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982A - 편류 저감형 디퓨져 - Google Patents

편류 저감형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982A
KR20180130982A KR1020170067386A KR20170067386A KR20180130982A KR 20180130982 A KR20180130982 A KR 20180130982A KR 1020170067386 A KR1020170067386 A KR 1020170067386A KR 20170067386 A KR20170067386 A KR 20170067386A KR 20180130982 A KR20180130982 A KR 20180130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ffuser
duct
diffuser housing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5819B1 (ko
Inventor
윤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에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에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에어텍
Priority to KR1020170067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819B1/ko
Priority to PCT/KR2018/006008 priority patent/WO2018221901A1/ko
Publication of KR20180130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one or more bowls or cones diverging in the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편류 저감형 디퓨져를 제시하며, 냉방이나 난방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에 연결되어 온풍 또는 냉풍을 실내로 토출하는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 연결되는 연결관부와, 상기 연결관부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실내를 향해 연장되는 확관부를 갖는 디퓨져 하우징; 상기 디퓨져 하우징의 확관부에 구비되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디퓨져 하우징의 연결관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면서 상기 덕트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고, 상기 덕트에서 공급된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켜 상기 가이드부재로 공급하면서 토출공기의 편류를 저감시키는 편류저감댐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편류 저감형 디퓨져{DIFFUSER FOR REDUCING BIASED FLOW}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실내 공기의 조화를 위하여 온풍이나 냉풍을 실내로 토출하는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덕트에서 공급되는 공기에서 발생하는 편류를 저감시킴으로써 균일한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편류 저감형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의 건물에는 실내 공기의 쾌적화를 위하여 냉·난방과 강제 환기를 위한 공조 시스템이 구비되며, 실내공기의 토출장치인 디퓨져는 대부분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어 냉난방 및 환기를 위한 공기 이동로인 덕트의 입출구 역할을 한다.
디퓨져는 그 구조에 따라 실내 공기의 조절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나,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지 못하여 다른 장치 들에 비하여 그 발전이 매우 미미하였다.
통상적인 디퓨져는 덕트에 직선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절곡가능한 주름관을 통해 덕트에 연결되어 냉풍이나 온풍을 공급받게 된다.
이때, 덕트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진행방향에서 주름관으로 분기되어 공급되기 때문에 공기의 기류내에 불균형한 흐름인 편류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관련된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8235호에 제시된 공기조화용 디퓨져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의 디퓨져는 덕트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그대로 토출시키기 때문에 공기의 편류가 해소되지 않아서 균일한 토출이 이루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문헌의 디퓨져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일방향으로만 확산시키는 구조를 갖는 한계가 있다.
한편, 실내에서는 계절에 따라 찬공기가 밑으로 내려가고 더욱공기가 위로 올라가는 대류현상이 항시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의 디퓨져는 공기의 토출방향이 고정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계절에 따른 대류현상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선행기술문헌의 디퓨저는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구조만을 갖기 때문에 냉방에는 효과가 있다 하겠으나, 동절기에 토출되는 온풍이 실내공간의 하부로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상적인 디퓨져는 공기의 토출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덕트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기류 내에 발생하는 편류를 저감시켜 토출시킴으로써 온풍이나 냉풍의 균일한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편류 저감형 디퓨져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공기의 토출방향을 다르게 가이드함으로써 실내에서 발생하는 대류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편류 저감형 디퓨져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가 소통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실내의 조명등과 연동될 수 있는 편류 저감형 디퓨져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편류 저감형 디퓨져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방이나 난방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에 연결되어 온풍 또는 냉풍을 실내로 토출하는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 연결되는 연결관부와, 상기 연결관부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실내를 향해 연장되는 확관부를 갖는 디퓨져 하우징; 상기 디퓨져 하우징의 확관부에 구비되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디퓨져 하우징의 연결관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면서 상기 덕트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고, 