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895B1 -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 - Google Patents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895B1
KR102247895B1 KR1020200064008A KR20200064008A KR102247895B1 KR 102247895 B1 KR102247895 B1 KR 102247895B1 KR 1020200064008 A KR1020200064008 A KR 1020200064008A KR 20200064008 A KR20200064008 A KR 20200064008A KR 102247895 B1 KR102247895 B1 KR 102247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clothes
ventilation
clothes body
ventilation net
deform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숙
전무웅
Original Assignee
김명숙
전무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숙, 전무웅 filed Critical 김명숙
Priority to KR1020200064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48Detachable hoo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6Caps with flaps; Motoring ca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로써, 보다 상세하게 외피가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작업복 본체와 상기 작업복 본체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와 상기 작업복 본체의 내피를 형성하는 메시 형상의 통기망과 상기 통기망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통기망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부의 외형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변형부재를 포함하고, 착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변형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변형부재의 외형을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통기망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작업복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Work clothes that can control of ventilation}
본 발명은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방수재질로 형성되어 농약과 같은 유해물질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부분이 개방되도록 하여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복은 노동을 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의복으로 일하기 편하고 작업 환경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5516호(2007.01.29.)에서는 작업자가 작업을 위해 고개를 좌우로 돌리거나 몸을 앞으로 구부리는 경우에도, 모자에 의해 작업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을 수행하는데 불편함이 없게 하고, 특히 안전사고의 위험이 획기적으로 감소되는 사용자 편의성을 갖는 작업복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우, 통기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작업 시 발생하는 땀으로 인해 신체가 쾌적하게 유지되지 못한다. 또한, 통기를 위해 내피에 방수기능을 갖는 투습필름을 접착 구성한 겉감 내측으로 통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망사천 구성의 안감을 결합한 구성의 경우, 작업복 내외로 공기가 순환하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고, 작업환경에 따라 통기량을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5516호(2007.01.29)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방수재질로 형성되어 농약과 같은 유해물질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부분이 개방되도록 하여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에 있어서, 외피가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작업복 본체와 상기 작업복 본체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와 상기 작업복 본체의 내피를 형성하는 메시 형상의 통기망과 상기 통기망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통기망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부의 외형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변형부재를 포함하고, 착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변형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변형부재의 외형을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통기망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작업복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기망은, 상기 작업복 본체의 측면부에 구비되는 제1통기망과 상기 작업복 본체의 중앙부에 상기 제1통기망보다 메쉬가 더 촘촘하게 형성되는 제2통기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부가 상기 통기망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단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작업복 본체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자부는, 상기 모자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자부의 상부에는 상기 절개부가 구비되어, 상기 작업복 본체 내부의 공기가 상기 모자부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절개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은 방수재질로 형성되어 농약과 같은 유해물질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부분이 개방되도록 하여 통기성을 확보함으로써, 결로현상을 최소화하는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을 제공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작업복 본체의 외피로 인해 농약과 같은 유해물질이 작업복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나노소재로 형성된 통기망에 의해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물질이 작업복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기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도 빗물이 작업복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의 공기가 작업복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자부의 상부에는 착용자의 목 또는 머리의 둘레를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어 작업복 본체 내부의 따듯한 공기가 상승하여 모자부의 상부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복 본체 내부의 공기가 자연적으로 순환되도록 하여 작업복 본체의 내부와 외부 간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통기구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복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변형부재의 형태를 가변시켜 변형부재의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차단부가 바람에 의해 젖혀져 작업에 간섭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의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의 변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의 변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의 변형부재의 모습을 A-A`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에 있어서, 외피가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작업복 본체(100)와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부(200)와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피를 형성하는 메시 형상의 통기망(300)과 상기 통기망(3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기망(300)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작업복 본체(100)가 마련된다. 