 별도의 캡으로 분리 생산하여 이를 결합한 상태에서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튜브용기는 충진물을 사용하기 위해서 캡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하게 되어 분리된 캡의 분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튜브용기는 튜브용기 생산 시에 어깨와 튜브를 일체형의 용기본체를 생산하고 용기본체와 별도로 캡을 생산하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고가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튜브용기는 별도로 생산된 용기본체와 캡을 조립하게 되어 조립에 따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용기본체와 캡이 각각 분리되어 결합 사용하지 않게 하게 하면서 단순화된 제조공정으로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필름으로 형성되는 튜브의 상부의 어깨부와 캡을 사출 성형하여 용기본체와 캡이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캡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캡 일체형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필름으로 된 원통형의 튜브로 구성된 용기본체와 캡으로 이루어진 튜브용기에 있어서, 용기본체의 상부에 캡을 사출 성형하여 용기본체와 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본체의 상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용기본체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경첩부와, 경첩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짧은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캡몸체와, 캡몸체의 중앙에 캡 상부 내면과 일체형으로 돌출 구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결합부가 구성된 캡이 사출 성형되어 캡과 튜브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의 상부에 관통된 배출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목부와 목부의 하측으로부터 목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약간 경사지게 갈떼기 형상으로 된 어깨로 구성된 어깨부를 사출 성형하여 어깨부와 튜브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어깨에 가장자리 둘레에 단으로 된 안착단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단에서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구성되고 안착단에서 멀어 질수록 깊이가 낮아지면서 끝단이 튜브의 외주면과 일치하게 되는 개방홈이 구성되어, 상기 캡이 용기본체의 목부를 밀폐하면 캡몸체의 하단부가 안착단의 상부에서 돌출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단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원통형의 튜브를 성형하는 튜브성형단계와; 튜브를 사출금형에 안치하는 튜브안치단계와; 튜브의 상부에 목부와, 목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갈떼기 형상으로 된 어깨로 구성된 어깨부와, 튜브 상부와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경첩부와, 경첩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캡몸체와, 캡몸체의 내면에 일체형으로 돌출 구성된 원통형의 결합부가 구성된 캡을 동시에 사출 성형하는 사출단계와; 사출된 합성수지를 가소화시키면서 튜브와 어깨부 및 캡이 일체형으로 되게 하는 어깨부, 캡, 튜브 일체화단계와; 금형으로부터 성형된 튜브용기를 취출하는 취출단계와; 용기본체의 하단 부분가 일체 되게 용융 가압하여 접합하는 밀봉단계;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절단된 원단의 중앙부를 태극모양의 본체분리판이 형성되게 하는 본체분리판성형단계(S 20')가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용기본체의 내부에 크림타입의 충진물을 주입한 후 밀봉단계를 실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캡 일체형 튜브용기는 용기본체와 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사용시에 캡의 분리가 필요 없어 캡의 분실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캡 일체형 튜브용기는 튜브용기 상부의 어깨부와 캡을 동시에 사출 성형되면서 용기본체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생산 비용이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캡 일체형 튜브용기는 용기본체와 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별도로 생산된 용기본체와 캡의 조립공정이 삭제되어 생산성이 양호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캡 일체형 튜브용기 제조방법은 튜브용기를 금형에 안치하여 튜브용기 상부의 어깨부와 캡을 동시에 사출하여 용기본체와 캡이 일체형인 튜브용기를 생산함으로써 생산 비용이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캡 일체형 튜브용기 제조방법은 용기본체와 캡을 각각 별도 공정에 의하여 생산하지 아니하고 동시에 캡과 용기본체에 일체형으로 생산함으로써 생산성이 양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튜브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캡 일체형 튜브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튜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캡 일체형 튜브용기 제조방법의 단계도.
도 6은 본 발명의 캡 일체형 튜브용기 제조방법의 개략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깨부, 캡, 튜브를 동시에 사출하는 개략 상태도.
