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134Y1 - 마개 달린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마개 달린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134Y1
KR200236134Y1 KR2020010007598U KR20010007598U KR200236134Y1 KR 200236134 Y1 KR200236134 Y1 KR 200236134Y1 KR 2020010007598 U KR2020010007598 U KR 2020010007598U KR 20010007598 U KR20010007598 U KR 20010007598U KR 200236134 Y1 KR200236134 Y1 KR 200236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torage container
present
auxiliar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봉오
Original Assignee
한봉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봉오 filed Critical 한봉오
Priority to KR2020010007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1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134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개 달린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좁은 단면적으로 된 상단부와 넓은 단면적으로 된 하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부에는 마개가 결합되고, 상기 하단부의 저면이 바닥에 놓여 세워지는 마개 달린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16)의 저면은 트여 있고, 이 트인 하단부에는 보조마개(2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단부의 좁은 단면적을 통하여 내삽될 수 없는 크기의 저장물을, 자르지 않고도 상기 하단부을 통하여 내삽하여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용기의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개 달린 저장용기{a receptacle with an cap}
본 고안은 마개 달린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병이나 항아리 등과 같은 저장용기는, 대부분 그 하측이 넓어 안정적으로 바닥에 놓이고, 상측이 좁은 입구를 이루어, 이 좁은 입구에는 마개가 달린 구조로 되어 있다.
도1은 종래 일반 병으로 된 저장용기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병의 몸체(2)의 내부는 비어 있고, 단면적이 좁은 상단부(4)와 단면적이 넓은 하단부(6)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부(4)에는 마개(8)가 결합되고, 상기 하단부(6)의 저면은 바닥에 밀착하여, 병이 세워지게 된다.
그리고, 병이나 항아리 등으로 된 저장용기의 내부에는 포도, 사과, 인삼, 더덕 등 다양한 과일이나 식품 등의 저장물을 술과 함께 채워 장기간 저장함에 의해 숙성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입구가 좁은 저장용기에 과일주 등을 담글 때는, 과일 등을 잘게 썰거나 부수어 용기의 내부로 삽입하여야 하므로 과일을 원형 그대로 저장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과일을 원형으로 보관하여 미감을 높이려는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단 입구가 좁은 저장용기는, 세척시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세척하기도 용이하지 않으며, 이물질이 입구를 통해 겨우 들어 갔을 경우에는 그 이물질을 꺼내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단 입구를 통해 원형대로 삽입될 수 없는 저장물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마개 달린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세척을 용이하게 하고 내삽된 저장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마개 달린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마개 달린 저장용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입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개 달린 저장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개 달린 저장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개 달린 저장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마개 달린 저장용기에 저장물을 삽입하는 상태의 예시도,
도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개 달린 저장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개 달린 저장용기를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몸체 14 : 상단부
16 : 하단부 18 : 마개
20 : 보조마개 22 : 패킹부재
본 고안에 의한 마개 달린 저장용기는, 좁은 단면적으로 된 상단부와 넓은 단면적으로 된 하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부에는 마개가 결합되고, 상기 하단부의 저면이 바닥에 놓여 세워지는 마개 달린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의 저면은 트여 있고, 이 트인 하단부에는 보조마개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마개는 상기 하단부에 나사결합된 뚜껑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마개는, 상기 저장용기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띠를 매개로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착탈가능케 개폐되는 개폐부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상기 보조마개는 패킹 또는 가스켓을 매개로 상기 저장용기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마개 달린 저장용기는, 좁은 단면적으로 된 상단부(14)와, 넓은 단면적으로 된 하단부(16)로 이루어진 몸체(12)를 구비한다.
상기 상단부(14)는 트여 있고, 그 외주면에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이 숫나사에는 암나사를 가진 마개(18)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단부(16)는 내측으로 요입되어 이 요입된 외주면에는 숫나사가 형성되고, 이 숫나사에는 암나사를 가진 뚜껑으로 된 보조마개(20)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단부는 트여 있다. 상기 하단부(16)의 저면과 상기 보조마개 사이에는 저장용기에 내장되는 액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패킹부재(22)가 끼워져 있다. 상기 패킹부재(22)는 가스켓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마개(20)가 몸체(12)의 하단부에 끼워졌을 경우에 보조마개(20)의 외주면은 몸체(12)의 중간부 외주면과 일치된다.
상기 패킹부재(22)는 원판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마개(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개(18)는 패킹부재를 매개로 몸체(12)의 상단부(14)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마개 달린 저장용기에서, 포도, 사과, 인삼, 더덕 등 다양한 과일이나 식품 등의 저장물을 술과 함께 채워 술을 담글 때에는, 상기 보조마개(20)를 풀고 저장물을 몸체(12)의 하단부를 통해 투입함과 동시에 소주 등의 액체를 넣어 봉한다.
저장용기의 내부에 저장물을 투입할 경우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의 상단부(14)를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대(S)를 준비하여, 몸체(12)를 꺼꾸로 세워 놓고, 보조마개(20)가 분리된 하단부(16)를 통해 과일(F)을 통채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12)의 내부를 세척할 경우나 몸체(12)에 들어간 저장물을 꺼낼 경우에도, 상기 보조마개(20)를 열고 상기 몸체(12)의 하단부(16)를 통해 용이하게 세척하거나 저장물을 꺼낼 수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개 달린 저장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112)의 하단부(116)는 요입되지 않고 그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어, 이 숫나사에 보조마개(120)가 결합되어 있다. 상단부(114), 마개(118) 및 패킹부재(122)는 도2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개 달린 저장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킹부재(222)가 링 형태로 되어 있다. 몸체(212), 상단부(214), 하단부(216), 마개(218) 및 보조마개(220)는 도3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6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개 달린 저장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이다.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이 적용된 항아리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항아리 몸체(312)의 하단부(316)는 원통형으로 돌출되어 그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어 보조마개(320)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상단부(314), 마개(318) 및 패킹부재(322)는 도3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7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마개 달린 저장용기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412)의 상단부(414)에 결합된 마개(418)는, 상기 상단부(414)에 고정되는 고정부(418a)와, 띠(418b)를 매개로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착탈가능케 개폐되는 개폐부(418c)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몸체(412)의 하단부(416)에 결합된 마개(420)는, 상기 하단부(416)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420a)와, 띠(420b)를 매개로 상기 고정부(420a)의 일측에 연결되어 착탈가능케 개폐되는 개폐부(420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부(418a)(420a)는 도시하지 않은 패킹부재를 매개로 몸체(41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마개(418)(420)는 식용유 병에 많이 사용되는 공지의 마개이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저장용기에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7의 구성은 상측이 좁고 하측이 넓은 사각용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마개 달린 저장용기에 의하면, 상단부의 좁은 단면적을 통하여 내삽될 수 없는 크기의 저장물을, 자르지 않고도 하단부을 통하여 내삽하여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용기의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고, 저장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Claims (3)

