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519Y1 - 통풍 신발 - Google Patents

통풍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519Y1
KR200451519Y1 KR2020080013281U KR20080013281U KR200451519Y1 KR 200451519 Y1 KR200451519 Y1 KR 200451519Y1 KR 2020080013281 U KR2020080013281 U KR 2020080013281U KR 20080013281 U KR20080013281 U KR 20080013281U KR 200451519 Y1 KR200451519 Y1 KR 200451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ver plate
closing
vent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897U (ko
Inventor
김덕기
Original Assignee
김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기 filed Critical 김덕기
Priority to KR2020080013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51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8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8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5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의 갑피에 통기구가 형성되어 신발의 내외부로 공기가 유출입되도록 하는 통풍 신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통풍 신발은 통기구에 일정면적을 가지는 개방면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출입되도록 함에 따라 공기의 유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개폐용 날개가 구비되어 통기구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개폐용 날개가 스프링에 의해 통기구의 상부에 밀착됨에 따라 통기구 폐쇄시 밀폐성과 수밀성이 증대된다. 또한, 통기구의 내부공간에 냉각팬을 설치하여 공기의 강제유동을 유도함에 따라 통기구의 통기성이 더욱 증대된다.
본 고안에 따른 통풍 신발은 고정판, 덮개판, 조작편, 개폐용 날개,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기구를 신발의 갑피에 형성시키는데, 통기구의 고정판은 공기가 유출입하게 되는 정해진 크기의 개방면이 형성된다. 통기구의 덮개판은 고정판과 결합되어 신발의 갑피를 이루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위치되면서 신발의 갑피에 부착되고, 다수개의 개폐공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방사상(放射狀)을 이루며, 개폐공이 이루는 방사상의 중심에 원형단면의 삽입공이 형성된다. 통기구의 조작편은 덮개판의 상면 상으로 돌출되는 헤드와 덮개판의 삽입공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덮개판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결합단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통기구의 개폐용 날개는 덮개판의 개폐공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날개편이 형성되고, 덮개판의 삽입공으로 삽입된 조작편의 결합단과 결합되며, 고정판과 덮개판 사이에 위치되어 조작편의 회전에 따라 덮개판의 개폐공을 개폐시키게 된다. 통기구의 스프링은 조작편의 결합단의 하부에 삽입되어 개폐용 날개가 덮개판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통풍 신발의 통기구는 조작편의 회전에 따라 개폐용 날개에 의해 덮개판의 개폐공이 폐쇄되면서 공기의 유출입이 차단되고, 조작편의 회전에 따라 개폐용 날개가 덮개판의 개폐공에서 벗어나면서 덮개판의 개폐공과 고정판의 개방면 사이에서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신발, 통풍, 통기, 공기, 냉각팬, 건전지

Description

통풍 신발{A ventilating shoes}
본 고안은 통풍 신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공기의 유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통기구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통기구 폐쇄시 밀폐성과 수밀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통풍 신발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안전화, 작업화나 등산시 사용하게 되는 등산화는 운동화와 같은 평상화에 비하여 신발 내부의 밀폐도가 높아 신발 내부의 통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신체에서 발생되는 땀이나 발냄새의 발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통기공이나 통기구를 신발에 형성하여 신발의 내외부로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통기공이나 통기구를 형성한 신발과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8-062059호 "작업화의 통기구조",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1-0007120호 "신발용 통풍구", 공고번호 실1994-0000161호 "폐공기 배출용 일방통풍구" 등이 안출되어 있다.
