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3158A - 토출용기 - Google Patents

토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3158A
KR20220163158A KR1020210071722A KR20210071722A KR20220163158A KR 20220163158 A KR20220163158 A KR 20220163158A KR 1020210071722 A KR1020210071722 A KR 1020210071722A KR 20210071722 A KR20210071722 A KR 20210071722A KR 20220163158 A KR20220163158 A KR 20220163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charge
contents
main body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7952B1 (ko
Inventor
곽종욱
Original Assignee
(주)나산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산기업 filed Critical (주)나산기업
Priority to KR1020210071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95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3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10Body construction made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소켓하우징과 캡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소켓하우징의 사이공간으로 외기가 진입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역지판을 구성함으로써, 본체의 용기부에서 진공이 형성됨을 방지시켜 내용물의 용이한 토출 및 토출완료 후 용기부의 신속한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정량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일단에 구성되되 일측에 단차진 형상을 가지는 지지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단부의 상방에 외기의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일단에 구성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제1체결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용기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토출공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1체결부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체결부, 및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제1토출공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지지하는 제2토출공을 포함하는 소켓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하우징의 하단은 본체의 목부에 형성된 지지단부가 위치된 부분에 위치되되, 외기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목부와 일정간격을 가지며; 상기 소켓하우징의 하단에는 목부에 삽입되되 지지단부에 안착되는 안착링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링은 중앙에 목부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일정두께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링몸체와; 상기 링몸체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목부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역지판부재; 및 상기 링몸체의 통공으로 외기가 진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출용기{A discharge bottle}
본 발명은 토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와 소켓하우징과 캡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소켓하우징의 사이공간으로 외기가 진입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역지판을 구성함으로써, 본체의 용기부에서 진공이 형성됨을 방지시켜 내용물의 용이한 토출 및 토출완료 후 용기부의 신속한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토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출용기는 액상 또는 겔상이나 고체상으로 이루어진 각종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이다.
예컨대, 치약, 염색제 및 고추장 등의 겔상 제품은 튜브용기 내에 충진되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데, 이러한 제품을 충진하고 있는 튜브용기는 용기본체와 별도의 분리 구성되어 목부에 체결되는 캡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튜브용기는 필름원단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여 절단된 필름을 원통형으로 말아 양단을 융착하여 원통형의 튜브를 제작하고, 제작된 튜브를 금형에 안치하여 튜브 상부의 어깨를 사출하여 튜브와 어깨가 일체형이 되게 하며 이때 튜브의 상부 목부도 동시에 형성된 용기본체를 제작하고 용기본체와 별도로 캡을 사출 성형하여 각각 별도로 제작된 용기본체와 캡을 결합한다.
좀 더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튜브용기는, 상부에 배출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이 수나사로 형성된 원통형의 목부(112)와, 상기 목부(112)의 하측으로부터 목부(11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약간 경사지게 갈떼기 형상으로 된 어깨(111)와, 상기 어깨(111)의 단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되어 채워지는 하부는 융착에 의하여 밀폐된 튜브(110)로 구성된 용기본체(100)가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0)의 목부(112)의 수나사와 결합되고 별도로 제작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결합부(121)와, 상기 결합부(121)와 이격되면서 동심원으로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캡몸체(122)와, 상기 결합부(121)의 상부와 캡몸체(122)의 상부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상부면(123)으로 구성된 캡(120)이 구성된다.
