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602A - 후드캡용 안내구 - Google Patents

후드캡용 안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602A
KR20180124602A KR1020170059419A KR20170059419A KR20180124602A KR 20180124602 A KR20180124602 A KR 20180124602A KR 1020170059419 A KR1020170059419 A KR 1020170059419A KR 20170059419 A KR20170059419 A KR 20170059419A KR 20180124602 A KR20180124602 A KR 20180124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cap
guide plate
hood
cap
build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7514B1 (ko
Inventor
임종갑
Original Assignee
임종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갑 filed Critical 임종갑
Priority to KR1020170059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514B1/ko
Publication of KR20180124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용 후드캡에 간단하고 쉽게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후드캡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건물 벽체에 닿지 않고 지면으로 낙하하도록 받쳐 안내해 줌으로써, 상기 물에 의해 건물 벽체에 얼룩이 형성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건물 벽체를 타고 올라오는 외부 공기가 후드캡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후드캡용 안내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후드캡용 안내구{A guider for hood cap}
본 발명은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후드캡에 결합하여, 후드캡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건물 벽체에 닿지 않으면서 지면으로 낙하하도록 유도하는 후드캡용 안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기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정, 사무실, 오피스텔, 아파트 등에는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9-005887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기관에 환기구를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구조이다.
상기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된 환기구를 포함하는 기존의 환기장치는 실내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관이 건물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배기관에 환기구가 결합되는 구조로서, 배기구와 건물의 벽면이 밀착되는 구조이다.
기존의 환기장치는 내부 공기가 환기구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물 또는 빗물의 유입으로 인해 내부에 고인 물이 그대로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게 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기존의 환기장치는 내부에 발생된 물이 루버 등에 맺힌 후 건물의 벽면을 적시며 흘러내리게 함으로써, 건물의 벽이 물에 의한 산화작용 등으로 훼손되고, 벽면의 페인트가 벗겨지거나 얼룩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에 의한 훼손에 의해 건물 벽면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이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등 건물 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물의 벽면을 타고 상승하는 바람이 환기구 안으로 안내되어 유입됨으로써, 내부공기가 환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환기구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9-005887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 벽체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조화용 후드캡에 간단하고 편리하게 분리 결합하고, 상기 후드캡 내부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중력에 의해 지면방향으로 낙하하면서 건물 벽체에 닿지 않도록 유도하며, 상기 건물 벽체를 타고 올라오는 공기가 상기 후드캡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후드캡용 안내구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환기장치 또는 공기조화용 후드캡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에 의해 건물 외벽이 얼룩지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용 안내구는 상기와 같은 종래 후드캡의 분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몸체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용 후드캡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몸체의 선단부에는 상기 후드캡의 플랜지부에 걸려 상기 몸체 내부에 끼워지는 상기 후드캡이 상기 몸체의 전방으로 관통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가 상기 몸체의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몸체의 전방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면서 하향 경사지는 소정너비의 안내판이 형성되어, 상기 후드캡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상기 안내판에 의해 건물 벽체에 닿지 않으면서 지면으로 낙하하도록 유도되고, 상기 건물 벽체를 타고 올라오는 공기가 상기 안내판에 의해 상기 후드캡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후드캡용 안내구는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후드캡에 간단하고 쉽게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후드캡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건물 벽체에 닿지 않고 지면으로 낙하하도록 받쳐 안내해 줌으로써, 상기 물에 의해 건물 벽체에 얼룩이 형성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건물 벽체를 타고 올라오는 외부 공기가 후드캡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용 안내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도 및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용 안내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도