상기 작업화의 통기구조는 작업화의 표면 일측에 통기성이 양호한 장방향의 망사를 설치한 것이고, 상기 신발용 통풍구는 다수의 통기공이 천공된 통풍구 본체를 고정링에 의해 신발갑피에 고정시키는 통상의 구조에 있어서, 통풍구 본체 내부에 얇은 고무판으로 된 판밸브가 내장돈 내통을 삽장하여서 된 것이며, 상기 폐공기 배출용 일방통풍구는 하단에 걸턱과 관통공을 형성한 통풍구 몸체카바의 외둘레와 높이를 통풍구 몸체보다 약간 높고 크게 만들어 아래쪽으로 통풍구 몸체의 흡입공이 상향되게 통풍구 몸체를 관통공에 삽입하여 걸림턱을 걸턱에 밀착시킨 다음 공기 조절막과 작동스프링을 통풍구 몸체 안에 순서대로 넣고 다수의 배출공을 뚫은 배출구뚜껑의 고정홈에 통풍구 몸체카바의 걸턱과 통풍구 몸체의 걸림턱을 2개 같이 삽입하여 고정턱으로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8-011594호 "신발의 통기공 개폐장치"는 회전하는 개폐판에 의해 통기공이 개폐되는 구성의 통기구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상기 신발의 통기공 개폐장치는 고정판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개폐판을 일정위치에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판에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과 결합되어 개폐판이 고정되도록 개폐판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신발의 통기공 개폐장치는 이물질이 신발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신발의 갑피에 형성된 망사를 통해 공기가 유출입됨에 따라 공기의 원활한 유출입이 어려웠으며, 개폐판의 회전이 개폐판에 형성된 조절공에 손 가락을 넣는 불편한 신체동작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통기구의 개폐가 힘들게 이루어졌으며, 통기구를 이루는 고정판의 삽입홈에 개폐판에 형성된 회전축이 억지끼움으로 삽입고정됨으로써 개폐판의 고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통기구 폐쇄시 밀폐성과 수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통기구에 일정면적을 가지는 개방면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출입되도록 함에 따라 공기의 유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개폐용 날개가 구비되어 통기구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용 날개가 스프링에 의해 통기구의 상부에 밀착됨에 따라 통기구 폐쇄시 밀폐성과 수밀성이 증대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통풍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통기구의 내부공간에 냉각팬을 설치하여 공기의 강제유동을 유도함에 따라 통기구의 통기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통풍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신발의 갑피에 통기구가 설치되어 신발의 내외부로 공기가 유출입되도록 하되, 상기 통기구는 공기가 유출입하게 되는 정해진 크기의 개방면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결합되어 상기 신발의 갑피를 이루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신발의 갑피에 부착되고, 다수개의 개폐공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방사상(放射狀)을 이루며, 상기 개폐공이 이루는 방사상의 중심에 원형단면의 삽입공이 형성되는 덮 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상면 상으로 돌출되는 헤드와 상기 덮개판의 삽입공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덮개판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결합단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조작편과; 상기 덮개판의 개폐공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날개편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판의 삽입공으로 삽입된 조작편의 결합단과 결합되며, 상기 고정판과 덮개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조작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덮개판의 개폐공을 개폐시키게 되는 개폐용 날개 및; 상기 조작편의 결합단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용 날개가 상기 덮개판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조작편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용 날개에 의해 상기 덮개판의 개폐공이 폐쇄되면서 공기의 유출입이 차단되고, 상기 조작편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용 날개가 상기 덮개판의 개폐공에서 벗어나면서 상기 덮개판의 개폐공과 상기 고정판의 개방면 사이에서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통풍 신발에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고정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스프링고정홈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개폐용 날개에 탄성을 부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통풍 신발에서 상기 고정판과 덮개판은 서로 결합되어 정해진 길이를 가지는 길다란 박스형상을 이루어 상기 고정판과 덮개판의 일측에는 개방면과 개폐공이 서로 수직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개방면과 개폐공 사이의 일측 내부공간에 냉각팬이 설치되어 공기가 강제유동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판과 덮개판 사이의 타측 내부공간에는 상기 냉각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건전지와 상기 냉각팬의 온오프 및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기구가 설치되면서 상기 덮개판의 타측에 상기 제어기구와 결합되는 제어용 조작편이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고정판과 덮개판은 서로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덮개판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판과 덮개판 사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누름편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통풍 신발에 의하면 공기의 유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통기구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통기구 폐쇄시 밀폐성과 수밀성이 증대되어 신발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거나,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통기구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냉각팬에 의해 공기가 강제유동하게 되어 통기구의 통기성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도 동시에 가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통풍 신발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에 형성된 통기구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에 형성된 통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에 형성된 통기구의 작용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5의 (a)와 (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에 형성된 통기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통풍 신발(1)은 신발의 갑피(2)에 통기구(100)가 형성되어 신발(1)의 내외부로 공기가 유출입되도록 하는 것으로, 통기구(100)에 일정면적을 가지는 개방면(12)이 형성되어 공기의 유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개폐용 날개(40)가 구비되어 통기구(100)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개폐용 날개(40)가 스프링(50)에 의해 통기구(100) 상부에 밀착됨에 따라 통기구(100) 폐쇄시 밀폐성과 수밀성이 증대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1)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1)에서 통기구(100)는 고정판(10), 덮개판(20), 조작편(30), 개폐용 날개(40), 스프링(50)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판(10)은 공기가 유출입하게 되는 개방면(12)이 형성된 평판으로, 개방면(12)은 정해진 크기의 면적을 가짐에 따라 종래 통기구에서 조밀하게 형성되는 소형 통공이나 망사를 통해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에 비하여 보다 원활하게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개방면(12)은 고정판(10)을 분할하며 다수개가 고정판(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판(10)은 신발(1)의 갑피(2)를 이루는 내피(2b)와 외피(2a) 사이에 위치되는데, 이를 위하여 고정판(10)은 개방면(12) 둘레로 수평하게 부착면(14)을 형성하여 부착면(14)이 신발(1)의 갑피(2)를 이루는 내피(2b)와 외피(2a)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다.