본 발명은 필름으로 형성되는 튜브의 상부에 구성되는 어깨부와 별도로 사출 성형되는 캡을 동시에 사출 성형하여 용기본체와 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캡 일체형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 2의 본 발명 캡 일체형 튜브용기의 사시도,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튜브의 사시도,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튜브의 사시도, 도 5의 본 발명의 캡 일체형 튜브용기 제조방법의 단계도, 도 6의 본 발명의 캡 일체형 튜브용기 제조방법의 개략 공정도 및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어깨부, 캡, 튜브를 동시에 사출하는 개략 상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캡 일체형 튜브용기(10)는 용기본체(20) 및 캡(40)으로 구성되고, 용기본체(20)는 어깨부(30) 및 튜브로 구성되고, 어깨부(30)는 목부(32), 어깨(31), 안착단(33), 개방홈(34) 및 경첩부(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캡(40)은 캡몸체(41) 및 결합부(42)가 형성되되 캡(40)과 용기본체(20)의 상부에 구성되는 어깨부(30)를 동시에 사출 성형하여 용기본체(20)와 캡(40)이 일체형 된다.
상기 용기본체(20)는 필름(50)으로 된 튜브 상부에 어깨부(30)를 사출하여 튜브와 어깨부(3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튜브는 필름(50) 원단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여 절단필름(50')을 원통형으로 말아 양단의 용착부(a, a')가 용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20)는 튜브의 상부에 관통된 배출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목부(32)와, 목부(32)의 하측으로부터 목부(3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약간 경사지게 갈떼기 형상으로 된 어깨(31)로 구성된 어깨부(30)가 구성되는데 상기 목부(32) 및 어깨(31)를 동시에 사출 성형하여 튜브와 목부(32) 및 어깨부(30)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목부(32)는 원통형 형상으로서 튜브의 상단부에 사출 성형되어 용기본체(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이 원터치홈 또는 원터치돌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20)의 영역에 주입된 충진물 즉 크림타입의 충진물 배출을 위한 배출공이 구성되어 배출공이 완전 개방되거나 밀폐되어 크림타입의 내용의 배출되거나 저지된다.
상기 캡(40)은 경첩부(36)와 캡몸체(41)와 결합부(42)로 구성되는데, 상기 경첩부(36)는 용기본체(20)의 상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용기본체(20)로부터 내부방향 또는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단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경첩부(36)는 일반적인 경첩의 구성과 상이하고 즉, 고정되는 본체에 부착되고 일측에 링크로 구성된 마운팅링크가 구성되고 평판형의 마운팅플레이트와, 회전하는 도어 등에 부착되고 마운팅플레이트에 결합되어 회동되고 일측에 링크로 구성된 회전링크가 구성되고 평판형의 회동플레이트와, 마운팅링크와 회동링크 내에 동시에 삽입되어 회동플레이트가 마운팅플레이트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하는 장착핀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경첩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의 띠 형상으로 구성되어 일측이 용기본체(20)의 상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타측이 캡몸체(41)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경첩부(36)는 캡몸체(41)가 목부(32)에서 이탈하여 목부(32)를 개방할 때 용기몸체로부터 이탈하지 아니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캡몸체(41)는 경첩부(36)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짧은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용기본체(20)의 상부 착탈되어 목부(32)가 캡몸체의 내면에 위치하게 하여 목부(32) 및 어깨부(30)가 노출되게 하거나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결합부(42)는 캡몸체(41)의 상부 중앙 내면에 일체형으로 돌출 구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캡몸체(41)가 목부(32) 및 어깨부(30)를 밀폐하여 보호할 때 목부(32)에 결합되어 목부(32)를 밀폐하여 용기본체(20) 내에 충진된 크림형의 충진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게 한다.
상기 결합부(42)가 목부(32)의 내경에 삽입되거나 외경에 삽입될 수 있는데 사용의 편의성 등을 감안할 때 목부(32) 외경에 삽입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첩부(36), 캡몸체(41), 경첩부 및 결합부(42)가 동시에 사출 성형되어 용기본체(20)와 캡(40)이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어깨부(30)는 용기본체(20)와 만나는 가장자리 둘레에 단으로 된 안착단(33)이 구성되며, 캡(40)이 용기본체(20)의 목부(32)를 밀폐할 때 캡몸체(41)의 하단부가 안착단(33)에 안착된다.
상기 안착단(33)은 직경을 캡몸체(41)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구성되어 캡(40)이 용기본체(20)의 목부(32)를 밀폐할 때 캡몸체(41)가 안착단(33)에 억지결합이 되게 하여 캡(40)이 용기본체(20)로부터 스스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록킹 작용을 한다.
상기 개방홈(34)은 안착단(33)에서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구성되고 안착단(33)에서 멀어 질수록 깊이가 낮아지면서 끝단이 튜브의 외주면과 일치되게 구성 즉, 안착단에서는 깊이와 폭이 크고 튜브의 끝단으로 갈수록 깊이와 폭이 작아지게 구성되어 끝단이 튜브의 외주면과 일치하게 된다.
