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069A -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 - Google Patents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069A
KR20170088069A KR1020160007949A KR20160007949A KR20170088069A KR 20170088069 A KR20170088069 A KR 20170088069A KR 1020160007949 A KR1020160007949 A KR 1020160007949A KR 20160007949 A KR20160007949 A KR 20160007949A KR 20170088069 A KR20170088069 A KR 20170088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vent hole
air
base plate
rainc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이.비.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이.비.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이.비.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160007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8069A/ko
Publication of KR20170088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41D3/04Raincoa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41D2400/20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의의 등이나 겨드랑이 또는 사타구니 부분에 통기공을 관통 형성하고 통기공의 외측면에 통기성 체크밸브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통기성 체크밸브는 상기 통기공에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된 상태로 통기공의 외측둘레를 보강하도록 부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통기공을 통해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베이스판의 외측면에 비접착부를 형성하도록 부착되는 커버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커버판 사이에 통기공과 우의의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공기통로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해상작업시 또는 우천시 등이나 겨드랑이 또는 사타구니 부분에서 발생하는 땀 등의 습기를 우의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심한 파도가 치거나 강한 비바람이 부는 환경에서 바닷물이나 빗물이 공기통로를 통해 우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하여 항상 쾌적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Marine raincoat with check valve for air vent}
본 발명은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의의 등이나 겨드랑이 또는 사타구니 부분에 통기공을 관통 형성하고 통기공의 외측면에 통기성 체크밸브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통기성 체크밸브는 상기 통기공에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된 상태로 통기공의 외측둘레를 보강하도록 부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통기공을 통해 바닷물이나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베이스판의 외측면에 비접착부를 형성하도록 부착되는 커버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커버판 사이에 통기공과 우의의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공기통로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해상작업시 또는 우천시 등이나 겨드랑이 또는 사타구니 부분에서 발생하는 땀 등의 습기를 우의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심한 파도가 치거나 강한 비바람이 부는 환경에서 바닷물이나 빗물이 공기통로를 통해 우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하여 항상 쾌적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해상작업시 또는 우천시 착용하는 우의는 원단에 방수층이 코팅 형성되어 우의 내부로 바닷물이나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우의는 대부분 바닷물이나 빗물이 우의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는 동시에 우의 내부에서 착용자의 체온 상승으로 인해 발생하는 땀 등의 습기가 우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도 완전히 차단하게 되므로, 우의 착용시 바닷물이나 빗물에 인해 옷이 젖는 것보다 땀 등의 습기로 인해 옷이 더 심하게 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우의 내측으로 공기통로를 형성하여 통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우의용 상의가 실용신안공보 제20-0464683호로 안출된 바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우의용 상의는 상ㆍ하부를 덮개판과 가슴판으로 분할 구성하되, 하부의 가슴판을 상부의 덮개판의 배면쪽으로 겹쳐지게 한 상태에서 일부분에 봉제선을 형성하고, 봉제선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부분에 공기통로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가슴판의 상단에는 역류방지편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우의용 상의는 덮개판과 가슴판 사이의 봉제선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부분인 공기통로를 통해서 우의 내측으로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됨에 따라 우의내부의 온도가 저하되어 땀으로 인해 옷이 젖게 되는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우의용 상의는 덮개판과 가슴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통로가 항상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심한 파도가 치거나 강한 비바람이 몰아치는 환경에서 작업 등의 활동을 수행할 경우 덮개판이 펄럭거리면서 개방된 공기통로를 통해 우의 내측으로 바닷물이나 빗물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우의용 상의는 덮개판과 가슴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통로가 주로 가슴 부위나 등 부위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므로, 특히 많은 땀이 분비되는 양측 겨드랑이나 사타구니 부위의 통기성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468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우의의 등이나 겨드랑이 또는 사타구니 부분에 통기공을 관통 형성하고 통기공의 외측면에 통기성 체크밸브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통기성 체크밸브는 상기 통기공에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된 상태로 통기공의 외측둘레를 보강하도록 부착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통기공을 통해 바닷물이나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베이스판의 외측면에 비접착부를 형성하도록 부착되는 커버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커버판 사이에 통기공과 우의의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공기통로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해상작업시 또는 우천시 등이나 겨드랑이 또는 사타구니 부분에서 발생하는 땀 등의 습기를 우의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심한 파도가 치거나 강한 비바람이 부는 환경에서 바닷물이나 빗물이 공기통로를 통해 우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하여 항상 쾌적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상작업시 또는 우천시 착용하는 통상의 우의에 있어서, 상기 우의의 등이나 겨드랑이 또는 사타구니 부분에 통기공을 관통 형성하고 통기공의 외측면에 통기성 체크밸브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통기성 체크밸브는 상기 통기공의 외측둘레를 보강하도록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통기공에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통기공을 통해 바닷물이나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베이스판의 외측면에 비접착부를 형성하도록 부착되는 커버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비접착부에 의해 베이스판과 커버판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통기공과 우의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기성 체크밸브의 베이스판과 커버판 사이에는 베이스판에 형성된 통공의 외측둘레와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베이스판과 커버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폰지판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통기성 체크밸브의 공기통로는 우의의 외부로 연결되는 출구가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에 의하면, 해상작업시 또는 우천시 등이나 겨드랑이 또는 사타구니 부분에서 발생하는 땀 등의 습기를 우의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심한 파도가 치거나 강한 비바람이 부는 환경에서 바닷물이나 빗물이 공기통로를 통해 우의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항상 쾌적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해상작업용 우의에 사용되는 통기성 체크밸브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해상작업용 우의에 사용되는 통기성 체크밸브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되는 통기성 체크밸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되는 통기성 체크밸브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C - C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D - D선 단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우의(1)의 등이나 겨드랑이 또는 사타구니 부분에 통기공(1a)이 관통 형성되고, 통기공(1a)의 외측면에는 통기성 체크밸브(2)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통기성 체크밸브(2)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판(3), 커버판(5), 공기통로(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판(3)은 상기 통기공(1a)의 외측둘레를 보강하도록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통기공(1a)에 대응되는 통공(4)이 형성된다.
