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748Y1 - 신발 통풍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통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748Y1
KR200459748Y1 KR2020090006972U KR20090006972U KR200459748Y1 KR 200459748 Y1 KR200459748 Y1 KR 200459748Y1 KR 2020090006972 U KR2020090006972 U KR 2020090006972U KR 20090006972 U KR20090006972 U KR 20090006972U KR 200459748 Y1 KR200459748 Y1 KR 200459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air discharge
horizontal
discharge passag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201U (ko
Inventor
박형호
Original Assignee
박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호 filed Critical 박형호
Priority to KR2020090006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748Y1/ko
Publication of KR201000122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2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7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up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의 전면 곡선부 양측으로 설치되는 신발 통풍기의 수평 및 수직 공기 배출통로를 통하여, 신발 내부의 공기를 손쉽고, 용이하게 배출시켜 신발 내부가 원활하게 통풍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신발 통풍기의 수평 공기 배출통로 일단에 이물질 유입방지턱을 개재하여 공기 배출 공간인 공기 배출홈부가 형성되어, 신발 내부의 공기가 하방으로 배출하면서, 상기 공기 배출홈 내부로 외부의 먼지 또는 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하며, 이에따라 신발 내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한 신발 통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신발(100)의 표피(101) 전면 곡선부(110) 양측으로 설치되는 신발 통풍기(120)의 내부에 수평 및 수직 공기 배출통로(130)(140)가 상호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평 공기 배출통로(130)의 일측 단부에는 이물질 유입방지턱(150)을 개재하여 공기가 하방으로 배출하는 공간인 공기 배출홈부(160)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수평 공기 배출통로(130)의 양측단부는 격벽(170)(170')으로 막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직 공기배출통로(140)는 신발(100)의 표피(101)에 형성되는 관통홀(18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링(190)을 개재하여 하단 주연부가 지그로 벌려져 상기 고정링(190) 하단에 밀착 고정토록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신발, 신발 통풍기, 수평 및 수직 공기 배출통로, 공기 배출홈부

