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838Y1 - 통풍되는 우의 - Google Patents

통풍되는 우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838Y1
KR200434838Y1 KR2020060022538U KR20060022538U KR200434838Y1 KR 200434838 Y1 KR200434838 Y1 KR 200434838Y1 KR 2020060022538 U KR2020060022538 U KR 2020060022538U KR 20060022538 U KR20060022538 U KR 20060022538U KR 200434838 Y1 KR200434838 Y1 KR 2004348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coat
moisture
ventilation
rainwater
c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5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권수
Original Assignee
신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권수 filed Critical 신권수
Priority to KR20200600225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8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8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8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41D3/04Raincoa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습기가 축적되지 않는 통풍되는 우의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우의를 장시간 착용할 때 우의 안쪽에 습기가 축적되어 옷이 젖어드는 것을 최소화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우의를 제작하는 것이다. 기존 우의가 빗물의 침투를 막기 위하여 앞판과 등판이 틈새가 없는 단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서 벗어나 앞판의 좌우측에 각각 1개씩의 통풍구를, 등판에 1개의 통풍구를 형성하여 신체에서 발산되는 땀으로 인하여 축적된 습기를 밖으로 배출시켜 우의 안쪽에 축적되는 습기를 최대한 줄여 사용이 편리한 통풍되는 우의를 제작 한다.
통풍구, 통풍망, 덮개, 레인코트, 판쵸우의, 상하우의

