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929A - 의류용 통기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용 통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929A
KR20220111929A KR1020210015342A KR20210015342A KR20220111929A KR 20220111929 A KR20220111929 A KR 20220111929A KR 1020210015342 A KR1020210015342 A KR 1020210015342A KR 20210015342 A KR20210015342 A KR 20210015342A KR 20220111929 A KR20220111929 A KR 20220111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clothing
protruding
hole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수
Original Assignee
전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수 filed Critical 전상수
Priority to KR1020210015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1929A/ko
Publication of KR20220111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9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복, 등산복, 운동복, 우의 등을 포함하는 의류에 장착되어 의류의 내부가 외부와 원활하게 통기되도록 하여 의류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용 통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의류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게 하고 외부 공기가 의류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여 의류에서 통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의류의 제1위치에 천공된 제1통기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의류에 고정되며, 중심에 상기 제1통기공과 연통하는 통기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고 전면 가장자리에 제1높이의 외측돌출환턱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면에 상기 통기홀의 내주연을 따라 상기 제1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의 돌출통관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외측돌출환턱과 상기 돌출통관의 사이로 외측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돌출통관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통기원판과, 외경이 상기 외측돌출환턱의 내경보다 작고 후면 중심에 통기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돌출통관을 수용하는 내측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내측수용홈의 내부에 상기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된 연결환대가 복수 개의 연결다리에 의해 상기 통기공간의 일부가 확보되게 연결되어 상기 돌출통관과 나사식으로 채결되고 상기 돌출통관과의 나사 체결에 따라 상기 돌출통관의 전면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통기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통기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의류용 통기 장치{Ventilation device for clothing}
본 발명은 평상복, 등산복, 운동복, 우의 등을 포함하는 의류에 장착되어 의류의 내부가 외부와 원활하게 통기되도록 하여 의류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용 통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상복, 작업복, 등산복, 운동복, 우의 등을 포함하는 의류는 대부분 방수성이나 신축성이나 착용감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능성을 고려한 기능성 재질인 합성섬유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통기성 부족으로 인해 체온 상승에 영향을 주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의류의 재질로 인해 체온이 상승하게 되면 체온과 기온 간의 온도차에 의해 의류의 내면에 습기가 맺히는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되면서 의류의 내부에 습기가 많아지게 됨으로써 의류의 착용감을 현저하게 떨어뜨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의류의 내부에 습기가 많아지게 되면 의류의 내면이 피부에 직접 달라붙게 될 뿐만 아니라 체온을 상승시켜 많은 땀을 유발하게 되면서 체력 소모를 높이게 되고 땀에 포함된 노폐물로 인해 피부 질환까지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장마철이나 하절기에는 기온과 습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체온이 더욱 상승하면서 더욱 많은 땀을 유발함에 따라 상기한 문제점이 더욱 심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의류의 통기성 부족으로 인한 폐단들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의류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되게 하면서 외부의 공기가 의류의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의류의 통기성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의류의 외피에 외부 공기를 의류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면서 의류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통기수단을 추가적으로 설치한 기능성 의류들이 안출되었다.
