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675B1 -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 Google Patents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675B1
KR101894675B1 KR1020170133728A KR20170133728A KR101894675B1 KR 101894675 B1 KR101894675 B1 KR 101894675B1 KR 1020170133728 A KR1020170133728 A KR 1020170133728A KR 20170133728 A KR20170133728 A KR 20170133728A KR 101894675 B1 KR101894675 B1 KR 101894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exhaust
intake
plat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민우
Original Assignee
전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민우 filed Critical 전민우
Priority to KR1020170133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675B1/ko
Priority to PCT/KR2018/011726 priority patent/WO20190785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41D2400/20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기수단을 이루는 급기모듈과 급기모듈이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착용상태에 관계없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습기로 인한 착용감 저하를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는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직물의 내면 측 공간의 내기와 직물의 외면 측 공간의 외기를 순환시키는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에 있어서, 상기 통기수단은 흡기부재와 배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직물의 내면 측 공간의 공기와 직물의 외면 측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하측에 흡기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직물의 상측에 배기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제조방법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Fabric with venting means}
본 발명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옷, 등산의류, 골프의류, 운동복 등과 같은 기능성 의복은 방수 재질이나 기능성 재질 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를 착용할 경우 통풍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신체를 둘러싸는 의복의 내부에 습기가 많이 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의복의 내부에 습기가 많이 찰 경우 체온의 유지가 어려워 체온이 급격하게 상승하면서 많은 땀을 흘리게 되어 땀에 의해 내의가 완전히 젖게 되고 체력도 크게 저하시키며 피부 질환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기능성 의복은 장시간 착용이 곤란한 단점이 있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기능성 의복에 외기를 내부로 유입시키고 외기의 유입에 따라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기수단이 구비된 형태가 안출되었다.
한편, 종래의 통기수단은 기능성 의복을 이루는 직물 상에 통기공을 뚫리고 통기공에 아일렛을 설치한 구조, 직물 상에 가로 혹은 세로 방향으로 통기구를 절개시키고 이를 덮도록 통기구의 외측에 직물을 덧댄 구조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통기수단은 단순히 통기공이 관통된 구조이고 통기공을 유지시키는 수단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아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신체활동 등에 따라 의도치 않게 통기공 내지 통기구가 막히면서 통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빗물 등도 함께 유입되면서 불편함이 여전히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이면서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신체활동에 관계없이 통기 기능을 유지할 수 있고 빗물 등의 유입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통기수단을 개선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5992호, 2000.07.04.자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8069호, 2017.08.01.자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4838호, 2006.12.21.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신체활동에 관계없이 통기 기능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빗물의 유입도 방지할 수 있는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는 직물의 내면 측 공간의 내기와 직물의 외면 측 공간의 외기를 순환시키는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에 있어서, 상기 통기수단은 흡기부재와 배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하측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직물과 접하는 일면에 하측부 양단에서 중심부 상단까지 이어지는 형태의 내측흡기홈이 함몰 형성되는 내측흡기판; 상기 내측흡기판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직물의 하측 외면에서 결속수단에 의해 상기 내측흡기판과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직물과 접하는 일면에 상기 내측흡기홈과 대응되는 외측흡기홈이 함몰 형성되는 외측흡기판; 및 상기 내측흡기판과 상기 외측흡기판이 맞닿은 상기 직물에 천공되어 상기 내측흡기홈과 상기 외측흡기홈을 연통시키는 흡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상측 내면에 설치되고 상단부 양측이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직물과 접하는 일면에 돌출된 상단부 양측의 하단에서 중심부 하단까지 골곡진 형태의 내측배기홈이 함몰 형성되는 내측배기판; 상기 내측배기판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직물의 상측 외면에서 결속수단에 의해 상기 내측배기판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직물과 접하는 일면에 상기 내측배기홈과 대응되는 외측배기홈이 함몰 형성되는 외측배기판; 및 상기 내측흡기판과 상기 외측흡기판이 맞닿은 상기 직물에 천공되어 상기 외측배기홈과 상기 외측배기홈을 연통시키는 배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하측 내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중심부 상단에서 중심부 중간측까지 이어지는 형태의 내측흡기공이 관통 형성되는 내측흡기판; 상기 내측흡기판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직물의 하측 외면에서 상기 내측흡기판에 결합되며 내부에 중심부 중간측에서 하측부 양단까지 이어지는 형태의 외측흡기공이 관통 형성되는 외측흡기판; 및 상기 직물과 접하는 상기 외측흡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외측흡기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직물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직물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내측흡기공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되면서 내부가 흡기공이 되며 상기 내측흡기판과 상기 외측흡기판을 결합 