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104B1 - 환기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환기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104B1
KR101408104B1 KR1020130005486A KR20130005486A KR101408104B1 KR 101408104 B1 KR101408104 B1 KR 101408104B1 KR 1020130005486 A KR1020130005486 A KR 1020130005486A KR 20130005486 A KR20130005486 A KR 20130005486A KR 101408104 B1 KR101408104 B1 KR 101408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ealing
groove
present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업
Original Assignee
박태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업 filed Critical 박태업
Priority to KR1020130005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기류를 배기함에 필요한 환기구의 설치를 안정화하고, 간단한 외부 하우징의 교환으로 건물벽의 두께에 맞도록 환기구를 설치구조를 조절함이 가능하고, 외부로 부터 빗물의 유입이 차단되고, 차단구조외에도 2차적으로 유입수를 가둠과 동시에 배출되는 구조를 구현한 환기구 고정장치로서,
선후단이 개구된 원통형 선단측 내연부에 걸림홈(203),실링홈(202)를 형성한 연부(201)를 이루고, 후단측은 덕트공(30)에 걸리는 걸림연부(204)를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20)과; 외부 하우징(20)의 걸림홈(203)에 걸리는 걸림턱(211)을 구비하고, 그 중간에 배수공(213)을 형성한 플랜지(214)를 선단연부에 형성한 내부 하우징(21)과; 내부 하우징(21)의 하반부를 밀폐하여 지지하는 실링홈(222)을 형성한 플랜지형 지지부재(22); 및 실링홈(202)(222)에 각각 삽입되는 링형 실링부재(23)(223)들을 포함하는 환기구 고정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Description

환기구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air conditioning ventilater}
본 발명은 실내기류를 배기함에 필요한 환기구의 설치를 안정화하고, 간단한 외부 하우징의 교환으로 건물벽의 두께에 맞도록 환기구를 설치구조를 조절함이 가능하고, 외부로 부터 빗물의 유입이 차단되고, 차단구조외에도 2차적으로 유입수를 가둠과 동시에 배출되는 구조를 구현한 환기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알려진 환기구의 설치방법은 건물의 주방에 형성된 덕트공에 설치되어 왔다. 이러한 실내기류가 안내되는 환기수단들은 대부분 외부 기류의 기류흐름에 의하여 실내기류가 배기되는 구조이고, 이러한 환기구 대부분의 덕트공 설치방법은 외부에서 삽입 설치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환기구의 덕트공 고정수단에서 중요한 것은 환기구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하는 것외에도 외부에서 내측으로 유입수의 차단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기류를 배기함에 필요한 환기구의 설치를 안정화시키고,
아울러 본 발명은 간단한 외부 하우징의 교환으로 건물벽의 두께에 맞도록 환기구를 설치구조를 조절함이 가능하고, 특히, 외부로 부터 빗물의 유입이 차단되고, 차단구조외에도 2차적으로 유입수를 가둠과 동시에 배출되는 구조를 구현한 환기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환기구 고정장치는,
선후단이 개구된 원통형 선단측 내연부에 걸림홈,실링홈을 형성한 연부를 이루고, 후단측은 덕트공에 걸리는 걸림연부를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의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턱을 구비한 플랜지를 선단연부에 형성한 내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의 하반부를 밀폐하여 지지하는 실링홈을 형성한 플랜지형 지지부재; 및 실링홈들에 각각 삽입되는 링형 실링부재들을 포함하는 환기구 고정장치로서 달성된다.
본 발명은 실내기류를 배기함에 필요한 환기구의 설치구조를 조립식 받침구조로 안정화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은 외부 하우징의 간단한 교환으로 건물벽의 두께에 맞도록 환기구를 조절,설치함이 가능하게 한 효과가 크다.
특히, 본 발명은 외부로 부터 빗물의 유입이 차단되고, 이 차단구조로서 2차적인 유입수 발생시 이를 소정의 플랜지와 지지부재 사이에 가둠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가두어진 유입수의 배출이 이루어져 실내로의 유입수의 완전한 차단을 구현한 환기구 고정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 환기구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환기구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a,3b,3c는 본 발명 환기구 고정장치의 요부 발췌사시도들이고,
도 4는 본 발명 환기구 고정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며,
도 5a,5b는 본 발명 환기구 고정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 환기구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도 2는 본 발명 환기구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a,3b,3c는 본 발명 환기구 고정장치의 요부 발췌사시도들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환기구 고정장치는 크게 외부 하우징(20)와, 내부 하우징(21)와, 지지부재(22),실링부재(23)(223)으로 이루어진다.
외부 하우징(20)은 선후단이 개구된 원통형 선단측 내연부에 걸림홈(203),실링홈(202)를 형성한 연부(201)를 이루고, 후단측은 덕트공(30)에 걸리는 걸림연부(204)를 형성한다.
내부 하우징(21)은 원통체의 일측 선단은 외부 하우징(20)의 걸림홈(203)에 걸리는 걸림턱(211)을 구비한 플랜지(214)를 연장,형성하고, 이 플랜지(214)를 제외한 나머지는 원통을 이룬다. 플랜지(214)에는 배수공(213)을 형성하여 내측에서 발생된 습기의 자연스런 배출이 이루어진다.
지지부재(22)는 내부 하우징(21)의 하반부를 밀폐하여 지지하는 실링홈(222)을 형성한 플랜지형을 이룬다.
배수공(213)의 형성으로 플랜지(214)와 지지부재(22)사이에 누수된 유입수가 고인 경우 자연스런 배수가 이루어진다.
지지부재(22)나 플랜지(214)의 폭은 좁거나 넓게 조절이 자유로우므로 도시한 것 보다 작은 반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외부 하우징(20)과 지지부재(22)의 실링홈(202)(222)에는 각각 링형 실링부재(23)(223)들을 개재,삽입한다.
첨부 도면중 도 4는 본 발명 환기구 고정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며,도 5a,5b는 본 발명 환기구 고정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 환기구 고정장치의 설치,시공은 환기구(1)를 본 발명 고정장치(2)에 결합한 뒤 덕트공(30)에 내측에서 삽입하여 설치,고정한다.
즉, 외부 하우징(20)을 덕트공(30)에 삽입된 외부 하우징(20)의 실링홈(202)에 실링부재(23)을 삽입시켜 둔다.
이후 기 조립된 환기구(1)를 내부 하우징(21)의 선단측 개구부에 삽입, 지지한 뒤 이 내부 하우징(21)의 플랜지(214)의 걸림턱(211)을 걸림홈(203)에 걸리도록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지지부재(22)의 실링홈(222)에 실링부재(223)을 삽입시킨 후 1차 설치된 내부 하우징(21)의 후방에서 삽입하여 그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지한다. 이후 내부 하우징(21)의 후단에 훌렉시블 통체(40)를 삽입하여 주방등의 매연등을 외부로 환기하게 된다. 지지부재(22)의 삽입이 끝나 환기구(1)의 고정이 완료되면 도면중 도 4에 도시되고 도 5a,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서 발생하는 주방등에서의 매연이 환기되는 것이다. 이때 실외에서 침투되는 유입수는 실링부재(23)(233)들의 2차적 차단으로 완전하게 그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그래도 침투된 유입수는 플랜지(214)와 지지부재(22)사이에 갇혀 있다가 배수공(213)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1: 환기구, 2:고정장치, 20:외부 하우징,201: 201:연부,202:걸림홈,203:실링홈, 21:내부 하우징, 211:걸림턱, 212:벽부, 213:배수공, 214:플랜지, 22:지지부재, 222:실링홈, 23:실링부재, 30:덕트공, 40:훌렉시블 통체,

