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577Y1 -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 - Google Patents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577Y1
KR200495577Y1 KR2020200002550U KR20200002550U KR200495577Y1 KR 200495577 Y1 KR200495577 Y1 KR 200495577Y1 KR 2020200002550 U KR2020200002550 U KR 2020200002550U KR 20200002550 U KR20200002550 U KR 20200002550U KR 200495577 Y1 KR200495577 Y1 KR 200495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cap
accommodating
annular bulge
a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210U (ko
Inventor
신현균
구승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우기업
구승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우기업, 구승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우기업
Priority to KR2020200002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577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2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2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5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83Means for limiting the axial insertion of the lid on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취급,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튜브형 용기는 약물을 수용하는 튜브 본체와 튜브 본체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은 튜브 본체의 도포부의 전면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침이 내측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캡의 내면에는 환상 팽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환상팽출부 수용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캡의 선단은 일정 깊이로 홈이 형성된 탄력 슬릿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튜브 본체는 내부에 약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전단부의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부, 상기 도포부에 접하여 형성된 경사부, 상기 경사부에 접하여 형성된 환상 팽출부, 상기 환상 팽출부로 부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수평부, 및 후단에 형성된 원통형의 약물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환상팽출부와 캡의 내부에 형성된 환상팽출부 수용홈은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는 훼손되거나 이탈 우려가 없어서 취급과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성이 개선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충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Tube case for applying drug on animal}
본 고안은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취급,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튜브 용기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데 이러한 제품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물을 수용하는 원통형의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0)로 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품은 캡(20)에 일체로 형성된 침을 이용하여 용기 본체(10)를 개방하여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튜브 용기는 캡(10)이 쉽게 이탈되어 캡의 분실 우려가 있고 또는 부주의로 인하여 침이 용기 본체의 도포부에 홀을 형성하여 용기 본체(10) 내의 약물이 외부로 누출되게 되어 취급 및 조작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번호 제10-2006-0119231호(2006년11월24일) 한국 등록번호 제10-0939004호(2010년01월20일) 한국 등록번호 제10-1241350호(2013년03월04일)
본 고안자는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이 개선되고 기능성과 실용성이 뛰어난 동물의 약품도포용 튜브 용기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튜브 용기에 환상 팽출부와 이를 수용하는 홈을 마련하고, 캡의 내측에 복수의 돌출부를 마련함으로써 용기와 캡 사이에 일정한 마찰력이 작용하게 함으로서 제품의 취급과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하기가 더욱 간편한 동물의 약물도포용 튜브 용기가 제공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면에 있어서, 튜브 용기에 환상 팽출부와 이를 수용하는 홈을 마련하고 캡의 내측에 복수의 돌출부를 마련함으로써 용기와 캡 사이에 일정한 마찰력이 작용하게 함으로서 제품의 취급과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하기가 더욱 간편한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튜브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약물을 수용하는 튜브 본체와 튜브 본체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은 튜브 본체의 도포부의 전면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침이 내측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캡의 내면에는 환상 팽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환상팽출부 수용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캡의 선단은 일정 깊이로 홈이 형성된 탄력 슬릿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튜브 본체는 내부에 약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전단부의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부, 상기 도포부에 접하여 형성된 경사부, 상기 경사부에 접하여 형성된 환상 팽출부, 상기 환상 팽출부로 부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수평부, 및 후단에 형성된 원통형의 약물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환상팽출부와 캡의 내부에 형성된 환상팽출부 수용홈은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튜브 용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는 훼손되거나 이탈 우려가 없어서 취급과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성이 개선되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다른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 분리 단면도이다.
