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643B1 - 통풍 절첩챙 모자 - Google Patents

통풍 절첩챙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643B1
KR101843643B1 KR1020160106384A KR20160106384A KR101843643B1 KR 101843643 B1 KR101843643 B1 KR 101843643B1 KR 1020160106384 A KR1020160106384 A KR 1020160106384A KR 20160106384 A KR20160106384 A KR 20160106384A KR 101843643 B1 KR101843643 B1 KR 101843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abric
plate body
central plate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1603A (ko
Inventor
지희관
Original Assignee
(주)지가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가캡 filed Critical (주)지가캡
Priority to KR1020160106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643B1/ko
Publication of KR20180021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1Collapsible or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풍력을 높이고 휴대가 편리하게 접을 수 있으며 절첩에 따른 내구성을 높이는 통풍 절첩 챙 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통풍 절첩챙 모자는 머리에 씌워지며 통풍을 원활하게 하는 복수의 본체 통풍 직물이 재봉띠에 의해 재봉된 모자 본체와, 모자 본체에 결합된 모자챙을 포함하며, 모자챙은 경질의 중앙 판체와, 중앙 판체의 양측에 재봉실에 의해 이어져 붙여진 측판체와, 중앙 판체와 측판체에 씌워진 챙 통풍 직물을 구비하며, 중앙 판체와 측판체에는 챙 통풍 직물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공기가 통하게 하는 절취공간이 형성되어 중앙 판체와 측판체는 가장자리를 따라 폐쇄형 띠판부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자챙을 통한 안면의 통풍효과를 높이는 한편 모자챙을 접어서 휴대가 편리하면서 모자챙의 절첩에 따른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풍 절첩챙 모자{Cap with airy folding shade}
본 발명은 통풍 절첩챙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풍력을 높이고 휴대가 편리하게 접을 수 있으며 절첩에 따른 내구성을 높이는 통풍 절첩챙 모자에 관한 것이다.
운동이나 노동 등을 하는 야외 활동자 등은 얼굴이 햇빛(자외선 등)에 그을리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모자를 착용하게 되는 데, 통상의 모자는 대부분 모자 본체에 모자챙을 부착하여 자외선이 얼굴표면으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하고, 모자 본체의 내측면 하단부 둘레면에 봉합되어 이마에서 흐르는 땀의 흡수를 돕는 일반적인 직물인 띠 형태의 직물 밴드가 부착된다.
모자챙이 부착된 모자를 착용하게 되면 햇빛을 가리는 효과는 있으나 통풍성이 결여되어 이마 등에 땀이 나서 장시간 착용하기가 불편하다. 특히 여름에는 햇빛은 가릴 수는 있으나 바람이 잘 통하지 않아서 모자를 착용하게 되면 오히려 더울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통풍을 위해서 모자를 벗어서 다시 착용하거나 하여 불편할 수 밖에 없었으며, 코나 입을 통하여 내쉬는 김이 고글 및 안경에 서리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모자를 착용했을 때 모자챙이 햇빛을 가리는 동시에 통풍이 잘되어 착용자의 안면을 시원하게 할 수 있으며, 공기 흐름의 방향을 조정하여 고글 및 안경의 김서림을 방지하도록 모자챙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가 한국공개특허 제2011-0018398호로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18398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자 본체(20)에 결합되며 경질의 판재를 구비한 모자챙(10)에는 통기공(14)이 형성되고, 통기공(14)에는 개폐가능한 개폐수단이 설치되어,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바람이 통기공(14)을 통해 인입되어 모자 착용자의 안면에 닿게 되는 것으로서, 개폐수단은 개폐창(11)과, 개폐창(11)의 측면을 이루며 주름이 형성되어 신축이 가능한 양 측면부(12)와, 후방의 힌지부(13)로 구성되어 손으로 개폐창(11)을 누르면 닫히게 되고, 개폐창(11)을 잡아당기면 후방을 힌지부(13)가 힌지역할을 하고, 전방부위는 모자챙(10) 표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바람이 돌출되는 부위를 통과하여 모자챙(10)에 형성된 통기공(14)을 거쳐 사용자의 안면에 닿게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모자챙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는 개폐수단이 노출되어야 하므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앞 측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방향을 모자챙을 통과시켜 하측으로 유도하므로 실제적으로 상측 방향의 공기를 통풍되게 하는 데는 큰 효과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질의 판재로 된 넓은 모자챙으로 인하여 모자를 쓰지 않을 때에 모자 본체와 함께 모자를 가지고 다니며 보관하는 데에도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18398호(공개일 : 2011.02.23.)