즉, 외피에 소정 직경의 통기공을 형성하고 통기공에 아일렛을 설치하거나 외피에 가로 혹은 세로 방향으로 통기공을 형성하고 이를 외부와 통하도록 별도의 직물로 덮은 기능성 의류들이 안출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능성 의류는 외피에 단순히 통기공을 형성한 것이므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외피에 주름이 생기거나 외피가 접히면서 통기공이 쉽게 폐쇄될 수밖에 없으므로 통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움직임 변화에 의해 통기공이 개방된 상태에서 통기공으로 빗물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의류의 내부가 빗물에 쉽게 젖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통기공이 전혀 폐쇄되지 않아 통기성을 원활하게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기공의 개방에도 불구하고 통기공을 통해 빗물이 의류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 빗물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의류용 통기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5992호, 2000.07.04.자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8069호, 2017.08.01.자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4838호, 2006.12.21.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의류에 통기성을 확실하게 부여하고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의류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공기통로가 막히지 않고 개방되어 통기성을 보장할 수 있고 공기통로의 개방에도 불구하고 공기통로를 통해 빗물이 의류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의류용 통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통기 장치는 의류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게 하고 외부 공기가 의류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여 의류에서 통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의류의 제1위치에 천공된 제1통기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의류에 고정되며, 중심에 상기 제1통기공과 연통하는 통기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고 전면 가장자리에 제1높이의 외측돌출환턱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면에 상기 통기홀의 내주연을 따라 상기 제1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의 돌출통관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외측돌출환턱과 상기 돌출통관의 사이로 외측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돌출통관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통기원판과, 외경이 상기 외측돌출환턱의 내경보다 작고 후면 중심에 통기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돌출통관을 수용하는 내측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내측수용홈의 내부에 상기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된 연결환대가 복수 개의 연결다리에 의해 상기 통기공간의 일부가 확보되게 연결되어 상기 돌출통관과 나사식으로 채결되고 상기 돌출통관과의 나사 체결에 따라 상기 돌출통관의 전면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통기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통기 장치는 하기와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도 불구하고 원활한 통기 기능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류 내부로의 빗물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의류의 착용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통기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함에 따라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아 통기 기능 사용시 체온 저하의 우려가 있는 상황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통기 장치의 제1통기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통기 장치의 제1통기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제1통기수단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제1통기수단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통기 장치의 제2통기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에 따른 제2통기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통기 장치의 제3통기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C-C'선에 따른 제3통기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통기 장치의 제3통기수단을 폐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통기 장치의 제1통기수단과 제2통기수단 및 제3통기수단을 의류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의류에 통기성을 부여하여 체온과 기온과 습도로 인해 의류의 내부에 발생하는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의류의 착용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의류용 통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의류용 통기 장치는 의류에 마련된 통기공이 사용자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전혀 폐쇄되지 않아 의류의 통기성을 보장할 수 있고, 통기공의 개방에도 불구하고 통기공을 통해 빗물이 의류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아 빗물을 차단할 수 있으며 통기 기능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의류에 마련된 통기공에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통기공을 항시 개방 유지되도록 지지하고 통기공을 통해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며 통기공을 통과하는 내기와 외기를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단속 가능한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통기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용 통기 장치는 의류(C)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게 하고 외부 공기가 의류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여 의류(C)에서 통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5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기수단(100), 제2통기수단(200), 제3통기수단(300) 및 통기팬(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통기수단(100)은 의류(C)의 제1위치에 천공된 제1통기공 상에 구비되고 의류(C)에 일체로 고정되어 제1통기공을 통해 외부 공기가 의류(C)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의류(C)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통기수단(100)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원판(110), 개폐판(120) 및 기밀유지링(1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원판(110)은 후면 또는 가장자리단이 의류(C)에 일체로 고정되고 중심에 제1통기공과 연통하는 통기홀(111)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전면 가장자리 외측에 외측돌출환턱(112)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면에 통기홀(111)의 내주연을 따라 돌출통관(113)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측돌출환턱(112)은 제1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돌출통관(113)은 