상기 덕트에서 공급된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켜 상기 가이드부재로 공급하면서 토출공기의 편류를 저감시키는 편류저감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편류저감댐퍼를 구성하는 댐퍼날개가 덕트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면서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켜 공급함에 따라 와류에 의해 편류가 해소된 상태로 토출되므로 온풍이나 냉풍이 균일하게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이드부재를 구성하는 승강가이드판이 공기의 온도에 따라 승강하면서 고정 가이드링의 중심부를 개폐하므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토출방향이 가변되어 실내의 대류현상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흐름감지부재를 구성하는 압력감지구슬이 디퓨져 하우징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소통압력에 따라 소통압력관을 이동하므로 압력감지구슬의 위치확인을 통해 공기의 토출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편류 저감형 디퓨져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편류 저감형 디퓨져의 편류저감댐퍼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편류저감댐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편류 저감형 디퓨져의 가이드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편류 저감형 디퓨져의 공기흐름감지부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편류 저감형 디퓨져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류 저감형 디퓨져(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져 하우징(100), 가이드부재(200), 편류저감댐퍼(300), 공기분배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하우징(100)은 덕트(1)로 공급되는 온풍이나 냉풍을 실내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를 이루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관(2)과 같은 연결부재를 통해 덕트(1)와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받는다.
이러한 디퓨져 하우징(100)은 덕트(1)와 연결되는 연결관부(110)와, 실내로 연장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확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퓨져 하우징(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연결부재(130)에 의해 덕트(1)의 주름관(2)과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덕트연결부재(130)는 연결관부(110)의 단부에 돌출되어 주름관(2)의 내주면에 끼워져 밀착되는 슬림방지돌기(131)와, 연결관부(110)의 외주면에 끼워져 걸린 상태로 조임에 의해 내경이 축소되면서 연결관부(110)와 주름관(2)을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프(13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클램프(132)는 연결관부(110)에 분리가 방지된 상태로 결합되어 디퓨져 하우징(100)과 함께 운반되거나 보관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져 하우징(100)의 확관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토출방향을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200)는 고정 가이드 링(210)과 승강 가이드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 가이드 링(210)은 중심부에 소통공을 갖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확관부(120)와 동심을 이루며, 확관부(120)에 구비되는 미도시된 고정리브를 통해 확관부(120)의 전방에 고정배치된다.
이러한 고정 가이드링(210)은 확관부(12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하는 동시에 중심부의 내주면을 따라 가이드한다. 여기서, 고정 가이드링(210)은 후술되는 승강 가이드판(220)에 의해 중심부가 개폐된다.
승강 가이드판(220)은 고정 가이드링(210)의 중심부를 개폐하면서 공기의 토출방향을 온도에 따라 다르게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승강 가이드판(220)은 미도시된 고정리브에 고정되는 형상기억소재(221)에 연결되어 온도에 따라 승강하면서 고정 가이드링(210)의 중심부를 개폐할 수 있다.
즉, 형상기억소재(221)는 확관부(120)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면서 승강 가이드판(220)을 승강시킨다.
구체적으로, 형상기억소재(221)는 온풍이 토출될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풍의 고온에 의해 수축하며, 길이가 수축하면서 승강 가이드판(220)을 상승시킴으로써 고정 가이드링(210)의 중심부를 차폐한다.
이에 따라, 온풍은 고정 가이드링(210)의 외주면과 확관부(120)의 사이로만 토출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안내되어 하강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형상기억소재(221)는 냉풍이 토출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상태로 복원되며, 길이가 확장되면서 승강 가이드판(220)을 하강시킴으로써 고정 가이드링(210)의 중심부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냉풍은 고정 가이드링(210)의 외주면과 확관부(120)의 사이로 토출되는 동시에 고정 가이드링(210)의 내주면과 승강가이드판(220)의 외주면 사이로도 토출된다. 이때, 승강가이드판(220)은 고정 가이드링(210)의 중심으로 토출되는 냉풍을 수평방향으로 안내함으로써 확관부(120)로 토출되는 공기에 확산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편류저감댐퍼(300)는 디퓨져 하우징(100)을 구성하는 연결관부(110)의 유로를 개폐하면서 풍량 조절과 함께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켜 편류를 저감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편류저감댐퍼(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10) 및 댐퍼날개(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축(310)은 디퓨져 하우징(100)의 중심에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축(310)은 미도시된 고정리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수동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거나 모터(M)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댐퍼날개(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펴진상태로 연결관부(110)의 유로를 차폐하며, 회전축(310)의 회전에 의해 제각기 회전하여 수직상태로 세워지면서 연결관부(110)의 유로를 개방한다.