이에, 튜브타입으로 형성된 용기본체를 압착시키면, 압착력에 의해 튜브에 작용하는 가압력으로 내용물이 토출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토출용기는 용기본체와 캡 사이에 기밀한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용기본체를 압착시키면 용기본체와 캡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새어나가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물이 용이하게 토출됨을 방해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토출용기는 용기본체를 압착시킨 후 압착력을 해제하면,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점성과 압착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작용하는 진공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의 복원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복원력 상실로 내용물을 재토출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128207호(2019.11.15. 공개) 대한민국 특허 제10-1241350호(2013.03.11.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와 소켓하우징과 캡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소켓하우징의 사이공간으로 외기가 진입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역지판을 구성함으로써, 본체의 용기부에서 진공이 형성됨을 방지시켜 내용물의 용이한 토출 및 토출완료 후 용기부의 신속한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토출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량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일단에 구성되되 일측에 단차진 형상을 가지는 지지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단부의 상방에 외기의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일단에 구성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제1체결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용기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토출공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1체결부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체결부, 및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제1토출공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지지하는 제2토출공을 포함하는 소켓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하우징의 하단은 본체의 목부에 형성된 지지단부가 위치된 부분에 위치되되, 외기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목부와 일정간격을 가지며; 상기 소켓하우징의 하단에는 목부에 삽입되되 지지단부에 안착되는 안착링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링은 중앙에 목부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일정두께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링몸체와; 상기 링몸체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목부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역지판부재; 및 상기 링몸체의 통공으로 외기가 진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정량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일단에 구성되되 일측에 단차진 형상을 가지는 지지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단부의 상방에 외기의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일단에 구성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제1체결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용기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토출공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1체결부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체결부, 및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제1토출공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지지하는 제2토출공을 포함하는 소켓하우징; 및 상기 소켓하우징의 일단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하우징의 하단은 본체의 목부에 형성된 지지단부가 위치된 부분에 위치되되, 외기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목부와 일정간격을 가지며; 상기 소켓하우징의 하단에는 일단이 상기 소켓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단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목부의 지지단부에 밀착되는 자유단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용기부 내부에 진공이 형성됨을 방지시켜 내용물의 토출용이 또는 용기부의 신속한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제2역지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정량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일단에 구성되되 일측에 단차진 형상을 가지는 지지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단부의 상방에 외기의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일단에 구성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제1체결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용기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토출공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1체결부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체결부, 및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제1토출공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지지하는 제2토출공을 포함하는 소켓하우징; 및 상기 소켓하우징의 일단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하우징의 하단은 본체에 소켓하우징을 체결시키면, 상기 본체의 목부에 형성된 지지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목부의 통기공으로 외기가 진입됨을 방지하는 일정폭의 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에는 일정크기로 형성되어 외기가 진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입공, 및 일측이 밀착부에 고정되는 고정단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자유단이 형성되어 상기 진입공을 개폐시키도록 하는 제3역지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역지판부재, 제2역지판 또는 제3역지판의 자유단에는 일정폭과 두께로 형성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자연스럽게 밀착상태를 유지시켜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유도하는 밀착유도환형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에는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고 중앙에 제2토출공이 형성되는 토출융기부; 및 상기 토출융기부의 일단에 구성되어, 상기 제2토출공을 통해 내용물의 토출이 완료되면 상기 제2토출공을 폐쇄시켜 내용물이 외기에 의해 부패됨을 방지시키도록 하는 제1역지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와 소켓하우징과 캡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소켓하우징의 사이공간으로 외기가 진입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역지판을 구성함으로써, 본체의 용기부에서 진공이 형성됨을 방지시켜 내용물의 용이한 토출 및 토출완료 후 용기부의 신속한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역지판이 소켓하우징의 하단에 형성되어, 본체와 소켓하우징 사이로 외기가 원활하게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수를 절감시켜 제작의 용이성 및 조립의 간편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를 보인 토출용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출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출용기의 반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출용기의 상단부 확대도.
도 5는 도 4의 'V'부 확대도로서,
5a는 안착링을 통해 외기가 진입상태이고, 5b는 안착링에 의해 내기가 차단된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토출용기의 일부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소켓하우징의 저면 사시도.
