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365B1 -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계용 교복 - Google Patents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계용 교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365B1
KR102046365B1 KR1020190091359A KR20190091359A KR102046365B1 KR 102046365 B1 KR102046365 B1 KR 102046365B1 KR 1020190091359 A KR1020190091359 A KR 1020190091359A KR 20190091359 A KR20190091359 A KR 20190091359A KR 102046365 B1 KR102046365 B1 KR 102046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weight
parts
fabric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태
Original Assignee
(주)런던베이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런던베이직 filed Critical (주)런던베이직
Priority to KR1020190091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3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03D15/0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계용 교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i) 울 25~35 중량부로 제직된 안쪽 면 및 ⅱ) 폴리에스터 25~35 중량부와 사이로필 방적사 35~45 중량부로 제직된 바깥쪽 면이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사이로필 방적사는 폴리우레탄 섬유 5~15 중량부를 코어사로 하고, 상기 코어사를 폴리에스터 복합사 25~35 중량부로 사이로필 방적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계용 교복 {Functional Fabric For Summer School Uniform, And Summer School Unifor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계용 교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i) 울 25~35 중량부로 제직된 안쪽 면 및 ⅱ) 폴리에스터 25~35 중량부와 사이로필 방적사 35~45 중량부로 제직된 바깥쪽 면이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사이로필 방적사는 폴리우레탄 섬유 5~15 중량부를 코어사로 하고, 상기 코어사를 폴리에스터 복합사 25~35 중량부로 사이로필 방적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에 대한 것이다.
하계용 교복은 통기성이 확복되어 착용시 사용자들에게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원단으로 제조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통기성을 가진 원단들은 부드럽지 못해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거나, 신축성이 없어 착용시 신체활동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내측면에 별도의 망사직물로 이루어진 통기부를 형성하여 외부와의 통기성을 확보하거나 삼중직 원단을 활용하여 냉감기능을 갖는 기능성 원단을 개발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지만, 착용감과 신축성, 청량감을 모두 구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 신축성과 착용감이 좋아 신체활동이 자유롭고 여러 번 착용 후에도 모양이 오랫동안 유지되면서도,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착용자들에게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는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4846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6694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부에 닿는 면이 부드러워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하고, 신축성과 착용감이 좋아 신체활동이 자유로우며 여러 번 착용 후에도 모양이 오랫동안 유지됨과 동시에,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착용자들이게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는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 및 이를 이용한 하계용 교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i) 울 25~35 중량부로 제직된 안쪽 면 및 ⅱ) 폴리에스터 25~35 중량부와 사이로필 방적사 35~45 중량부로 제직된 바깥쪽 면이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사이로필 방적사는 폴리우레탄 섬유 5~15 중량부를 코어사로 하고, 상기 코어사를 폴리에스터 복합사 25~35 중량부로 사이로필 방적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폴리에스터 복합사는 폴리에스터사와 대나무사를 3:7~7:3(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된 하계용 교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원단은, 피부에 닿는 면이 부드러워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하고, 신축성과 착용감이 좋아 신체활동이 자유롭고 여러 번 착용 후에도 모양이 오랫동안 유지되며,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착용자들이게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어 하계용 교복에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은, 원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i) 울 25~35 중량부로 제직된 안쪽 면 및 ⅱ) 폴리에스터 25~35 중량부와 사이로필 방적사 35~45 중량부로 제직된 바깥쪽 면이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사이로필 방적사는 폴리우레탄 섬유 5~15 중량부를 코어사로 하고, 상기 코어사를 폴리에스터 복합사 25~35 중량부로 사이로필 방적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교복 원단은 피부에 닿는 촉감을 부드럽게 하고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쪽 면이 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울은 전체 원단의 25~35 중량부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함량이 적어지면 원하는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이보다 함량이 커지면 전체적인 신축성 및 청량감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교복 원단의 바깥쪽 면은 폴리에스터 25~35 중량부와 사이로필 방적사 35~45 중량부가 합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에스터는 견뢰성과 복원성, 보푸라기 발생등을 뒤에서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사이로필 방적사는 코아사를 감싸는 방식의 편직방법으로 스판성을 극대화시켜 편리성을 더하고, 내부에 공기층을 만들어 착용자들에게 