이러한 댐퍼날개(320)는 도 2에 발췌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만곡된 상태로 형성되어 만곡면을 따라 공기를 안내하면서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킨다.
즉, 덕트에서 공급된 공기는 방사상을 이루는 댐퍼날개(320)들의 사이로 공급되면서 댐퍼날개(320)의 만곡면에 의해 와류가 발생함에 따라 기류에 포함된 편류가 해소될 수 있다.
여기서, 댐퍼날개(320)들은 회전축(310)의 수평방향 회전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날개축(320a)에 의해 회전축(310)과 연결됨으로써 회전축(310)의 회전방향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펴지거나 수직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
예컨대, 회전축(310)은 도 2에 발췌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축(320a)과 베벨기어 방식으로 연결되어 댐퍼날개(3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분배판(400)은 편류저감댐퍼(300)에서 공급된 공기를 전술한 가이드부재(200)로 공급하면서 균일하게 분배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공기분배판(400)은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공(410)을 통해 공기를 소통시켜서 가이드부재(200)로 공기를 분배한다.
즉, 덕트(1)에서 공급된 공기는 편류저감댐퍼(300)를 거치면서 와류가 발생되어 편류가 저감되고, 공기분배판(410)의 다공을 통해 분배되면서 편류가 해소된 상태로 가이드부재(2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분배판(400)은 흡음기능을 갖도록 미세한 구멍이 형성된 섬유재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소음을 억제시킬 수도 있다.
한편, 편류저감댐퍼(300)와 인접된 디퓨져 하우징(100)의 내주면에는 흡음재가 부착되어 공기의 토출에 의한 소음을 억제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류 저감형 디퓨져(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흐름감지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기흐름감지부재(500)는 디퓨져 하우징(100)으로 소통되는 공기의 상태를 감지하여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편류저감댐퍼(300)의 폐쇄에 의해 공기가 소통되지 않는 상태, 덕트(1)에서 실내로 공기가 토출되는 상태 또는 실내공기가 덕트(1)로 유입되는 상태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컨대, 공기흐름감지부재(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통압력관(510), 압력감지구슬(520) 및 작동확인창(5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소통압력관(510)은 디퓨져 하우징(100)의 연결관부(110)에 연결되어 공기의 소통압력이 공급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편류저감댐퍼(300)가 개방되어 덕트(1)의 공기가 연결관부(110)로 소통될 경우에는 양압의 공기의 소통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실내의 공기가 환기를 위하여 연결관부(110)를 통해 덕트(1)로 소통될 경우에는 부압의 소통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소통압력관(5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차폐된 상태로 연결관부(110)에 연결되므로 연결관부(110)로 공기가 소통될 경우에는 내부에 부압 또는 양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소통압력관(5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하단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감지구슬(520)은 소통압력관(510)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며, 공기의 소통압력에 의해 소통압력관(510)을 따라 이동하면서 편류저감댐퍼(300)의 작동상태를 위치상으로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압력감지구슬(520)은 편류저감댐퍼(300)가 폐쇄된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소통압력관(510)의 하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편류저감댐퍼(300)가 개방되면서 덕트(1)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될 경우에는 소통압력관(510)에 발생하는 양압에 의해 디퓨져 하우징(100)에서 먼 방향으로 이동하며, 실내의 공기가 덕트(1)로 유입될 경우에는 소통압력관(510)에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디퓨져 하우징(100)에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된다.