상기 우의(1)의 등이나 겨드랑이 또는 사타구니 부분에 통기공(1a)을 관통 형성하게 되면, 통기공(1a) 주변부의 강도가 약해져서 통기공(1a)을 중심으로 원단이 쉽게 찢어질 수 있는데, 통기공(1a)의 외측둘레에 상기 베이스판(3)을 부착하게 되면 통기공(1)의 외측둘레의 강도가 현저히 보강되어 원단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판(5)은 상기 통기공(1a)을 통해 바닷물이나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베이스판(3)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판(3)의 외측면에 통기공(1a)을 밀폐하기 위한 접착부(3a)와 공기통로(6)를 형성하기 위한 비접착부(3b)를 형성하도록 부착된다.
상기 공기통로(6)는 상기 베이스판(3)의 비접착부(3b)에 의해 베이스판(3)과 커버판(5)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통기공(1a)과 우의(1)의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통로(6)는 우의(1)의 외부로 연결되는 출구가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상기 공기통로(6)의 출구를 하방으로 형성하게 되면, 해상작업시 또는 우천시 우의(1)의 외측면을 타고 흘러내는 바닷물이나 빗물이 공기통로(6)를 통해 우의(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기성 체크밸브(2)를 구성하는 베이스판(3)과 커버판(5)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나, 부피를 최소화하고 열융착에 의한 접합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재질의 필름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기성 체크밸브(2)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3)과 커버판(5) 사이에 스폰지판(7)이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폰지판(7)은 공기를 원활하게 통과시키는 다공성과 쿠션성을 갖춘 스폰지소재로 형성된 것으로, 베이스판(3)에 형성된 통공(4)의 외측둘레와 공기통로(6)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베이스판(3)과 커버판(5)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통기성 체크밸브(2)를 구성하는 베이스판(3)과 커버판(5)을 합성수지재질의 필름형태로 형성할 경우, 베이스판(3)과 커버판(5)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기나 수분에 의해 베이스판(3)과 커버판(5)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통로(6)가 들러붙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3)과 커버판(5) 사이에 다공성과 쿠션성을 갖춘 스폰지판(7)을 삽입하게 되면, 정전기나 수분에 의해 공기통로(6)가 들러붙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베이스판(3)에 형성된 통공(4)의 외측둘레와 공기통로(6)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베이스판(3)과 커버판(5) 사이의 간격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의 조립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우의(1)의 등이나 겨드랑이 또는 사타구니 부분에 통기공(1a)을 관통 형성한 후, 각 통기공(1a)의 외측면에 통기성 체크밸브(2)를 설치함으로써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통기성 체크밸브(2)는 통기공(1a)의 외측면에 베이스판(3)과 커버판(5)을 순서대로 적층한 후 한꺼번에 열융착하거나, 베이스판(3)과 커버판(5)을 먼저 열융착한 다음 열융결합된 베이스판(3)과 커버판(5)을 통기공(1a)의 외측면에 열융착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에 의한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해상작업시 또는 우천시 등이나 겨드랑이 또는 사타구니 부분에서 발생하는 땀 등의 습기를 우의(1)의 겨드랑이 또는 사타구니 부분에 관통형성된 통기공(1a)의 외측면에 설치된 통기성 체크밸브(2)의 베이스판(3)과 커버판(5)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통로(6)을 통해 우의(1)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특히 심한 파도가 치거나 강한 비바람이 부는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 통기성 체크밸브(2)의 베이스판(3)과 커버판(5)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통로(6)가 외부의 풍압에 의해 밀폐되면서 바닷물이나 빗물이 공기통로(6)를 통해 우의(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통기성 체크밸브(2)를 구성하는 베이스판(3)과 커버판(5) 사이에 다공성과 쿠션성을 갖춘 스폰지판(7)을 삽입하게 되면, 정전기나 수분에 의해 공기통로(6)가 들러붙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베이스판(3)에 형성된 통공(4)의 외측둘레와 공기통로(6)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베이스판(3)과 커버판(5) 사이의 간격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해상작업시 또는 우천시 등이나 겨드랑이 또는 사타구니 부분에서 발생하는 땀 등의 습기를 상기 통기성 체크밸브(2)의 공기통로(6)을 통해 우의(1)의 외측으로 더욱더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특히 심한 파도가 치거나 강한 비바람이 부는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에도 통기성 체크밸브(2)의 베이스판(3)과 커버판(5)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통로(6)에 채워진 스폰지판(7)에 의해 바닷물이나 빗물의 유입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1)에 의하면, 해상작업시 또는 우천시 등이나 겨드랑이 또는 사타구니 부분에서 발생하는 땀 등의 습기를 우의(1)의 외측으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심한 파도가 치거나 강한 비바람이 부는 환경에서도 바닷물이나 빗물이 공기통로를 통해 우의(1)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항상 쾌적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여러 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상작업용 우의에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우천시 통상적으로 착용하는 일반적인 우의에도 적용가능한 것임을 밝혀 둔다.