청량감을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에스터는 전체 원단의 25~35 중량부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함량이 작은 경우 그 기능을 충분히 발현하기 어려우며, 이보다 많은 경우 다른 섬유의 함량이 줄어들어 신축성 및 청량감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는 항균성, 대전방지성 및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후처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실시예로 상기 폴리에스터는 난연제가 첨가된 실리콘 에멀젼 수지에 함침되어 건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하게는, 상기 후처리 과정은, 실리콘 에멀젼수지 4.0~10.0중량%, 안료 0.1~1.0중량%, 물 89~95중량%을 혼합하여 실리콘 에멀젼수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 에멀젼 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N-알콕시 아민계 반응성 난연제 0.5~2.5 중량부를 첨가하여 온도 200~220℃에서 20~30분간 반응시키는 반응물 제조단계; 폴리에스터 섬유를 상기 반응물에 함침하는 함침단계; 및 반응물에 함침된 폴리에스터 섬유를 롤러에 통과시켜 수지 함침량을 조절하고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단계를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실리콘 에멀젼수지 혼합물 제조단계는 실리콘 에멀젼 수지 4.0~10.0중량%, 안료 0.1~1.0중량%, 물 89~95중량%을 혼합하여 실리콘 에멀젼수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먼저 실리콘 오일을 계면활성제 Polyoxylethylene sorbitan monolaurate와 Sorbitan monostearate와 함께 수용액 속에서 유화반응을 일으켜 실리콘 에멸젼을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실리콘 에멀젼은 섬유유제, 윤활성, 내열성 및 난연성이 좋으므로 섬유가공의 유제로 적합하다.
또한, 합성섬유가 가진 본래의 인장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섬유에 손상을 주지 않는 유제를 사용하여 본래의 합성섬유의 인장물성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반응물 제조단계는 앞서 제조된 실리콘 에멀젼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N-알콕시 아민계 반응성 난연제 0.5~2.5 중량부를 첨가하여 온도 200~220℃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20~30분간 반응시켜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종래 합성섬유를 제조하는 기본 수지에 대하여 많은 양의 난연제 사용으로 섬유의 인장강도 착색성 등의 물성이 나빠지고 오염성이 높아져 후처리가공으로 정련 과정을 거처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실리콘 에멀젼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N-알콕시 아민계 반응성 난연제 0.5~2.5 중량부를 첨가함에 따라 색상 불균일 또는 얼룩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 첨가형 난연제인 황산암모늄이나 염화암몬과 같이 이들의 수용액에 섬유를 침지하거나 섬유표면에 코팅하여 난연 처리하는 경우에는 수분이 증발하여 건조해짐에 따라 결정이 석출될 수 있는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함침단계는 합성섬유를 제조된 반응물에 함침하는 단계로서, 종래의 경우 이송되는 섬유 원단에 난연성의 혼합물을 분사하여 코팅하는 방식으로 난연성 합성섬유를 제조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합성섬유를 반응물이 담긴 수조에 직접 담구어 함침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함침은 섬유 내부까지 반응물이 침투할 수 있도록 10~ 2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단계는 반응물에 함침된 합성섬유를 서로 마주하여 회전되는 롤러에 통과시켜 수지 함침량을 조절하고, 건조시키는 단계로서, 합성섬유 원단에 도포되는 반응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서로 마주하여 회전되는 롤러, 예를 들면 스퀴즈 장치에 함침된 합성섬유 원단을 통과시킨다. 스퀴즈 장치를 통과한 합성섬유 원단은 건조실에 배치되어 건조되게 되는 데, 건조실의 온도는 100~150℃ 인 상태에서 수분 함수율이 8%이하가 될 때까지 지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터와 함께 합사되는 사이로필(sirofil) 방적사는,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청량감을 주면서도 신축성 및 형태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폴리우레탄 섬유 5~15 중량부를 코어사로 하고, 상기 코어사를 폴리에스터 복합사 25~35 중량부로 사이로필 방적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섬유는 원단의 신축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인 우레탄 섬유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폴리우레탄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며,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0.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폴리우레탄계 산화방지제는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섬유 방사원액은 폴리우레탄 용액과 페놀계 및 폴리우레탄계 산화방지제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용액은 폴리에테르글리콜 및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질소 분위기 하에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한 후,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에 지방족디아민을 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글리콜로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에테르글리콜의 분자량은 1,800 내지 3,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1800 미만이면 섬유의 신도가 낮아서 스판덱스 섬유로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3100을 초과하면 결정화도가 너무 높아서 탄성이 정상적으로 발현되지 않는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된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페닐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사이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p-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아민은 쇄연장제로서 사용되며, 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하이드라진, 1,4-사이클로헥산디아민, 수소화된 m-페닐렌디아민(HPMD),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MPMD) 등이 있다. 쇄연장제는 임의로 HPMD, MPMD 및/또는 1,2-프로필렌디아민과 혼합된 하나 이상의 에틸렌디아민, 1,3-프로필렌디아민 및 1,4-사이클로헥산디아민이다.
