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177A -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 Google Patents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177A
KR20210098177A KR1020200012040A KR20200012040A KR20210098177A KR 20210098177 A KR20210098177 A KR 20210098177A KR 1020200012040 A KR1020200012040 A KR 1020200012040A KR 20200012040 A KR20200012040 A KR 20200012040A KR 20210098177 A KR20210098177 A KR 20210098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body part
endothelium
ventilation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575B1 (ko
Inventor
전민우
Original Assignee
전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수 filed Critical 전상수
Priority to KR1020200012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575B1/ko
Priority to PCT/KR2021/000168 priority patent/WO2021153918A1/ko
Publication of KR20210098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41D31/145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using layer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피부 또는 내의와 이격된 통기로를 확보하여 통기로를 통해 열기와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땀을 신속하게 건조시키며 온도 차이에 따른 결로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불쾌감을 해소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정 형태를 가지는 외피; 상기 외피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외피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내피; 상기 내피에 설치되어 상기 내피를 상기 외피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의 사이에 통기로를 형성하는 이격부재; 및 상기 외피에 설치되어 상기 통기로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기수단;을 포함하는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Functional clothing with excellent breathability}
본 발명은 통기로와 통기수단이 마련되어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옷, 등산복, 골프복, 트레이닝복 등의 기능성 의복은 방수성이나 신축성을 가진 재질들로 이루어짐에 따라 통기가 원활하게 되지 않아 내부에 습기가 많이 차고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기능성 의복의 내부에 습기가 많이 차면 내의가 습기에 쉽게 젖거나 피부와 달라붙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할 뿐만 아니라 체온이 상승하면서 땀 배출량이 많아지고 체력 소모도 커지며 피부 질환까지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장마철이나 하절기에는 기온과 습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체온이 쉽게 상승하면서 기능성 의복의 내부에 습기가 더욱 많이 차게 되어 상기 문제점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의복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의 공기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활해져야 한다. 그리하여 외기와 내기를 유통시키는 통기수단을 직물에 추가 설치하거나 직물의 내측에 메쉬형태의 내피를 추가 설치한 기능성 의복들이 안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능성 의복은 직물에 통기수단이 별도로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직물이 내의 또는 피부와 밀착되면서 통기수단을 통한 통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없다.
그리고 직물의 내측에 메쉬 형태의 내피가 별도로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내피의 외면이 직물과 밀착되고 내피의 내면이 내의 또는 피부와 밀착되면서 직물과 내피의 사이에 통기로가 제대로 확보되지 않아 상기한 문제점들을 전혀 해소할 수 없다.
따라서 직물과 내의 또는 피부의 사이에 빈공간의 통기로를 확실하게 구획하여 열기와 습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고 땀을 신속하게 건조시키며 결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능성 의복을 개선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5992호, 2000.07.04.자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8069호, 2017.08.01.자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4838호, 2006.12.21.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내측에 피부 또는 내의와 이격된 통기로를 확보하여 통기로를 통해 열기와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땀을 신속하게 건조시키며 온도 차이에 따른 결로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불쾌감을 해소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은 일정 형태를 가지는 외피; 상기 외피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외피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내피; 상기 내피에 설치되어 상기 내피를 상기 외피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의 사이에 통기로를 형성하는 이격부재; 및 상기 외피에 설치되어 상기 통기로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피는 소재원사를 메쉬 구조를 가지도록 직조 또는 편직한 것으로, 상기 메쉬 구조에 따라 상기 소재원사가 교차하는 교차부가 일정 패턴으로 형성된 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교차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교차부에 고정되는 몸체부; 기 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피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를 이격시키는 제1돌출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와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일면에 제1접합면이 형성되는 제1몸체부와, 일면에 제1접합면과 대응되는 제2접합면이 형성되는 제2몸체부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교차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접합면과 제2접합면이 열융착되며,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1몸체부의 타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2몸체부의 