Description

신발 통풍장치{A Ventilation Device of Shoes}
본 고안은 신발의 전면 곡선부 양측으로 설치되는 신발 통풍기를 통하여, 신발 내부의 공기를 손쉽고, 용이하게 배출시켜 신발 내부가 원활하게 통풍될 수 있도록한 신발 통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신발의 전면 곡선부 양측으로 설치되는 신발 통풍기의 내부에 수평 및 수직 공기 배출통로가 상호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평 공기 배출통로의 일측 단부에는 이물질 유입방지턱을 개재하여 공기가 하방으로 배출하는 공간인 공기 배출홈부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수평 공기 배출통로의 양측단부는 격벽으로 막혀지고, 상기 수직 공기배출통로는 신발의 표피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링을 개재하여 하단 주연부가 지그로 벌려져 상기 고정링 하단에 밀착 고정토록 됨으로 인하여, 신발의 전면 곡선부 양측으로 설치되는 신발 통풍기의 수평 및 수직 공기 배출통로를 통하여, 신발 내부의 공기를 손쉽고, 용이하게 배출시켜 신발 내부가 원활하게 통풍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신발 통풍기의 수평 공기 배출통로 일단에 이물질 유입방지턱을 개재하여 공기 배출 공간인 공기 배출홈부가 형성되어, 신발 내부의 공기가 하방으로 배출하면서, 상기 공기 배출홈 내부로 외부의 먼지 또는 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신발 내 부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한 신발 통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의 발등 측면이 위치되는 부위의 갑피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통풍창을 형성하여, 신발의 착용시 상기 통풍창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풍용 신발이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396963호에 알려져있다.
즉,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풍 신발(10)의 갑피(11) 양 측면중 어느 한쪽의 측면이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신발(1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통풍창(12) 및 상기 갑피(11)의 일부분인 개방편(13)이 형성되어, 상기 개방편(13)의 상,하 개페동작에 의해 통풍창(11)이 개폐 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개방편(13) 단부에는 화스너(14)가 착설되어 갑피(11)에 착설된 화스너(14)와 착설되어 상기 개방편(13)이 개방되는 상태로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통풍 신발(10)의 착용시 상기 통풍창(12)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통풍 신발에 있어서는, 신발의 착용자가 직접 손으로 개방편(13)을 개방시킨 후, 이를 화스너(14)로 고정시켜야 하는 단점이 수반됨은 물론, 특히 상기 개방편(13)을 통해 개방된 통풍 신발(10)의 통풍창(12)을 통하여, 외부의 먼지 또는 이물질등이 극히 쉽게 통풍 신발(10) 내부로 유입되어 통풍 신발 내부가 쉽게 더렵혀지는 커다란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우천시 상기 통풍 신발(10)의 착용시, 이부의 빗물등이 상기 통풍창(12)을 통하여 통풍 신발(10) 내부로 유입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내부가 원활하게 통풍될 수 있도록한 신발 통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신발의 전면 곡선부 양측으로 설치되는 신발 통풍기의 내부에 수평 및 수직 공기 배출통로가 상호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평 공기 배출통로의 일측 단부에는 이물질 유입방지턱을 개재하여 공기가 하방으로 배출하는 공간인 공기 배출홈부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수평 공기 배출통로의 양측단부는 격벽으로 막혀지고, 상기 수직 공기배출통로는 신발의 표피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링을 개재하여 하단 주연부가 지그로 벌려져 상기 고정링 하단에 밀착 고정토록 됨으로써, 신발의 전면 곡선부 양측으로 설치되는 신발 통풍기의 수평 및 수직 공기 배출통로를 통하여, 신발 내부의 공기를 손쉽고, 용이하게 배출시켜 신발 내부가 원활하게 통풍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신발 통풍기의 수평 공기 배출통로 일단에 이물질 유입방지턱을 개재하여 공기 배출 공간인 공기 배출홈부가 형성되어, 신발 내부의 공기가 하방으로 배출하면서, 상기 공기 배출홈 내부로 외부의 먼지 또는 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하며, 이에따라 신발 내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신발 통풍장치를 제공하 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신발의 표피 전면 곡선부 양측으로 설치되는 신발 통풍기의 내부에 수평 및 수직 공기 배출통로가 상호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평 공기 배출통로의 일측 단부에는 이물질 유입방지턱이 형성되는 신발 통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공기 배출통로의 일측 단부에는 이물질 유입방지턱을 개재하여 공기가 하방으로 배출하는 공간인 공기 배출홈부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수평 공기 배출통로의 양측단부는 격벽으로 막혀지고, 상기 수직 공기배출통로는 신발의 표피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링을 개재하여 하단 주연부가 지그로 벌려져 상기 고정링 하단에 밀착 고정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통풍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본 고안인 신발 통풍장치에 의하면, 신발의 전면 곡선부 양측으로 설치되는 신발 통풍기의 수평 및 수직 공기 배출통로를 통하여, 신발 내부의 공기를 손쉽고, 용이하게 배출시켜 신발 내부가 원활하게 통풍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신발 통풍기의 수평 공기 배출통로 일단에 이물질 유입방지턱을 개재하여 공기 배출 공간인 공기 배출홈부가 형성되어, 신발 내부의 공기가 하방으로 배출하면서, 상기 공기 배출홈 내부로 외부의 먼지 또는 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 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하며, 이에따라 신발 내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통풍장치가 착설되는 신발의 우측면 및 좌측면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신발 통풍장치의 개략 사시도 및 도 4는 본 고안인 신발 통풍장치의 결합상태 단면 구조도로서, 신발(100)의 표피(101) 전면 곡선부(110) 양측으로 설치되는 신발 통풍기(120)의 내부에 수평 및 수직 공기 배출통로(130)(140)가 상호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평 공기 배출통로(130)의 일측 단부에는 이물질 유입방지턱(150)을 개재하여 공기가 하방으로 배출하는 공간인 공기 배출홈부(160)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수평 공기 배출통로(130)의 양측단부는 격벽(170)(170')으로 막혀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직 공기배출통로(140)는 신발(100)의 표피(101)에 형성되는 관 통홀(18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링(190)을 개재하여 하단 주연부가 지그로 벌려져 상기 고정링(190) 하단에 밀착 고정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신발(100)의 표피(101) 전면 곡선부(110) 양측으로 신발 내부의 공기를 하방으로 손쉽고, 용이하게 배출시켜 신발 내부가 원활하게 통풍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신발 통풍기(120)는, 그 내부에 수평 및 수직 공기 배출통로(130)(140)가 상호 연통되어 형성되는 상태에서, 상기 수평 공기 배출통로(130)의 일측 단부에는 이물질 유입방지턱(150)을 개재하여 공기가 하방으로 배출하는 공간인 공기 배출홈부(16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 공기 배출통로(130)의 양측단부는 격벽(170)(170')으로 막혀지도록 함으로써, 신발(100)의 착용자가 걸음을 걸을 경우 상기 신발(100) 내부의 공기압력 발생에 의해, 신발 내부의 공기가 신발 통풍기(120)의 수직 공기배출통로(140) 및 수평 배출통로(130)를 통해 배출토록 된다.
계속해서, 상기 수평 배출통로(130)의 양측 단부에 착설된 격벽(170)(170')에 의해, 수평 배출통로(130)의 공기는 상기 수평 공기 배출통로(130)의 일측 단부에 이물질 유입방지턱(150)을 개재하여 형성된 공기 배출홈부(160)를 통하여 공기가 하방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공기 배출홈부(160)의 일측에는 이물질 유입방지턱(150)이 형성 토록 됨으로써, 신발(100) 내부의 공기는 공기 배출홈부(16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먼지 또는 물 등과 같은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 유입방지턱(150)에 의해 신발(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신발 통풍기(120)의 수직 공기배출통로(140)는 신발(100)의 표피(101)에 형성되는 관통홀(18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링(190)을 개재하여 하단 주연부가 지그로 벌려져 상기 고정링(190) 하단에 밀착 고정토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신발 통풍기(120)가 신발(100)의 표피(101)에 밀착되는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통풍 신발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통풍장치가 착설되는 신발의 우측면 및 좌측면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신발 통풍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신발 통풍장치의 결합상태 단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100...신발 101...표피
110...곡선부 120...신발 통풍기
130...수평 공기 배출통로 140...수직 공기 배출통로
150...이물질 유입방지턱 160...공기 배출홈부
170,170'...격벽 180...관통홀
190...고정링