상기 폴리우레탄 섬유는 내변색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2종의 산화방지제를 도입하였다. 상기 2종의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폴리우레탄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바람직하게 글리콜-비스-3-(3-터셔리-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또는 1,3,5-트리스(2,6-디메틸-3-히드록시-4-터셔리-부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섬유 전체 중량 대비 0.5~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스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계 산화방지제는 터셔리 부틸 아민기를 가지며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계 산화방지제는 스판덱스 섬유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계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편직시 스컴 발생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계 산화방지제는, 바람직하게는 비스(4-이소시아네이트시클로헥실)메탄과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터셔리-부틸아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비스(4-이소시아네이트시클로헥실)메탄과 N-N-비스(2-하이드록시에 틸)-터셔리-부틸아민은 0.5:1 내지 1:1의 중량비로 공중합될 수 있다.
상기 방사원액은 상기 성분 외에도 염착증진제, 백색증진 효과를 위해 이산화티탄, 점착방지를 위해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내염소성을 위해 하이드로탈사이트, 헌타이트, 하이드로마그네사이트, 수산화마그네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섬유는 방사 원액을 탈포하는 단계; 방사온도 260℃로 건식 방사하는 단계; 및 권취속도 900m/분으로 권취하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이로필 방적사는 상기 폴리우레탄 섬유를 코어사로 하여 상기 코어사를 폴리에스터 복합사 25~35 중량부로 정방교연하는 사이로필 방적을 통해 제조되는데, 상기 폴리에스터 복합사는 폴리에스터사와 대나무사를 3:7~7:3(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폴리에스터 원사는 천연섬유 또는 재생섬유와 비교할 때 굽힘강성 및 압축탄성이 높아 상대적으로 반발탄성이 높은 반면, 표면의 촉감은 딱딱한 것이 그 특성이다. 따라서 가연공정에서 섬유축방향으로 미세한 크림프를 부여하므로서 촉감을 개선시킬 수 있으나, 가연공정으로 인해 원사의 반발탄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천연섬유나 재생섬유들은 대부분 표면의 촉감이 부드럽고 흡습성이 우수하나 반발탄성이 부족하여 착용시 몸에 휘감기게 되어 하절기 의류소재로서 부적합하다. 특히, 대나무사는 내열성 및 내구성 등이 취약하고, 원단 제조후 수축률이 심한 문제가 있어 원단의 제조시 신도가 떨어져서 주름발생의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터사와 대나무사를 혼합한 혼합사를 사용하여 인체와의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시켜 의복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였고, 또한 복합사의 표면촉감을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하면서도 실제로 인체와 접촉되는 부위는 흡습성이 우수하도록 설계하여 청량감과 촉감을 모두 향상시켰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복합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가연 처리된 폴리에스터사와 가연처리되지 않은 대나무사를 혼섬시킨 후, 공기교락시켜서 제조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폴리에스터사는 결정화도가 8 ~ 16 %이고, 원사의 복굴절율이 30×10-3 ~ 150×10-3 범위이며, 원사의 섬도는 160 ~ 260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터사의 섬도가 260 데니어를 초과하면 대나무사와 복합시 전체 섬도가 너무 높아 의류용사로는 너무 굵게 되며, 160 데니어 미만인 경우에는 복합사의 반발탄성을 향상시키는 데 한계를 가지게 된다.