타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일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제1몸체부와, 일면에 제1결합돌기가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2몸체부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교차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1몸체부의 타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2몸체부의 타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중간 외면에 소정깊이를 가진 결속홈이 함몰되게 환설되어 상기 교차부가 상기 결속홈에 끼움되어 상기 교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재는 형태를 유지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기재와, 상기 기재의 외면을 일정두께로 일체로 둘러싼 흡수성을 가진 재질의 피복으로 구성되어 상기 피복에 의해 상기 내의 또는 피부로부터 땀이 흡수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형태가 유지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외면에는 흡수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흡수피복이 일정두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형태가 유지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를 관통하는 코어홀이 형성되며, 상기 코어홀에는 양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흡수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흡수코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내피에 내외측으로 돌출된 이격부재가 설치되어 외피와 내피의 사이에 통기로를 확보하고 내피와 내의 또는 피부의 사이에 보조통기로도 확보함으로써 열기와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땀을 신속하게 건조시키며 온도 차이에 따른 결로 현상을 방지하여 불쾌감을 해소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격부재의 형태를 다양화하여 내피에 이격부재를 설치하는 공정을 편리하게 함으로써 대량 어려움의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격부재는 형태를 유지하는 기재와 그 기재의 외면에 흡수성을 가진 피복이 소정두께로 구비됨에 따라 통기로와 보조통기로를 확실하게 확보하면서 피부 또는 내의로부터 땀을 흡수함으로써 땀을 더욱 신속하게 건조시켜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을 상의 형태로 만든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을 하의 형태로 만든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의 내피 형태에 대한 다양한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의 이격부재 형태에 대한 다양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비옷, 등산복, 골프복, 트레이닝복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은 피부 또는 내의와의 사이에 강제로 이격시킨 통기로를 구획하여 통기로를 통해 통기로를 통해 열기와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땀을 신속하게 건조시키며 온도 차이에 따른 결로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불쾌감을 해소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외피와 내피로 이루어지되, 내피가 메쉬 구조를 가지고, 내피에 외피와 내피의 사이를 이격시켜 통기로 구획하는 소정높이를 가진 이격부재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외피에 통기로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기수단이 설치된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1000)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시 피부 또는 내의(S)와의 사이에 통기로(500)와 보조통기로(600)를 구획하여 통기성을 강화시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00), 내피(200), 이격부재(300) 및 통기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외피(100)는 평상복, 운동복, 비옷, 작업복, 군복 등의 용도로 착용할 수 있도록 자켓, 점퍼, 티셔츠, 팬츠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외피(100)는 기능성 의복(1000)의 용도에 맞도록 천연섬유와 화섬섬유 중의 적어도 하나를 직조 또는 편직한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외피(100)는 기능성 의복(1000)의 용도를 고려하거나 착용감 향상을 위한 목적 등을 위해 직조 또는 편직 구조나 섬유의 재질에 따라 신축성을 가질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내피(200)는 외피(100)의 내측에 구비되고 외피(100)에 일체로 연결되며 외피(100)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거나 외피(100)의 전체적인 형태 중의 그 중의 일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내피(200)는 평면 상에서 복수 개의 통기홀이 전후좌우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매쉬 구조를 가진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내피(200)는 소재원사를 직조 또는 편직하여 복수 개의 통기홀(220)이 전후 좌우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킨 메쉬 구조를 가진 것으로서, 메쉬 구조에 따라 소재원사가 직조 또는 편직에 의해 서로 교차하는 교차하는 교차부(210)가 일정 패턴으로 형성된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내피(200)의 통기홀(220)은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각형, 마름모형, 정원형, 타원형, 육각형, 팔각형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내피(200)는 천연섬유와 화섬섬유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피(200)는 기능성 의복(1000)의 용도를 고려하거나 착용감 향상을 위한 목적 등을 위해 직조 또는 편직 구조나 섬유의 재질에 따라 신축성을 가질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격부재(300)는 내피(200)에 설치되어 내피(200)를 외피(100)의 내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켜 외피(100)와 내피(200)의 사이에 통기로(500)를 구획할 수 있다.
즉, 이격부재(300)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복수 개가 내피(200)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양측이 직경에 의해 내피(200)의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여 노출되면서 내피(200)의 외면을 외피(100)의 내면과 이격시켜 외피(100)와 내피(200)의 사이에 통기로(500)를 구획시킨 것이다.
이때 이격부재(300)는 내피(200)에 형성된 교차부(210)에 고정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단부가 외피(100)의 내면과 밀착되는 제1돌출부(320)와, 몸체부(310)의 타면에 돌출 형성되어 단부가 사용자의 피부 또는 사용자가 착용한 내의와 밀착되는 제2돌출부(330)로 구성될 수 있다.
