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8464A - 하복용 교복 상의 - Google Patents

하복용 교복 상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8464A
KR20100048464A KR1020080107636A KR20080107636A KR20100048464A KR 20100048464 A KR20100048464 A KR 20100048464A KR 1020080107636 A KR1020080107636 A KR 1020080107636A KR 20080107636 A KR20080107636 A KR 20080107636A KR 20100048464 A KR20100048464 A KR 20100048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n
vent
cut
mesh fabric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경
Original Assignee
(주)에리트베이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리트베이직 filed Critical (주)에리트베이직
Priority to KR1020080107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8464A/ko
Publication of KR20100048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9/00Uniforms; Parts or accessories of unifor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41D31/145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using layer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생들이 착용하는 교복 상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하절기에 착용하는 교복 상의에 외부와의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앞면과 뒷면의 측면 상부에 팔 소매가 형성되고, 앞면의 상부에는 착용하는 학생들의 목 둘레와 쇄골이 드러나게 접혀지는 옷깃이 형성되도록 제작되는 하복용 교복 상의에 있어서, 상기 뒷면에 외부와 통기될 수 있도록 겹쳐지게 절개되고, 상기 절개된 내측면에는 망사직물이 재봉되는 통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복용 교복 상의에 관한 것이다.
교복, 상의, 절개, 통기, 망사직물