즉, 압력감지구슬(520)은 공기의 소통방향에 따라 따라 소통압력관(510) 내에서 서로 다른 위치를 갖는다. 이러한 압력감지구슬(520)은 시인성을 갖는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확인창(530)은 압력감지구슬(520)의 위치를 투시 가능하게 노출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져 하우징(100)의 외곽에 형성되어 압력감지구슬(520)의 위치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작동확인창(530)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압력감지구슬(520)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소통압력관(510)에는 미도시된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압력감지구슬(520)의 위치에 따라 감지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디퓨져 하우징(100)의 외곽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600)이 설치되어 편류저감댐퍼(300)와 함께 연동될 수 있다.
편류저감댐퍼(300)는 조명등(600)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에 의해 함께 작동하면서 조명등(600)이 켜질 경우 개방되어 공기를 실내로 토출할 수 있다.
한편, 디퓨져 하우징(100)에는 실내공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650)가 설치되어 조명등(600)과 편류저감댐퍼(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실내공간에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되지8 않을 경우에는 조명등(600)과 편류저감댐퍼(300)가 자동으로 오프될 수 있다.
또한, 디퓨져 하우징(1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헤드(70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실내의 천장에는 일정간격으로 디퓨져(10)가 설치되어야 하며, 이와 함께 스프링클러헤드(700)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즉, 디퓨져 하우징(100)은 스프링클러헤드(70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이 구비되어 스프링클러헤드(700)의 설치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디퓨져와 스프링클러가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편류 저감형 디퓨져(10)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편류저감댐퍼(300)는 수동이나 모터(M)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실내로 덕트(1)의 온풍 또는 냉풍을 공급한다.
이때, 댐퍼날개(320)는 회전축(310)의 회전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제각기 회전하면서 유로를 개방하여 덕트(1)의 공기를 공급하며, 만곡면을 통해 공기를 안내함으로써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켜 가이드부재(200)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공기의 기류에 포함된 편류가 와류에 의해 저감된 상태로 공급된다.
공기분배판(400)은 편류저감댐퍼(300)에서 공급된 공기를 다공(410)을 통해 소통시켜 가이드부재(200)로 균일하게 분배하면서 편류를 저감시킨다.
덕트(1)에서 온풍이 공급될 경우, 승강 가이드판(220)은 형상기억소재(221)에 의해 상승하면서 고정 가이드링(210)의 중심부를 폐쇄하여 토출공기에 하강기류를 형성한다.
덕트(1)에서 냉풍이 공급될 경우, 승강 가이드판(220)은 형상기억소재(221)에 의해 하강하면서 고정 가이드링(210)의 중심부를 개방하여 토출공기에 확산기류를 형성한다.
한편, 압력감지구슬(520)은 편류저감댐퍼(300)가 개방되어 덕트(1)의 공기가 실내로 토출될 경우 디퓨져 본체(100)에서 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실내공기가 덕트(1)로 유입될 경우 디퓨져 본체(10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작동확인창(530)을 통해 압력감지구슬(520)의 위치를 확인하여 편류저감댐퍼(300)의 개방 및 공기의 소통방향을 인지하게 된다.