도 4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용 안내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용 안내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도 및 사용상태도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용 후드캡 안내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 벽체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조화용 후드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후드캡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이 중력에 의해 지면방향으로 낙하시 건물 벽체에 닿지 않으면서 낙하하도록 유도하며, 건물 벽체를 타고 올라오는 외부 공기가 상기 후드캡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후드캡용 안내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용 안내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후드캡용 안내구(100)는, 몸체(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용 후드캡(1)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몸체(10)의 선단부에는 상기 후드캡(1)에 형성되는 플랜지부(1a)에 걸려 상기 몸체(10) 내부에 끼워지는 상기 후드캡(1)이 상기 몸체(10)의 전방으로 관통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11)가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몸체(10)의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몸체(10)의 전방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면서 하향 경사지는 소정너비의 안내판(20)이 형성되어 상기 후드캡(1)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상기 안내판(20)에 의해 건물 벽체에 닿지 않으면서 지면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고, 상기 건물 벽체를 타고 올라오는 공기가 상기 안내판(20)에 의해 상기 후드캡(1)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드캡용 안내구(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 외벽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공기조화용 후드캡(1)에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후드캡(1)의 플랜지부(1a) 형상에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1a)에 억지끼움되는 몸체(10); 및 상기 몸체(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전방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면서 하향 경사지는 소정 너비의 안내판(20);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상기 후드캡(1)이 내부로 유입되어 플랜지부(1a)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기 후드캡(1)이 억지 끼움 되는데, 상기 후드캡(1)은 상기 후드캡(1)의 장착을 위해 건물 벽체에 형성되는 통공(미도시)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1a)가 형성되어 건물 벽체의 통공에 상기 후드캡(1)의 후단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플랜지부(1a)가 건물 벽체 외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후드캡(1)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후드캡(1)의 플랜지부(1a)에 본 발명의 안내구 몸체(10)가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선단부 내주연에는 상기 후드캡(1)의 플랜지부(1a)가 상기 몸체(10)에 끼워져 결합하면서 걸려 상기 후드캡(1)이 상기 몸체(10)의 전방으로 완전히 관통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11)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1)는 상기 후드캡(1)의 플랜지부(1a)에 걸림 시 상기 플랜지부(1a)가 긁히거나 상처나지 않도록 상기 몸체(10)의 내주연에서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부드럽게 아르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1)는 상기 몸체(10)의 선단부에서 몸체(10)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10)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소정너비의 걸림편(미도시)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내주연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몸체(10)의 내주연에 적어도 2개의 걸림편이 좌우 또는 상하로 마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후단부의 반경이 선단부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후단부로 유입되는 상기 후드캡(1)의 플랜지부(1a)가 몸체(10) 내부로 쉽게 유입되고, 상기 몸체(10)를 후드캡(1)의 후방으로 계속하여 밀면 반경이 점점 작아지는 상기 몸체(10)의 선단부에 상기 플랜지부(1a)가 단단히 억지 끼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몸체(10)를 상기 후드캡(1)의 플랜지부(1a) 전방에서 후방으로 끼우고, 상기 걸림부(11)에 상기 플랜지부(1a)의 전면이 걸릴 때까지 밀어줌으로써, 본 발명의 안내구(100)가 간단하고 쉽게 상기 후드캡(1)에 결합하여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안내구(100)는 상기 몸체(10)의 하부 외주연에 상기 몸체(10)의 전방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면서 하향 경사지는 소정너비의 안내판(20)이 형성된다.