상기 개방홈(34)은 어깨부(30) 즉, 안착단(33)에서 깊이가 깊게 되어 캡(40)이 용기본체(20)의 목부(32)를 밀폐하면 캡몸체(41)의 하단부가 안착단(33)의 상부에서 돌출되게 구성되어 캡(40)이 목부(32) 및 어깨부(30)의 밀폐 후 캡(40)을 개방할 때 개방홈(34)이 구성되어 안착단(33)에서 돌출된 캡몸체(41)의 하단부에 외력을 가하여 캡(40)이 개방되게 한다.
상기 용기본체(20)에 크림타입의 충진물을 충진한 후 용기본체(20)의 하단 밀봉부(21)를 용융 가압하여 접합하여 용기본체(20)의 하단 부분가 일체 되게 한다.
한편, 튜브의 상부에 사출 성형되는 튜브의 원통형 형상과 동일한 짧은 원통으로 된 연장부(35)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연장부(35)는 튜브 및 어깨(31)와 일체형이 되어 튜브의 상부가 원통형이 되도록 하면서 개방홈(34)이 구성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캡 일체형 튜브용기(10) 제조방법에 있어서, 튜브를 형성하기 위하여 원단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는 절단단계(S 10)와; 상기 절단단계(S 10) 후 절단된 양단의 용착부(a, a')를 용착하여 원통형의 튜브를 성형하는 튜브성형단계(S 20)와; 상기 튜브성형단계(S 20)에서 제작된 튜브를 사출금형(b)에 안치하는 튜브안치단계(S 30)와; 상기 튜브안치단계(S 30) 후 튜브의 상부에 관통된 배출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목부(32)와, 상기 목부(32)의 하측으로부터 목부(3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약간 경사지게 갈떼기 형상으로 된 어깨(31)로 구성된 어깨부(30)와, 튜브 상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용기본체(2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경첩부(36)와 경첩부(36)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짧은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캡몸체(41)와 캡몸체(41)의 상부 중앙 내면에 일체형으로 돌출 구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결합부(42)가 구성된 어깨부(30)를 동시에 사출 성형하는 사출단계(S 40)와; 상기 사출단계(S 40) 후 사출된 합성수지를 가소화시키면서 튜브와 어깨부(30) 및 캡(40)이 일체형으로 되게 하는 어깨부, 캡, 튜브 일체화단계(S 50)와; 상기 어깨부, 캡, 튜브 일체화단계(S 50) 후 사출금형(b)으로부터 성형된 튜브용기를 취출하는 취출단계(S 60)와; 상기 취출단계(S 60) 후 용기본체(20)의 하단 부분가 일체 되게 용융 가압하여 접합하는 밀봉단계(S 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롤 형태로 감겨 있는 원단을 용기본체(20)의 크기를 고려하여 튜브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정 폭으로 절단하는 절단단계(S 10)를 수행한다.
상기 절단단계(S 10) 후 절단된 원단을 원주형으로 구성된 돌출된 원주바 금형의 외주면에 감싸 절단된 원단의 양단을 고주파기로 용융하고 압착기로 압착하여 절단된 원단의 양단은 원주바 금형의 외주면과 압착기 사이에서 압착되어 원통형의 통 튜브로 성형하는 튜브성형단계(S 20)를 수행한다.
상기 튜브성형단계(S 20)에서 제작된 튜브를 인출하여 별도로 구성된 사출금형(b)에 안치하는 튜브안치단계(S 30)를 수행하는데 튜브안치단계(S 30)는 튜브의 내면에 코어금형을 코어금형과 이격되게 하여 어깨수지로(30')가 구성되게 코어금형의 외면에 하부금형 또는 상부금형을 안치하고, 캡(40)의 경첩부(36), 캡몸체(41) 및 결합부(42)를 동시에 사출되게 하는 캡수지로(40')가 구성되게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이 안치한다.