도 8는 도 6의 'IIX'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토출용기의 일부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소켓하우징의 저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제1실시 예의 토출용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소켓하우징(2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일정량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튜브타입의 용기부(110)와, 상기 용기부(1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압착력에 의해 내용물의 토출이 용이할 수 있도록 면적이 축소되는 형상의 목부(120)와, 상기 목부(120)의 상단에 일정높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체결부(130), 및 상기 제1체결부(130)의 중앙에 형성되어 용기부(110)에 수용된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토출공(14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본체(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목부(120)는 전체적으로 콘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부가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소켓하우징(20)의 하단부와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유도하여 외기가 소통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지지단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단부(122)는 상기 목부(120)의 일측 즉, 소켓하우징(20)의 하단부가 위치되는 부분에 단을 형성하여, 지지단부(122)와 소켓하우징(20)의 하단 사이 공간으로 외기의 소통을 위한 통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목부(120)에는 본체(10)와 소켓하우징(20) 사이공간의 통로를 통해 외기가 본체(10)의 용기부(110) 내측으로 진입되어, 상기 용기부(110)의 내부에 진공형성을 방지시킴에 따라 본체(10)에서 내용물의 원활한 토출유도 및 본체(10)의 신속한 복원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124)을 포함한다.
상기 통기공(124)은 상기 목부(120)의 일측에 구성되어 본체(10)의 용기부(110) 내부가 진공형성을 방지시키도록 외기가 진입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통기공(124)은 지지단부(122)의 상방에 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단부(122)의 상방에 위치되고, 본체(10)의 용기부(110)로 외기가 진입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느 곳이든 형성 가능하다.
한편, 상기 용기부(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용기(112)와 상기 용기부(112)의 내부에 구성되는 내부용기(114)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용기(114)에 내용물이 저장되며, 상기 외부용기(112)에 의해 상기 내부용기(114)를 보호한다. 이와 같이, 내, 외부용기(112)(114)로 구성되는 용기부(110)는 내용물의 특성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구성할 수 있는 것이고,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기부(110)를 단일로 구성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외부용기(112)(114)로 구성되는 용기부(110)에서, 상기 외부용기(114)는 목부(120)와 제1체결부(130)가 구성되고, 상기 내부용기(114)는 목부(120)와 제1체결부(130)의 내측에 구성됨과 함께 내측에 제1토출공(140)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는 상술되어 있음에 따라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소켓하우징(20)은 상기 본체(10)의 제1체결부(130)에 체결되어, 본체(10)의 내용물이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경우, 상기 소켓하우징(20)은 상단부에 빗이 형성되어 염색용으로 사용되는 토출용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소켓하우징(20)은 일정두께와 높이를 가지면서 일단이 막혀있는 전체적으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켓하우징(20)은 본체(10)의 제1체결부(130)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체결부(210)와, 중앙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 융기되는 토출융기부(220), 및 상기 토출융기부(220)의 중앙에 형성되어 내용물의 토출통로를 형성하는 제2토출공(2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출융기부(220)의 일단에는 제2토출공(230)을 통해 내용물의 토출될 때 개방이 이루어져 원활한 토출을 지지하고, 토출이 완료되면 상기 제2토출공(230)을 폐쇄시켜 내용물과 외기와 접촉을 차단시켜 내용물의 산화 등에 의한 부패되는 것을 최소화 또는 방지하도록 하는 제1역지판(240)이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역지판(240)은 도 4와 같이, 토출융기부(220)의 내측에 구성된 제2토출공(230)으로 내용물이 최초로 진입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역지판(240)은 반원형상의 튜브형태로 토출융기부(220)에 고정되어, 제2토출공(230)으로 토출되는 내용물의 일방향 토출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소켓하우징(20)에는 본체(10)의 목부(120)에 형성된 지지단부(122)에 안착되어 외기의 진입을 지지하는 안착링(270)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링(27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단부(122)의 상단에 안착되고 중앙에 목부(120)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일정두께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링몸체(272)와, 상기 링몸체(272)의 내측면에 구성되어 외기의 진입을 지지하고 내기의 배출을 차단시키는 역지판부재(274), 및 상기 링몸체(272)의 내측으로 외기의 진입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입공(276)을 포함한다.