덮개판(20)은 다수개의 개폐공(22)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방사상(放射狀)을 이루고 있으며, 개폐공(22)이 이루는 방사상의 중심에는 원형단면의 삽입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개폐공(22)은 부채꼴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각각의 개폐공(22)에는 일정간격으로 격벽(26)이 형성되어 일정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개폐공(22)을 통해 신발(1)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덮개판(20)은 고정판(10)과 결합되어 신발(1)의 갑피(2)를 이루는 내피(2b)와 외피(2a) 사이에 위치되면서 신발(1)의 갑피(2)에 부착되게 된다. 여기서 서로 결합되는 고정판(10)과 덮개판(20)은 신발(1)의 갑피(2)를 이루는 내피(2b)와 외피(2a) 사이에 삽입되어 접착되거나, 박음질되는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판(10)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신발(1)의 갑피(2)에 박음질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조작편(30)은 헤드(32)와 결합단(34)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작편(30)의 결합단(34)은 덮개판(20)의 삽입공(24)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덮개판(20)의 하면으로 돌출되고, 조작편(30)의 헤드(32)는 삽입공(24)의 단면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덮개판(20)의 상면 상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조작편(30)은 덮개판(20)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결합단(34)에 개폐용 날개(40)가 결합되도록 하는데, 덮개판(2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헤드(32)를 사용자가 회전시킴으로써 개폐용 날개(40)가 회전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작편(30)은 헤드(32) 일측에 돌기(322)가 형성되어 조작편(30)의 회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조작편(30)이 덮개판(2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는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작편(3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개폐용 날개(40)는 다수개의 날개편(42)이 덮개판(20)의 개폐공(22)에 대응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개폐용 날개(40)에 형성되는 날개편(42)의 개수는 덮개판(20)에 형성되는 개폐공(22)의 개수와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개폐용 날개(40)가 덮개판(20)의 개폐공(22)을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개폐용 날개(40)는 서로 결합되는 고정판(10)과 덮개판(20)이 형성시키는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덮개판(20)의 삽입공(24)으로 삽입되는 조작편(30)의 결합단(34)과 결합되는데, 이에 따라 개폐용 날개(40)는 조작편(30)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를 위한 개폐용 날개(40)와 조작편(30)의 결합단(34)의 결합 구성은 다양할 수 있는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개폐용 날개(40)의 중앙부에 반원형 결합공(44)이 형성되고, 조작편(30)의 결합단(34)은 반원형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져 조작편(30)의 결합단(34)이 개폐용 날개(40)의 반원형 결합공(44)에 관통되게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미끄러짐없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개폐용 날개(40)는 조작편(30)의 결합단(34)에 형성된 핀공(342)으로 삽입되는 고정핀(36)에 의해 조작편(30)의 결합단(34)에 걸림고정된다.
개폐용 날개(40)는 사용자에 의해 간편하게 조작되는 조작편(30)과 결합되어 회전하게 됨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기구(100)는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스프링(50)은 조작편(30)의 결합단(34)의 하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스프링(50)의 상단이 개폐용 날개(40)와 접촉하여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개폐용 날개(40)가 덮개판(20)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스프링(50)의 하부는 고정판(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스프링고정홈(16)에 삽입고정되어 개폐용 날개(40)에 탄성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폐용 날개(40)가 스프링(50)에 의해 덮개판(20)의 저면 상부에 밀착됨에 따라 통기구(100) 폐쇄시 밀폐성과 수밀성이 증대되어 외부로부터 신발(1)의 내부로 이물질이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1)의 통기구(100)는 사용자에 의해 간편하게 조작되는 조작편(30)을 일정각 회전시켜 개폐용 날개(40)를 이루는 날개편(42)과 덮개판(20)의 개폐공(22)이 서로 일치하도록 하여 개폐공(22)을 폐쇄시킴으로써 공기의 유출입이 차단되도록 한다. 그리고, 조작편(30)을 다시 회전시켜 개폐용 날개(40)의 날개편(42)이 덮개판(20)의 개폐공(22)에서 점차 벗어나도록 함으로써 덮개판의 개폐공(22)과 고정판(10)의 개방면(12) 사이에서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조작편(30)의 회전각에 따라 개폐용 날개(40)의 날개편(42)이 덮개판(20)의 개폐공(22)에서 점차 벗어나는 정도에 의해 개판의 개폐공(22)과 고정판(10)의 개방면(12) 사이를 유출입하는 공기의 양이 결정된다.