Description

통풍되는 우의{Ventilated Raincoat}
제 1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이다.
본 고안은 우의 앞판과 등판에 통풍구를 형성하여 우의 안쪽에 축적된 습기가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우의 안쪽의 옷이 젖어드는 것을 최대한 줄여 사용이 편리한 통풍되는 우의를 제작하는 것이다.
현재 생산되고 있는 우의를 형태별로 구분하면 레인코트, 판쵸우의, 상하가 분리된 상하우의로 대별할 수 있으며 용도별로 구분하면 일상용, 레저용, 작업용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의를 제작하는 자재는 비닐, 비닐코팅, 비비텍스, 코아텍스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우의를 착용하는 주된 목적은 우천시에 외부의 빗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많은 노력에 힘입어 우의의 방수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어 있다. 현재까지 생산되고 있는 우의는 빗물의 침투를 막는데 역점을 두어 물샐 틈 없이 제작되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실제로 사용함에 있어서는 우의를 착용하고 장시간 경과하면 우의의 손목이나 목부위 등의 개구부를 통하여 침투된 빗물에 의한 것보다 는 신체에서 발산된 땀이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안에서 머물러 속옷이 젖어드는 경향이 더욱 크다. 속옷이 젖어드는 정도는 상체부분이 가장 심하고 팔 다리 순으로 점차로 적어진다. 팔 부분이 젖어드는 경우는 땀에 의한 것 보다는 손목의 개구부를 통하여 침투된 빗물에 의하여 젖는 경우가 더 많다. 대체로 우천중에 우의를 착용하고 2시간 이상 작업을 할 경우에는 우의 속에 입고 있는 옷들이 거의 다 젖어서 작업의 진행이 거의 불가능 해진다.
현재까지 우의 내부의 통풍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겨드랑이 아래쪽에 단추식의 작은 통풍구를 여러 개 내어 통풍을 도모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제품도 있다. 또 하나의 다른 방식은 코아텍스 등의 수분이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미세한 기공이 형성된 자재를 사용하여 숨쉬기 작용을 이용한 숨 쉬는 우의도 개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이 우의를 장시간 착용할 때 신체에서 발산된 땀에 의하여 옷이 젖어드는 것을 막기 위하여 우의 안에 축적된 습기를 밖으로 배출시켜 사용이 편리한 제품을 제작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우의의 앞판 좌우측에 각각 1개씩의 통풍구를 형성하고 등판에 1개의 통풍구를 형성하여 상체부분의 통풍을 원활하게 한다.
우의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사항은 빗물의 침투를 막는 것이다. 빗물이 침투되는 경로는 얼굴부위와 손목부위 등과 같은 개구부를 통 하여 가장 많이 이루어지며 때로는 우의 표면을 통하여 스며드는 경우도 있다. 우의를 착용하고 작업할 때에 속옷이 젖어드는 정도는 가슴과 등을 포함하는 상체 부분이 가장 심하며 다리 부분은 가장 적다. 본 고안에서는 하의 우의에 관한 사항은 배제하고 상의 우의에 관한 사항만을 기술한다. 레인코트와 같이 상하의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제품은 본 고안에 포함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구부의 위치 선정 및 구조는 인체활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우선 고안에 관련된 신체부위의 구조 및 활동범위에 관하여 요약 정리하기로 한다. 팔은 일상생활에서 움직임이 가장 활발하여 상하전후로 움직임이 가능하며 특히 팔꿈치로부터 손목까지는 수직으로 세우는 경우도 흔히 있으며, 팔목부터 팔꿈치까지는 수평선상까지 올리지만 그 이상 올리는 경우는 흔치 않다. 신체의 상체부위는 허리를 기점으로 앞으로는 90도, 좌우로는 45도, 뒤로는 30도 정도까지 굽혀 사용하며 그 이상을 넘어서는 경우는 흔치 않다.
땀이 체표면을 통하여 발산될 때는 기화된 상태이며 일단 체표면을 떠나면 우의 안쪽에서 위쪽으로 상승하거나 피부에 접촉된 의복으로 흡수된다. 땀의 배출량이 많은 경우에는 피부에 고여 의복이 피부에 달라붙는 현상을 일으킨다. 상의 우의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체의 체표면에서 빠져나온 기화된 땀은 위쪽으로 이동하여 목 부위의 개구부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거나 속옷에 흡수된다. 속옷에 흡수된 습기는 다시 바깥 쪽으로 이동을 시작하며 우의 안쪽에 다다르게 되는데 이곳에서 우의의 방수성에 의하여 더 이상 갈 곳이 없으므로 우의 안쪽에 축적되어 우의와 바로 안쪽의 의복을 달라붙게 하는 현상이 일어나며 이로 인하여 기화된 습 기가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해된다. 일단 의복이 우의 안쪽에 달라붙기 시작하면 기화된 습기의 이동이 막혀 의복이 젖어드는 정도가 가중된다.
본 고안의 통풍구는 우의 안쪽의 통풍망과 그 통풍망을 덮는 덮개로 구성하며 통풍구를 설치하는 위치는 우의 앞면에는 양쪽 가슴부위에 각각 1개씩, 우의 뒷면에는 양쪽 어깨죽지 부위 전체를 덮는 상체 윗부분에 1개를 설치한다. 통풍망은 지름 1mm 이상의 기공이 형성된 늘어남이 적고 흡습성이 적은 망사를 사용하는데 특정제품으로 제한하지는 않는다. 통풍망의 길이는 어깨위로 부터 상체 길이의 약 1/3 정도 아래까지로 하며 폭은 앞면의 경우 중앙선으로 부터 팔목재봉선 까지, 뒷면의 경우 한쪽 팔목재봉선 으로 부터 다른쪽 팔목재봉선 까지의 넓이로 한다. 덮개는 우의 원단을 사용하여 통풍망과 같은 크기와 형태로 하며 길이만 통풍망 보다 아래쪽으로 앞면은 3cm 이상, 뒷면은 4cm 이상 더 길게 한다. 통풍망과 덮개는 어깨위, 목부위, 팔목 및 겨드랑이 재봉선을 따라 봉합하여 우의의 모자와 팔 부분에 접합시킨다. 통풍망 아래부위는 통풍구 아래부분의 우의 본체에 봉합하며 덮개의 아래부분은 봉합시키지 않고 그대로 두어 통풍을 위한 개구부를 형성한다. 덮개의 하단에 짝개단추를 달아 바람이 많이 분다거나 비가 들이치는 정도가 심하여 빗물이 통풍구를 통하여 우의 안쪽으로 흘러 들어올 경우 이를 막기위한 수단으로 필요시에는 이들을 잠가 덮개를 고정시켜 빗물이 흘러 들어오는 것을 막는데 활용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라 통풍구가 설치된 우의는 상의 안쪽의 체표면에서 배출된 기화된 습기는 통풍망을 통과하여 통풍망과 통풍구 덮개 사이에 축적되어 있다가 상체 또는 팔의 움직임에 따라 덮개가 펄럭이는 과정에서 덮개의 아래쪽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된다. 본 고안의 부수적인 효과로 의복이 우의 표면에 달라붙는 현상을 막아주기도 한다.
본 고안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우의 원단은 시중에서 유통되는 모든 제품들을 활용할 수 있으며 어느 특정의 제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우의의 통풍성을 향상시켜 착용시에 습기가 우의 안쪽에 축적되는 것을 막아주며 이로 인하여 사용이 편리함을 제공한다.