단, 이격부재(300)는 기능성 의복(1000)의 착용감 저하를 막기 위해 외피(100)의 내면과 밀착되는 부분과 피부 또는 내의(S)와 밀착되는 부분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몸체부(310)와 제1돌출부(320)와 제2돌출부(330)가 정원형이나 타원형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제1돌출부(320)의 돌출 높이에 따라 외피(100)의 내면과 내피(200)의 외면 사이에 서로 통하는 빈공간인 통기로(500)가 확실하게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돌출부(330)의 돌출 높이에 따라 내피(200)의 내면과 피부 또는 내의(S)의 사이에도 서로 통하는 빈공간인 보조통기로(600)까지 확실하게 확보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기능성 의복(1000)을 착용하여 착용하여 움직이거나 앉을 때 사용자의 자세에 의해 외피(100)와 내피(200)가 접히더라도 통기로(500)와 보조통기로(600)가 확실하게 확보됨에 따라 신체에서 발생하는 열기나 땀을 신속히 배출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310)는 내피(200)의 교차부(210)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일실시예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제1접합면(311a)이 형성되는 제1몸체부(310a)와, 일면에 제2접합면(311b)과 대응되는 제2접합면(311b)이 형성되는 제2몸체부(310b)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310)는 제1몸체부(310a)의 제1접합면(311a)과 제2몸체부(310b)의 제2접합면(311b)이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내피(200)의 교차부(210)를 사이에 두고 열과 압력에 의해 제1접합면(311a)과 제2접합면(311b)이 열융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몸체부(310a)와 제1돌출부(320)는 반구체 형상을 이루고, 제2몸체부(310b)와 제2돌출부(330)도 반구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러면 몸체부(310)는 제1접합면(311a)과 제2접합면(311b)이 열융착되면서 제1몸체부(310a)와 제2몸체부(310b)에 의해 원형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제1돌출부(320)는 외피(100)의 내면과 밀착되고 제2돌출부(330)는 피부 또는 내의(S)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층에 복수 개의 제1몸체부(310a)를 배열하고 상층에 복수 개의 제2몸체부(310b)를 배열하며 그 사이에 내피(200)를 배치한 후 제1몸체부(310a)의 제1접합면(311a)과 제2몸체부(310b)의 제2접합면(311b)을 가열한 상태에서 제2몸체부(310b)를 가압 하강시켜 제1몸체부(310a)와 접합시키면 이격부재(300)를 내피(200)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310)는 내피(200)의 교차부(210)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결합홈(312a)이 형성되는 제1몸체부(310a)와, 일면에 결합홈(312a)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되는 결합돌기(312b)가 형성되는 제2몸체부(310b)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310)는 제1몸체부(310a)의 결합홈기(312a)와 제2몸체부(310b)의 결합돌기(312b)이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내피(200)의 교차부(210)를 사이에 두고 압력에 의해 결합돌기(312b)가 결합홈(312a)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몸체부(310a)는 결합홈(312a)을 제외하고 제1돌출부(320)와 함께 반구체 형상을 이루고, 제2몸체부(310b)도 결합돌기(312b)를 제외하고 제2돌출부(330)와 함께 반구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러면 몸체부(310)는 결합돌기(312b)와 결합홈(312a)에 의해 제1몸체부(310a)와 제2몸체부(310b)가 결합됨에 따라 원형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제1돌출부(320)는 외피(100)의 내면과 밀착되고 제2돌출부(330)는 피부 또는 내의(S)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층에 복수 개의 제1몸체부(310a)를 배열하고 상층에 복수 개의 제2몸체부(310b)를 배열하며 그 사이에 내피(200)를 배치한 후 제2몸체부(310b)를 가압 하강시켜 제1몸체부(310a)와 결합시키면 이격부재(300)를 내피(200)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10)는 내피(200)의 교차부(210)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외면에 소정깊이를 가진 결속홈(313)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310)의 결속홈(313)에 교차부(210)가 끼움되면서 몸체부(310)를 교차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310)의 제1돌출부(320)와 제2돌출부(330)는 정원형이나 타원형을 이룰 수 있다.