도 3은 캡의 내측에 형성된 환상팽출부 수용홈 및 돌출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캡의 내측에 형성된 돌출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의 미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일면에 있어서,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튜브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약물을 수용하는 튜브 본체와 튜브 본체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은 튜브 본체의 도포부의 전면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침이 내측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캡의 내면에는 환상 팽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환상팽출부 수용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캡의 선단은 일정 깊이로 홈이 형성된 탄력 슬릿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튜브 본체는 내부에 약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전단부의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부, 상기 도포부에 접하여 형성된 경사부, 상기 경사부에 접하여 형성된 환상 팽출부, 상기 환상 팽출부로 부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수평부, 및 후단에 형성된 원통형의 약물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환상팽출부와 캡의 내부에 형성된 환상팽출부 수용홈은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튜브 용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도포부는 편평하거나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튜브 용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추가의 다른 일면에 있어서,
상기 캡의 후면은 중간 지점이 일정 깊이로 함몰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튜브 용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추가의 다른 일면에 있어서,
상기 캡은 환상팽출부 수용홈에 인접하여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튜브 용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튜브 용기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다른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 분리 단면도이며, 도 3은 캡의 내측에 형성된 환상팽출부 수용홈 및 돌출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캡의 내측에 형성된 돌출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평면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의 미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는 튜브 용기에 환상 팽출부와 이를 수용하는 홈을 마련하고, 캡의 내부에 복수개의 돌출부를 마련하여 튜브 용기와 캡의 마찰력을 높임으로써 비조작 또는 보관시 캡 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취급부주의로 인한 주사침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력선홈을 마련하여 외력작용시 환상팽출부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고, 캡에 형성된 만곡부는 사용편의성을 제공하여 제품의 취급과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하기가 더욱 간편하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충족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튜브형 용기는 도 2 내지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물을 수용하는 튜브 본체(100)와 상기 튜브 본체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캡(200)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용기는 개, 고양이의 벼룩에 의한 피부염 치료, 진드기 감염의 예방과 치료, 내부기생충, 이(lice) 예방과 치료 및 심장사상충 감염의 예방목적으로 하는 Selamectin, Moxidectin, Imidacloprid, Fipronil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액체 제품을 담는 튜브 용기이다.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용기는 의약품에 접촉하는 직접 용기이며 사용시 동물 피부에 닿는 것으로서 갖추어야 할 구비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약품에 사용되는 첨가제 Isopropanol, Propyleneglycol, Ethanol 등 유기용매가 사용됨에 따라 이러한 성분에 견디어야 한다.
둘째, 유효성분으로 하는 Selamectin, Moxidectin, Imidacloprid, Fipronil 등 과같은 성분과 반응이 없어야 한다.
셋째, 용기의 끝부분(동물의 피부와 닿는 부분)은 피부접촉시 스크레치에 의한 피부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매끈한 형태이어야 한다.
넷째, 사용시 용기내부에 약품 잔량이 없이 모두 밖으로 나올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다섯째, 튜브를 1회 눌러 안의 내용물이 모두 모두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할 경우 2~3회 반복 할 수 있도록 튜브가 탄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재질로서는 튜브 본체(100)와 캡(200)은 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튜브 본체(100)은 어느 정도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캡(200)은 다소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상기 튜브 본체(100)는 내부에 약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전단부의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부(110), 상기 도포부(110)에 