그리고, 압력감지구슬(520)은 편류저감댐퍼(300)가 폐쇄될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소통압력관(510)의 하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류 저감형 디퓨져(10)는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켜 공급함에 따라 와류에 의해 편류가 해소된 상태로 토출되므로 온풍이나 냉풍이 균일하게 실내로 토출될 수 있으며,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에 따라 토출방향이 가변되므로 실내공간의 대류현상을 극복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덕트
2 : 주름관
10 : 편류 저감형 디퓨져
100 : 디퓨져 하우징 110 : 연결관부
120 : 확관부 130 : 덕트연결부재
131 : 슬립방지돌기 132 : 클램프
200 : 가이드부재 210 : 고정 가이드링
220 : 승강가이드판 221 : 형상기억소재
300 : 편류저감댐퍼 310 : 회전축
320 : 댐퍼날개 320a : 날개축
400 : 공기분배판 410 : 다공
500 : 공기흐름감지부재 510 : 소통압력관
520 : 압력감지구슬 530 : 작동확인창
600 : 조명등 650 : 움직임 감지센서
700 : 스프링클러헤드

Claims (8)

  1. 냉방이나 난방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에 연결되어 온풍 또는 냉풍을 실내로 토출하는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 연결되는 연결관부와, 상기 연결관부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실내를 향해 연장되는 확관부를 갖는 디퓨져 하우징;
    상기 디퓨져 하우징의 확관부에 구비되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디퓨져 하우징의 연결관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면서 상기 덕트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고, 상기 덕트에서 공급된 공기에 와류를 발생시켜 상기 가이드부재로 공급하면서 토출공기의 편류를 저감시키는 편류저감댐퍼를 포함하는 편류 저감형 디퓨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류저감댐퍼는,
    상기 연결관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회전축; 및
    복수를 이루면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제각기 수평상태로 펴지면서 상기 연결관부의 유로를 차폐하거나 수직상태로 제각기 세워지면서 상기 연결관부의 유로를 개방하는 댐퍼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날개는,
    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만곡되어 만곡면을 따라 공기를 안내하면서 와류를 발생시키는 편류 저감형 디퓨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류저감댐퍼와 하부에 설치되고, 표면에 복수의 다공이 형성되어 상기 편류저감댐퍼에서 공급된 공기를 복수의 다공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로 분배하는 공기분배판을 더 포함하는 편류 저감형 디퓨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확관부와 동심을 이루면서 상기 확관부의 전방에 고정되고, 링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확관부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외주면 및 내주면을 따라 안내하는 고정 가이드링; 및
    상기 고정 가이드링의 중심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승에 의해 상기 고정 가이드링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고정 가이드링의 중심부를 차폐하며, 하강에 의해 상기 고정 가이드링의 내주면과 이격되면서 상기 고정 가이드링의 중심부를 개방하는 승강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편류 저감형 디퓨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판은,
    온도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기억소재에 의해 상기 고정 가이드링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온도에 따라 승강하는 편류 저감형 디퓨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디퓨져 하우징으로 소통되는 공기의 상태를 감지하여 제공하는 공기흐름감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편류 저감형 디퓨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공기흐름감지부재는,
    원호형을 이루는 관체로 형성되어 상기 디퓨져 하우징의 연결되고, 상기 디퓨져 하우징으로 소통되는 공기의 방향에 따라 양압이나 부압의 소통압력이 공급되는 소통압력관;
    상기 소통압력관에 이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소통압력관의 하단부로 이동하고, 상기 소통압력관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소통압력에 따라 상기 디퓨져 하우징 측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디퓨져 하우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압력감지구슬; 및
    상기 디퓨져 하우징의 외곽에 형성되어 상기 압력구슬의 위치를 투시가능하게 노출시키는 작동확인창을 포함하는 편류 저감형 디퓨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편류저감댐퍼의 작동에 의해 연동하는 조명등을 더 포함하는 편류 저감형 디퓨져.