고정시키는 결속흡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상측 내면에 설치되고 상단부 양측이 외측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돌출된 상단부 양측의 하단에서 중심부 중간측까지 이어지면서 골곡진 형태의 내측배기공이 관통 형성되는 내측배기판; 상기 내측흡기판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직물의 상측 외면에서 상기 내측배기판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내측배기공과 이어지도록 중심부 중간측에서 하측부 하단까지 이어지는 형태의 외측배기공이 관통 형성되는 외측배기판; 및 상기 직물과 접하는 상기 외측배기판의 내면에 상기 외측배기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직물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직물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내측배기공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되면서 내부가 배기공이 되며 상기 내측배기판과 상기 외측배기판을 결합 고정시키는 결속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하측 내면에 설치되어 개폐 조작에 따라 상기 흡기공을 상기 직물의 내면 측 공간과 연통 혹은 분리시키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상측 내면에 설치되어 개폐 조작에 따라 상기 배기공을 상기 직물의 내면 측 공간과 연통 혹은 분리시키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제조방법은 직물의 내면 측 공간의 공기와 직물의 외면 측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하측에 흡기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직물의 상측에 배기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기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일면 혹은 내부에 내측흡기로가 형성된 내측흡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일면 혹은 내부에 상기 내측흡기로와 대응되는 외측흡기로가 형성된 외측흡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내측흡기판과 상기 외측흡기판을 상기 직물의 하측 내외면에 각각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내측흡기판과 상기 외측흡기판을 상기 직물을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하여 고정시켜 상기 내측흡기로와 상기 외측흡기로를 연통시켜 공기유입로를 형성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일면 혹은 내부에 내측배기로가 형성된 내측배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일면 혹은 내부에 상기 내측배기로와 대응되는 외측배기로가 형성된 외측배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내측배기판과 상기 외측배기판을상기 직물의 하측 내외면에 각각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내측배기판과 상기 외측배기판을 상기 직물을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하여 고정시켜 상기 내측배기로와 상기 외측배기로를 연통시켜 공기유출로를 형성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의복을 이루는 직물의 내외측에서 직물을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되면서 직물의 내면 측 공간과 직물의 외면 측 공간을 연통시키지는 공기유출입로를 형성시키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의복의 통기성을 확실하게 보장함으로써 의복 내부에 통기 불능으로 인해 발생하는 습기로 인한 의복의 착용감 저하 등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의 흡기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의 배기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흡기부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배기부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의 흡기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의 흡기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의 배기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의 배기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7 및 8의 흡기부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 및 10의 배기부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통기수단이 구비되어 의복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및 그 제조방법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신체활동에 관계없이 통기기능을 지속적으로 발휘할 수 있으며 통기구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빗물 유입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직물의 내외면에서 간편하게 상호 결합되어 직물의 내외부를 관통시키는 공기유로를 확실하게 형성시켜 직물의 내면 측 내기와 직물의 외면 측 외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흡기부재와 배기부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 혹은 하의의 형태를 이루는 직물(100)과, 상기 직물(100)에 구비되어 직물(100)의 내면 측 공간의 공기와 직물(100)의 외면 측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통기수단을 구성하는 흡기부재(200)와 배기부재(3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기부재(200)는 직물(10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부재(300)는 직물(10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의복소재가 상의인 경우 상의의 뒤판 목 둘레부분에 배기부재(300)가 구비되고 상의의 옆구리 부분에 흡기부재(200)가 구비되고, 의복소재가 하의인 경우에는 하의의 뒤판 허리둘레부분에 배기부재(300)가 구비되고 하의의 다리부 외측부분에 무릎부보다 높은 위치에 흡기부재(2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직물(100)에 구비되는 흡기부재(200)와 배기부재(300)의 위치는 신체활동이 움직임 등에 관계없이 공기유로가 막히지 않고 공기의 유출입이 제한받지 않는 위치로서 통기수단의 통기기능을 확실하게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흡기부재(200)와 배기부재(300)에는 각각 공기가 일방향으로 흘러가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흡기부재(200)는 외기를 유입시키는 기능을 하고 배기부재(300)는 내기를 배출시키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흡기부재(200)와 배기부재(300)는 기온이 낮은 겨울철 등과 같이 직물(100)의 내부 공간에 습기가 생길 우려가 적은 상황에서는 체온 유지를 위해 공기유를 차단하여 외기 유입 및 내기 유출을 막는 개폐부재(400)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400)는 직물(100)의 하측 내면에 설치되어 공기유로를 직물(100)의 내면 측 공간과 연통 혹은 분리시킬 수 있도록 직물(100)의 내면 일측에 설치된 제1덮개부와, 직물(100)의 내면 타측에 설치된 제2덮개부와, 제1덮개부와 제2덮개부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체결 또는 분리되는 결속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 결속수단으로는 직물(100)의 무게를 최대한 줄이면서 부착이 용이하도록 슬라이드패스너 혹은 벨크로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재(400)를 통해 공기유로를 간편하게 개폐 단속함으로써 겨울철 등에 체온을 유지하는데도 어려움이 전혀 없다.