상기 폴리에스터사는 핫핀에서 90 ℃ 이상 140 ℃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된다. 이때 열처리 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연신 부분과 미연신 부분이 섬유 축방향으로 연속해서 교호로 발현되기가 어렵게 되어 그 이후의 가연공정에서 반발탄성과 부드러운 촉감을 갖는데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 열처리시 폴리에스터사의 연신비율은 1.3 ~ 1.5배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신배율이 1.3 보다 낮게 되면 미연신 부분이 상대적으로 너무 높게 되어 가연 공정 통과성이 불량하게 되고 1.5 보다 높게 되면 연신 부분이 길게 되어 표면촉감이 부드럽지 못하다.
핫핀을 통과한 폴리에스터사는 계속해서 225~245℃ 온도를 유지하는 핫플레이트를 통과한 다음 가연스핀들을 통과하게 된다. 핫플레이트 장치가 225 ℃ 보다 낮게 설정되면 가연사의 반발탄성이 낮게 되고, 245 ℃보다 높게 되면 가연사의 반발탄성이 과도하게 높게 될 뿐만 아니라 원사가 절단되어 가연공정성이 불량해진다.
상기 가연공정에서 얻어진 폴리에스터사는 섬유 축방향에 구간별로 융착된 부분과 융착되지 않고 미세한 크림프 다발을 가지는 부분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형상을 나타내므로서 반발탄성이 더욱 향상되게 되고, 크림프 다발을 갖는 구간은 더욱 부드러운 촉감을 발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대나무사는 섬도가 65 ~ 120 데니어이며, 구성하고 있는 단위원사의 섬도는 2.0 ~ 3.0 데니어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원사의 섬도가 2.0 데니어보다 가늘게 되면 다음의 복합화 공정에서 원사가 취약해져서 절단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단위 원사의 섬도가 3.0 데니어 보다 굵게 되면 당연히 가닥수가 적게 되어 다음의 복합화 공정에서 공기교락이 불량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열처리 및 가연 공정을 거친 폴리에스터사와 열처리 및 가연 공정을 거치지 않은 대나무사는 전기장 개섬장치를 통과하므로서 복합화가 이루어져 복합사가 제조된다. 전기장 개섬장치를 통과하는 구간에서 원사 피드율은 상기 폴리에스터사는 1.15 ~ 1.20% 가 바람직하며, 상기 대나무사는 1.15 ~ 1.25 %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때 대나무사는 가공 후 수축현상을 방지하고 원단제조후 신도를 유지하여 주름발생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복합화 처리 이전에 전처리 단계 및 가연처리 단계를 거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대나무사는 원단의 제직후 수축 특성이 크게 발현되어 원단에 주름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러한 수축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텍스쳐링 전에 대나무사를 핫 에어(hot air) 처리를 함으로써 대나무사의 수축 특성을 완화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대나무사의 핫 에어 처리시 습열 처리하는 경우에는 대나무사가 취화되어 물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대나무사의 수축특성 만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건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핫 에어 처리시 온도는 100 ~ 1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100℃미만의 핫 에어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대나무사의 수축특성의 저감이 미미하며, 1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대나무사가 취화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핫 에어의 처리시간은 10~30분이 바람직한데, 10분 미만으로 핫 에어 처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대나무사의 수축특성의 저감이 미미하며, 3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대나무사가 물성이 변화되어 특히 냉감 특성 등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터사와 대나무사는 원단의 제직후 청량감과 신축성을 발현하고, 양호한 염색 균일성을 발현하기 위하여 3:7 ~ 7:3 중량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대나무 복합사의 총섬도는 100~300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장 개섬장치에서는 전기장의 음극과 양극에 의해 각각의 원사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닥의 섬유다발은 개섬이 되고, 부분융착이 되어진 폴리에스터사는 좌회전과 우회전이 공존하게 되어 있다가 이 장치를 통과할 때에 역회전을 하게 되어 구간별로 우회전 및 좌회전을 하게 되면서, 상기 대나무사와 각 구간별로 혼섬이 되어 복합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폴리에스터사와 대나무사의 혼섬비율은 3:7 ~ 7:3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혼섬화는 부분융착된 폴리에스터사 중 융착이 되지 않는 구간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융착이 되어진 구간에서는 상기 대나무사가 상기 폴리에스터사의 주위를 감싸는 형태로서 혼섬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혼섬화가 된 복합사는 혼섬된 결속력이 다소 부족하므로, 혼섬화 이후에 통상의 공기 교락 장치로 처리함으로써 결속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공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터-대나무 복합사는 반발탄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표면촉감이 부드럽고, 흡습성이 양호하여 청량감을 갖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안쪽 면과 바깥쪽 면의 원단은 열융착 등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다양한 방법으로 합쳐져 교복 원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단은, 피부에 닿는 면이 부드러워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하고, 신축성과 착용감이 좋아 신체활동이 자유롭고 여러 번 착용 후에도 모양이 오랫동안 유지되며,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착용자들이게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어 하계용 교복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원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i) 울 25~35 중량부로 제직된 안쪽 면 및 ⅱ) 폴리에스터 25~35 중량부와 사이로필 방적사 35~45 중량부로 제직된 바깥쪽 면이 열융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사이로필 방적사는 폴리우레탄 섬유 5~15 중량부를 코어사로 하고, 상기 코어사를 폴리에스터 복합사 25~35 중량부로 사이로필 방적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
  2. 제 1항의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된 하계용 교복.
