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809B1 - 차 우림기 - Google Patents

차 우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809B1
KR101566809B1 KR1020140002649A KR20140002649A KR101566809B1 KR 101566809 B1 KR101566809 B1 KR 101566809B1 KR 1020140002649 A KR1020140002649 A KR 1020140002649A KR 20140002649 A KR20140002649 A KR 20140002649A KR 101566809 B1 KR101566809 B1 KR 101566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ing
tea
fastening hole
hole
tea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3193A (ko
Inventor
류주현
Original Assignee
류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주현 filed Critical 류주현
Priority to KR1020140002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809B1/ko
Publication of KR20150083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 우림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찻잎이 수용되어 우려지는 우림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차입이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체결구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이상의 관통구가 형성된 펌핑캡 본체와 상기 입구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어 개방 또는 폐쇄시키고, 적어도 하나이상의 우림공이 형성된 마개패널와, 상기 체결구에 하단부가 끼움되는 바와 상기 바의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펌핑부재로 이루어져, 찻잎이 수용된 펌핑캡 본체의 내부로 용기의 물이 용이하게 유입 또는 유출되어 찻잎의 우림효율을 높이고, 부직포가 사용되지 않아 차 본연의 맛을 느낄 수 있게 되며, 일회용 우림포장기가 필요없이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 우림기 { Tea Making Appliance }
본 발명은 차 우림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펌핑캡 본체에 펌핑부재를 체결하여 펌핑부재가 펌핑캡 본체를 가압 또는 복귀되는 펌핑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서, 찻잎이 수용된 펌핑캡 본체의 내부로 용기의 물이 용이하게 유입 또는 유출되어 찻잎의 우림효율을 높이고, 부직포가 사용되지 않아 차 본연의 맛을 느낄 수 있게 되며, 일회용 우림포장기가 필요없이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게 되는 차 우림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웰빙이 강조되면서 마시는 것에서도 건강을 생각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녹차 등 건강 음료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간편하게 찻잎을 우려내 음용할 수 있도록 찻잎을 티백 내부에 수용하는 형태로 포장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티백의 재질로는 부직포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티백은 차류 특유의 맛과 향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고, 고형차 또는 잎으로 제공되는 고급차에 적용하기 어렵게 되며, 차의 용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품질의 고급화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도록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9-0038808호 "차류의 단위 포장용 카트리지"를 통해 일반적으로 차류의 음용을 더욱 편리하도록 찻잎을 티백과 같이 별도의 다기세트를 구비하지 않고, 컵에 물만 넣어 차류를 음용할 수 있도록 소량(통상의 티백은 4g 정도)으로 개별 포장되는 형태를 지칭한다}하여 제공하는 티백과 종이컵을 탈피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제안한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차류의 단위 포장용 카트리지는 온수에 차가 우러나오도록 하여 마신다는 점에서 개선해야할 점이 있다. 즉, 통상 찻잎으로 제공되는 고급차의 경우 우림시 건조된 최초 찻잎 부피의 3 내지 5배로 불어나게 되므로, 온수에 담긴 초기에는 내부의 모든 찻잎이 물에 접촉되어 어느 정도 동일하게 불어나지만, 둘레 방향의 좁은 공간으로 인해 찻잎의 불어남(확장)이 제한되어 우러나는 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측에 위치되는 찻잎이 물의 흐름을 막게 되므로 내부 찻잎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과 접촉되는 정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우림 속도가 현격이 낮아질 수 밖에 없고 우러나는 정도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펌핑캡 본체에 펌핑부재를 체결하여 펌핑부재가 펌핑캡 본체를 가압 또는 복귀되는 펌핑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서, 찻잎이 수용된 펌핑캡 본체의 내부로 용기의 물이 용이하게 유입 또는 유출되어 찻잎의 우림효율을 높이고, 부직포가 사용되지 않아 차 본연의 맛을 느낄 수 있게 되며, 일회용 우림포장기가 필요없이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게 되는 차 우림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찻잎이 수용되어 우려지는 우림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차입이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체결구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이상의 관통구가 형성된 펌핑캡 본체와 상기 입구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어 개방 또는 폐쇄시키고, 적어도 하나이상의 우림공이 형성된 마개패널와, 상기 체결구에 하단부가 끼움되는 바와 상기 바의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펌핑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구들는 상기 체결구를 중심으로 감싸면서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에는 상기 체결구에 끼움되도록 환형의 홈형상으로 이루어진 목부가 형성되고, 끝단부에는 상기 체결구에 억지끼움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원형의 인입돌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에는 가압하여 펌핑시 상기 목부가 상기 체결구에서 분리되어 상기 우림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환형의 걸림날개가 더 형성되고 상기 걸림날개에는 곡선의 통공이 적어도 하나이상 더 