한편, 흡기부재(200)와 배기부재(300)는 각각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부합되도록 직물(100)을 사이에 두고 상호 결속되어 고정됨과 동시에 공기유로를 형성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화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통해 흡기부재(200)와 배기부재(300)의 바람직한 구조 및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흡기부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흡기판(210)과 외측흡기판(220) 및 흡기공(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흡기판(210)은 직물(100)의 하측 내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직물(100)과 접하는 일면에는 양측부 하단에서 상측까지 이어지는 "ㄴ"자 형상으로 휘어지는 형태를 가진 복수 개의 내측흡기홈(211)이 좌우로 대칭되게 함몰 형성된다.
상기 외측흡기판(220)은 직물(100)의 하측 외면에서 내측흡기판(210)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내측흡기판(210)의 형상과 대응되고 직물(100)과 접하는 일면에는 내측흡기홈(211)과 대응 및 연통하면서 공기유입로가 확보되도록 양측부 하단에서 상측까지 이어지는 "ㄴ"자 형상을 가진 복수 개의 외측흡기홈(221)이 좌우로 대칭되게 함몰 형성된다.
즉, 내측흡기판(210)과 외측흡기판(220)은 직물(100)을 사이에 두고 상호 간에 각각 마련된 결합수단(250)을 통해 그 내측흡기홈(211)과 외측흡기홈(221)이 동일 위치에 위치되게 상호 결합된다.
이때 내측흡기홈(211)과 외측흡기홈(221)은 식각 공정을 통해 미세관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기공(230)은 내측흡기판(210)과 외측흡기판(220)의 사이에서 직물(100)에 천공되는 것으로, 내측흡기홈(211)과 외측흡기홈(221)을 연통시켜 직물(100)의 내면 측 공간과 직물(100)의 외면 측 공간을 연결하는 공기유입로를 확보한다.
따라서 직물(100)의 외면 측 공간에서 외측흡기판(220)의 외측흡기홈(221) 단부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면 흡기공(230)을 통과하여 내측흡기판(210)의 내측흡기홈(211)을 통해 직물(100)의 내면 측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이 내측흡기판(210)과 외측흡기판(220)의 상호 결합 구조에 의해 간단하게 공기유입로를 확보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통기성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흡기판(210)과 외측흡기판(220)의 두께에 의해 흡기공(230)이 상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통기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외측흡기판(220)의 외기흡기홈(221) 단부가 상방으로 향하지 않으므로 통기성을 보장하면서도 빗물 등의 유입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배기부재(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배기판(310)과 외측배기판(320) 및 배기공(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배기판(310)은 직물(100)의 상측 내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양측 상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고 직물(100)과 접하는 일면에는 돌출된 상단부 양측의 하단에서 중심부 하단까지 골곡진 일단이 짧은 "U"자 형상을 가진 복수 개의 내측배기홈(311)이 좌우로 대칭되게 함몰 형성된다.
상기 외측배기판(320)은 직물(100)의 상측 외면에서 내측배기판(310)과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내측배기판(310)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직물(100)과 접하는 내면에는 내측배기홈(311)과 대응 및 연통하면서 공기유출로가 확보되도록 돌출된 상단부 양측의 하단에서 중심부 하단까지 골곡진 일단이 짧은 "U"자 형상을 가진 복수 개의 외측배기홈(321)이 좌우로 대칭되게 함몰 형성된다.
