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887U -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 - Google Patents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887U
KR20090005887U KR2020070019910U KR20070019910U KR20090005887U KR 20090005887 U KR20090005887 U KR 20090005887U KR 2020070019910 U KR2020070019910 U KR 2020070019910U KR 20070019910 U KR20070019910 U KR 20070019910U KR 20090005887 U KR20090005887 U KR 200900058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indoor
wall
ventilation
rotary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원
Original Assignee
강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원 filed Critical 강동원
Priority to KR2020070019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887U/ko
Publication of KR200900058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8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0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composed of diaphragms or seg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25Ventilation using vent ports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4Natural ventilation using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벽체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기구의 개폐소단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간단한 구조로 결합되고 실내에서 환기구의 개폐가 용이하면서 공기유량을 조절가능토록 되는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환기구는 벽체의 내벽과 외벽에 각각 후드가 설치되어 벌레등을 차단하면서 실내공기가 외부로 환기되도록 되는 것으로, 종래의 환기구 후드는 환기구의 개폐를 위한 수단이 탈착되는 마개로 이루어져 마개의 보관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분실의 위험이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만 환기구를 개방토록 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벽에 설치되는 실내후드에 단순 끼움에 의하여 조립되는 회전마개가 결합되도록 축홀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마개의 걸림턱이 실내후드의 축홀에 고정되어 빠짐이 방지되면서 회전가능토록 되며, 상기 회전마개에 조절구멍이 형성되어 실내후드의 통기공을 제어토록 되어 환기구의 실내후드와 회전마개가 간단한 구조로 조립되면서 개폐가 용이하고 공기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환기구, 후드, 마개

Description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a hood for vantilating hole}
본 고안은 건물의 벽체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기구의 개폐소단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간단한 구조로 결합되고 실내에서 환기구의 개폐가 용이하면서 공기유량을 조절가능토록 되는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는 건축물의 실내와 실외 간에 소통되도록 형성된 환기공에 설치되어 실내공기의 환기를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건물벽체의 외벽과 내벽에 각각 실외후드와 실내후드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건물벽체의 외벽에 설치되는 실외후드는 빗물과 곤충의 유입을 막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고, 건물벽체의 내벽에 설치되는 실내후드는 통기공에 의하여 실내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구조를 갖도록 되며, 이러한 환기구의 개폐를 위하여 별도의 탈, 부착되는 마개를 이용하여 개폐토록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의 탈, 부착되는 마개를 이용하여 개폐토록 되는 환기구 후드는 단순히 공기배출을 차단하거나 또는 개방하는 기능만을 갖게 되므로 환기의 필요한 정도에 따라 공기유량을 조절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는 것이고, 또한 상기 마개가 실내후드와 분리보관되므로 보관이 불편하고 분실의 위험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환기구의 실내후드가 간단한 구조로 조립되면서 개폐가 용이하고 공기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환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벽체에 삽입되도록 통기공이 형성된 실내후드의 일단에 축홀이 형성되고, 상기 축홀에 가압으로 끼움 되어 걸림턱에 의하여 실내후드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회전마개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마개의 조절구멍이 회전함에 따라서 실내후드의 통기공이 개폐토록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실내후드와 마개가 일체로 조립되어 마개를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고 분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후드와 회전마개의 결합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저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고, 상기 회전마개의 회전에 의하여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이 편리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첨부도면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축물 실내의 환기를 위하여 건축물 벽 체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후드(10)와, 벽체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후드(20)가 구비되고, 상기 실외후드(10)와 실내후드(20)는 원통상의 삽입관(11,21)과 후렌지(12,22)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관(11,21)이 벽체에 매립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후렌지(12,22)가 외부로 노출토록 되고, 상기 실외후드(10)와 실내후드(20)는 각각 통기공(13,23)이 형성되어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토록 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실내후드(20)의 통기공(23)에 회전마개(30)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마개(30)에 실내후드(20)의 통기공(23)과 같은 형상을 갖는 조절구멍(33)이 형성되어 회전마개(30)의 회전에 의하여 실내후드(20)의 통기공(23)을 제어하고 공기유량을 조절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내후드(20)와 회전마개(30)의 결합을 위하여 각각 대응되도록 축홀(24)과 삽입돌부(31)가 형성되어 끼움으로 결합되고, 이때 삽입돌부(31)에 형성된 걸림턱(32)이 실내후드(20)에 형성된 축홀(24)의 단턱(24a)에 고정되어 이탈이 방지되면서 회전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턱(32)은 회전마개(30)의 삽입돌부(31)에 절개홈(31a)을 갖도록 된 탄성편(31b)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탄성편(31b)이 더욱 탄성력을 갖도록 되어 결합이 용이토록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마개(30)가 실내후드(20)에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턱(32)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회전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고, 이러한 회전마개(30)의 외주면에 널링부(34)를 형성함으로써 회전마개(30)의 작동이 용이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널링부(3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돌기가 돌출되도 록 하거나 다수의 홈을 형성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실외후드(10)는 빗물의 유입을 최소화하도록 통기공(13)이 경사면(14)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고, 벽체에 매립되는 삽입관(11)의 일단에는 그 내주면의 하단에 물침투방지턱(11a)이 형성되어 실외후드(10)내에 떨어진 빗물이 삽입관(11)을 통해 벽체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외후드(10)와 실내후드(20)에 망체(15,25)가 형성되어 공기는 순환되도록 하면서 벌레와 해충 등의 유입을 막도록 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망체(15,25)는 금속 와이어로 형성되거나 사출물로 제작한 후 끼움이나 부착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환기구 후드(10,20)를 건축물의 벽체에 삽입고정하기 위하여 삽입관(11,12)의 외주면에 결합수단(16,26)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수단(16,26)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갖도록 하여 가압으로 결합되거나 별도의 나사고정구를 이용하여 결합가능한 것이고, 기타 다양한 공지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장착상태 단면도.
도 1A는 본 고안의 실내후드의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의 실외후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내후드에 회전마개가 결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내후드와 회전마개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회전마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실외후드 11: 삽입관
12: 후렌지 13: 통기공
14: 경사면 15: 망체
16: 결합수단
20: 실내후드 21: 삽입관
22: 후렌지 23: 통기공
24: 축홀 25: 망체
26: 결합수단
30: 회전마개 31: 삽입돌부
32: 걸림턱