접하여 형성된 경사부(120), 상기 경사부(120)에 접하여 형성된 환상팽출부(130), 상기 환상 팽출부(130)로 부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수평부(140), 및 후단에 형성된 원통형의 약물 수용부(160) 및 바닥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튜브 본체(100)에서 특히 약물 수용부(160)를 포함하는 영역은 어느 정도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한손으로 적당한 힘을 가해 튜브 용기(100)을 눌렀을 때 약물이 충분히 방출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튜브 본체(100)의 도포부(110)는 동물에 직접 접촉하는 면으로써 편평하거나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동물에의 접촉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20)는 도포부(110)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수평면을 기준으로 1~20°의 각도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캡(200)의 결합, 진입 및 분리시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환상팽출부(130)는 상기 경사부(120)가 끝나는 지점에서 튜브 본체(100)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환상팽출부(130)와 캡(200)의 내부에 형성된 환상팽출부 수용홈(240)은미사용시 걸림 결합되고, 돌출부(260)는 용기 본체의 수평부(140)에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하게 되어 보관 및 취급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의 종래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는 운송중 물리적 충격, 낙하에 의한 충격, 진동에 의한 충격 등에 의해 캡이 이탈되거나 전진하여 원하지 않는 튜브 본체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상기 환상팽출부(130)와 캡(200)의 내부에 형성된 환상팽출부 수용홈(240)의 걸림 결합되고, 캡(200)의 내측에 상기 환상 팽출부 수용홈(240)에 인접하여 (우측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부(260)는 용기 본체의 수평부(140)에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하게 되어 안정된 보관 및 운송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40)는 도포부(110)를 개방하기 위하여 침(220)을 전진시킬 때 침이 도포부(110)를 관통하는 간격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돌출턱(150)은 원통형의 약물 수용부(160)의 선단에 위치하여 침(220)의 전진 한계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약물 수용부(160)는 밀폐된 앰플 또는 바이얼의 제형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중간 또는 일정 지점에 회전결합부를 마련하여 분리된 형태로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물론, 약물의 충진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닥부(170)를 개방하여 약물을 충전한 후 바닥부(170)를 (회전 결합 등에 의해) 밀폐하는 방식도 유용하게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캡(200)은 튜브 본체(100)의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부(110)의 전면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침(200)이 내측의 중앙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는 침(220)으로 용기 끝 부분을 눌러 구명을 낸 다음 캡(200)을 제거하여 사용하는 형태이며, 침(220)은 부러지거나 구부러지지 않도록 견고한 구조 및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200)의 후면은 중간 지점이 일정 깊이로 함몰된 만곡부(210)를 포함함으로써 외력을 가하여 도포부(110)의 일측에 구멍을 내기가 더욱 편리하다.
상기 캡(200)의 내면에는 환상 팽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환상팽출부 수용홈(240, 250)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캡(200)은 환상팽출부 수용홈(240)에 인접하여 복수의 돌출부(260)가 형성되어 캡과 튜브 본체(100) 사이에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보관시의 안정성을 더욱 기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6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4~8 개 정도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200)의 선단은 일정 깊이로 홈이 형성된 탄력 슬릿(230)이 형성되어 캡(200)의 진입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안정된 결합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의 미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로서, 미사용 또는 보관시에는 환상팽출부(130)가 캡(200)의 수용홈(240)에 걸림 결합되고, 복수의 돌출부(260)는 튜브 본체(100)의 수평부(140)에 일정한 마찰력을 가하게 되어 보관 및 취급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만곡부(210)를 전진시키면 튜브 본체(100)의 전면에 홀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동물에게 약물을 도포할 수 있다.
한편, 튜브 본체(100)는 어느 정도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돌출부(260)는 수평부(140)를 어느 정도 가압한 상태로 전진하게 된다.
이 때 환상팽출부(130)는 수용홈(240)에서 일시적으로 벗어나서 일정 거리(침의 길이에 대응함)에 형성된 환상 팽출부 수용홈(250)에 걸림 결합되어 캡(200)은 외력을 가하더라도 더 이상 전진하기는 어렵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튜브 용기의 사용 방법은 튜브 본체(100)를 지지한 상태에서 캡(200)을 튜브 본체(100)의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도포부(110)의 일면에 홀을 형성시킨 다음, 캡(200)을 튜브 본체(100)으로 부터 분리한다.