즉, 내측배기판(310)과 외측배기판(320)은 직물(100)을 사이에 두고 상호 간에 각각 마련된 결합수단(350)을 통해 그 내측배기홈(311)과 외측배기홈(321)이 동일 위치에 위치되게 상호 결합된다.
이때 내측배기홈(311)과 외측배기홈(321)은 식각 공정을 통해 미세관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공(330)은 내측배기판(310)과 외측배기판(320)의 사이에서 직물(100)에 천공되는 것으로, 내측배기홈(311)과 외측배기홈(321)을 연통시켜 직물(100)의 내면 측 공간과 직물(100)의 외면 측 공간을 연결하는 공기유출로를 확보한다.
따라서 직물(100)의 내면 측 공간에서 내측배기판(310)의 내측배기홈(311)을 통해 내기가 유출되면 배기공(330)을 통과하여 내측배기판(310)의 외측배기홈(321) 단부를 통해 직물(100)의 외면 측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도 6과 같이 내측배기판(310)과 외측배기판(320)의 상호 결합 구조에 의해 간단하게 공기유출로를 확보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통기성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배기판(310)과 외측배기판(320)의 두께에 의해 배기공(330)이 상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통기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외측배기판(320)의 외측배기홈(321) 단부가 상방으로 향하지 않으므로 통기성을 보장하면서도 빗물 등의 유입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실시예에 따른 흡기부재(200)는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흡기판(210)과 외측흡기판(220) 및 결속흡기관(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흡기판(210)은 직물(100)의 하측 내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중심부 상단에서 중심부 중간측까지 이어지는 형태를 가진 복수 개의 내측흡기공(212)이 좌우로 대칭되게 관통 형성된다.
상기 외측흡기판(220)은 직물(100)의 하측 외면에서 내측흡기판(210)과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흡기판(210)의 형상과 대응되고 내부에 중심부 중간측에서 하측부 양단까지 이어지면서 내측흡기공(212)과 연통하는 형태를 가진 복수 개의 외측흡기공(22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결속흡기관(240)은 직물(100)과 접하는 외측흡기판(22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외측흡기공(222)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직물(100)을 관통한 상태로 내측흡기공(212)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된다.
즉, 내측흡기판(210)과 외측흡기판(220)은 직물(100)을 사이에 두고 결속흡기관(240)이 내측흡기공(212)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되면서 상호 결합되어 직물(100)에 고정된다.
이때 결속흡기관(240)은 내측흡기공(212)과 외측흡기공(222)을 상호 연통시켜 직물(100)의 내면 측 공간과 직물(100)의 외면 측 공간을 연결하는 흡기공(230)을 내부에 형성시켜 "L"자 형상의 공기유입로를 확보한다.
따라서 직물(100)의 외면 측 공간에서 외측흡기판(220)의 외측흡기공(222) 단부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면 흡기공(230)을 통과하여 내측흡기판(210)의 내측흡기공(212)을 통해 직물(100)의 내면 측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도 11과 같이 내측흡기판(210)과 외측흡기판(220)의 상호 결합 구조에 의해 간단하게 공기유입로를 확보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통기성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흡기판(210)과 외측흡기판(220)의 두께에 의해 흡기공(230)이 상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통기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외측흡기판(220)의 외측흡기공(222) 단부가 상방으로 향하지 않으므로 통기성을 보장하면서도 빗물 등의 유입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른 배기부재(300)는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배기판(310)과 외측배기판(320) 및 결속배기관(3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배기판(310)은 직물(100)의 상측 내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단부 양측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는 돌출된 상단부 양측의 하단에서 중심부 중간측까지 이어지면서 굴곡진 형태를 가진 복수 개의 내측배기공(312)이 좌우로 대칭되게 관통 형성된다.
상기 외측배기판(320)은 직물(100)의 상측 외면에서 내측배기판(310)과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흡기판(210)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중심부 중간측에서 하측부 양단까지 이어지는 형태를 가진 복수 개의 외측배기공(322)이 좌우로 대칭되게 관통 형성된다.
상기 결속배기관(340)은 직물(100)과 접하는 외측배기판(320)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외측배기공(322)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직물(100)을 관통한 상태로 내측배기공(312)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된다.
즉, 내측배기판(310)과 외측배기판(320)은 직물(100)을 사이에 두고 결속배기관(340)이 내측배기공(312)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되면서 상호 결합되어 직물(100)에 고정된다.