이때, 상기 튜브의 상부면에 어깨수지로(30') 내에 약간 돌출되게 구성하여 어깨부(30)의 사출시에 튜브의 상부면과 어깨부(30)가 일체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금형은 크게 코어금형,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어금형은 분할코어 및 슬라이드코어로 분리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금형의 설계에 따라 어떤 금형이 생략되거나 또 다른 금형이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금형들은 사출 성형기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금형과 사출 성형기 본체에서 분리되어 있으면서 작업시 고정금형에 접근하여 밀착하게 되는 중간금형 및 가동금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튜브안치단계(S 30) 후 튜브의 상부에 관통된 배출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목부(32)와, 상기 목부(32)의 하측으로부터 목부(3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약간 경사지게 갈떼기 형상으로 된 어깨(31)로 구성된 어깨부(30)와, 튜브 상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용기본체(2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경첩부(36)와 경첩부(36)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짧은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캡몸체(41)와 캡몸체(41)의 상부 중앙 내면에 일체형으로 돌출 구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결합부(42)가 구성된 어깨부(30)를 동시에 사출 성형하는 사출단계(S 40)를 수행한다.
상기 사출단계(S 40)는 하나의 사출노즐을 통하여 합성수지를 사출할 수도 있고, 사출되는 합성수지의 용융수지가 캡(40), 어깨부(30) 및 목부(32) 등의 유동 등을 감안하여 사출노즐을 복수개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사출되는 용융수지의 용융온도는 일반 사출물과 동일하면 재질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230~270가 된다.
상기 용융수지가 냉각하는 동안에 수축으로 인한 체적감소를 보상하기 위하여 충진실에 용융수지가 채워진 후 가압장치가 더욱 전진하여 압력을 가하여 용융수지가 용융상태에서 고체상태로 변화할 때 발생하는 수축, 즉 냉각하는 동안에 수축의 성형수축율에 대한 체적감소를 보상을 하되 가압과 가압시간은 가능한 한 낮게 한다.
상기 사출단계(S 40) 후 사출된 융융된 합성수지의 온도를 낮추면서 용융된 합성수지가 형태를 유지하도록 용융된 합성수지를 가소화시키면서 튜브와 어깨부(30) 및 캡(40)이 일체형으로 되게 하는 어깨부, 캡, 튜브 일체화단계(S 50)를 수행한다.
상기 어깨부, 캡, 튜브 일체화단계(S 50)는 금형을 냉각시키면서 용융수지를 응고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성형기나 금형에 뚫은 냉각 구멍 또는 냉각 홈으로 냉각수 또는 냉매를 관통시켜 금형에서 용융수지의 고열을 제거하고, 용융수지에 탄성한계 이상의 응력 하에서 일어나는 변형으로 인하여 응력을 제거하여도 원형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성질인 가소성을 부여한다.
상기 어깨부, 캡, 튜브 일체화단계(S 50) 후 용기본체(20) 및 캡(40)이 일체화되어 형태가 유지된 반제품을 금형으로부터 취출하는 취출단계(S 60)를 수행한다.
상기 취출단계(S 60)는 가소화된 합성수지가 가동금형 및 고정금형이 분리되면서 이젝트로 일체형으로 된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로서 가동금형 및 고정금형이 분리되면서 이젝트로 일체형으로 된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로서 금형 속에 설치되고 이젝터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금형이 열릴 때 이젝터 플레이트와 같이 전진하는 이젝터 핀으로 성형품을 금형으로 부터 분리하는 것이다.
상기 취출단계(S 60) 후 용기본체(20)에 크림타입의 충진물을 충진한 후 용기본체(20)의 하단 부분이 일체가 되게 하단 밀봉부(21)를 용융 가압하여 접합하는 밀봉단계(S 70)를 수행한다.
상기 튜브성형단계(S 20)에서 절단된 원단의 중앙부를 S자 형태의 태극모양으로 본체분리판(22')이 형성되게 하는 본체분리판성형단계(S 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공정에서 절단된 원단의 중앙부를 S자 형태의 태극모양으로 본체분리판이 형성되게 한 후 절단된 양단을 고주파기로 용융하여 압착기로 용융부분을 압착 용착하여 원통형의 용기본체(20')를 형성한다.
상기 용기본체(20')에는 용기본체(20')의 내부공간을 2개의 영역을 완전히 분할되게 하는 본체분리판(22')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께부에는 어깨부(30)의 내부공간을 2개의 영역을 완전히 분할되게 하는 어깨분리판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목부(32)에는 목부(32)의 내부공간을 2개의 영역을 완전히 분할되게 하는 목분리판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20')와 어깨부(30) 및 목부(32)가 본체분리판(22'), 어깨분리판 및 목분리판에 의하여 구획되는 각각의 2개의 영역에는 각각 서로 다른 충진물이 채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목분리판은 목부(32)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어깨분리판은 어깨부(30)와 일체로 사출 성형 즉 목분리판과 어깨분리판은 캡(40) 및 어깨부(30)의 사출 성형 시에 동시에 사출한 후 용기본체(20')의 하단 부분이 일체가 되게 용융 가압 성형하여 접합한다.