형성되되, 상기 걸림날개와 상기 펌핑캡 본체 사이에는 상기 바에 관통되게 판스프링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패널의 저면은 하향으로 돌출되며 곡선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차 우림기는 펌핑캡 본체에 펌핑부재를 체결하여 펌핑부재가 펌핑캡 본체를 가압 또는 복귀되는 펌핑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서, 찻잎이 수용된 펌핑캡 본체의 내부로 용기의 물이 용이하게 유입 또는 유출되어 찻잎의 우림효율을 높이고, 부직포가 사용되지 않아 차 본연의 맛을 느낄 수 있게 되며, 일회용 우림포장기가 필요없이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기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기를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기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우림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차 우림기(10)는 내부에 찻잎을 배치한 후 수중에서 펌핑하여 우려진 찻물을 사용자가 음용하도록 된 것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차 우림기(10)는 펌핑캡 본체(20)와 마개패널(30)과 펌핑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핑캡 본체(2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찻잎이 수용되어 우려지는 우림공간(21)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찻잎이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입구(22)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체결구(23)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이상의 관통구(24)가 형성된다.
상기 펌핑캡 본체(20)는 도면에서와 같이 외형이 고래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른 동물이나 캐릭터를 형상으로 형상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관통구(24)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23)를 중심으로 감싸면서 환형으로 형성되어, 펌핑부재(40)로 가압시 체결구 부분이 가압되어 내부의 내부의 찻물을 배출시키거나, 펌핑부재(40)를 복귀시 외부의 물을 유입시키게 된다.
즉, 수중에 찻잎이 수용된 차 우림기(10)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23)에 체결된 펌핑부재(40)가 상기 펌핑캡 본체(20)의 상부를 가압하고 당겨 복귀시키는 펌핑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찻잎이 우려짐과 아울러 우려진 찻물이 관통구와 후술될 우림공(31)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23)와 상기 우림공으로는 펌핑시 외부의 물이 반복적으로 유입됨과 아울러 우려진 내부의 찻물이 반복적으로 배출되며, 상기 펌핑캡 본체(20)에 상기 체결구(23)들이 형성되어 펌핑부재(40)를 가압시 내부의 물이 상기 체결구(23)를 통해 상부로 배출됨으로서, 용이하게 가압하여 펌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개패널(30)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입구(22)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어 개방 또는 폐쇄시키고, 적어도 하나이상의 우림공(31)이 형성된다.
상기 마개패널(30)의 상부에는 걸림홈(321)을 갖는 림부(32)가 형성되고, 상기 펌핑캡 본체(20)의 입구(22)에는 턱부(221)가 형성되어, 상기 턱부(221)가 상기 걸림홈(321)에 끼움됨으로서, 마개패널(30)이 상기 입구(22)에 끼움고정된다.
이때, 상기 마개패널(30)의 저면은 하향으로 돌출되며 곡선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차 우림기(10)는 통상 뜨거운 물이 충진된 용기에 배치되는데, 상기 펌핑부재(40)로 가압하는 과정에서 상기 마개패널(30)의 저면이 상기 용기의 내측저면에 가압되는바, 상술한 바와 같이 마개패널(30)의 저면을 곡선지게 형성시켜 가압시 눌려지게 됨과 아울러 우려진 찻물이 배출되고,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자체 탄성에 의해 복귀됨과 아울러 외부의 물을 유입시키게 됨으로서, 우림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펌핑부재(40)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구에 하단부가 끼움되는 바(41)와 상기 바(41)의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4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바(41)에는 상기 체결구(23)에 끼움되도록 환형의 홈형상으로 이루어진 목부(411)가 형성되고, 끝단부에는 상기 체결구에 억지끼움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원형의 인입돌부(412)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구(23)에 상기 인입돌부(412)가 억지끼움되면서, 상기 목부(411)가 상기 체결구(23)에 걸림되게 끼움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 우림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상기 펌핑캡 본체 입구(22)를 통해 찻잎을 투입한 후 마개패널(30)을 체결하여 입구를 폐쇄시키게 되며, 펌핑캡 본체(20)의 체결구(23)에 펌핑부재(40)의 단부를 억지끼움시켜 체결한 후 뜨거운 물이 충진된 용기에 펌핑캡 본체(20)를 인입시킨 후 펌핑부재(40)로 상기 펌핑캡 본체(40)를 가압 또는 당기는 펌핑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찻잎에서 찻물을 우려낸 후 음용함으로서,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바(41)에는 가압하여 펌핑시 상기 목부가 상기 체결구에서 분리되어 상기 우림공간(21)으로 상기 바(41)의 단부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환형의 걸림날개(413)가 일체로 더 형성되고 상기 걸림날개(413)에는 곡선의 통공(414)이 적어도 하나이상 더 형성된다.
상기 걸림날개(413)의 통공(414)은 상기 펌핑캡 본체(20)에 체결시 상기 ㄱ관통구(2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24)를 통해 유입 또는 유출되는 물이 관통된다.
또한, 상기 걸림날개(413)는 상기 펌핑캡의 상면과 밀착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걸림날개(413)와 상기 펌핑캡 본체(20) 사이에는 상기 바(41)에 관통되게 환형의 판스프링(50)이 더 배치되어, 상기 판스프링(5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체결구에 끼움된 상기 바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0 : 차 우림기 20 : 펌핑캡 본체
30 : 마개패널 40 : 펌핑부재
50 : 판스프링
21 : 우림공간 22 : 입구
221 : 턱부 23 : 체결구
24 : 관통구
31 : 우림공 32 : 림부
321 : 걸림홈
41 : 바 42 : 손잡이
411 : 목부 412 : 인입돌부
413 : 걸림날개 414 : 통공