상기 후드캡(1)의 일측에는 건물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기창(1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기창(1b)을 통해 건물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며, 내부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물 또는 빗물의 유입으로 인해 후드캡 (1) 내부에 고인 물이 그대로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구조로, 상기 후드캡(1)에 상기 안내구(100)의 몸체(10)를 끼워 결합하고 상기 통기창(1b)의 하측에 상기 안내판(20)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후드캡(1) 내부에 고인 물이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종래 후드캡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판(20)은 소정너비로 형성되어 상기 후드캡(1)의 통기창(1b)을 통해 흘러나오는 물을 받쳐주어 상기 안내판(20) 위에서 건물 벽체의 전방으로 소정 거리 흐르게 하여 건물 벽체에 닿지 않으면서 지면방향으로 낙하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내판(20)이 상기 후드캡(1)의 통기창(1b) 하측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통기창(1b)을 통해 흘러나오는 물을 받쳐줌과 동시에 상기 건물 벽체를 타고 올라오는 공기가 상기 통기창(1b)을 통해 건물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내구(100)는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용 후드캡(1)에서 누수되는 물 또는 후드캡(1)에 떨어지는 빗물이 건물 벽체에 닿지 않으면서 지면방향으로 낙하하도록 유도하여, 상기 물에 의해 건물 벽체에 얼룩 또는 곰팡이와 같은 오염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외부의 공기가 후드캡(1)을 통해 건물 내부로 유입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내판(20)에는 소정 깊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드캡(1)에서 누수되어 상기 안내판(20)에 흐르는 소정 양의 물이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고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되며,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된 물이 햇빛 또는 바람 등에 의해 자연 건조되어 대기로 증발되게 함으로써, 상기 후드캡(1)에서 흘러나와 지면으로 떨어지는 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안내판(20)의 중앙부에는 소정깊이를 갖는 유도홈이 상기 안내판(20)의 전후방향 또는 좌우 양측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후드캡(1)에서 흘러나오거나 상기 안내판(20)에 떨어지는 빗물이 상기 안내판(20)의 높이가 가장 낮은 중앙부로 유도되면서 상기 유도홈에 수용된 후 지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후드캡(1)의 플랜지부(1a) 외주연에는 적어도 2개의 고정돌기(1c)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1a)에 끼워져 밀착되는 상기 몸체(10)의 내주연에는 상기 고정돌기(1c)에 대응하는 고정홈(22)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고정돌기(1c)와 고정홈(22)의 체결에 의해 상기 후드캡(1)과 안내구(100)의 결합이 더욱 강화되고, 이로 인해 상기 후드캡(1)에 결합하는 본 발명의 안내구(100)가 사익 후드캡(1)에 결합하여 쉽게 움직이거나 후드캡(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고정돌기(1c)은 상기 플랜지부(1a)의 좌우측면에 소정 반경의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22)은 상기 몸체(10)의 내주연 좌측과 우측에 "L"자 및 "ㄱ"자 형상으로 각각 형성하여, 상기 고정돌기(1c)가 상기 고정홈(22)에 전후(수평)방향으로 끼워진 후 상기 몸체(10) 또는 후드캡(1)을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고정돌기(1c)가 상기 고정홈(22)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몸체(10)가 상기 후드캡(1)에 전후방향으로 빠지지 않고 단단히 결합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고정돌기(1c)가 고정홈(22)에 전후방향으로 끼워진 후 몸체(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후드캡(1)에 결합하면, 상기 안내판(20)이 상기 후드캡(1)의 통기창(1b)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안내판(20)의 선단부에는 중앙부에 개방구(31)를 갖는 차단막(30)이 소정높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차단막(30)은 상기 안내판(20)에 흐르는 물이 안내판(20)의 임의의 위치에서 산발적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차단하고, 상기 물을 상기 안내판(20)의 중앙부로 모이도록 유도하면서 상기 안내판(2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개방구(31)를 통해서만 지면으로 낙하하도록 안내하며, 안내판 위에 흐르는 물이 바람에 날려 외부로 배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개방구(31)는 "∩" 또는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가 개구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단막(30)이 상기 개방구(31)를 중심으로 제1개방구와 제2개방구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막(30)은 상기 안내구(100)와 별도로 "L"자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안내판(20)의 선단부에 바닥면이 연결되거나 억지 끼움되어 본 발명의 안내구(100)에 간단하면서도 쉽게 분리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판(20)에 흐르는 물이 강풍 등에 의해 안내판(20) 외부로 날려 건물 외벽에 닿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물이 상기 안내판(20)에서 높이가 가장 낮은 중앙부로 안전하게 흐르도록 유도하여 한 지점에서 물이 배수됨으로써 건물 외벽에 닿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후드캡 1a : 플랜지부
1b : 통기창 1c : 고정돌기
10 : 몸체 11 : 걸림부
20 : 안내판 21 : 수용홈
22 : 고정홈 30 : 차단막
31 : 개방구

Claims (5)

  1. 몸체(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건물 벽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용 후드캡(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몸체(10)의 선단부에는 상기 몸체(10) 내부로 돌출되는 걸림부(11)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끼워지면서 결합하는 상기 후드캡(1)의 플랜지부(1a)가 상기 걸림부(11)에 걸려 상기 후드캡(1)이 상기 몸체(10)의 전방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제어되며,
    상기 몸체(10)의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몸체(10)의 전방 외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면서 하향 경사지는 소정너비의 안내판(20)이 형성되어 상기 후드캡(1)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상기 안내판(20)에 의해 건물 벽체에 닿지 않으면서 지면방향으로 낙하하도록 안내되고, 상기 건물 벽체를 타고 올라오는 공기가 상기 후드캡(1)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판(20)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캡용 안내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20)의 상면에는 소정 깊이의 수용홈(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판(20)에 흐르는 물이 지면으로 떨어지기 전에 상기 수용홈(21)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캡용 안내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캡(1)의 플랜지부(1a) 외주연에는 적어도 2개의 고정돌기(1c)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내주연에는 상기 고정돌기(1c)에 대응하는 고정홈(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캡용 안내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22)은 상기 몸체(10)의 내주연 좌우측에 "ㄱ"자 또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1c)가 상기 고정홈(22)에 전후방향으로 끼워진 후 상기 몸체(1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홈(22)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몸체(10)가 상기 후드캡(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캡용 안내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20)의 선단부에는 일측부에 개방구(31)를 갖는 소정높이의 차단막(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캡용 안내구.