그 다음, 개, 고양이의 양쪽 견갑골 사이의 목 부위 털을 헤쳐서 피부가 나오도록 한 다음, 동물 체중에 따라 0.25mL ~ 4mL를 2주 간격 또는 월 1회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튜브 본체
200: 캡
110: 도포부
120: 경사부
130: 환상팽출부
140: 수평부
150: 돌출턱
210: 만곡부
220: 침
230: 탄력 슬릿
240, 250: 환상팽출부 수용홈
260: 돌출부

Claims (4)

  1.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튜브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약물을 수용하는 튜브 본체(100)와 튜브 본체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캡(2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200)은 튜브 본체(100)의 도포부(110)의 전면에 홀을 형성하기 위한 침(220)이 내측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캡(200)의 내면에는 환상 팽출부(130)를 수용하기 위한 2개의 환상팽출부 수용홈(240)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캡(200)의 선단은 일정 깊이로 홈이 형성된 탄력 슬릿(230)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튜브 본체(100)는 내부에 약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전단부의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부(110), 상기 도포부(110)에 접하여 형성된 경사부(120), 상기 경사부(120)에 접하여 형성된 환상팽출부(130), 상기 환상 팽출부(130)로 부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수평부(140), 및 후단에 형성된 원통형의 약물 수용부(160) 및 바닥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환상팽출부(130)와 캡(200)의 내부에 형성된 환상팽출부 수용홈(240)은 걸림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도포부(110)는 편평하거나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200)의 후면은 중간 지점이 일정 깊이로 함몰된 만곡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캡(200)은 환상팽출부 수용홈(240)에 인접하여 복수의 돌출부(260)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140)는 도포부(110)를 개방하기 위하여 침(220)을 전진시킬 때 침이 도포부(110)를 관통하는 간격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약물 수용부(160)의 선단에는 돌출턱(150)이 위치하여 침(220)의 전진 한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에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튜브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200002550U 2020-07-16 2020-07-16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 KR200495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550U KR200495577Y1 (ko) 2020-07-16 2020-07-16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550U KR200495577Y1 (ko) 2020-07-16 2020-07-16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10U KR20220000210U (ko) 2022-01-25
KR200495577Y1 true KR200495577Y1 (ko) 2022-07-01

Family

ID=80048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550U KR200495577Y1 (ko) 2020-07-16 2020-07-16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57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763Y1 (ko) * 2002-05-02 2002-08-14 정경숙 원탭 시스템 깡통
WO2019138549A1 (ja) 2018-01-12 2019-07-18 ハクゾウメディカル株式会社 液体塗布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7386B2 (ja) * 1992-09-24 1997-07-02 田岡化学工業株式会社 瞬間接着剤用開封針ピン付きキャップ
JP2964390B2 (ja) * 1995-05-29 1999-10-18 ぺんてる株式会社 液体容器
JP3922910B2 (ja) 2001-10-31 2007-05-30 参天製薬株式会社 段差部を備えた点眼容器
KR20060119231A (ko) 2005-05-19 2006-11-24 노희권 용기마개
KR101241350B1 (ko) 2011-05-17 2013-03-11 이강준 캡 일체형 튜브용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763Y1 (ko) * 2002-05-02 2002-08-14 정경숙 원탭 시스템 깡통
WO2019138549A1 (ja) 2018-01-12 2019-07-18 ハクゾウメディカル株式会社 液体塗布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10U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1756B2 (ja) 投薬ペン用針ディスペンサ
US5531703A (en) Applicator for semisolid medications
DK2680806T3 (en) Liquid drug transfer arrangement
US4013073A (en) Dispensing device
JP4731797B2 (ja) 座薬等のアプリケータ器具
US8267609B2 (en) Vial for delivering contents onto a substrate
JP2017522985A (ja) 針先端部構造
US20150068047A1 (en) Spoon for administering a medication
JP7325426B2 (ja) ペンニードル器具
US8398324B2 (en) Vial for delivering contents onto a substrate
KR200495577Y1 (ko) 동물의 약물 도포용 튜브 용기
EP2042205B1 (en) Syringe with cap and cap removal device
US10799008B2 (en) Low profile medicament container
KR102174787B1 (ko) 재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로드 및 이를 갖는 약물 투여기
EP2620124A1 (en) Injection syringe
EP3030193B1 (en) Dosing apparatus
JP7326298B2 (ja) 繰出し容器
ES2307612T3 (es) Sistema de administracion de medicamentos que incluye un portador y un recipiente de medicamento.
KR20100098607A (ko) 제조물을 분배하기 위한 캐뉼라용 아답터 및 제조물을 분배하기 위한 캐뉼라
US20170056291A1 (en) Spoon for Administering a Carrier Medium
JP7330103B2 (ja) 外側カバーを有するペン針組立品
KR200497026Y1 (ko) 애완동물용 도포용기
KR200497888Y1 (ko) 바이알 홀더
KR200493713Y1 (ko) 고형 물질의 투입이 용이한 주사기형 투입기
KR102614064B1 (ko) 노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니들을 포함하는 바이알 홀더 및 이의 사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