도 5의 (a)와 (b)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1)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1)은 덮개판(20)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개폐공(22)과 이에 대응하여 고정판(10)에 형성되는 개방면(12)이 두개의 유니트로 형성되어 있는 통기구(100)를 구비한 것이다.
도 6과 도 7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1)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1)은 냉각팬(60)이 구비되어 공기가 강제유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정판(10)과 덮개판(20)은 서로 결합되어 정해진 길이를 가지는 길다란 박스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1)의 통기구(100)는 덮개판(20)이 하측이 개방된 길다란 함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고정판(10)과 덮개판(20)이 서로 결합될 시 길다란 박스형상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판(10)과 덮개판(20)이 서로 결합되어 박스형상을 이룸으로써 냉각팬(60)이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박스형상을 이루는 서로 결합된 고정판(10)과 덮개판(20)의 일측에는 개방면(12)과 개폐공(22)이 서로 수직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데, 개방면(12)과 개폐공(22) 사이의 일측 내부공간에 냉각팬(60)이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고정판(10)과 덮개판(20) 사이의 타측 내부공간에는 냉각팬(6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건전지(80)와 냉각팬(60)의 온오프 및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기구(70)가 설치되는 한편, 덮개판(20)의 타측에는 제어기구(70)와 결합되는 제어용 조작편(72) 및 서로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고정판(10)과 덮개판(20)을 분리시키기 위한 누름편(90)이 덮개판(2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어용 조작편(72)은 일종의 볼륨스위치로서 회전하면서 냉각팬(60)을 온오프시키거나 냉각팬(6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누름편(90)은 덮개판(20)의 타측에 설치되어 고정판(10)과 덮개판(20) 사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고정판(10)에 핀고정되고 하측에 위치한 판스프링(96)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탄성이 부여되는 걸림편(94)을 하측으로 누름으로써 서로 결합되어 있는 고정판(10)과 덮개판(20)을 분리시키게 된다. 즉,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1)의 통기구(100)는 고정판(10)에 덮개판(20)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데, 서로 결합된 고정판(10)과 덮개판(20)의 내부에서 걸림편(94)이 판스프링(96)에 의해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덮개판(20)은 고정판(10)에 걸림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누름편(90)으로 덮개판(20)을 하측으로 누르게 되면 덮개판(20)이 고정판(10)에서 다시 슬라이딩되어 이탈될 수 있음에 따라 서로 결합되어 있는 고정판(10)과 덮개판(20)이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에 형성된 통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에 형성된 통기구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에 형성된 통기구의 작용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의 (a)와 (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통풍 신발에 형성된 통기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풍 신발 2 : 갑피
2a : 외피 2b : 내피
10 : 고정판 12 : 개방면
14 : 부착면 16 : 스프링고정홈
20 : 덮개판 22 : 개폐공
24 : 삽입공 26 : 격벽
30 : 조작편 32 : 헤드
322 : 돌기 34 : 결합단
342 : 핀공 36 : 고정핀
40 : 개폐용 날개 42 : 날개편
44 : 반원형 결합공 50, 92 : 스프링
60 : 냉각팬 70 : 제어기구
72 : 제어용 조작편 80 : 건전지
90 : 누름편 94 : 걸림편
96 : 판스프링 100 : 통기구

Claims (3)

  1. 신발의 갑피에 통기구가 설치되어 신발의 내외부로 공기가 유출입되도록 하되,
    상기 통기구는 공기가 유출입하게 되는 정해진 크기의 개방면이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결합되어 상기 신발의 갑피를 이루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신발의 갑피에 부착되고, 다수개의 개폐공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방사상(放射狀)을 이루며, 상기 개폐공이 이루는 방사상의 중심에 원형단면의 삽입공이 형성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상면 상으로 돌출되는 헤드와 상기 덮개판의 삽입공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덮개판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결합단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조작편과;
    상기 덮개판의 개폐공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날개편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판의 삽입공으로 삽입된 조작편의 결합단과 결합되며, 상기 고정판과 덮개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조작편의 회전에 따라 상기 덮개판의 개폐공을 개폐시키게 되는 개폐용 날개 및;
    상기 조작편의 결합단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용 날개가 상기 덮개판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조작편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용 날개에 의해 상기 덮개판의 개폐공 이 폐쇄되면서 공기의 유출입이 차단되고, 상기 조작편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용 날개가 상기 덮개판의 개폐공에서 벗어나면서 상기 덮개판의 개폐공과 상기 고정판의 개방면 사이에서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고정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스프링고정홈(16)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개폐용 날개에 탄성을 부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신발.