1 : 해상작업용 우의
1a : 통기공
2 : 통기성 체크밸브
3 : 베이스판
3a : 접착부
3b : 비접착부
4 : 통공
5 : 커버판
6 : 공기통로
7 : 스폰지판

Claims (3)

  1. 해상작업시 또는 우천시 착용하는 통상의 우의에 있어서,
    상기 우의의 등이나 겨드랑이 또는 사타구니 부분에 통기공을 관통 형성하고 통기공의 외측면에 통기성 체크밸브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통기성 체크밸브는,
    상기 통기공의 외측둘레를 보강하도록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통기공에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통기공을 통해 바닷물이나 빗물이 유입되지 않게 베이스판의 외측면에 비접착부를 형성하도록 부착되는 커버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비접착부에 의해 베이스판과 커버판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통기공과 우의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체크밸브의 베이스판과 커버판 사이에는 베이스판에 형성된 통공의 외측둘레와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베이스판과 커버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폰지판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 체크밸브의 공기통로는 우의의 외부로 연결되는 출구가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
KR1020160007949A 2016-01-22 2016-01-22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 KR20170088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949A KR20170088069A (ko) 2016-01-22 2016-01-22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949A KR20170088069A (ko) 2016-01-22 2016-01-22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069A true KR20170088069A (ko) 2017-08-01

Family

ID=5965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949A KR20170088069A (ko) 2016-01-22 2016-01-22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806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675B1 (ko) 2017-10-16 2018-09-04 전민우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KR20210098177A (ko) 2020-01-31 2021-08-10 전상수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KR20220111929A (ko) 2021-02-03 2022-08-10 전상수 의류용 통기 장치
KR20230014991A (ko) 2021-07-22 2023-01-31 전상수 의류용 통기 장치
KR102550234B1 (ko) 2022-11-07 2023-06-29 전상수 회전 개폐식 통기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675B1 (ko) 2017-10-16 2018-09-04 전민우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KR20210098177A (ko) 2020-01-31 2021-08-10 전상수 통기성이 우수한 기능성 의복
KR20220111929A (ko) 2021-02-03 2022-08-10 전상수 의류용 통기 장치
KR20230014991A (ko) 2021-07-22 2023-01-31 전상수 의류용 통기 장치
KR102550234B1 (ko) 2022-11-07 2023-06-29 전상수 회전 개폐식 통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8069A (ko)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
US4242769A (en) Anti-exposure inflatable structure
US8402566B2 (en) Stitched seam structure, item of clothing comprising a stitched seam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a stitched seam structure
US20030033656A1 (en) Ventilation system for clothing
ITPD20100237A1 (it) Montatura per occhiali, maschere ad uso professionale o sportivo, e simili
US4227262A (en) Protective suit with insulated head piece
JP5324097B2 (ja) 水中スーツ用素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水中スーツ
CN101569439B (zh) 一种透气雨衣
KR100580868B1 (ko) 텐트용 환기창의 방수구조
CN106666980A (zh) 安全防护箱
CN201444940U (zh) 一种透气雨衣或雨披
US5608916A (en) Inserted pocket of a waterproof garment
JP3211046U (ja) レインウェア
CN210901469U (zh) 一种具有救生功能的防水保暖防护服
EP1790242A1 (en) Laminated collar
US3381305A (en) Swim cap
US4633526A (en) Immersion suits
CN208760106U (zh) 冲锋衣
KR101519102B1 (ko) 다용도 코트형 우의
CN202760207U (zh) 透气雨衣
CN203369423U (zh) 带有可调节透气孔的服装鞋帽
JPH11323622A (ja) 合羽および合羽用ベスト
CN207760036U (zh) 一种饮用氢气发生器杯
KR200362030Y1 (ko) 방제복
JP3108022U (ja) 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