Claims (5)

  1.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찻잎이 수용되어 우려지는 우림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차입이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체결구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이상의 관통구가 형성된 펌핑캡 본체;
    상기 입구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어 개방 또는 폐쇄시키고, 적어도 하나이상의 우림공이 형성된 마개패널; 및
    상기 체결구에 하단부가 끼움되는 바와 상기 바의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펌핑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에는 상기 체결구에 끼움되도록 환형의 홈형상으로 이루어진 목부가 형성되고, 끝단부에는 상기 체결구에 억지끼움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원형의 인입돌부가 더 형성되는 차 우림기에 있어서,
    상기 바에는 가압하여 펌핑시 상기 목부가 상기 체결구에서 분리되어 상기 우림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환형의 걸림날개가 더 형성되고 상기 걸림날개에는 곡선의 통공이 적어도 하나이상 더 형성되되,
    상기 걸림날개와 상기 펌핑캡 본체 사이에는 상기 바에 관통되게 판스프링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우림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들는 상기 체결구를 중심으로 감싸면서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우림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패널의 저면은 하향으로 돌출되며 곡선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우림기.
KR1020140002649A 2014-01-09 2014-01-09 차 우림기 KR101566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649A KR101566809B1 (ko) 2014-01-09 2014-01-09 차 우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649A KR101566809B1 (ko) 2014-01-09 2014-01-09 차 우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193A KR20150083193A (ko) 2015-07-17
KR101566809B1 true KR101566809B1 (ko) 2015-11-06

Family

ID=5387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649A KR101566809B1 (ko) 2014-01-09 2014-01-09 차 우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8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391B1 (ko) 2018-11-21 2020-06-0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차 우림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7484A (zh) * 2016-06-08 2016-10-26 宁德职业技术学院 伞形茶漏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6871B2 (ja) 1992-03-09 2001-05-1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符号化変調装置
KR200426792Y1 (ko) 2006-07-06 2006-09-15 김정근 식품 걸름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6871B2 (ja) 1992-03-09 2001-05-1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符号化変調装置
KR200426792Y1 (ko) 2006-07-06 2006-09-15 김정근 식품 걸름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391B1 (ko) 2018-11-21 2020-06-0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차 우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193A (ko) 2015-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16781B (zh) 用于瓶子的具有可折叠吸管的瓶盖
KR0122190Y1 (ko) 탄산음료류 용기
KR101468648B1 (ko) 압입식 또는 나선형 뚜껑을 사용할 수 있는 텀블러
CN109247018A (zh) 具有添加物收纳空间的随行杯
CN106829173B (zh) 一种按压打开的盖子
KR101566809B1 (ko) 차 우림기
US10188235B2 (en) Filter cup
KR101813556B1 (ko) 첨가제 희석을 위한 용기 결합형 첨가제 주입캡슐
KR200466447Y1 (ko) 화장품용기
US20160159531A1 (en) Beverage can sealer with a drink spout and beverage holder
KR200450908Y1 (ko) 자연향 추출물이 저장되는 음료 용기 뚜껑
CN104555056A (zh) 饮品瓶盖
KR200410221Y1 (ko) 소주용 필터 용기
CN110366527B (zh) 带狭缝阀的盖
KR101883945B1 (ko) 스트로가 구비된 텀블러
CN205602369U (zh) 一种方便封盖的容器
CN208856143U (zh) 一种无吸管的饮品杯盖以及饮品杯
JP4458337B2 (ja) 飲料容器
KR100552044B1 (ko) 티백
KR200383387Y1 (ko) 격벽에 의한 배출로를 갖는 음료용 팩
KR200475260Y1 (ko) 탄산가스 압력 낮춤 기능을 갖는 용기
CN204654476U (zh) 泡茶式杯盖
CN204453268U (zh) 饮品瓶盖
CN209152970U (zh) 杯盖及杯子
KR200467438Y1 (ko) 쉐이크 음료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