상기 작업복 본체(100)는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외피와 메시 형상의 상기 통기망(300)으로 형성되는 내피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외피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의 빗물, 농약 등이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외피는 시레 가공(광택 가공)을 통하여 외형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피를 이루는 상기 통기망(300)은 나노소재로 형성되어, 외부의 미세먼지, 꽃가루 등이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작업복 본체(100)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모자부(1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자부(110) 역시 상기 작업복 본체(100)와 동일한 재질의 외피와 내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모자부(110)의 외피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의 빗물, 농약 등이 상기 모자부(110)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자부(110)의 외피는 시레 가공(광택 가공)을 통하여 외형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자부(110)의 내피를 이루는 상기 통기망(300)은 나노소재로 형성되어, 외부의 미세먼지, 꽃가루 등이 상기 모자부(110)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자부(110)는 상기 모자부(1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림부(111)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가림부(111)는 상기 모자부(110)의 상측에서 착용자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착용자의 눈에 햇빛이 직접적으로 비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착용자가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자부(110)는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상단부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112)를 더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결합부(112)는 상기 모자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개의 똑딱단추로 형성되어, 상기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자부(110)는 상기 모자부(110)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절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착용자가 상기 조절부(113)를 잡아당기면 상기 모자부(110)의 외주면이 압축되어 상기 모자부(110)의 사이즈가 감소하게 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자부(110)의 상부에는 상기 절개부(200)가 구비되어, 상기 작업복 본체(1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모자부(110)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절개부(200)로 유출되도록 한다. 일례로, 도 3과 같이 상기 모자부(110)의 상부에는 상기 착용자의 목 또는 머리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절개부(20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작업복 본체(100) 내부의 따듯한 공기가 상승하여 상기 모자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절개부(200)를 통해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작업복 본체(100) 내부의 공기가 자연적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부와 외부 간의 온도차로 인해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절개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절개부(200)는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외부의 공기가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절개부(200)는 신체 부위 중 상대적으로 땀이 많이 발생하는 어깨, 겨드랑이, 가슴, 등 부위에 마련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작업복 본체(100)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부에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절개부(200)는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작업복 본체(100) 내부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여 상기 절개부(2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통기망(300)이 마련된다. 상기 통기망(300)은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피를 형성하며 메쉬 형태로 통기성을 확보하여 자연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착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통기망(300)은 발수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착용자로부터 발생되는 체액을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착용자의 피부에 들러붙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착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망(300)은 나노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통기망(300)이 나노소재로 형성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일례로, 상기 절개부(200)에 형성되는 상기 통기망(300)은 나노방진필터로 형성되어, 외부의 미세먼지, 꽃가루 등을 92.8% 필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망(300)은 항균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어, 상기 나노방진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세균 및 곰팡이를 99.9% 사멸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나노방진필터는 세탁을 하더라도 나노섬유가 손상되지 않도록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통기망(300)은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소재로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통기망(300)은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측면부에 구비되는 제1통기망(310)과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중앙부에 상기 제1통기망(310)보다 메쉬가 더 촘촘하게 형성되는 제2통기망(320)을 포함한다. 일례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전면과 후면의 중앙부에는 메쉬가 상대적으로 촘촘하게 형성되는 상기 제2통기망(320)이 구비되어 외부의 이물질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망(300)은 상기 절개부(200)를 향할수록 메쉬가 점점 더 촘촘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외부로부터 공기의 유입이 시작되는 상기 절개부(200) 부근에는 상기 통기망(300)의 메쉬가 상대적으로 촘촘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외부의 이물질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차단부(400)가 마련된다. 일례로, 상기 차단부(400)는 PVC(Polycinyl chloride : 폴리염화비닐)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의 빗물, 농약 등이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400)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통기망(300)을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차단부(400)는 상기 차단부(400)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400)가 상기 통기망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단추부(410)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단추부(410)는 상기 차단부(400)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통기가 필요한 경우 상기 단추부(410)가 열린 상태로 상기 통기망(300)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고, 빗물의 차단이 필요한 경우 상기 단추부(410)가 닫힌 상태로 상기 통기망(30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차단부(400)는 상기 차단부(400)의 외형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변형부재(420)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통기망(300)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변형부재(420)는 상기 차단부(400)의 단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구리재질로 형성되는 와이어(421)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421)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천(422)으로 마감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변형부재(420)는 상기 착용자가 상기 변형부재(420)를 가압하여 상기 와이어(421)의 형상을 변화시키면 상기 와이어(421)가 변형된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변형부재(420)는 상기 착용자가 변형시킨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다. 일례로, 상기 변형부재(420)는 도 4의 (a)와 같은 일자형 또는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착용자가 상기 변형부재(420)의 두 지점을 절곡시켜 도 4의 (b)와 같이 ‘ㄷ’자 형상의 통기구(33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변형부재(420)가 일자형 또는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면, 상기 차단부(400)가 상기 통기망(300)과 인접하게 위치됨으로써, 상기 절개부(200) 및 통기망(30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량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변형부재(420)가 ‘ㄷ’자 형상으로 가변되면 상기 차단부(400)가 상기 통기망(300)과 이격되어 위치됨으로써, 상기 통기구(330)가 넓게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200) 및 통기망(30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량이 증가하게 된다.