Claims (1)

  1. 우의 앞판 좌우측에 각각 1개씩의 통풍구를, 등판에 1개의 통풍구를 형성하여 상체부분의 통풍을 원활하게 하여 우의 안쪽의 습기를 제거하는 통풍되는 우의.
KR2020060022538U 2006-08-23 2006-08-23 통풍되는 우의 KR2004348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538U KR200434838Y1 (ko) 2006-08-23 2006-08-23 통풍되는 우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538U KR200434838Y1 (ko) 2006-08-23 2006-08-23 통풍되는 우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838Y1 true KR200434838Y1 (ko) 2006-12-28

Family

ID=4178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538U KR200434838Y1 (ko) 2006-08-23 2006-08-23 통풍되는 우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83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169Y1 (ko) 2009-04-30 2012-08-28 이영수 통기량이 조절되는 통기성 우의
KR101894675B1 (ko) 2017-10-16 2018-09-04 전민우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KR20210098177A (ko) 2020-01-31 2021-08-10 전상수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KR20220111929A (ko) 2021-02-03 2022-08-10 전상수 의류용 통기 장치
KR20230014991A (ko) 2021-07-22 2023-01-31 전상수 의류용 통기 장치
KR102550234B1 (ko) 2022-11-07 2023-06-29 전상수 회전 개폐식 통기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169Y1 (ko) 2009-04-30 2012-08-28 이영수 통기량이 조절되는 통기성 우의
KR101894675B1 (ko) 2017-10-16 2018-09-04 전민우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KR20210098177A (ko) 2020-01-31 2021-08-10 전상수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KR20220111929A (ko) 2021-02-03 2022-08-10 전상수 의류용 통기 장치
KR20230014991A (ko) 2021-07-22 2023-01-31 전상수 의류용 통기 장치
KR102550234B1 (ko) 2022-11-07 2023-06-29 전상수 회전 개폐식 통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8977U (ja) 通気性作業用ウェア
KR101753814B1 (ko) 겹쳐입기용 의복, 겹쳐입기용 의복에 이용되는 아우터 웨어 및 내층 웨어
US8756714B2 (en) Ventilated garment
KR200434838Y1 (ko) 통풍되는 우의
US10750796B2 (en) Freedom of movement garment
JP2011117121A (ja) 通気性作業用ウェア
CN101569439B (zh) 一种透气雨衣
JP5726192B2 (ja) 通気開口を備えた衣服
JP3134972U (ja) 通気性レインウェア
JP2873274B2 (ja) 外 衣
US20160135529A1 (en) Ventilation system for a garment
CN212697718U (zh) 一种新型夹克
CA2906342A1 (en) Vented garment
CN201444940U (zh) 一种透气雨衣或雨披
CN210432851U (zh) 一种带透气结构的服装
EP3528655B1 (en) Freedom of movement garment
JP3190986U (ja) 防風保温着
CN107242618A (zh) 一种透气雨衣
JPH10273803A (ja) ウインドブレーカー
JPH07331516A (ja) 通気性上着
KR200479569Y1 (ko) 방충 원단 및 방충복
CN204697921U (zh) 一种具有可调式通风透气功能的雨衣
JP2021195708A (ja) 常時換気レインコート
JPH0318485Y2 (ko)
KR200311451Y1 (ko) 비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