상기 역지판부재(274)은 일단이 링몸체(272)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목부(120)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외기의 진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항상 목부(12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역지판부재(274)는 본체(10)를 압박시켜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될 때 내부의 공기가 통기공(124)으로 임의 배기됨을 방지하고, 이와 반대로 내용물의 토출이 완료되면 외기가 진입공(274)을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진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본체(10)의 복원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역지판부재(274)은 자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진입공(276)은 링몸체(272)의 외부에서 내부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외기가 상기 링몸체(272)의 중앙 통공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진입공(276)은 링몸체(272)에 방사형으로 복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진입공(276)은 상기 역지판부재(274)의 하방에 구성되어, 상기 역지판부재(274)를 통해 외기의 진입 또는 내기의 배출을 차단시키는 기능이 바람직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토출용기는 용기부(110)의 일부를 압박하면, 압박력에 의해 용기부(110)의 수축으로 내용물이 제1토출공(140)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토출공(140)으로 토출되는 내용물은 소켓하우징(20)의 토출융기부(220)에 형성된 제2토출공(230)을 통해 외부로 토출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목부(120)에 형성된 통기공(124)을 통해 용기부(110)의 내기 즉, 내부용기(114)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배출될 경우, 제1체결부(130)와 제2체결부(210) 사이를 통해 안착링(270)에 도달되나, 상기 안착링(270)의 역지판부재(274)의 일단이 목부(12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내기의 임의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내용물의 토출을 완료하고자 용기부(110)에 가했던 압박력을 해제하면, 제2토출공(230)으로 토출되는 내용물의 토출압력이 작용하지 않음에 따라 토출융기부(220)에 구성된 제1역지판(240)이 상기 제2토출공(230)을 폐쇄시키고, 이를 통해 내용물이 외기와의 접촉을 방지시켜 내용물에 대한 부패를 예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역지판(240)의 폐쇄로 용기부(110)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될 경우, 도 5a와 같이 안착링(270)의 역지판부재(274)의 작용으로 용기부(110)의 진공형성을 방지시켜 신속하게 복원되도록 한다.
즉, 상기 용기부(110)의 내부압력과 토출용기의 외부압력의 차이로 인해 도 5a와 같이, 외기가 목부(120)에 구성된 안착링(270)의 진입공(274)을 통해 진입된다.
이어서, 진입공(274)으로 진입된 외기는 상기 진입공(274)의 상방에 위치된 역지판부재(274)을 밀어내면서 상기 목부(120)의 상부 일측에 구성된 통기공(124)을 통해 본체(10)의 용기부(110) 내부, 즉 내,외부용기(112)(114) 사이로 진입됨으로써, 용기부(110)의 신속한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실시 예>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산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의 토출용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소켓하우징(20), 및 캡(30)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하우징(20)은 상기 본체(10)의 제1체결부(130)에 체결되어, 본체(10)의 내용물이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소켓하우징(2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하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본체(10)와 소켓하우징(20) 사이로 외기의 일방향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제2역지판(250)을 포함한다.
상기 제2역지판(250)은 소켓하우징(20)의 하단에 구성되고, 일단이 상기 소켓하우징(20)에 고정되고, 타단의 자유단이 본체(10)의 목부(120)에 형성된 지지단부(122)에 밀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고정단을 중심으로 자유단이 회동되어 본체(10)와 소켓하우징(20) 사이를 개폐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역지판(250)의 일단 즉, 자유단에는 일정두께와 폭으로 형성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자중에 의해 제2역지판(250)의 자유단이 지지단부(12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 본체(10)와 소켓하우징(20) 사이에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밀착유도환형돌기(252)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실시 예의 안착링(270)을 생략하고, 상기 제2역지판(250)으로 대체한다.