즉, 착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변형부재(420)를 가압하여 상기 변형부재(420)의 외형을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통기망(300)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작업복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변형부재(420)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ㄷ’자 형상으로 변형되어 외형을 유지함에 따라, 상기 차단부(40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통기망(300)과 이격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우천 시 비가 상기 차단부(400)와 간섭되어 상기 통기망(300)을 통해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5는 상기 변형부재(420)가 ‘ㄷ’자 형태로 형상이 변형된 상태에서 상기 단추부(410)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변형부재(420)와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외피(10)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즉,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없이 상기 변형부재(420)와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외피(10) 사이에 상기 통기구(330)가 마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착용자가 상기 변형부재(420)의 형태를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통기구(330)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통기구(330)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어 상기 통기구(33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5의 (b)와 같이 상기 차단부(400)는 상기 통기망(300)을 덮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일례로,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도 상기 통기망(300)으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으면서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부재(420)가 ‘ㄷ’자 형태로 변형됨으로서, 상기 차단부(40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변형부재(420)를 도 5의 (a)와 같이 비스듬히 경사지게 절곡하여, 상기 차단부(400)가 바람에 의해 날려 펄럭거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차단부(400)가 바람에 의해 젖혀져 작업에 간섭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강풍 시, 상기 단추부(410)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차단부(400)가 바람에 의해 요동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외피(10)로 인해 농약과 같은 유해물질이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나노소재로 형성된 상기 통기망(300)에 의해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물질이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통기구(330)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도 빗물이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의 공기가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구(330)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작업복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외피
100 : 작업복 본체
110 : 모자부
111 : 가림부
112 : 결합부
113 : 조절부
200 : 절개부
300 : 통기망
310 : 제1통기망
320 : 제2통기망
330 : 통기구
400 : 차단부
410 : 단추부
420 : 변형부재
421 : 와이어
422 : 천

Claims (5)

  1. 외피가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작업복 본체;
    상기 작업복 본체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작업복 본체의 내피를 형성하는 메시 형상의 통기망; 및
    상기 통기망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통기망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부의 외형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변형부재; 및
    상기 차단부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가 상기 통기망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단추부;를 포함하고,
    착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변형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변형부재의 외형을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통기망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작업복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변형부재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ㄷ’자 형상으로 변형되어 외형을 유지함에 따라, 상기 차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작업복 본체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통기망과 이격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상기 작업복 본체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우천 시 비가 상기 차단부와 간섭되어 상기 통기망을 통해 상기 작업복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강풍 시, 상기 단추부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차단부가 바람에 의해 요동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복 본체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자부는,
    상기 모자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부의 상부에는 상기 절개부가 구비되어, 상기 작업복 본체 내부의 공기가 상기 모자부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절개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
  4. 삭제
  5. 삭제
KR1020200064008A 2020-05-28 2020-05-28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 KR102247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008A KR102247895B1 (ko) 2020-05-28 2020-05-28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008A KR102247895B1 (ko) 2020-05-28 2020-05-28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895B1 true KR102247895B1 (ko) 2021-05-06

Family

ID=7591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008A KR102247895B1 (ko) 2020-05-28 2020-05-28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8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412A (ja) * 1998-09-24 2000-06-13 Kazuko Oishi フ―ド、及び、フ―ド付き衣服
KR200435516Y1 (ko) 2006-09-29 2007-01-29 주식회사 엠텍이엔지 사용자 편의성을 갖는 작업복
KR20100010971U (ko) * 2009-04-30 2010-11-09 이영수 통기량이 조절되는 통기성 우의
KR20190001305U (ko) * 2017-11-27 2019-06-05 박형신 통풍 우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412A (ja) * 1998-09-24 2000-06-13 Kazuko Oishi フ―ド、及び、フ―ド付き衣服
KR200435516Y1 (ko) 2006-09-29 2007-01-29 주식회사 엠텍이엔지 사용자 편의성을 갖는 작업복
KR20100010971U (ko) * 2009-04-30 2010-11-09 이영수 통기량이 조절되는 통기성 우의
KR20190001305U (ko) * 2017-11-27 2019-06-05 박형신 통풍 우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8601B2 (en) Modular face mask
US7043767B2 (en) Ventilation system for clothing
US10349687B2 (en) Cold-weather apparel item
DE102006060990B4 (de) Kleidungsstück zur Personenklimatisierung
US5727256A (en) Sunlight protecting garments having convective ventilation
US5694648A (en) Cap with pocket for receiving neck shield
EP1952709A2 (en) Vented Apparel, ve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US6795976B1 (en) Ventilating panel and pocket assembly for a garment
US20160374415A1 (en) Garment
TW201330790A (zh) 通風器及使用其之通風結構
US4392258A (en) Shade shirt
US10609977B1 (en) Headwear with neck cover and face cover
KR20120083377A (ko) 통기 개구를 구비한 의류
US1023677A (en) Toilet-hood.
KR102247895B1 (ko)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
KR20100048464A (ko) 하복용 교복 상의
JP6602564B2 (ja) 生地体、この生地体を用いた衣類、その製造方法及びこの生地体を用いた構造体
US20220000190A1 (en) Hooded garment with embedded side views
KR200462169Y1 (ko) 통기량이 조절되는 통기성 우의
JP2005163227A (ja) ベンチレーション機能付き衣服
JP4020374B2 (ja) 上着
DE202007001625U1 (de) Vielfunktion-Kapuze
KR101843643B1 (ko) 통풍 절첩챙 모자
JP5097065B2 (ja) 帽子
JP2010150719A (ja) 上着及びフ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