Description

하복용 교복 상의{On the school uniform for the lower part of the belly}
본 발명은 학생들이 착용하는 교복 상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하절기에 착용하는 교복 상의에 외부와의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하복용 교복 상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착용하는 교복은 단정하고 깔끔한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대부분이 정장스타일로 제작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학생들이 착용하는 교복 상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110)과 뒷면(120)의 측면 상부에 팔 소매(130)가 형성되고, 앞면의 상부에는 착용하는 학생들의 목 둘레와 쇄골이 드러나게 접혀지는 옷깃(140)이 형성되도록 제작됨에 따라 단정하면서 깔끔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앞면 가운데에는 서로 겹쳐지면서 단추나 똑딱단추 등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옷매무새를 더욱더 단정하게 착용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교복 상의는 학생의 신분이라면 이른 아침부터 늦은 저녁시간까지 오랜 시간동안 착용하여 생활하는 것으로, 근래에 들어서는 교복으로서의 깔끔하면서 단정한 이미지를 실추시키지 않고 학생들이 최대한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촛점을 두어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하루에도 집에서 생활하는 시간 이외에는 대부분이 교복을 착용한 상태로 학생들이 생활하는 과정에서, 특히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는 학생들의 신체로부터 분비되는 많은 땀 등으로 인해 상당히 불쾌한 상태로 장시간을 착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다시 말해서, 상기한 통상적인 교복 상의는 목 부분의 옷기 부분과 단추 등으로 고정되는 앞면 부분을 제외한 뒷면과 측면 등이 막혀있는 관계로, 사람의 신체중에서도 가장 많은 땀이 분비되는 등 등에서 분비되는 많은 량의 땀으로 인해 불쾌감을 가질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에 따라 종래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학생들 대부분이 교복 상의의 앞면에 구비된 단추 등을 풀고 외부와 통기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이 같은 경우 교복의 단정한 이미지를 실추시키게 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 착용하는 교복 상의에 외부와의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복 상의에 통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기되도록 절개된 부분이 들뜨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복 상의에 통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면서 주머니 역할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앞면과 뒷면의 측면 상부에 팔 소매가 형성되고, 앞면의 상부에는 착용하는 학생들의 목 둘레와 쇄골이 드러나게 접혀지는 옷깃이 형성되도록 제작되는 하복용 교복 상의에 있어서, 상기 뒷면에 외부와 통기될 수 있도록 겹쳐지게 절개되고, 상기 절개된 내측면에는 망사직물이 재봉되는 통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기부는 뒷면의 상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 통기부와, 상기 가로 통기부의 하부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세로 통기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 통기부는 절개된 하측 뒷면의 상단에 망사직물의 하단이 재봉되고, 상측 뒷면의 내측면과 팔 소매 내측면으로 망사직물의 상단과 측단이 재봉되어 하측 뒷면의 상부로 상측 뒷면이 덮여지게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로 통기부는 두겹으로 겹쳐진 망사직물의 각 끝단이 절개된 뒷면의 각 끝단면에 재봉되어 측면 측의 뒷면 상부로 중앙 측의 뒷면이 덮여지게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 통기부의 상측 뒷면의 밑단이 하측 뒷면과 적어도 한 군데 이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팔 소매의 하부 앞면과 뒷면의 재봉된 옆구리 부분에 외부와 통기될 수 있도록 절개하여 내측면에 망사직물이 재봉되는 보조 통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통기부의 망사직물은 두겹으로 겹쳐져 절개된 부분 측은 개방되게 재봉되고 삼면이 막혀지게 재봉되어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 착용하는 교복 상의에 외부와의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복 상의의 뒷면에 통기부를 구비함으로써,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도 학생들의 신체로부터 분비되는 땀 등을 신속하게 건조시킴은 물론 열기 또한 단시간 내에 방출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장시간 교복 상의를 착용시에도 불쾌감 없이 항시 쾌적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교복 상의의 뒷면에 형성되는 통기부를 가로 통기부와 세로 통기부로 형성함으로써, 교복 상의에 통기성을 극대화시켜 단시간 내에 쾌적함을 신속하게 느낄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가로 통기부에 상측 뒷면이 하측 뒷면에서 한 군데 이상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통기되도록 절개된 부분이 들뜨지 않도록 하여 통기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단정한 이미지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교복 상의의 뒷면 뿐만 아니라 옆구리 부분으로도 통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교복 상의에 통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면서 주머니 역할도 겸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임시 수납공간도 확보하여 활용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배면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따른 요부 분리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110)과 뒷면(120)의 측면 상부에 팔 소매(130)가 형성되고, 앞면의 상부에는 착용하는 학생들의 목 둘레와 쇄골이 드러나게 접혀지는 옷깃(140)이 형성되며, 앞면 가운데에는 단추 등에 의해 겹쳐지게 고정되도록 제작되는 통상의 하복용 교복 상의(100)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 학생들이 교복 상의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외부와의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뒷면(120)에 외부와 통기될 수 있도록 겹쳐지게 절개되고, 상기 절개된 내측면에는 통상적인 망사직물(2)(2a)이 재봉되는 통기부(1)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종래 교복 상의의 뒷면이 폐쇄되어 통기성이 없던 것을 본 발명은 뒷면에 외부와 통기될 수 있는 통기부를 통하여 외부 바람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음은 물론 학생들의 신체에서 발산되는 열기 등을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해 학생들이 교복 상의를 장시간 착용하여도 항시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통기부(1)는 뒷면(120)의 상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 통기부(10)와, 상기 가로 통기부의 하부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세로 통기부(20)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착용자인 학생들의 신체에서 가장 많은 땀 등이 분비되는 등 부분에 통기성이 극대화되도록 함에 따라, 즉 가로 통기부와 세로 통기부에 의해 통기성을 극대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교복 상의를 착용하는 학생들로 하여금 기온이 높은 하절기에도 항시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로 통기부(10)는 절개된 하측 뒷면(120)의 상단에 망사직물(2)의 하단이 재봉되고, 상측 뒷면(120)의 내측면과 팔 소매(130) 내측면으로 망사직물(2)의 상단과 측단이 재봉되어 하측 뒷면(120)의 상부로 상측 뒷면(120)이 덮여지게 겹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로 통기부의 절개된 부분은 통기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 팔 소매에서부터 타측 팔 소매까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 통기부(20)는 두겹으로 겹쳐진 망사직물(2a)의 각 끝단이 절개된 뒷면(120)의 각 끝단면에 재봉되어 측면 측의 뒷면(120) 상부로 중앙 측의 뒷면(120)이 덮여지게 겹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가로 통기부는 뒷면의 가로방향 전체적으로 절개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외부와의 통기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고, 세로 통기부 또한 뒷면의 양측에 형성됨에 따라 통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해 착용자로 하여금 최대한의 쾌적함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로 통기부(10)의 상측 뒷면(120)의 밑단이 하측 뒷면(120)과 적어도 한 군데 이상, 즉 중앙과 이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을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상측 뒷면이 하측 뒷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로 통기부를 통하여 외부와의 통기는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절개된 상측 뒷면이 하측 뒷면에서 들떠 이격되지 않는 조건으로 인해 단정한 이미지를 실추시키지 않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교복 상의는 뒷면에 형성되는 통기부인 가로 통기부와 세로 통기부에 의해 교복 상의 내부로 외부와의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기온이 높아 땀 등이 많이 분비되는 하절기에도 학생들로 하여금 항시 쾌적한 상태로 착용하여 생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교복 상의의 뒷면에 구비된 통기부를 통하여 외부와의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착용자의 옆구리 부분으로도 통기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팔 소매(130)의 하부 앞면(110)과 뒷면(120)의 재봉된 옆구리 부분에 외부와 통기될 수 있도록 절개하여 내측면에 망사직물(2b)이 재봉되는 보조 통기부(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뒷면에 형성되는 통기부인 가로 통기부와 세로 통기부 이외에 교복 상의의 옆구리 부분까지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복 상의의 통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 통기부(30)의 망사직물(2b)은 두겹으로 겹쳐져 절개된 부분 측은 개방되게 재봉되고, 즉 두겹으로 겹쳐지는 망사직물의 일면은 앞면에 또 다른 타측 면은 뒷면에 각각 재봉되며, 나머진 겹쳐진 삼면이 막혀지게 재봉되어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교복 상의의 뒷면에 형성되는 통기부인 가로 통기부와 세로 통기부 이외에 옆구리 부분으로 형성되는 보조 통기부에 의해 교복 내부로의 통기성을 극대화시킴은 물론 상기 보조 통기부의 망사직물을 주머니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임시 주머니로도 활용 가치를 최대한 높일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배면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따른 요부 분리 확대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은 일반적인 하복용 교복 상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기부 2,2a,2b : 망사직물
10 : 가로 통기부 20 : 세로 통기부
30 : 보조 통기부 100 : 교복 상의
110 : 앞면 120 : 뒷면
130 : 팔 소매