본 발명은 종래 모자의 모자챙을 더욱 개선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자챙을 통한 통풍효과를 높이는 한편 모자챙을 접어서 휴대가 편리하면서 모자챙의 절첩에 따른 내구성을 높이는 통풍 절첩챙 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통풍 절첩챙 모자는 머리에 씌워지며 통풍을 원활하게 하는 복수의 본체 통풍 직물이 재봉띠에 의해 재봉된 모자 본체와, 모자 본체에 결합된 모자챙을 포함하며, 모자챙은 경질의 중앙 판체와, 중앙 판체의 양측에 재봉실에 의해 이어져 붙여진 측판체와, 중앙판체와 측판체에 씌워진 챙 통풍 직물을 구비하며, 중앙 판체와 측판체에는 챙 통풍 직물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공기가 통하게 하는 절취공간이 형성되어 중앙 판체와 측판체는 가장자리를 따라 폐쇄형 띠판부을 이루고 있다.
재봉실은 중앙 판체의 전후 띠판부와 측판체의 좌우 띠판부를 따라 재봉되어 중앙 판체와 측판체를 잇고 있다.
본체 통풍 직물은 중앙 판체의 양측단에서 모자 본체의 꼭지점으로 타원호를 이루며 이어지는 선에 의해 구분되는 면적의 내측을 덮는 전방 직물과, 전방 직물을 둘러싸면서 측판체에 이어지는 면적을 덮는 중간 직물과, 측판체의 후단에서 중간 직물을 둘러싸면서 모자 본체의 후측 면적을 덮은 후방 직물로 나누어진다.
전방 직물은 중앙 판체의 중간에서 모자 본체의 꼭지점을 잇는 선에 의해 양측으로 나누어져 재봉될 수 있다. 또한 중간 직물은 모자 본체의 꼭지점에서 후방으로 중간 직물의 폭을 가로질러 후방 직물에 이르는 선에 의해 양측으로 나누어져 재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풍 절첩챙 모자에 의하면, 모자챙을 통한 안면의 통풍효과를 높이는 한편 모자챙을 접어서 휴대가 편리하면서 모자챙의 절첩에 따른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모자챙에 통기공이 형성된 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풍 절첩챙 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화살표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모자챙의 판체가 재봉실에 의해 이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판체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모자를 접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2의 모자가 접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은 도 8의 접어진 모자가 포켓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풍 절첩챙 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화살표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모자챙의 판체가 재봉실에 의해 이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판체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풍 절첩식 모자(100)는 직물로 재봉된 모자 본체(120)와, 판체와 직물로 된 모자챙(110)을 구비한다.
모자챙(110)은 경계선(BL)을 따라 모자 본체(120)에 결합되며, 경질의 중앙 판체(111)와, 중앙 판체(111)의 양측에 재봉실(114)에 의해 이어져 붙여진 측판체(112)와, 중앙 판체(111)와 측판체(112)에 씌워진 챙 통풍 직물(113)을 구비한다.
중앙 판체(111)와 측판체(112)에는 챙 통풍 직물(113)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공기가 통하게 하는 절취공간(111a, 112a)이 형성되어 중앙 판체(111)와 측판체(112)는 가장자리를 따라 폐쇄형 띠판부(111b, 112b)를 이루고 있다. 중앙 판체(111)와 측판체(112)는 재봉질이 가능한 경질의 플라스틱 판재 등으로 되어 있다.
중앙 판체(111)는 전변(앞측 변)이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후변(뒷측 변)이 오목한 곡선을 이루는 대체적인 사각형의 폐쇄형 띠판으로 형성된다. 측판체(112)는 빗변이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빗변의 후측단이 경사진 직선을 이루는 대체적인 삼각형의 폐쇄형 띠판으로 형성된다.
챙 통풍 직물(113)은 중앙 판체(111)와 측판체(112)에 씌워져 후술하는 본체 통풍 직물에 이어진 직물로서, 바람이 용이하게 통하는 망사천으로 이루어진다.
재봉실(114)은 중앙 판체(111)의 전후 띠판부와 측판체(112)의 좌우 띠판부를 따라 재봉되어 중앙 판체(111)와 측판체(112)를 잇고 있다. 중앙 판체(111) 양측의 측판체((11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혀짐에 따라 측판체(112)가 중앙 판체(111)로 모여 측판체(112)의 후측단이 꼭지점(P1)을 이루어, 모자 본체(120)의 후술하는 중간 직물 및 후방 직물을 접히게 한다. 재봉실(114)은 질긴 합성사가 바람직하다.