  3.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덮개판은 서로 결합되어 정해진 길이를 가지는 길다란 박스형상을 이루어 상기 고정판과 덮개판의 일측에는 개방면과 개폐공이 서로 수직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개방면과 개폐공 사이의 일측 내부공간에 냉각팬이 설치되어 공기가 강제유동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판과 덮개판 사이의 타측 내부공간에는 상기 냉각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건전지와 상기 냉각팬의 온오프 및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기구가 설치되면서 상기 덮개판의 타측에 상기 제어기구와 결합되는 제어용 조작편이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기 고정판과 덮개판은 서로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덮개판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판과 덮개판 사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누름편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신발.
KR2020080013281U 2008-10-04 2008-10-04 통풍 신발 KR200451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281U KR200451519Y1 (ko) 2008-10-04 2008-10-04 통풍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281U KR200451519Y1 (ko) 2008-10-04 2008-10-04 통풍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897U KR20100003897U (ko) 2010-04-14
KR200451519Y1 true KR200451519Y1 (ko) 2010-12-23

Family

ID=4444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281U KR200451519Y1 (ko) 2008-10-04 2008-10-04 통풍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5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259B1 (ko) * 2013-08-08 2015-01-30 이창훈 통기성 장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524Y1 (ko) * 2012-09-26 2013-01-09 박진한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KR102081924B1 (ko) * 2018-01-11 2020-02-26 강래석 신발용 통풍장치
KR200491163Y1 (ko) * 2018-08-21 2020-02-26 김종식 신발의 갑피에 통기량 조절수단이 설치된 기능성 신발
KR102078146B1 (ko) * 2019-04-26 2020-02-17 전용우 향상된 통풍 성능을 가지는 신발
KR102256755B1 (ko) * 2020-02-20 2021-05-26 김종식 신발의 갑피에 통기량 조절수단이 설치된 기능성 신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747Y1 (ko) 2000-11-04 2001-04-02 김형식 환기장치를 구비한 신발
KR200396963Y1 (ko) 2005-07-05 2005-09-28 방상배 통풍 신발
JP2008006118A (ja) 2006-06-30 2008-01-17 Shimano Inc 釣り用履き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747Y1 (ko) 2000-11-04 2001-04-02 김형식 환기장치를 구비한 신발
KR200396963Y1 (ko) 2005-07-05 2005-09-28 방상배 통풍 신발
JP2008006118A (ja) 2006-06-30 2008-01-17 Shimano Inc 釣り用履き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259B1 (ko) * 2013-08-08 2015-01-30 이창훈 통기성 장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897U (ko) 201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519Y1 (ko) 통풍 신발
US4760651A (en) Air-ventilating shoe pad having shoe-lift effect
DE60239573D1 (de) Filter zur Desodorierung für eine Stomavorrichtung
WO2004094920A8 (ja) 消音カートリッジ付換気構造
KR20160123624A (ko) 가습기 및 가전기기
JP2021501851A5 (ko)
KR200460516Y1 (ko) 롱작동레버가 구비된 창문용 통풍장치
KR200442087Y1 (ko) 창문용 다단조절 통풍장치
WO2022057926A1 (zh) 烘干机
KR200431451Y1 (ko) 자연대류방식 가습 키트
CN111271928A (zh) 用于家电门体的换气装置、冰箱
KR20090005887U (ko)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
CN108931007A (zh) 带加湿器的立式空调
KR200318114Y1 (ko) 가구에 적용된 착탈식 통풍구
CN208957083U (zh) 一种多入风口电吹风机
CN207570880U (zh) 样品处理装置及样品处理仪器
CN208886993U (zh) 加湿器及空调器
KR100691636B1 (ko)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KR101182542B1 (ko) 환풍기용 차단기
CN212692015U (zh) 加湿风扇
KR200367865Y1 (ko) 환풍기 개폐문
KR200459748Y1 (ko) 신발 통풍장치
CN210832375U (zh) 一种迷你空调扇
CN209761832U (zh) 用于风机的防回流装置、风机及充气产品
KR102360877B1 (ko) 가습기 및 가전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