외측돌출환턱(112)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제1높이보다 더 높은 제2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통기원판(110)의 전면에서 외측돌출환턱(112)과 돌출통관(113)의 사이에는 외측돌출환턱(112)과 돌출통관(113)의 돌출에 따라 외측수용홈(114)이 자연스럽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통관(113)의 외주면에는 수나사(1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기홀(111)에는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이물질의 차단이 가능한 메쉬망(11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판(120)은 통기원판(110)의 전방에서 후면 외측 가장자리가 외측수용홈(114)에 소정깊이로 삽입되도록 돌출통관(113)의 외경보다는 크고 외측돌출환턱(112)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즉, 개폐판(120)은 후면 중심에 통기공간(122)을 두고 돌출통관(113)이 수용되는 내측수용홈(121)이 함몰 형성되고 후면 외측 가장자리에 돌출통관(113)의 외경보다 내경이 크면서 외측돌출환턱(1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내측돌출환턱(123)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판(120)은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통기원판(110)과 나사 체결식으로 연결되고 나사 체결에 따른 회전 조작 방향에 따라 돌출통관(113)의 전면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 통기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개폐판(120)은 내측수용홈(121)의 내부에 돌출통관(113)의 수나사(115)와 대응되는 암나사(125)가 내주면에 형성된 연결환대(124)가 구비될 수 있다. 단, 통기공간(122)의 일부가 확보되도록 연결환대(124)는 복수 개의 연결다리(126)에 의해 내측수용홈(121)의 내주면과 이격공간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밀유지링(130)은 돌출통관(113)의 전면 주연에 함몰 형성된 링홈(117)에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개폐판(120)으로 돌출통관(113)의 전면 입구를 폐쇄할 때 개폐판(20)의 후면과 밀착되면서 개폐판(120)과 돌출통관(113) 간에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통기수단(100)은 개폐판(120)이 통기원판(110)에 돌출통관(113)의 입구가 개방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의류(C)의 내부에 존재하는 내부 공기가 의류(C)의 제1통기공을 통과한 후 통기홀(111)과 돌출통관(113)과 통기공간(122) 및 내측수용홈(112)과 외측수용홈(114)을 차례대로 통과하게 되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통기수단(100)은 외부 공기가 외측수용홈(114)과 내측수용홈(112)과 통기공간(122)과 통기홀(111)을 차례대로 통과한 후 의류(C)의 제1통기공을 최종 통과하게 되면서 의류(C)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통기수단(100)은 돌출통관(113)의 돌출 높이가 외측돌출환턱(112)의 돌출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 높아 빗물이 통기원판(110)의 외측수용홈(114)으로 유입되더라도 돌출통관(113)의 내부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빗물의 유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통기수단(100)은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아 통기 기능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120)을 통기원판(110)에 연결할 때 돌출통관(113)의 입구가 폐쇄되게 연결하면 통기 기능을 손쉽게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통기수단(100)은 도 10 및 11에 도시된 실시시예에 따라 외부공기를 의류(C)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급기 기능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의류(C) 상의의 가슴판부 양측과 등판부 양측 중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통기수단(200)은 제1위치와는 위치가 다른 의류(C)의 제2위치에 천공된 제2통기공 상에 구비되고 의류(C)에 일체로 고정되어 제2통기공을 통해 외부 공기가 의류(C)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의류(C)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통기수단(200)은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안내관(210), 수직안내관(220), 수평안내관(230) 및 빗물차단턱(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향안내관(210)은 내측에 제2통기공과 연통하는 전후수평통기로(211)가 전방으로 향하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안내관(220)은 하향안내관(210)의 하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 전후수평통기로(211)의 단부 하측과 수직으로 연통하는 수직통기로(2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안내관(230)은 수직안내관(220)의 단부 하측에서 좌우 수평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측에 중간부 상측이 수직통기로(221)의 단부 하측과 연통하고 양단이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좌우수평통기로(2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빗물차단턱(240)은 수직안내관(220)의 내측에 구비되고 수직통기로(221)의 단부 하측 내주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통기수단(200)은 의류(C)의 내부에 존재하는 내부 공기가 의류(C)의 제2통기공을 통과한 후 하향안내관(210)의 전후수평통기로(211)와 수직안내관(220)의 수직통기로(221) 및 수평안내관(230)의 좌우수평통기로(231)를 차례대로 통과하게 되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통기수단(200)은 외부 공기가 수평안내관(230)의 좌우수평통기로(231)와 수직안내관(220)의 수직통기로(221) 및 하향안내관(210)의 전후수평통기로(211)를 차례대로 통과한 후 의류(C)의 제2통기공을 최종 통과하게 되면서 의류(C)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통기수단(200)은 빗물이 수평안내관(230)의 좌우수평통기로(231)로 유입되더라도 빗물차단턱(240)에 의해 차단되면서 수직안내관(220)의 수직통기로(221)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면서 공기의 입출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빗물의 유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통기수단(200)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시예에 따라 의류(C)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기 기능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의류(C) 상의의 등판부 상측 중앙과 소매부 상측과, 의류(C) 하의의 복부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3통기수단(300)은 제1위치 및 제2위치와는 위치가 다른 의류(C)의 제3위치에 천공된 제3통기공 상에 구비되고 의류(C)에 일체로 고정되어 제3통기공을 통해 외부 공기가 의류(C)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의류(C)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통기수단(300)은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통기관(310), 외부연통홀(320), 내부연통홀(330) 및 상향유도판(3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통기관(310)은 내측면이 의류(C)에 고정되고 내측에 통기로(311)가 상하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이 막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부연통홀(320)은 수직통기관(310)의 하측 전면에 절결 형성되어 통기로(311)를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연통홀(330)은 수직통기관(310)의 상측 내측면에 절결 형성되어 통기로(311)를 제3통기공과 연통시킬 수 있다.