모자 본체(120)는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지며 후측에 조절밴드가 구비된 절개부(도시안됨)가 형성되며, 통풍을 원활하게 하는 복수의 본체 통풍 직물(121)이 재봉띠(122)에 의해 재봉되어 타원 반구 형태를 이룬다.
본체 통풍 직물(121)은 중앙 판체(111)의 양측단에서 모자 본체(120)의 꼭지점(P2)으로 타원호를 이루며 이어지는 선(L1)에 의해 구분되는 면적의 내측을 덮는 전방 직물(121a)과, 전방 직물(121a)을 둘러싸면서 측판체(112)에 이어지는 면적을 덮는 중간 직물(121b)과, 측판체(112)의 후단에서 중간 직물(121b)을 이음선(L4)을 따라 둘러싸면서 모자 본체(120)의 후측 면적을 덮은 후방 직물(121c)로 나누어진다.
전방 직물(121a)은 중앙 판체(111)의 중간에서 모자 본체(120)의 꼭지점(P2)을 잇는 선(L2)에 의해 양측으로 나누어져 재봉되고, 중간 직물(121b)은 모자 본체(120)의 꼭지점(P2)에서 후방으로 중간 직물(121b)의 폭을 가로질러 후방직물(121c)에 이르는 선(L3)에 의해 양측으로 나누어져 재봉된다. 전방 직물(121a)와 중간 직물(121b)이 나누어져 재봉되는 구조는 재봉을 용이하게 한다.
이와 같은 복수의 본체 통풍 직물(121a, 121b, 121c)은 인접하는 조각들이 서로 꿰매어져 그 이면(모자 내면)에 재봉띠(122)가 대어져 재봉되어 일체화된다. 모자챙(110)이 접혀질 때, 꿰매어진 선(L1, L2, L3 등)을 따라 모자 본체(110)가 용이하게 접혀지고 접힘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다. 꿰매어지고 재봉되는 실은 질긴 합성사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통풍 절첩챙 모자는 사용자가 착용할 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자챙(110)의 챙 통풍 직물(113) 및 절취공간(111a, 112a)을 통해 공기가 화살표 W 방향을 통해 용이하게 통과하므로 사용자의 안면을 시원하게 한다. 사용자가 모자를 착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포켓 등에 용이하게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모자를 접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8은 도 2의 모자가 접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은 도 8의 접어진 모자가 포켓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자를 접기 위해서는 우선 모자 챙(110)의 중앙 판체(111) 양측에 있는 측판체(112)를 화살표 C방향으로 접고, 모자 본체(120)의 본체 통풍 직물(121)의 중간 직물(121b)을 선(L1)을 따라 후측으로 화살표 D방향으로 접는 한편, 후방 직물(121c)을 이음선(L4)을 따라 후측으로 화살표 E방향으로 접는다.
다음에 모자 본체(120)를 화살표 F방향으로 접으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혀진 모자챙(110)의 판체를 따라 사각의 일변에 삼각이 형성된 납작한 모자 뭉치(H)를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모자 뭉치(H)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옷(CL)의 포켓(PK)에 간단히 삽입하여 휴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통풍 절첩식 모자
110 : 모자챙 111 : 중앙 판체
111a, 112a : 절취공간 111b, 112b : 폐쇄형 띠판부
112 : 측판체 113 : 챙 통풍 직물
120 : 모자 본체 121 : 본체 통풍 직물
121a : 전방 직물 121b : 중간 직물
121c : 후방 직물 122 : 재봉띠
L1, L2, L3, L4 : 선, 이음선 P1, P2 : 꼭지점
H : 모자 뭉치 CL : 옷
PK : 포켓

Claims (5)

  1. 머리에 씌워지며 통풍을 원활하게 하는 복수의 본체 통풍 직물(121)이 재봉띠(122)에 의해 재봉된 모자 본체(120)와, 상기 모자 본체(120)에 결합된 모자챙(110)을 포함하며,
    상기 모자챙(110)은 경질의 중앙 판체(111)와, 상기 중앙 판체(111)의 양측에 재봉실(114)에 의해 이어져 붙여진 측판체(112)와, 상기 중앙 판체(111)와 측판체(112)에 씌워진 챙 통풍 직물(113)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 판체(111)와 상기 측판체(112)에는 상기 챙 통풍 직물(113)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공기가 통하게 하는 절취공간(111a, 112a)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 판체(111)와 상기 측판체(112)는 가장자리를 따라 폐쇄형 띠판부(111b, 1112b)를 이루고 있고,