KR1020190091359A 2019-07-27 2019-07-27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계용 교복 KR102046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359A KR102046365B1 (ko) 2019-07-27 2019-07-27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계용 교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359A KR102046365B1 (ko) 2019-07-27 2019-07-27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계용 교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365B1 true KR102046365B1 (ko) 2019-11-19

Family

ID=6877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359A KR102046365B1 (ko) 2019-07-27 2019-07-27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계용 교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3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464A (ko) 2008-10-31 2010-05-11 (주)에리트베이직 하복용 교복 상의
KR20130135427A (ko) *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파인딜인터네셔날 씨스코어형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20170098635A (ko) * 2016-02-22 2017-08-30 이미경 면/pet 사이로필 방적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66945B1 (ko) 2017-03-29 2019-04-08 지유코리아 주식회사 냉감기능을 갖는 기능성 삼중직원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464A (ko) 2008-10-31 2010-05-11 (주)에리트베이직 하복용 교복 상의
KR20130135427A (ko) *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파인딜인터네셔날 씨스코어형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20170098635A (ko) * 2016-02-22 2017-08-30 이미경 면/pet 사이로필 방적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66945B1 (ko) 2017-03-29 2019-04-08 지유코리아 주식회사 냉감기능을 갖는 기능성 삼중직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8401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119207B2 (en) Denim fabric with fire-retardant properties and process of dyeing the warp with indigo blue dye
RU2463395C1 (ru) Сопряженная армированная нить стержнево-оплеточного типа, трикотажное полотно, изделие одежды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опряженной армированной нити стержнево-оплеточного типа
US10316439B2 (en) Crimped polyamide yarn, and woven or knit fabric employing same
WO2020203434A1 (ja) ポリウレタン弾性糸を含む繊維構造物
CN113710838B (zh) 泳衣
KR102046365B1 (ko) 하계용 기능성 교복 원단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계용 교복
JP7023453B2 (ja) 抗ピリング性織編物製造方法及び抗ピリング性織編物
JP5850642B2 (ja) 洗濯耐久性に優れた消臭性布帛
JP2013221236A (ja) ビニロン混紡糸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133562A (ja) 消臭性能に優れる布帛
JP2003193314A (ja) 防護衣料
JP2003193345A (ja) 被覆糸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編織物
JP7390116B2 (ja) 二層構造紡績糸、織編物および衣料
KR102108051B1 (ko) 액체화학물질 불침투성 내화학 직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4124316A (ja) 着用快適性に優れた布帛
JP2016113725A (ja) 難燃性布帛
JPH11350358A (ja) 人造セルロース繊維の加工法
JPH11200148A (ja)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及びそれを使用した弾性布帛
CN109440225A (zh) 一种吸湿排汗面料及其制法
WO2022054413A1 (ja) 二層構造紡績糸及び織編物
JP7281325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糸、これを用いた繊維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116983A1 (en) Polyurethane fiber structure
CA3223279A1 (en) Flame retardant fabric comprising cotton alternative
KR100631474B1 (ko) 모시원사를 이용한 복합사 및 니트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