이때 결속배기관(340)은 내측배기공(312)의 단부와 내측배기공(312)의 단부를 연통시켜 직물(100)의 내면 측 공간과 직물(100)의 외면 측 공간을 연결하는 배기공(330)을 내부에 형성시켜 일단이 짧은 "U"자 형상의 공기유출로를 확보한다.
따라서 직물(100)의 내면 측 공간에서 내측배기판(310)의 내측배기공(312) 단부를 통해 내기가 유출되면 배기공(330)을 통과하여 외측배기판(320)의 외측배기공(322) 단부를 통해 직물(100)의 외면 측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도 12와 같이 내측배기판(310)과 외측배기판(320)의 상호 결합 구조에 의해 간단하게 공기배출로를 확보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통기성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배기판(310)과 외측배기판(320)의 두께를 통해 배기공(330)의 개방 상태를 상시 유지함으로써 통기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외측배기판(320)의 외측배기공(322) 단부가 상방으로 향하지 않으므로 통기성을 보장하면서도 빗물 등의 유입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제조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직물(100)의 하측에 외기를 직물(100)의 내면 측 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기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직물(100)의 상측에 내기를 직물의 외면 측 공간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기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내측흡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외측흡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흡기공을 천공하는 단계와, 내측흡기판과 외측흡기판을 결합시키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흡기판을 준비하는 단계는 일면 혹은 내부에 내측흡기로를 가공하여 내측흡기판(210)을 준비하는 것이다. 상기 외측흡기판을 준비하는 단계는 일면 혹은 내부에 외측흡기로를 가공하여 외측흡기판(220)을 준비하는 것이다.
이때 내측흡기로와 외측흡기로는 그 형성 위치에 따라 일면일 경우 내측흡기홈(211)과 외측흡기홈(221)이 되고 내부일 경우 내측흡기공(212)과 외측흡기공(222)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흡기홈(211)과 외측흡기홈(221)은 식각 공정을 통해 미세관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단, 내측흡기로와 외측흡기로가 외측흡기공(222)과 내측흡기공(212)으로 각각 구성될 경우 외측흡기판(220)에는 외측흡기공(222)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결속흡기관(240)을 형성시킨다.
상기 흡기공을 천공하는 단계는 직물(100)의 하측에 흡기공(230)을 천공하는 것으로, 내측흡기로와 외측흡기로가 내측흡기홈(211)과 외측흡기홈(221)으로 구성된 경우에만 필요하다.
즉, 외측흡기판(220)에 결속흡기관(240)이 형성된 경우에는 결속흡기관(240)에 의해 흡기공(230)이 자연스럽게 천공되므로 상기 흡기공을 천공하는 단계는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내측흡기판과 외측흡기판을 결합시키는 단계는 직물(100)을 사이에 두고 내측흡기판(210)과 외측흡기판(220)을 상호 결합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내측흡기판(210)과 외측흡기판(220)은 상호 간에 마련된 결합수단(250)에 의해 결합되거나 상기한 결속흡기관(240)에 의해 결합된다.
그러면 내측흡기판(210)과 외측흡기판(220)에 형성된 내측흡기로와 외측흡기로가 상호 연통되면서 외기의 유입이 가능한 공기유입로가 간편하게 확보되어 통기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배기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내측배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외측배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배기공을 천공하는 단계와, 내측배기판과 외측배기판을 결합시키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배기판을 준비하는 단계는 일면 혹은 내부에 내측배기로를 가공하여 내측배기판(310)을 준비하는 것이다. 상기 외측배기판을 준비하는 단계는 일면 혹은 내부에 외측배기로를 가공하여 외측배기판(320)을 준비하는 것이다.
이때 내측배기로와 외측배기로는 그 형성 위치에 따라 일면일 경우 내측배기홈(311)과 외측배기홈(321)이 되고 내부일 경우 내측배기공(312)과 외측배기공(322)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배기홈(311)과 외측배기홈(321)은 식각 공정을 통해 미세관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단, 내측배기로와 외측배기로가 외측배기공(322)과 내측배기공(312)으로 각각 구성될 경우 외측배기판(320)에는 외측배기공(322)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결속배기관(340)을 형성시킨다.
상기 배기공을 천공하는 단계는 직물(100)의 하측에 배기공(330)을 천공하는 것으로, 내측배기로와 외측배기로가 내측배기홈(311)과 외측배기홈(321)으로 구성된 경우에만 필요하다.