KR1020170059419A 2017-05-12 2017-05-12 후드캡용 안내구 KR102377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419A KR102377514B1 (ko) 2017-05-12 2017-05-12 후드캡용 안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419A KR102377514B1 (ko) 2017-05-12 2017-05-12 후드캡용 안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602A true KR20180124602A (ko) 2018-11-21
KR102377514B1 KR102377514B1 (ko) 2022-03-21

Family

ID=6460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419A KR102377514B1 (ko) 2017-05-12 2017-05-12 후드캡용 안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5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1748A (ja) * 2003-08-18 2005-03-10 Kanai:Kk 換気フード
JP2005249321A (ja) * 2004-03-05 2005-09-15 Unix:Kk 換気口カバー
KR20090005887U (ko) 2007-12-11 2009-06-16 강동원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
KR20160026428A (ko) * 2014-09-01 2016-03-09 최이선 벽면 오염방지용 환기구 물받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1748A (ja) * 2003-08-18 2005-03-10 Kanai:Kk 換気フード
JP2005249321A (ja) * 2004-03-05 2005-09-15 Unix:Kk 換気口カバー
KR20090005887U (ko) 2007-12-11 2009-06-16 강동원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
KR20160026428A (ko) * 2014-09-01 2016-03-09 최이선 벽면 오염방지용 환기구 물받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514B1 (ko) 202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4965B (zh) 换气扇用管道盖和管道组合
CN205431624U (zh) 鱼塘增氧机
KR101528028B1 (ko) 환기용 외부 후드캡
CN216479098U (zh) 一种外导流式防火止回阀
CN204963085U (zh) 通风组件
CN107560131B (zh) 一种风帽及通风系统
KR101558141B1 (ko) 작업성이 개선된 일체형 환기구 챔버.
KR20180124602A (ko) 후드캡용 안내구
KR20180130982A (ko) 편류 저감형 디퓨져
CN113864492A (zh) 一种外导流式防火止回阀
CN204963079U (zh) 智能通风组件
JP6473843B1 (ja) 換気口カバー
CN211671917U (zh) 一种自封闭、防倒风式禽舍屋顶通风器
KR200436421Y1 (ko) 건물 지붕용 환기장치
US1825245A (en) Ventilator hat for stoves
KR200444013Y1 (ko) 벤츄리 원리를 이용한 구조개선된 배기 환풍기
CN112128916A (zh) 新风系统用户外防雨帽及应用有该防雨帽的新风管道
KR102067180B1 (ko) 역풍방지용 후드캡
CN203718946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20130006393A (ko) 정압 보상형 지하주차장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
KR20190005664A (ko) 건축물용 후드 벤트
CN206771552U (zh) 壁挂式空调一体机
CN204902179U (zh) 一种落地式空调的引流结构
CN218133948U (zh) 一种实验室通风用风机风管组合结构
JP2006194455A (ja) 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