단, 이때는 내피(200)의 교차부(210)에 몸체부(310)의 결속홈(313)에 둘러지는 고리(211)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고리(211)의 직경은 결속홈(313)에 따른 몸체부(310)의 외경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내피(200)를 하부에 공간을 두고 수평으로 배치하고 그 위에 복수 개의 이격부재(300)를 내피(200)의 교차부(210)와 대응되게 배열한 상태에서 이격부재(30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이격부재(300)의 결속홈(313)에 교차부(210)의 고리(211)가 걸림되면서 이격부재(300)를 내피(200)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이격부재(300)는 제2돌출부(330)의 단부에 밀착되는 피부 또는 내의(S)로부터 사용자가 흘린 땀을 흡수하여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형태를 유지하면서 흡수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몸체부(310)는 탄성을 가지고 유연한 우레탄 재질이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돌출부(320)와 제2돌출부(330)의 외면에 각각 흡수성을 가지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진 흡수피복(340)이 소정두께로 피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면 흡수피복(340)은 피부 또는 내의(S)로부터 사용자의 땀을 흡수하고 흡수한 땀이 통기로(500)와 보조통기로(500)를 유통하는 외부 공기에 의해 신속하게 건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310)는 우레탄 재질이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몸체부(310)에는 제1돌출부(320)와 제2돌출부(330)를 관통하는 코어홀이 형성되며, 코어홀에는 양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진 흡수코어(350)가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흡수코어(350)는 피부 또는 내의(S)로부터 사용자의 땀을 흡수하고 흡수한 땀이 통기로(500)를 유통하는 외부 공기에 의해 신속하게 건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통기수단(400)은 외피(100)에 설치되어 이격부재(300)에 의해 외피(100)와 내피(200)의 사이에 구획된 통기로(500)와 내피(200)와 피부 또는 내의(S)의 사이에 구획된 보조통기로(600)를 모두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즉, 통기수단(400)은 소정의 두께와 면적을 가진 것으로 외피(100)의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통기공(410)이 내외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통기로(500)와 보조통기로(600)를 통공(110)과 통기공(410)을 통해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기수단(400)은 통기공(410)을 통해 외피(100)의 내부인 통기로(500)와 보조통기로(600)에 존재하는 내부 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게 하고, 외피(100)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공기를 외피(100)의 내부인 통기로(500)와 보조통기로(600)로 유입되게 한다.
이에 따라 외피(100) 내부의 열기와 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외부와의 온도 차에 의한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체에서 발생하는 땀도 외부에서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에 의해 신속하게 건조시켜 눅눅함과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여기서 통기수단(400)은 통기로(500)와 보조통기로(600)를 외부와 확실하게 연통시킬 수 있도록 기능성 의복(1000)에서 접힐 우려가 상대적으로 적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기능성 의복(1000)이 상의 형태인 경우 기능성 의복(1000)의 겨드랑이에서 시작하여 허리단에 이르는 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능성 의복(1000)이 하의 형태인 경우 기능성 의복(1000)의 허리단에서 시작하여 다리단에 이르는 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통기수단(400)은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능성 의복(1000)을 비옷으로 사용하는 경우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통기공(410)이 흡기공 역활을 하는 흡기부재와, 통기공(410)이 배기공 역활을 하는 배기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흡기부재는 통기공(410)에 일방향으로 개방되는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외부 공기가 통기로(500)와 보조통기로(600)로 유입되도록 하고, 배기부재는 통기공(410)에 타방향으로 개방되는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통기로(500)와 보조통기로(600)에 존재하는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외피
110: 통공
200: 내피
210: 교차부
211: 고리
220: 통기홀
300: 이격부재
310: 몸체부
310a: 제1몸체부
311a: 제1접합면
312a: 결합홈
310b: 제2몸체부
311b: 제2접합면
312b: 결합돌기
313: 결속홈
320: 제1돌출부
330: 제2돌출부
340: 흡수피복
350: 흡수코어
400: 통기수단
410: 통기공
500: 통기로
600: 보조통기로
1000: 기능성 의복
S: 피부 또는 내의

Claims (8)

  1. 일정 형태를 가지는 외피;
    상기 외피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외피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는 내피;
    상기 내피에 설치되어 상기 내피를 상기 외피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외피와 상기 내피의 사이에 통기로를 형성하는 이격부재; 및
