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2685A - 공기조화용 디퓨져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용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2685A
KR20100132685A KR1020090051406A KR20090051406A KR20100132685A KR 20100132685 A KR20100132685 A KR 20100132685A KR 1020090051406 A KR1020090051406 A KR 1020090051406A KR 20090051406 A KR20090051406 A KR 20090051406A KR 20100132685 A KR20100132685 A KR 20100132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body
fixed
air
rotatable
ai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제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제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제이티
Priority to KR1020090051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2685A/ko
Publication of KR20100132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선에서는 공기 유동량의 변화에도 동일한 형태로 보일 수 있어 실내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설치가 편리하며, 공기의 환기를 원활히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공기조화용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며 사각 형태의 제1공기 유통구가 서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형 원통체, 상기 고정형 원통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가면서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의 외측 풍향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천장에 고정 마련되기 위한 고정 몸체 ;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며 사각 형태의 제2공기 유통구가 서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회전형 원통체, 상기 회전형 원통체의 하부에서 상부로 형성되되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가면서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를 가지되 상기 회전형 원통체의 하부을 폐쇄시키도록 마련되는 내측 풍향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형 원통체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고정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 몸체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 몸체의 내부 공기는 상기 제2공기 유통구 및 상기 제1공기 유통구를 통하여 외부와 유동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몸체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제2공기 유통구가 상기 제1공기 유통구에 오버랩되는 정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용 디퓨져{Diffuser for Air Ventilation}
본 발명은 환기시스템에 사용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파트와 같은 건물 천장에 설치되어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공기의 환기를 원활히 할 수 있으며, 설치가 편리하며, 아울러 사용자의 시선에서는 공기 유동량의 변화에도 동일한 형태로 보일 수 있어 미관을 해치지 않는 공기조화용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용 디퓨져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때 건물 내부에 마련된 환기시스템의 단부, 즉 급기구 내지 배기구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의 공기를 실내에 확산시키거나 혹은 넓은 공간에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용 디퓨져는 기본적으로 그 열림 정도를 조절하여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용 디퓨져는 그 열림 정도를 조절하게 되면 그 회전된 부위가 하부로 돌출되거나 상부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하나의 실내공간 천장에 다수의 공기조화용 디퓨져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디퓨져마다 그 열림 정도가 다르면 디퓨져의 하부의 돌출 높이가 서로 달라 실내 미관을 해치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0-0767022호 "공기조화용 디퓨져"가 제안된 바 있으며, 상기 종래 기술은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것으로 본다.
상기 종래 기술은 하부패널의 높이가 변화되지 않는 상태에서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열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그 조립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시선에서는 공기 유동량의 변화에도 동일한 형태로 보일 수 있어 실내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설치가 편리하며, 공기의 환기를 원활히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공기조화용 디퓨져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조화용 디퓨져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며 사각 형태의 제1공기 유통구가 서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형 원통체, 상기 고정형 원통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가면서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의 외측 풍향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천장에 고정 마련되기 위한 고정 몸체 ;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며 사각 형태의 제2공기 유통구가 서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회전형 원통체, 상기 회전형 원통체의 하부에서 상부로 형성되되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가면서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를 가지되 상기 회전형 원통체의 하부을 폐쇄시키도록 마련되는 내측 풍향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형 원통체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고정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 몸체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 몸체의 내부 공기는 상기 제2공기 유통구 및 상기 제1공 기 유통구를 통하여 외부와 유동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몸체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제2공기 유통구가 상기 제1공기 유통구에 오버랩되는 정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원통체는 상기 고정형 원통체의 내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가 상기 고정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회전형 원통체의 상단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형 원통체의 상단에 지지되는 상부 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형 원통체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형 원통체의 하단에 지지되는 하부 지지턱이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가 상기 고정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회전형 원통체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형 원통체의 하단에 지지되는 하부 지지턱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형 원통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수평 지지바와 상하방향의 중공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수평 지지바와 연결되는 센터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 풍향 가이드의 상부 중심으로부터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센터부재의 중공을 삽통하는 수직연장 원형바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연장 원형바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센터부재에 지지되는 고정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선에서는 공기 유동량의 변화에도 동일 한 형태로 보일 수 있어 실내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설치가 편리하며, 공기의 환기를 원활히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공기조화용 디퓨져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와 구성요소가 서로 고정결합되는 기술에 대하여는 고정되어 있다고만 표현할 뿐 그 상세 기술은 별도로 설명하지 않았다. 이러한 구성요소와 구성요소를 고정 결합시키는 기술은 접착제를 통한 접착은 물론이며, 압입, 볼팅 등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에 의거하여 그 구체적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대응하는 단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대응하는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A-A선을 기준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6은 제1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5의 변화 상태도이다.
본 실시예는 크게 고정 몸체(100)와 회전 몸체(200)로 이루어진다.
고정 몸체(100)는 천장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부위이며, 회전 몸체(200)는 고정 몸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위이다.
본 실시예의 고정 몸체(100)는 크게 상부 연결관(130)과 고정형 원통체(110)와 외측 풍향 가이드(120)로 이루어진다.