이때 외부연통홀(320)에는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물질을 차단하는 메쉬망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향유도판(340)은 수직통기관(310)의 내부 후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통기관(310)은 두 개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향유도판(340)이 설치된 후측이 서로 마주하여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통기수단(300)은 의류(C)의 내부에 존재하는 내부 공기가 의류(C)의 제3통기공을 통과한 후 내부연통홀(330)과 통기로(311) 및 외부연통홀(320)을 차례대로 통과한 다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3통기수단(300)은 외부 공기가 외부연통홀(320)과 통기로(311) 및 내부연통홀(330)을 차례대로 통과한 후 의류(C)의 제3통기공을 최종 통과하면서 의류(C)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3통기수단(300)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시예에 따라 외부 공기가 의류(C)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급기 기능을 위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기 위해 의류(C) 하의의 다리부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보행하거나 달릴 때 다리의 움직임에 따라 다리가 전후로 움직이는 과정에서 외부연통홀(320)을 통해 외부공기가 자연스럽게 유입되어 통기로(311)와 외부연통홀(320)을 차례대로 통과하면서 의류(C)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3통기수단(300)은 빗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빗물유입방지내관(350)과, 통기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개폐구(3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빗물유입방지내관(350)은 수직통기관(310)의 내부인 통기로(311)에 구비되고 내부연통홀(330)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관통 형태로서 외측에 내부연통홀(330)과 통기로(311)를 연통시키는 측면연통홀(351)이 형성되며 하단에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차단판(352)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빗물유입방지내관(350)은 외부연통홀(320)을 통해 빗물이 유입되더라도 차단판(352)에 의해 차단되면서 빗물이 내부연통홀(330)을 통해 의류(C)의 내부로 유입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개폐구(360)는 겨울철과 같이 기온이 낮은 상황에서 제3통기수단(300)의 통기 기능을 제한할 수 있도록 수직통기관(310)의 외측에 외부연통홀(320)을 따라 슬라이딩 조작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구(360)를 슬라이딩시켜 외부연통홀(320)을 폐쇄할 수 있으므로 도 9와 같이 제3통기수단(300)의 통기 기능을 손쉽게 제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통기팬은 제1위치 내지 제3위치와는 다른 위치인 의류(C)의 제4위치에 형성된 제4통기공 상에 배치되고 의류에 고정되어 외부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의류(C)의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의류(C)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통기팬은 자체적으로 내장된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면서 외부 공기를 의류(C)의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의류(C)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제1통기수단(100)과 제2통기수단(200) 및 제3통기수단(300)에 의한 급기 기능 또는 배기 기능이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제1통기수단
110: 통기원관
111: 통기홀
112: 외측돌출환턱
113: 돌출통관
114: 외측수용홈
115: 수나사
116: 메쉬망
117: 링홈
120: 개폐판
121: 내측수용홈
122: 통기공간
123: 내측돌출환턱
124: 연결환대
125: 암나사
126: 연결다리
130: 기밀유지링
200: 제2통기수단
210: 하향안내관
211: 전후수평통기로
220: 수직안내관
221: 수직통기로
230: 수평안내관
231: 좌우수평통기로
240: 빗물차단턱
300: 제3통기수단
310: 수직통기관
311: 통기로
320: 외부연통홀
330: 내부연통홀
340: 상향유도판
350: 빗물유입방지부재
351: 측면연통홀
352: 차단판
360: 개폐구
C: 의류

Claims (7)

  1. 의류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게 하고 외부 공기가 의류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여 의류에서 통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의류의 제1위치에 천공된 제1통기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의류에 고정되며, 중심에 상기 제1통기공과 연통하는 통기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고 전면 가장자리에 제1높이의 외측돌출환턱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면에 상기 통기홀의 내주연을 따라 상기 제1높이보다 높은 제2높이의 돌출통관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외측돌출환턱과 상기 돌출통관의 사이로 외측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돌출통관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통기원판과, 외경이 상기 외측돌출환턱의 내경보다 작고 후면 중심에 통기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돌출통관을 수용하는 내측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내측수용홈의 내부에 상기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된 연결환대가 복수 개의 연결다리에 의해 상기 통기공간의 일부가 확보되게 연결되어 상기 돌출통관과 나사식으로 채결되고 상기 돌출통관과의 나사 체결에 따라 상기 돌출통관의 전면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판으로 이루어지는 제1통기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통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기수단은