    상기 외피에 설치되어 상기 통기로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기수단;을 포함하는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소재원사를 메쉬 구조를 가지도록 직조 또는 편직한 것으로, 상기 메쉬 구조에 따라 상기 소재원사가 교차하는 교차부가 일정 패턴으로 형성된 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교차부에 각각 설치되는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교차부에 고정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피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를 이격시키는 제1돌출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와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로 구성되는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면에 제1접합면이 형성되는 제1몸체부와, 일면에 제1접합면과 대응되는 제2접합면이 형성되는 제2몸체부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교차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접합면과 제2접합면이 열융착되며,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1몸체부의 타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2몸체부의 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제1몸체부와, 일면에 제1결합돌기가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2몸체부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교차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1몸체부의 타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2몸체부의 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중간 외면에 소정깊이를 가진 결속홈이 함몰되게 환설되어 상기 교차부가 상기 결속홈에 끼움되어 상기 교차부에 고정되는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형태가 유지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외면에는
    흡수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흡수피복이 일정두께로 설치되는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형태가 유지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를 관통하는 코어홀이 형성되며,
    상기 코어홀에는
    양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흡수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흡수코어가 설치되는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KR1020200012040A 2020-01-31 2020-01-31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KR102442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040A KR102442575B1 (ko) 2020-01-31 2020-01-31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PCT/KR2021/000168 WO2021153918A1 (ko) 2020-01-31 2021-01-07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040A KR102442575B1 (ko) 2020-01-31 2020-01-31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177A true KR20210098177A (ko) 2021-08-10
KR102442575B1 KR102442575B1 (ko) 2022-09-13

Family

ID=77079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040A KR102442575B1 (ko) 2020-01-31 2020-01-31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2575B1 (ko)
WO (1) WO202115391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992Y1 (ko) 2000-04-04 2000-09-15 이상오 방수 및 통풍의복
JP2003503607A (ja) * 1999-07-06 2003-01-28 ノッティングトン ホールディング ビー.ヴィ. 人体に対する快適さを改善する通気性着用衣類
KR200434838Y1 (ko) 2006-08-23 2006-12-28 신권수 통풍되는 우의
JP2012097392A (ja) * 2010-10-29 2012-05-24 Koji Aoki 作業用下着
KR20170088069A (ko)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아이.비.인터내셔날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208B1 (ko) * 2009-12-01 2012-05-24 주식회사 나비모드 항균성을 갖는 체온 조절이 가능한 의류
EP2937004A1 (en) * 2014-04-24 2015-10-28 W.L. Gore & Associates (UK) Ltd. Garment with air ventilating system
CN205512436U (zh) * 2016-01-15 2016-08-31 吴和森 一种新型透气雨衣
CN209305092U (zh) * 2018-11-27 2019-08-27 福建省向兴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吸汗面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3607A (ja) * 1999-07-06 2003-01-28 ノッティングトン ホールディング ビー.ヴィ. 人体に対する快適さを改善する通気性着用衣類
KR200195992Y1 (ko) 2000-04-04 2000-09-15 이상오 방수 및 통풍의복
KR200434838Y1 (ko) 2006-08-23 2006-12-28 신권수 통풍되는 우의
JP2012097392A (ja) * 2010-10-29 2012-05-24 Koji Aoki 作業用下着
KR20170088069A (ko)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아이.비.인터내셔날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575B1 (ko) 2022-09-13
WO2021153918A1 (ko)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88813B (zh) 保温服装
KR102123340B1 (ko) 통기성 의복
US11606992B2 (en) Vented garment
US5014363A (en) Wearing apparel with ventilation material
US4170793A (en) Inner garment for aiding evaporative cooling
CA3023528A1 (en) Zoned insulation garment
US20070250978A1 (en) Moisture resistant infant clothing
EP3478110B1 (en) Garment with zoned insulation and variable air permeability
JP2013542342A (ja) 衣類
KR102442575B1 (ko)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KR200415997Y1 (ko) 땀 흡수 기능을 가진 의류용 패드 및 이를 부착한 의류
WO2018045279A1 (en) Vented garment
KR102476955B1 (ko) 통기성 의복
CN220088639U (zh) 一种具有拒水透气效果的运动衣
CN212139350U (zh) 一种排湿快干无缝衣
CN210539010U (zh) 一种复合结构降温服装
RU2781782C2 (ru) Воздухопроницаемый предмет одежды
CN211407703U (zh) 一种具有双层防护的新型运动服
CN111093411B (zh) 湿度指示服装
RU2118499C1 (ru) Способ образования наруж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одежды
KR100474879B1 (ko) 의류용 망사 직물
KR20230132077A (ko) 기능성 여성용 집업 가디건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4041038A (ja) 体感冷却上衣
CN107756965A (zh) 集水防辐射导湿快干运动服装面料
TWM554918U (zh) 襯衫織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