즉, 외측배기판(320)에 결속배기관(340)이 형성된 경우에는 결속배기관(340)에 의해 배기공(330)이 자연스럽게 천공되므로 상기 배기공을 천공하는 단계는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내측배기판과 외측배기판을 결합시키는 단계는 직물(100)을 사이에 두고 내측배기판(310)과 외측배기판(320)을 상호 결합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내측배기판(310)과 외측배기판(320)은 상호 간에 마련된 결합수단(350)에 의해 결합되거나 상기한 결속배기관(340)에 의해 결합된다.
그러면 내측배기판(310)과 외측배기판(310)에 형성된 내측배기로와 외측배기로가 상호 연통되면서 내기의 배출이 가능한 공기유출로가 간편하게 확보되어 통기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통해 의복에 통기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신체활동이나 움직임에 관계없이 상기 통기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통기 불능으로 인한 외복 착용감의 저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직물
200: 흡기부재
210: 내측흡기판
220: 외측흡기판
221: 외측흡기홈
222: 외측흡기공
230: 흡기공
240: 결속흡기관
250: 결합수단
300: 배기부재
310: 내측배기판
320: 외측배기판
321: 외측배기홈
322: 외측배기공
330: 배기공
340: 결속배기관
350: 결합수단
400: 개폐부재

Claims (10)

  1. 직물의 내면 측 공간의 내기와 직물의 외면 측 공간의 외기를 순환시키는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에 있어서,
    상기 통기수단은 흡기부재와 배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상측에 설치되되,
    상기 흡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하측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직물과 접하는 일면에 하측부 양단에서 중심부 상단까지 이어지는 형태의 내측흡기홈이 함몰 형성되는 내측흡기판;
    상기 내측흡기판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직물의 하측 외면에서 결속수단에 의해 상기 내측흡기판과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직물과 접하는 일면에 상기 내측흡기홈과 대응되는 외측흡기홈이 함몰 형성되는 외측흡기판; 및
    상기 내측흡기판과 상기 외측흡기판이 맞닿은 상기 직물에 천공되어 상기 내측흡기홈과 상기 외측흡기홈을 연통시키는 흡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상측 내면에 설치되고 상단부 양측이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직물과 접하는 일면에 돌출된 상단부 양측의 하단에서 중심부 하단까지 골곡진 형태의 내측배기홈이 함몰 형성되는 내측배기판;
    상기 내측배기판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직물의 상측 외면에서 결속수단에 의해 상기 내측배기판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직물과 접하는 일면에 상기 내측배기홈과 대응되는 외측배기홈이 함몰 형성되는 외측배기판; 및
    상기 내측흡기판과 상기 외측흡기판이 맞닿은 상기 직물에 천공되어 상기 외측배기홈과 상기 외측배기홈을 연통시키는 배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4. 직물의 내면 측 공간의 내기와 직물의 외면 측 공간의 외기를 순환시키는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에 있어서,
    상기 통기수단은 흡기부재와 배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흡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상측에 설치되되,
    상기 흡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하측 내면에 설치되고 내부에 중심부 상단에서 중심부 중간측까지 이어지는 형태의 내측흡기공이 관통 형성되는 내측흡기판;
    상기 내측흡기판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직물의 하측 외면에서 상기 내측흡기판에 결합되며 내부에 중심부 중간측에서 하측부 양단까지 이어지는 형태의 외측흡기공이 관통 형성되는 외측흡기판; 및
    상기 직물과 접하는 상기 외측흡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외측흡기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직물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직물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내측흡기공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되면서 내부가 흡기공이 되며 상기 내측흡기판과 상기 외측흡기판을 결합 고정시키는 결속흡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상측 내면에 설치되고 상단부 양측이 외측으로 돌출되며 내부에 돌출된 상단부 양측의 하단에서 중심부 중간측까지 이어지면서 골곡진 형태의 내측배기공이 관통 형성되는 내측배기판;
    상기 내측흡기판과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직물의 상측 외면에서 상기 내측배기판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내측배기공과 이어지도록 중심부 중간측에서 하측부 하단까지 이어지는 형태의 외측배기공이 관통 형성되는 외측배기판; 및