고정형 원통체(110)와 외측 풍향 가이드(12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연결관(130)에 고정 결합된다.
상부 연결관(130)은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형 원통체(110)와 별개로 제작된 후 고정 결합된다.
고정형 원통체(11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태이다.
고정형 원통체(110)는 그 주면을 따라 사각 형태의 제1공기 유통구(111)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제1공기 유통구(111)는 서로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는 6개의 제1공기 유통구(111)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외측 풍향 가이드(120)는 고정형 원통체(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설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가면서 직경이 확장되는 원뿔대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외측 풍향 가이드(120)는 제1공기 유통구(111)를 빠져나온 공기를 방사상 및 하부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외측 풍향 가이드(120)의 하단부에는 그 상면이 천장마감재와 접하여 스토퍼 역할을 하는 플랜지(1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몸체(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고정 몸체(100)에 지지되며 회전되는 부위이다.
회전 몸체(200)는 회전형 원통체(210)와 내측 풍향 가이드(220)와 하부 차단판(230)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형 원통체(210)와 내측 풍향 가이드(22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며,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일체로 제작된 후 하부 차단판(230)에 조립된다.
회전형 원통체(2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태이다.
회전형 원통체(210)는 그 주면을 따라 사각 형태의 제2공기 유통구(211)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제2공기 유통구(211)는 서로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는 6개의 제2공기 유통구(211)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제2공기 유통구(211)의 개수는 제1공기 유통구(111)의 개수와 동일하다.
아울러 회전형 원통체(210)는 고정형 원통체(110)의 내측에 마련된다.
회전형 원통체(210)에서 제2공기 유통구(211)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위는 개방되지 않은 부위이다.
내측 풍향 가이드(210)는 회전형 원통체(210)의 하단부에서 상부로 연설되되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가면서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내측 풍향 가이드(210)는 고정 몸체(100) 하부로 내려온 공기를 제2공기 유통구(211)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회전형 원통체(210)의 상부는 개방되는 반면 그 하부는 내측 풍향 가이드(210)에 의하여 폐쇄된다.
이와 같은 회전형 원통체(210)를 포함한 회전 몸체(200)를 고정 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한다.
회전형 원통체(210)는 고정형 원통체(110)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 몸체(100)에 지지된다.
회전형 원통체(210)의 상단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상부 지지턱(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지지턱(212)은 고정형 원통체(110)의 상단에 지지된다.
아울러 회전형 원통체(210)의 하단에 회전형 원통체(2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하부 차단판(230)이 고정 결합된다.
하부 차단판(230)은 고정형 원통체(11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하부 차단판(230)에서 회전형 원통체(210)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부위는 하부 지지턱(213)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상부 지지턱(212)과 하부 차단판(230)을 가진 회전 몸체(200)는 고정형 원통체(110)의 상하단에 각각 걸리게 되는 구조를 가지며, 아울러 고정형 원통체(110)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하부 차단판(230)은 내측 풍향 가이드(220)의 하부 구조를 시선으로부터 차폐하기 위한 역할도 함께 하며, 하부 차단판(230)의 하면에는 실내 장식을 위한 그림이나 도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실시예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고정형 원통체(110)에 회전형 원통체(210)를 장착하며 아울러 회전형 원통체(210)의 하단에 하부 차단판(230)를 고정 결합한다. 이에 의하여 고정형 원통체(110)로부터 회전형 원통체(210)가 상하 방향으로 이탈될 수 없는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형 원통체(110)를 상부 연결관(130)에 고정 결합하면 본 공기조화용 디퓨져가 완성된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용 디퓨져에서 그 열림 정도를 조작하는 것은 매우 용이하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몸체(200)를 회전시키면 제2공기 유통구(211)와 제1공기 유통구(111)가 오버랩되는 정도가 변경될 수 있다.
제2공기 유통구(211)가 제1공기 유통구(111)에 오버랩되는 정도가 최대가 되면 공기 유통량이 최대이며, 제2공기 유통구(211)가 제1공기 유통구(111)에 전혀 오버랩되지 않으면 공기 유통량이 최소가 된다.
아울러 본 장치가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때의 공기 유동을 설명한다.
환기덕트 등을 통하여 고정 몸체(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먼저 내측 풍향 가이드(220)를 만나면서 방사상 방향으로 그 풍향이 변화되고, 이후 제2공기 유통구(211) 및 제1공기 유통구(111)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며,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외측 풍향 가이드(120)와 만나면서 하부 및 방사상으로 확산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에 따라 그 구체적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 대응하는 단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대응하는 단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7의 B-B선을 기준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12는 제2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11의 변화 상태도이다.
본 실시예 또한 고정 몸체(100)와 회전 몸체(200)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고정 몸체(100)는 고정형 원통체(110)와 외측 풍향 가이드(120)로 이루어진다.
다만 고정형 원통체(110)는 상부로 길게 연설된다.
고정형 원통체(110)의 내주면 상부에는 다수의 수평지지바(112)가 내측으로 연장되어 중앙의 센터부재(113)까지 형성된다.
센터부재(113)는 상하방향의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회전 몸체(200)는 회전형 원통체(210)와 내측 풍향 가이드(220)로 이루어진다.