상기 목분리판의 가장자리는 목부(32)의 내주면과 일체형으로 되고 하부는 어깨분리판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어깨분리판의 상부 가장자리는 어깨(31)의 내면과 일체형으로 되고, 본체분리판(22')은 상부가 어깨분리판과 일체형이되고 길이방향의 좌우 가장자리는 각각 180 ° 방향으로 이격되어 용기본체(20')의 내면에 일체형으로 되어, 용기본체(20')에 2개의 영역을 완전히 분할하게 된다.
상기 본체분리판(22')은 폭이 용기본체(20')의 내면의 원주 길이의 1/2로서 상기 본체분리판(22')의 폭은 용기본체(20')의 2개의 영역 중에서 큰 영역의 내주면의 길이와 동일하게 되어 본체분리판(22')이 용기본체(20') 내에서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S자 형태의 태극모양으로 구성하게 되면 상기 본체분리판(22')에 의하여 구획되는 용기본체(20')의 2개의 영역은 일정 비율에 의하여 균등하게 구획된다.
상기 목분리판 및 어깨분리판에 의하여 구획되는 목부(32) 및 어깨부(30)의 2개의 영역도 용기본체(20')의 2개의 영역과 동일한 일정 비율에 의하여 균등하게 분할하도록 목부(32)와 목분리판, 어깨부(30)와 어깨분리판을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면 목부(32), 목분리판, 어깨(31), 어깨분리판, 용기본체(20') 및 본체분리판(22')이 일체형으로 성형하고, 용기본체(20')의 하단 부분을 용기본체(20')와 본체분리판(22')이 일체가 되게 용융 가압 성형하여 접합한다.
상기 본체분리판(22')에 의하여 분할되는 2개 영역의 용적은 동일하게 되어 분할된 각 공간에 주입된 충진물의 량이 동일하면서 주입된 충진물이 배출될 때 배출구를 통하여 동시에 배출되는데 이때 각각의 충진물은 50 : 50의 비율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캡 일체형 튜브용기(10)는 용기본체(20, 20')와 캡(40)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사용시에 캡(40)의 분실이 발생되고, 어깨부(30)와 캡(40)이 동시에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어 생산 비용이 적고, 별도로 생산된 용기본체(20)와 캡(40)의 조립공정이 삭제되어 생산성이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의 캡 일체형 튜브용기(10) 제조방법은 튜브용기 상부의 어깨부(30)와 캡(40)을 동시에 사출 생산함으로써 생산 비용이 적은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캡 일체형 튜브용기 20, 20': 용기본체
21: 밀봉부 22': 본체분리판
30: 어깨부 30': 어깨수지로
31: 어깨 32: 목부
33: 안착단 34: 개방홈
35: 연장부 36: 경첩부
40: 캡 40': 캡수지로
41: 캡몸체 42: 결합부
50: 필름 50': 절단필름
a, a': 용착부 b: 사출금형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필름으로 된 원통형의 튜브로 구성된 용기본체와 캡으로 이루어진 튜브용기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상부에 관통된 배출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목부와, 목부의 하측으로부터 목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경사지게 갈떼기 형상으로 된 어깨로 구성된 어깨부와, 어깨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단으로 형성되는 안착단과, 안착단에서 시작하여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구성되고 안착단에서는 깊이와 폭이 크고 튜브의 끝단으로 갈수록 깊이와 폭이 작아져서 끝단이 튜브의 외주면과 일치되는 개방홈으로 구성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용기본체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경첩부와, 경첩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캡몸체와, 캡몸체의 상부 중앙 내면에 일체형으로 돌출 구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결합부로 구성되는 캡으로 구성되어;
    상기 목부와 어깨부와 안착단과, 개방홈 및 캡을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하여 용기본체와 캡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캡이 용기본체의 목부를 밀폐할 때 캡몸체의 하단부가 안착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일체형 튜브용기.