Claims (7)

  1. 앞면과 뒷면의 측면 상부에 팔 소매가 형성되고, 앞면의 상부에는 착용하는 학생들의 목 둘레와 쇄골이 드러나게 접혀지는 옷깃이 형성되도록 제작되는 하복용 교복 상의에 있어서,
    상기 뒷면(120)에 외부와 통기될 수 있도록 겹쳐지게 절개되고, 상기 절개된 내측면에는 망사직물(2)(2a)이 재봉되는 통기부(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복용 교복 상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1)는 뒷면의 상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 통기부(10)와, 상기 가로 통기부의 하부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세로 통기부(20)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복용 교복 상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통기부(10)는 절개된 하측 뒷면(120)의 상단에 망사직물(2)의 하단이 재봉되고, 상측 뒷면(120)의 내측면과 팔 소매(130) 내측면으로 망사직물(2)의 상단과 측단이 재봉되어 하측 뒷면(120)의 상부로 상측 뒷면(120)이 덮여지게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복용 교복 상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통기부(20)는 두겹으로 겹쳐진 망사직물(2a)의 각 끝단이 절개된 뒷면(120)의 각 끝단면에 재봉되어 측면 측의 뒷면(120) 상부로 중앙 측의 뒷면(120)이 덮여지게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복용 교복 상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통기부(10)의 상측 뒷면(120)의 밑단이 하측 뒷면(120)과 적어도 한 군데 이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복용 교복 상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팔 소매(130)의 하부 앞면(110)과 뒷면(120)의 재봉된 옆구리 부분에 외부와 통기될 수 있도록 절개하여 내측면에 망사직물(2b)이 재봉되는 보조 통기부(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복용 교복 상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통기부(30)의 망사직물(2b)은 두겹으로 겹쳐져 절개된 부분 측은 개방되게 재봉되고 삼면이 막혀지게 재봉되어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복용 교복 상의.
KR1020080107636A 2008-10-31 2008-10-31 하복용 교복 상의 KR20100048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636A KR20100048464A (ko) 2008-10-31 2008-10-31 하복용 교복 상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636A KR20100048464A (ko) 2008-10-31 2008-10-31 하복용 교복 상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464A true KR20100048464A (ko) 2010-05-11

Family

ID=4227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636A KR20100048464A (ko) 2008-10-31 2008-10-31 하복용 교복 상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846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337Y1 (ko) * 2011-04-11 2013-04-09 이영수 통풍구가 구비된 작업복
KR101508256B1 (ko) * 2013-12-02 2015-04-07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요양보호사의 활동향상을 위한 기능성 상의
CN109068774A (zh) * 2016-04-07 2018-12-21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服饰物品的通风镶件
KR102046365B1 (ko) 2019-07-27 2019-11-19 (주)런던베이직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계용 교복
CN114762546A (zh) * 2022-04-21 2022-07-19 山东福泰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耐磨校服装及其制备工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337Y1 (ko) * 2011-04-11 2013-04-09 이영수 통풍구가 구비된 작업복
KR101508256B1 (ko) * 2013-12-02 2015-04-07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요양보호사의 활동향상을 위한 기능성 상의
CN109068774A (zh) * 2016-04-07 2018-12-21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服饰物品的通风镶件
KR102046365B1 (ko) 2019-07-27 2019-11-19 (주)런던베이직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계용 교복
CN114762546A (zh) * 2022-04-21 2022-07-19 山东福泰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耐磨校服装及其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589B1 (ko) 단열성 의복
US3296626A (en) Ventilated rainwear
US8997264B2 (en) Male undergarment including supporting structures
US9380815B2 (en) Privacy cover
KR20100048464A (ko) 하복용 교복 상의
JP3134972U (ja) 通気性レインウェア
CN102573538B (zh) 带有通风开口的衣服
JP2007231490A (ja) 衣服の裏地
JP6602564B2 (ja) 生地体、この生地体を用いた衣類、その製造方法及びこの生地体を用いた構造体
JP2005163227A (ja) ベンチレーション機能付き衣服
KR200462169Y1 (ko) 통기량이 조절되는 통기성 우의
CA2599395A1 (en) Male hygienic underwear
JP5097065B2 (ja) 帽子
US3206762A (en) Ventilated jacket or suit coat for men and women
KR200356421Y1 (ko) 망사 주머니 바지
KR102247895B1 (ko)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복
JPH0118576Y2 (ko)
CN110250607A (zh) 透气防雨服
CN209965246U (zh) 男性内裤
CN216942093U (zh) 一种具有良好透气性的新型面料
CN217309191U (zh) 一种女士透气衬衫
JP3106265U (ja) 女学生用セーラー服
JP7420379B2 (ja) ファン付き衣服
CN217038930U (zh) 一种透气运动卫衣
JP3038368U (ja) 作業用上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