KR1020170067386A 2017-05-31 2017-05-31 편류 저감형 디퓨져 KR102235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386A KR102235819B1 (ko) 2017-05-31 2017-05-31 편류 저감형 디퓨져
PCT/KR2018/006008 WO2018221901A1 (ko) 2017-05-31 2018-05-28 공기 균등 토출을 위한 디퓨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386A KR102235819B1 (ko) 2017-05-31 2017-05-31 편류 저감형 디퓨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982A true KR20180130982A (ko) 2018-12-10
KR102235819B1 KR102235819B1 (ko) 2021-04-13

Family

ID=64455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386A KR102235819B1 (ko) 2017-05-31 2017-05-31 편류 저감형 디퓨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5819B1 (ko)
WO (1) WO201822190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935B1 (ko) * 2019-01-17 2019-10-07 김봉교 디퓨져를 구비한 강화 유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233657B1 (ko) 2020-03-27 2021-03-30 주식회사 알토 일체형 공조 및 조명장치
KR20210082863A (ko) 2019-12-26 2021-07-06 주식회사 알토 공조 및 조명 일체형 등기구 유닛
KR20230122194A (ko) * 2022-02-14 2023-08-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디퓨저 일체형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13910B (zh) * 2021-11-24 2023-09-26 广西民族大学 一种暖通空调的混合空气分配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3644A (ja) * 1997-12-11 1999-07-02 Mitsubishi Heavy Ind Ltd 空調設備
KR200322908Y1 (ko) * 2003-05-27 2003-08-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벤츄리관과 형상기억합금 코일을 이용한 공조용 디퓨져
KR100555213B1 (ko) * 2004-10-19 2006-03-07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내부격자가 자동으로 승하강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120005436U (ko) * 2011-01-19 2012-07-27 김송이 엘이디조명등부 브이에이브이 전동디퓨저
KR101520040B1 (ko) * 2013-12-31 2015-05-14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공기조화기의 하이브리드 디퓨저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39133A1 (en) * 2002-01-03 2003-07-24 Hardy Thomas Ray Floor air diffuser system
KR100767022B1 (ko) * 2007-08-29 2007-10-15 삼보설비엔지니어링(주) 공기조화용 디퓨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3644A (ja) * 1997-12-11 1999-07-02 Mitsubishi Heavy Ind Ltd 空調設備
KR200322908Y1 (ko) * 2003-05-27 2003-08-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벤츄리관과 형상기억합금 코일을 이용한 공조용 디퓨져
KR100555213B1 (ko) * 2004-10-19 2006-03-07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내부격자가 자동으로 승하강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120005436U (ko) * 2011-01-19 2012-07-27 김송이 엘이디조명등부 브이에이브이 전동디퓨저
KR101520040B1 (ko) * 2013-12-31 2015-05-14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공기조화기의 하이브리드 디퓨저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935B1 (ko) * 2019-01-17 2019-10-07 김봉교 디퓨져를 구비한 강화 유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210082863A (ko) 2019-12-26 2021-07-06 주식회사 알토 공조 및 조명 일체형 등기구 유닛
KR102233657B1 (ko) 2020-03-27 2021-03-30 주식회사 알토 일체형 공조 및 조명장치
KR20230122194A (ko) * 2022-02-14 2023-08-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디퓨저 일체형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21901A1 (ko) 2018-12-06
KR102235819B1 (ko)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0982A (ko) 편류 저감형 디퓨져
US5938527A (en) Air ventilation or air supply system
WO2017107820A1 (zh) 空调室内机
KR102257588B1 (ko) 환기구용 디퓨저 필터장치
WO2017166935A1 (zh) 空调室内机
KR100957122B1 (ko) 환기덕트의 디퓨저
CN105546690B (zh) 空调室内机
EP3901533A1 (en) Compact forced ventilation system
KR101193222B1 (ko) 환기 시스템
KR101201894B1 (ko) 실내 주차장용 환기팬
JP5080626B2 (ja) 変風量吹出装置
CN207146847U (zh) 壁挂式室内机及空调器
KR101669254B1 (ko)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JP4942619B2 (ja) 吹出口装置
JP2010107054A (ja) 空気調和機
AU2015316169B2 (en) Diffuser module
KR100729801B1 (ko) 바닥용 디퓨져
CN203258626U (zh) 具隐藏式风扇的灯座结构
KR101955620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저
KR20100132685A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150030818A (ko)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인테이크 시스템
JP3752030B2 (ja) 空調空気床吹き出し装置
CN210619945U (zh) 一种民用电梯轿厢
KR20220108324A (ko) 댐퍼를 갖는 세대 환기 배기 디퓨저
JP2019190743A (ja) 床吹出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