    상기 직물과 접하는 상기 외측배기판의 내면에 상기 외측배기공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직물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직물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내측배기공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고정되면서 내부가 배기공이 되며 상기 내측배기판과 상기 외측배기판을 결합 고정시키는 결속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하측 내면에 설치되어 개폐 조작에 따라 상기 흡기공을 상기 직물의 내면 측 공간과 연통 혹은 분리시키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재는
    상기 직물의 상측 내면에 설치되어 개폐 조작에 따라 상기 배기공을 상기 직물의 내면 측 공간과 연통 혹은 분리시키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33728A 2017-10-16 2017-10-16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KR101894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728A KR101894675B1 (ko) 2017-10-16 2017-10-16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PCT/KR2018/011726 WO2019078517A1 (ko) 2017-10-16 2018-10-04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728A KR101894675B1 (ko) 2017-10-16 2017-10-16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675B1 true KR101894675B1 (ko) 2018-09-04

Family

ID=6359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728A KR101894675B1 (ko) 2017-10-16 2017-10-16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4675B1 (ko)
WO (1) WO2019078517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7506A (en) * 1956-08-10 1959-08-04 Donald S Polk Rib type ventilated garment construction
EP0412450B1 (en) * 1989-08-10 1993-11-10 PROMETEO S.p.A. A heavy-duty garment with an adjustable ventilation device
KR200195992Y1 (ko) 2000-04-04 2000-09-15 이상오 방수 및 통풍의복
KR200367812Y1 (ko) * 2004-08-14 2004-11-17 임창모 의복지에 부착하는 통기구
KR200434838Y1 (ko) 2006-08-23 2006-12-28 신권수 통풍되는 우의
KR20090012298U (ko) * 2008-05-29 2009-12-03 김성칠 여름용 통풍 의류
KR101105656B1 (ko) * 2003-08-01 2012-01-18 가부시키가이샤 세프트 겐큐쇼 냉각 의복
KR20170088069A (ko)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아이.비.인터내셔날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828B1 (ko) * 2016-02-19 2017-10-17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의복 장착용 통풍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7506A (en) * 1956-08-10 1959-08-04 Donald S Polk Rib type ventilated garment construction
EP0412450B1 (en) * 1989-08-10 1993-11-10 PROMETEO S.p.A. A heavy-duty garment with an adjustable ventilation device
KR200195992Y1 (ko) 2000-04-04 2000-09-15 이상오 방수 및 통풍의복
KR101105656B1 (ko) * 2003-08-01 2012-01-18 가부시키가이샤 세프트 겐큐쇼 냉각 의복
KR200367812Y1 (ko) * 2004-08-14 2004-11-17 임창모 의복지에 부착하는 통기구
KR200434838Y1 (ko) 2006-08-23 2006-12-28 신권수 통풍되는 우의
KR20090012298U (ko) * 2008-05-29 2009-12-03 김성칠 여름용 통풍 의류
KR20170088069A (ko) 2016-01-22 2017-08-01 주식회사아이.비.인터내셔날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8517A1 (ko)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4067B2 (ja) 衣服の通気システム
JP4643261B2 (ja) 通気機構を備えた衣料品
TW201330790A (zh) 通風器及使用其之通風結構
JP5933576B2 (ja) 衣類
US20060185053A1 (en) Apparel with enhanced breathability
US8813525B2 (en) Revesible garment with warming side and cooling side
US9974347B2 (en) Flame blocking venting trap and protection garment thereof
CN101569439B (zh) 一种透气雨衣
KR101894675B1 (ko) 통기수단이 구비된 의복소재
JP3134972U (ja) 通気性レインウェア
US7743533B2 (en) Garden shoe having breathing tubes
KR20170088069A (ko) 통기성 체크밸브가 구비된 해상작업용 우의
KR200434838Y1 (ko) 통풍되는 우의
US20160213090A1 (en) Ventilated footwear construction
CN210354156U (zh) 一种乳胶枕头
KR20100048464A (ko) 하복용 교복 상의
JP3211046U (ja) レインウェア
JP2810315B2 (ja) レインウェア
JP2003293205A (ja) 上 着
KR200186443Y1 (ko) 통풍수단을 구비한 방한복
JPH0118576Y2 (ko)
KR101018393B1 (ko) 에어가 통하는 신발창
CN218682133U (zh) 一种衣服
CN216875226U (zh) 一种鞋套组件
CN212787494U (zh) 一种具有侧面透气功能的冲锋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