캡(30)은 상기 소켓하우징(20)의 상단에 구성되어, 제2토출공(230)으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커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캡(30)은 소켓하우징(20)의 일측에 힌지가 구성되어, 상기 캡(30)과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캡(3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캡(30)은 상기 소켓하우징(20)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소켓하우징(20)을 개폐시켜 제2토출공(20)으로 내용물의 토출 또는 임의로 이물질이 침투됨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제1실시 예의 경우에는 염색용 빗에 사용되는 토출용기를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제2실시 예의 경우에는 소스, 양념 등의 겔상의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통출용기를 일례로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토출용기는 용기부(110)를 압박시켜 내용물이 토출시키는 과정에서 용기부(110) 내부에 진공상태가 이루어질 경우, 상기 용기부(110)의 내부압력과 토출용기의 외부압력의 차이로 인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가 소켓하우징(20)의 하단에 구성된 제2역지판(250)의 자유단을 밀고 올라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역지판(250)의 자유단을 밀고 올라간 외기는 본체(10)에 구성된 통기공(124)으로 진입됨으로써, 용기부(110)의 내,외부용기(112)(114) 사이에 진공이 형성됨을 방해하여 내용물의 토출이 원활해지도록 한다.
<제3실시 예>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 예의 소켓하우징(2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일정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본체(10)에 소켓하우징(20)을 체결시켰을 때 목부(120)의 지지단부(122)에 밀착되는 밀착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밀착부(260)는 상기 소켓하우징(20)의 하단부에 일정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본체(10)에 소켓하우징(20)을 체결시키면 본체(10)의 목부(120)에 구성된 지지단부(122)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목부(120)의 일측에 구성된 통기공(124)으로 외기가 소통됨을 차단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밀착부(260)의 일측에는 외기가 진입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입공(26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착부(260)에는 상기 진입공(262)을 통해 외기가 진입되어 목부(120)의 통기공(124)으로 외기가 진입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통기공(124)을 통해 진입공(262)으로 내기가 배기됨을 차단시키도록 단속하는 제3역지판(264)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3역지판(264)은 일측의 일부분이 소켓하우징(20)의 일측 예컨대, 밀착부(260)에 고정되는 고정단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단을 중심으로 상기 제3역지판(264)이 회동되는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진입공(262)을 개폐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3역지판(264)의 자유단에는 일정폭과 두께를 가지는 밀착유도환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토출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본체 110: 용기부
112: 외부용기 114: 내부용기
120: 목부 122: 지지단부
124: 통기공 130: 제1체결부
140: 제1토출공 20: 소켓하우징
210: 제2체결부 220: 토출융기부
230: 제2토출공 240: 제1역지판
250: 제2역지판 252: 밀착유도환형돌기
260: 밀착부 262: 진입공
264: 제3역지판 270: 안착링
272: 링몸체 274: 역지판부재
276: 진입공 30: 캡

Claims (5)

  1. 일정량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일단에 구성되되 일측에 단차진 형상을 가지는 지지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단부의 상방에 외기의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일단에 구성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제1체결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용기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토출공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1체결부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체결부, 및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제1토출공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지지하는 제2토출공을 포함하는 소켓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하우징의 하단은 본체의 목부에 형성된 지지단부가 위치된 부분에 위치되되, 외기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목부와 일정간격을 가지며;
    상기 소켓하우징의 하단에는 목부에 삽입되되 지지단부에 안착되는 안착링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링은 중앙에 목부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일정두께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링몸체와;
    상기 링몸체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목부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역지판부재; 및
    상기 링몸체의 통공으로 외기가 진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입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용기.
  2. 일정량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일단에 구성되되 일측에 단차진 형상을 가지는 지지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단부의 상방에 외기의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일단에 구성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제1체결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용기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토출공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1체결부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체결부, 및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제1토출공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지지하는 제2토출공을 포함하는 소켓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하우징의 하단은 본체의 목부에 형성된 지지단부가 위치된 부분에 위치되되, 외기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목부와 일정간격을 가지며;
    상기 소켓하우징의 하단에는 일단이 상기 소켓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단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목부의 지지단부에 밀착되는 자유단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용기부 내부에 진공이 형성됨을 방지시켜 내용물의 토출용이 또는 용기부의 신속한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제2역지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용기.