  1. 좁은 단면적으로 된 상단부와 넓은 단면적으로 된 하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부에는 마개가 결합되고, 상기 하단부의 저면이 바닥에 놓여 세워지는 마개 달린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의 저면은 트여 있고, 이 트인 하단부에는 보조마개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달린 저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마개는, 상기 하단부에 나사결합된 뚜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달린 저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마개는,
    상기 저장용기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띠를 매개로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착탈가능케 개폐되는 개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 달린 저장용기.
KR2020010007598U 2001-03-20 2001-03-20 마개 달린 저장용기 KR200236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598U KR200236134Y1 (ko) 2001-03-20 2001-03-20 마개 달린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598U KR200236134Y1 (ko) 2001-03-20 2001-03-20 마개 달린 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134Y1 true KR200236134Y1 (ko) 2001-10-08

Family

ID=7308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598U KR200236134Y1 (ko) 2001-03-20 2001-03-20 마개 달린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1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649B1 (ko) 2019-12-30 2020-05-15 농업회사법인 나무와열매 주식회사 과일청 보관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649B1 (ko) 2019-12-30 2020-05-15 농업회사법인 나무와열매 주식회사 과일청 보관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1596B2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inseparable working member
US8104611B2 (en) Mixing container and method of filling
US20140251997A1 (en) Product container strainer
KR20010020113A (ko) 이중성분용기
KR20190121881A (ko) 병 뚜껑
KR200236134Y1 (ko) 마개 달린 저장용기
KR101745364B1 (ko) 용기뚜껑에 돌출리브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IES20010020A2 (en) Containers
US20140263154A1 (en) Bottle and cap
BG63429B1 (bg) Контейнер за напитки или други течности със сгъваем накрайник
EP0573161A1 (en) A container assembly
KR20080009250A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KR200435197Y1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KR20080029988A (ko) 병뚜껑 끼움부가 형성된 용기
CN212606882U (zh) 一种瓶盖结构
KR200328710Y1 (ko) 탄산가스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탄산 음료병용 컵
CN211810794U (zh) 一种酒瓶
KR102106608B1 (ko) 분리 배출이 가능한 병 뚜껑 구조체
KR200435196Y1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KR100312993B1 (ko) 위생 캔 음료용기
KR101893184B1 (ko) 다단으로 결합되는 물병
US200600709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ing, opening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s well as for protecting the contents of an opened container and the cap of an unopened container from external contaminants
JP4015373B2 (ja) 固液分離容器及び蓋体
KR200295520Y1 (ko) 마개조립체
JP7190302B2 (ja) 容器用栓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