Claims (3)

  1. 실외후드(10)와 실내후드(20)가 벽의 실외측과 실내측에 각각 매립되어져 환기토록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실내후드(20)는 통기공(23)의 개폐를 위하여 회전마개(30)가 구비되며, 상기 실내후드(20)와 회전마개(30)는 각각 대응되는 축홀(24)과 삽입돌부(31)가 형성되어 회전마개(30)의 삽입돌부(31)에 형성된 걸림턱(32)이 실내후드(20)에 형성된 축홀(24)의 단턱(24a)에 고정되어 이탈이 방지되면서 회전가능토록 되고, 상기 회전마개(30)에 조절구멍(33)이 형성되어 실내후드(20)의 통기공(23)을 제어하여 환기구의 공기유량을 조절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마개(30)는 삽입돌부(31)의 일단에 양측으로 절개홈(31a)을 갖는 탄성편(31b)에 걸림턱(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후드(10)와 실내후드(20)의 삽입관(11,21)에 망체(15,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
KR2020070019910U 2007-12-11 2007-12-11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 KR200900058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910U KR20090005887U (ko) 2007-12-11 2007-12-11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910U KR20090005887U (ko) 2007-12-11 2007-12-11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887U true KR20090005887U (ko) 2009-06-16

Family

ID=4129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910U KR20090005887U (ko) 2007-12-11 2007-12-11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887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602A (ko) 2017-05-12 2018-11-21 임종갑 후드캡용 안내구
KR20190046492A (ko) * 2017-10-26 2019-05-07 김성진 건축용 환기 장치
KR102103749B1 (ko) * 2019-12-27 2020-04-23 (주)바이오데이즈 탈취청정기
KR20210012741A (ko) * 2019-07-26 2021-02-03 김영식 에어 벤트 그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602A (ko) 2017-05-12 2018-11-21 임종갑 후드캡용 안내구
KR20190046492A (ko) * 2017-10-26 2019-05-07 김성진 건축용 환기 장치
KR20210012741A (ko) * 2019-07-26 2021-02-03 김영식 에어 벤트 그릴
KR102103749B1 (ko) * 2019-12-27 2020-04-23 (주)바이오데이즈 탈취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4999B2 (en) Roof vent
US6183360B1 (en) Molded roof exhaust vent
KR20090005887U (ko)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
JP3133187U (ja) 換気フード
KR200442087Y1 (ko) 창문용 다단조절 통풍장치
US20100120352A1 (en) Wall Vent
KR20100003897U (ko) 통풍 신발
KR101070645B1 (ko)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JP4460887B2 (ja) 自然換気装置
KR20180089028A (ko) 역풍방지용 후드캡
KR101104942B1 (ko)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EP1404940B1 (en) Window with ventilating aperture
KR101625954B1 (ko) 환기구 역풍 방지장치
KR200387062Y1 (ko) 창짝의 환기구조
KR200433047Y1 (ko) 창문용 환기장치
KR200385590Y1 (ko) 창문 자연환기 장치
JP4896560B2 (ja) 消音型給気装置
JP3015959U (ja) 給気用換気口
JP2005315552A (ja) 給排気口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267486B1 (ko) 환풍기
KR101408104B1 (ko) 환기구 고정장치
KR20240029368A (ko) 환기용 슬리브 연결구
JP2010203707A (ja) 換気装置
KR200273310Y1 (ko) 에어컨 설치용 관통공 마개
KR200220145Y1 (ko) 환기구가 구비된 비닐하우스용 비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