    상기 본체 통풍 직물(121)은 상기 중앙 판체(111)의 양측단에서 상기 모자 본체(120)의 꼭지점(P2)으로 타원호를 이루며 이어지는 선(L1)에 의해 구분되는 면적의 내측을 덮는 전방 직물(121a)과, 상기 전방 직물(121a)을 둘러싸면서 상기 측판체(112)에 이어지는 면적을 덮는 중간 직물(121b)과, 상기 측판체(112)의 후단에서 상기 중간 직물(121b)을 이음선(L4)을 따라 둘러싸면서 상기 모자 본체(120)의 후측 면적을 덮은 후방 직물(121c)로 나누어지며,
    상기 전방 직물(121a)은 상기 중앙 판체(111)의 중간에서 상기 모자 본체(120)의 꼭지점(P2)을 잇는 선(L2)에 의해 양측으로 나누어져 재봉되고, 상기 중간 직물(121b)은 상기 모자 본체(120)의 꼭지점(P2)에서 후방으로 상기 중간 직물(121b)의 폭을 가로질러 상기 후방 직물(121c)에 이르는 선(L3)에 의해 양측으로 나누어져 재봉되며,
    상기 전방 직물(121a)와 상기 중간 직물(121b)와 상기 후방 직물(121c)은 인접하는 조각들이 서로 꿰매어져 그 이면(모자 내면)에 재봉띠(122)가 대어져 재봉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절첩챙 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봉실은 상기 중앙 판체의 전후 띠판부와 상기 측판체의 좌우 띠판부를 따라 재봉되어 상기 중앙 판체와 상기 측판체를 잇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절첩챙 모자.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06384A 2016-08-22 2016-08-22 통풍 절첩챙 모자 KR101843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84A KR101843643B1 (ko) 2016-08-22 2016-08-22 통풍 절첩챙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384A KR101843643B1 (ko) 2016-08-22 2016-08-22 통풍 절첩챙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603A KR20180021603A (ko) 2018-03-05
KR101843643B1 true KR101843643B1 (ko) 2018-03-30

Family

ID=6172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384A KR101843643B1 (ko) 2016-08-22 2016-08-22 통풍 절첩챙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6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5423034U (zh) * 2020-09-03 2022-01-07 李永福 无缝透气一片式帽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848B2 (ja) * 1994-10-25 2001-05-21 ウシオ電機株式会社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装置
KR101032221B1 (ko) * 2009-06-03 2011-05-02 신갑선 바람에 의한 벗겨짐을 방지하는 모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848B2 (ja) * 1994-10-25 2001-05-21 ウシオ電機株式会社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装置
KR101032221B1 (ko) * 2009-06-03 2011-05-02 신갑선 바람에 의한 벗겨짐을 방지하는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603A (ko) 201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8708A1 (en) Shade cap
US7185371B2 (en) Hat
WO2013184459A1 (en) Sunshade cap with multiple retractable sunshield members
US10905184B2 (en) Winged visor stiffener for hat's brim
US11369160B2 (en) Skin protecting garment
KR20200000516U (ko) 하이 포니테일을 보일 수 있는 모자
US20220061443A1 (en) Hat size adjustment mechanism
KR101843643B1 (ko) 통풍 절첩챙 모자
KR100950078B1 (ko) 보조차양 출입형 차양을 갖는 모자
KR200399101Y1 (ko) 차양보조구
JP7486796B2 (ja) 帽子
JP5112271B2 (ja) 帽子
JP3604074B2 (ja) 帽子
JP6562270B2 (ja) 密着調節型多機能頭巾
JP7465526B2 (ja) 帽子
JP7465527B2 (ja) 帽子
JP7299661B2 (ja) コンバーチブル帽子
KR200451660Y1 (ko) 썬캡
KR101348257B1 (ko) 다기능 손수건
JP3121432U (ja) ブリムにギャザーを付けた日除けハット
KR200458927Y1 (ko) 햇빛 차단천이 형성된 모자
JP6374755B2 (ja) 帽子の製造方法
KR20190000912U (ko) 선바이저
KR200344798Y1 (ko) 차양모자용 헤어밴드
JP3208582U (ja) 帽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