  6. 캡 일체형 튜브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뷰브를 형성하기 위하여 원단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상기 절단단계 후 절단된 양단을 용착하여 원통형의 튜브를 성형하는 튜브성형단계와;
    상기 튜브성형단계에서 제작된 튜브를 사출금형에 안치하는 튜브안치단계와;
    상기 튜브안치단계 후 튜브의 상부에 관통된 배출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목부와, 상기 목부의 하측으로부터 목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경사지게 갈떼기 형상으로 된 어깨로 구성된 어깨부와, 튜브 상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용기본체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경첩부와 경첩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캡몸체와 캡몸체의 상부 중앙 내면에 일체형으로 돌출 구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결합부가 구성된 어깨부를 동시에 사출 성형하는 사출단계와;
    상기 사출단계 후 사출된 합성수지를 가소화시키면서 튜브와 어깨부 및 캡이 일체형으로 되게 하는 어깨부, 캡, 튜브 일체화단계와;
    상기 어깨부, 캡, 튜브 일체화단계 후 금형으로부터 성형된 튜브용기를 취출하는 취출단계와;
    상기 취출단계 후 용기본체의 하단 부분가 일체 되게 용융 가압하여 접합하는 밀봉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일체형 튜브용기 그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성형단계에서 절단된 원단의 중앙부를 S자 형태의 태극모양으로 본체분리판이 형성되게 하는 본체분리판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일체형 튜브용기 그 제조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서,
    상기 밀봉단계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크림타입의 충진물을 주입한 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일체형 튜브용기 그 제조방법.
KR1020110046422A 2011-05-17 2011-05-17 캡 일체형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241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422A KR101241350B1 (ko) 2011-05-17 2011-05-17 캡 일체형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422A KR101241350B1 (ko) 2011-05-17 2011-05-17 캡 일체형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461A KR20120128461A (ko) 2012-11-27
KR101241350B1 true KR101241350B1 (ko) 2013-03-11

Family

ID=4751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422A KR101241350B1 (ko) 2011-05-17 2011-05-17 캡 일체형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3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210U (ko) 2020-07-16 2022-01-25 주식회사 다우기업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
KR20220002084U (ko)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다우기업 애완동물용 도포용기
KR20220163158A (ko) 2021-06-02 2022-12-09 (주)나산기업 토출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563B1 (ko) * 2018-01-18 2019-03-18 주식회사 다우기업 라미네이트 튜브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라미네이트 튜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2753A (ja) * 1994-02-15 1995-09-05 Yoshida Kogyo Kk <Ykk> キャップ一体成形チューブ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2753A (ja) * 1994-02-15 1995-09-05 Yoshida Kogyo Kk <Ykk> キャップ一体成形チューブ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210U (ko) 2020-07-16 2022-01-25 주식회사 다우기업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
KR20220002084U (ko)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다우기업 애완동물용 도포용기
KR20220163158A (ko) 2021-06-02 2022-12-09 (주)나산기업 토출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461A (ko) 201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350B1 (ko) 캡 일체형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AU719789B2 (en) Plastic container componen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CN101432118B (zh) 用于制备饮料的带有水密性密封件的胶囊及其制造方法
US8038434B2 (en) Moulds for moulding objects made of plastics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mould element
US7588809B2 (en) Hollow body of synthetic resin, method and mold for injection molding of the hollow body
CN102883863B (zh) 共注射模制中的改进
US5447674A (en) Method for producing a gas-tight plastic closure for containers
US7604764B2 (en) Method of molding hollow component with high strength and sealability and the hollow component
JP2005514227A (ja) 圧縮成形プロセス及び該プロセスにより製造された物品
EP1365903B1 (fr) Procede de fabrication d&#39;assemblages de pieces en matiere plastique
CN107073781A (zh) 用于制造包装封闭件的方法和设备
KR100841720B1 (ko) 이종물질 튜브용기의 튜브 헤드 성형장치
CN102579257B (zh) 一种输液袋用接口及其制备方法和输液袋用配件
US20080241441A1 (en) Overmolding of a tube head on a skirt end to give a tube with a high restitution rate
JP2007517690A (ja) 射出圧縮成形
KR101943878B1 (ko) 원터치 캡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 캡의 제조방법
JP3972843B2 (ja) 中空成形品の成形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成形用金型
CA2270640C (en) Process for producing a multi-chamber packaging tube
CN220198411U (zh) 组合式瓶盖成型模具
JP3773898B2 (ja) 輸液容器用口栓体の製造方法
CN204972250U (zh) 内封式软袋接口组合盖及具备该组合盖的软袋
JP2872700B2 (ja) チューブ容器並びにその製法
CN202124198U (zh) 带塑料嘴的液体包装用塑料容器盖
KR101959070B1 (ko) 블로잉공법으로 성형되는 착탈 가능한 이중용기
JP2005028828A (ja) 樹脂成形品のインサート成形方法および成形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