  3. 일정량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일단에 구성되되 일측에 단차진 형상을 가지는 지지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단부의 상방에 외기의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공이 형성되는 목부와, 상기 목부의 일단에 구성되고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제1체결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용기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토출공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1체결부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체결부, 및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제1토출공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지지하는 제2토출공을 포함하는 소켓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하우징의 하단은 본체에 소켓하우징을 체결시키면, 상기 본체의 목부에 형성된 지지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목부의 통기공으로 외기가 진입됨을 방지하는 일정폭의 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에는 일정크기로 형성되어 외기가 진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입공, 및 일측이 밀착부에 고정되는 고정단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자유단이 형성되어 상기 진입공을 개폐시키도록 하는 제3역지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역지판부재, 제2역지판 또는 제3역지판의 자유단에는 일정폭과 두께로 형성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자연스럽게 밀착상태를 유지시켜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유도하는 밀착유도환형돌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용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고 중앙에 제2토출공이 형성되는 토출융기부; 및
    상기 토출융기부의 일단에 구성되어, 상기 제2토출공을 통해 내용물의 토출이 완료되면 상기 제2토출공을 폐쇄시켜 내용물이 외기에 의해 부패됨을 방지시키도록 하는 제1역지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용기.
KR1020210071722A 2021-06-02 2021-06-02 토출용기 KR102517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722A KR102517952B1 (ko) 2021-06-02 2021-06-02 토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722A KR102517952B1 (ko) 2021-06-02 2021-06-02 토출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158A true KR20220163158A (ko) 2022-12-09
KR102517952B1 KR102517952B1 (ko) 2023-04-05

Family

ID=8444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722A KR102517952B1 (ko) 2021-06-02 2021-06-02 토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9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8656B2 (ja) * 1996-12-06 2001-03-19 花王株式会社 剤塗布用具
JP3741323B2 (ja) * 1996-07-30 2006-02-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容器
JP2010260552A (ja) * 2009-04-30 2010-11-18 Daiwa Can Co Ltd ポンプ式泡吐出容器
KR101241350B1 (ko) 2011-05-17 2013-03-11 이강준 캡 일체형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2016159930A (ja) * 2015-02-27 2016-09-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KR20190128207A (ko) 2017-04-28 2019-11-15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적층 박리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1323B2 (ja) * 1996-07-30 2006-02-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容器
JP3148656B2 (ja) * 1996-12-06 2001-03-19 花王株式会社 剤塗布用具
JP2010260552A (ja) * 2009-04-30 2010-11-18 Daiwa Can Co Ltd ポンプ式泡吐出容器
KR101241350B1 (ko) 2011-05-17 2013-03-11 이강준 캡 일체형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2016159930A (ja) * 2015-02-27 2016-09-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KR20190128207A (ko) 2017-04-28 2019-11-15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적층 박리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7952B1 (ko)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9356B1 (en) Dual vial connecting system for lyophilized products
US4739906A (en) Storage bottle for contact lens cleaning solution having a self closing valve assembly
US9346600B2 (en) Discharge container
JP6752512B2 (ja) 吐出容器
JP6710462B2 (ja) 吐出容器
JP6790087B2 (ja) キャップ及び吐出容器
JP6728371B2 (ja) 2つの内容物用の包装吐出装置を製造するための充填組立体
FR2737702A1 (fr)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JPH07187211A (ja) 可変容量圧縮チャンバーおよびダイアフラムを有する分与アセンブリ
EP0823389B1 (fr) Dispositif pressurisé comportant un morceau de matériau alvéolaire fendu comme moyen de pressurisation
US20200307864A1 (en) Cosmetic container
ES2234643T3 (es) Envase.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KR102517952B1 (ko) 토출용기
KR102280273B1 (ko) 이액용기
JP2013014341A (ja) 吐出容器
JP2020055553A (ja) 吐出容器
JP6173892B2 (ja) 二重容器
JP7292788B2 (ja) 倒立二重容器
KR102104248B1 (ko) 회전 개폐형 화장품 용기
FR2663304A1 (fr) Conditionnement compartimente de securite.
KR102574367B1 (ko) 화장품 용기
KR200496017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
JP7209460B2 (ja) 吐出容器
KR101373645B1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