Claims (1)

  1. 신발(100)의 표피(101) 전면 곡선부(110) 양측으로 설치되는 신발 통풍기(120)의 내부에 수평 및 수직 공기 배출통로(130)(140)가 상호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평 공기 배출통로(130)의 일측 단부에는 이물질 유입방지턱(150)이 형성되는 신발 통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공기 배출통로(130)의 일측 단부에는 이물질 유입방지턱(150)을 개재하여 공기가 하방으로 배출하는 공간인 공기 배출홈부(160)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 공기 배출통로(130)의 양측단부는 격벽(170)(170')으로 막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직 공기배출통로(140)는 신발(100)의 표피(101)에 형성되는 관통홀(18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링(190)을 개재하여 하단 주연부가 지그로 벌려져 상기 고정링(190) 하단에 밀착 고정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통풍장치.
KR2020090006972U 2009-06-03 2009-06-03 신발 통풍장치 KR200459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972U KR200459748Y1 (ko) 2009-06-03 2009-06-03 신발 통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972U KR200459748Y1 (ko) 2009-06-03 2009-06-03 신발 통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201U KR20100012201U (ko) 2010-12-13
KR200459748Y1 true KR200459748Y1 (ko) 2012-04-13

Family

ID=4420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972U KR200459748Y1 (ko) 2009-06-03 2009-06-03 신발 통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7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524Y1 (ko) 2012-09-26 2013-01-09 박진한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16Y1 (ko) 2004-05-13 2004-07-30 곽범용 신발
KR200370216Y1 (ko) 2004-09-17 2004-12-14 기 대 권 신발 부착용 환풍 장신구
KR20080000039U (ko) * 2007-12-11 2008-01-09 류한하 신발의 환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16Y1 (ko) 2004-05-13 2004-07-30 곽범용 신발
KR200370216Y1 (ko) 2004-09-17 2004-12-14 기 대 권 신발 부착용 환풍 장신구
KR20080000039U (ko) * 2007-12-11 2008-01-09 류한하 신발의 환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524Y1 (ko) 2012-09-26 2013-01-09 박진한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201U (ko) 2010-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75503A3 (en) Building circulation system using curtain wall as ventilator
JP2004174257A5 (ko)
US9382658B2 (en) Lint trap
US11299842B2 (en) Drum washing machine
JP5290806B2 (ja) 建具
JP4730906B2 (ja) 通気路付き開口枠
KR200459748Y1 (ko) 신발 통풍장치
KR200451519Y1 (ko) 통풍 신발
KR200454058Y1 (ko) 신발 통풍장치
KR200456701Y1 (ko) 신발끈 고정링이 설치된 신발 통풍장치
KR200418434Y1 (ko) 아케이드 환기구조
KR200459751Y1 (ko) 신발 통풍장치
KR200356249Y1 (ko) 통풍용 신발의 체크밸브 구조
KR101182542B1 (ko) 환풍기용 차단기
FI127359B (fi) Ovenkarmirakenne
KR101318557B1 (ko) 유트랩 배수장치
ES2537262B2 (es) Plantilla con silenciador para ventilación del calzado
KR100500530B1 (ko) 통풍구조를 갖는 신발
KR20140001020U (ko) 목조주택벽체의 외부구조
JPH1061045A (ja) 収納体の換気構造
KR101450461B1 (ko) 유트랩 배수장치
KR200313791Y1 (ko) 통풍구조를 갖는 신발
KR200424702Y1 (ko) 운전 전용 통풍신발.
JPH0352403Y2 (ko)
JP2018003252A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