    상기 돌출통관의 상주연에 함몰 형성된 링홈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판으로 상기 돌출통관을 폐쇄할 때 상기 개폐판의 후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개폐판과 상기 돌 출통관 간에 기밀을 유지시키는 기밀유지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통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의 제1위치와 다른 위치인 제2위치에 천공된 제2통기공 상에 배치되고, 의류에 고정되며, 내측에 상기 제2통기공과 연통하는 전후수평통기로가 하향 경사지게 전방으로 형성되는 하향안내관과, 상기 하향안내관의 하측에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전후수평통기로의 단부 하측과 수직으로 연통하는 수직통기로가 형성되는 수직안내관과, 상기 수직안내관의 단부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 중간부 상측이 상기 수직통기로의 단부 하측과 연통하고 양단이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좌우수평통기로가 형성되는 수평안내관으로 이루어지는 제2통기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통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기수단은
    상기 수직안내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통기로의 단부 하측 내주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빗물차단턱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통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의 제1위치 및 제2위치와는 다른 위치인 제3위치에 천공된 제3통기공 상에 배치되고, 의류에 고정되며, 내측에 통기로가 상하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통기관과, 상기 수직통기관의 하측 일면에 절결 형성되어 상기 통기로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외부연통홀과, 상기 수직통기관의 상측 타면에 절결 형성되어 상기 통기로를 상기 제3통기공과 연통시키는 내부연통홀과, 상기 수직통기관의 내부 후측에 설치되는 상향유도판으로 이루어지는 제3통기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통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통기수단은
    상기 통기로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연통홀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내부연통홀과 상기 통기로를 연통시키는 측면연통홀이 형성되며 하단에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차단판이 구비되는 빗물유입방지내관과, 상기 수직통기관의 외측에 슬라이딩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 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연통홀을 개폐하는 개폐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통기 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에 구비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의류의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의류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기팬;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통기 장치.
KR1020210015342A 2021-02-03 2021-02-03 의류용 통기 장치 KR202201119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342A KR20220111929A (ko) 2021-02-03 2021-02-03 의류용 통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342A KR20220111929A (ko) 2021-02-03 2021-02-03 의류용 통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929A true KR20220111929A (ko) 2022-08-10

Family

ID=8284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342A KR20220111929A (ko) 2021-02-03 2021-02-03 의류용 통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192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992Y1 (ko) 2000-04-04 2000-09-15 이상오 방수 및 통풍의복
KR200434838Y1 (ko) 2006-08-23 2006-12-28 신권수 통풍되는 우의
KR20170088069A (ko)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아이.비.인터내셔날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992Y1 (ko) 2000-04-04 2000-09-15 이상오 방수 및 통풍의복
KR200434838Y1 (ko) 2006-08-23 2006-12-28 신권수 통풍되는 우의
KR20170088069A (ko)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아이.비.인터내셔날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640381A (en) Cycling Upper garment
JP2007307387A (ja) 履物用ソール構造
TW201330790A (zh) 通風器及使用其之通風結構
CN101569439B (zh) 一种透气雨衣
US20120204315A1 (en) Piece of clothing having ventilation openings
KR20220111929A (ko) 의류용 통기 장치
KR200434838Y1 (ko) 통풍되는 우의
KR100566753B1 (ko) 통풍 겸용 건강신발
KR200462169Y1 (ko) 통기량이 조절되는 통기성 우의
KR20010088977A (ko) 통풍기능을 갖는 신발
KR101519102B1 (ko) 다용도 코트형 우의
CN208274214U (zh) 透气皮鞋
KR20230014991A (ko) 의류용 통기 장치
JP2018059493A (ja) 衣服内換気用送風機
KR900003250Y1 (ko) 하의류의 통풍장치
KR200487679Y1 (ko) 통기가 가능한 신발
CN212325413U (zh) 一种可变裤口的空调裤
KR102550234B1 (ko) 회전 개폐식 통기 장치
KR200186443Y1 (ko) 통풍수단을 구비한 방한복
KR101008334B1 (ko) 공기유입조절구 및 이를 장착한 통풍형 신발
KR200459748Y1 (ko) 신발 통풍장치
KR200238467Y1 (ko) 통기용 개폐창이 형성된 신발
CN104768411B (zh) 高透气性乒乓球鞋
CN215603534U (zh) 一种具有排汗抑臭的鞋底
KR101894675B1 (ko)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