다만 회전 몸체(200)의 하단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고정형 원통체(110)의 하단에 지지되는 하부 지지턱(213)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내측 풍향 가이드(220)의 상부 중심에는 수직연장 원형바(221)가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아울러 수직연장 원형바(221)의 상단에는 고정캡(222)이 고정 결합되어 있다.
아울러 회전 몸체(200)의 하단에는 원형의 차폐용 시트(240)가 부착되어 있다.
차폐용 시트(240)는 내측 풍향 가이드(220)의 하부 구조를 시선으로부터 차 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회전형 원통체(210)를 고정형 원통체(110)에 장착시키되 수직연장 원형바(221)가 센터부재(113)의 중공을 지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수직연장 원형바(221)의 상단에 고정캡(222)을 고정결합시킨다.
따라서 고정캡의 하면과 센터부재(113) 상면간의 간섭구조와 하부 지지턱(213)의 상면과 고정형 원통체(110) 하면간의 간섭 구조로 인하여 회전 몸체(200)는 고정 몸체(10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탈될 수 없으며 또한 회전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내지 조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환기시스템에 사용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의 조립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대응하는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대응하는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A선을 기준으로 바라본 단면도,
도 6은 제1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5의 변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조립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분리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대응하는 단면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대응하는 단면 사시도,
도 11은 도 7의 B-B선을 기준으로 바라본 단면도,
도 12는 제2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11의 변화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고정 몸체 110 : 고정형 원통체
111 : 제1공기 유통구 120 : 외측 풍향 가이드
200 : 회전 몸체 210 : 회전형 원통체
211 : 제2공기 유통구 220 : 내측 풍향 가이드

Claims (4)

  1.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며 사각 형태의 제1공기 유통구가 서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고정형 원통체, 상기 고정형 원통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가면서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의 외측 풍향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천장에 고정 마련되기 위한 고정 몸체 ;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며 사각 형태의 제2공기 유통구가 서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회전형 원통체, 상기 회전형 원통체의 하부에서 상부로 형성되되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가면서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를 가지되 상기 회전형 원통체의 하부을 폐쇄시키도록 마련되는 내측 풍향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형 원통체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고정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 몸체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 몸체의 내부 공기는 상기 제2공기 유통구 및 상기 제1공기 유통구를 통하여 외부와 유동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몸체의 회전 조작에 따라 상기 제2공기 유통구가 상기 제1공기 유통구에 오버랩되는 정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원통체는 상기 고정형 원통체의 내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가 상기 고정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회전형 원통체의 상단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형 원통체의 상단에 지지되는 상부 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형 원통체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형 원통체의 하단에 지지되는 하부 지지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가 상기 고정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회전형 원통체의 하단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형 원통체의 하단에 지지되는 하부 지지턱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형 원통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수평 지지바와 상하방향의 중공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수평 지지바와 연결되는 센터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 풍향 가이드의 상부 중심으로부터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센터부재의 중공을 삽통하는 수직연장 원형바가 형 성되며, 상기 수직연장 원형바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센터부재에 지지되는 고정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KR1020090051406A 2009-06-10 2009-06-10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100132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406A KR20100132685A (ko) 2009-06-10 2009-06-10 공기조화용 디퓨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406A KR20100132685A (ko) 2009-06-10 2009-06-10 공기조화용 디퓨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685A true KR20100132685A (ko) 2010-12-20

Family

ID=43508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406A KR20100132685A (ko) 2009-06-10 2009-06-10 공기조화용 디퓨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26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81809C2 (ru) * 2017-05-29 2019-03-1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РКТОС" Диффузор индустриальный
CN113566287A (zh) * 2021-07-30 2021-10-29 美的集团武汉暖通设备有限公司 天花机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81809C2 (ru) * 2017-05-29 2019-03-1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РКТОС" Диффузор индустриальный
CN113566287A (zh) * 2021-07-30 2021-10-29 美的集团武汉暖通设备有限公司 天花机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82505A1 (en) Air diffuser for high velocity hvac systems
US5238452A (en) Personalized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957122B1 (ko) 환기덕트의 디퓨저
KR100979981B1 (ko) 환기량 조절용 디퓨져
CN107830585A (zh) 天花机
KR102235819B1 (ko) 편류 저감형 디퓨져
KR20170111318A (ko)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KR20100132685A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JP4942619B2 (ja) 吹出口装置
JP6381276B2 (ja) 吹出口装置
CN109209946B (zh) 一种风扇
KR101522498B1 (ko) 실내바닥용 디퓨저
KR102285819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207688256U (zh) 天花机
WO2018235947A1 (ja) 空調室内機
AU2015316169B2 (en) Diffuser module
KR102305642B1 (ko)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KR100729801B1 (ko) 바닥용 디퓨져
KR102354742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JP3783322B2 (ja) 空調用床吹出口
CN219756494U (zh) 出风结构及取暖器
KR102468857B1 (ko) 댐퍼를 갖는 급기 디퓨저
KR102363593B1 (ko) 공조 및 조명 일체형 등기구 유닛
CN207438741U (zh) 天花机
US11326792B2 (en) Grille attachment system for a ventil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