Claims (1)

  1. 환기구 고정장치에 있어서,
    선후단이 개구된 원통형 선단측 내연부에 걸림홈(203),실링홈(202)를 형성한 연부(201)를 이루고, 후단측은 덕트공(30)에 걸리는 걸림연부(204)를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20);
    외부 하우징(20)의 걸림홈(203)에 걸리는 걸림턱(211)을 구비하고, 그 중간에 배수공(213)을 형성한 플랜지(214)를 선단연부에 형성한 내부 하우징(21);
    내부 하우징(21)의 하반부를 밀폐하여 지지하는 실링홈(222)을 형성한 플랜지형 지지부재(22); 및
    실링홈(202)(222)에 각각 삽입되는 링형 실링부재(23)(223)들을 포함하는 환기구 고정장치.
KR1020130005486A 2013-01-17 2013-01-17 환기구 고정장치 KR101408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486A KR101408104B1 (ko) 2013-01-17 2013-01-17 환기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486A KR101408104B1 (ko) 2013-01-17 2013-01-17 환기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8104B1 true KR101408104B1 (ko) 2014-06-19

Family

ID=51133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486A KR101408104B1 (ko) 2013-01-17 2013-01-17 환기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1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016U (ko) * 1989-10-05 1991-05-28
KR20080075650A (ko) * 2007-02-13 2008-08-19 임상훈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016U (ko) * 1989-10-05 1991-05-28
KR20080075650A (ko) * 2007-02-13 2008-08-19 임상훈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690B1 (ko) 차량용 에어 익스트랙터 그릴
DK1146283T3 (da) Indretning til belysning af rum i bygninger
KR100957122B1 (ko) 환기덕트의 디퓨저
JP5315832B2 (ja) 外壁端末換気口
KR101347806B1 (ko) 문에 구비된 환기장치
KR101408104B1 (ko) 환기구 고정장치
KR102039834B1 (ko) 환기량 조절이 용이한 무타공 방식의 창호용 환기장치
KR20220029334A (ko) 방향성이 개선된 환기용 후드캡
JP2009162451A (ja) 通気口構造
US11231191B2 (en) Automatic foundation vent plug with manual override
KR20110009419U (ko) 건물 벽체용 후드 캡
GB2467109A (en) Method of installing a duct from inside a room
KR20200061471A (ko) 직배기용 환기캡
KR20090005887U (ko)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
JP5907807B2 (ja) ダクト用換気扇
RU147635U1 (ru) Клапан для вентиляции труб
KR101559119B1 (ko) 자동 역류 환기장치
JP2007147164A (ja) 排気フード
KR101507367B1 (ko) 다수개의 공기유동량 조절부가 구비된 공기조화용 댐퍼 디퓨저
KR200452110Y1 (ko) 다분지 배기팬의 풍량조절 장치
KR101954419B1 (ko) 직배기용 역풍방지 환기캡
CN204460584U (zh) 通风系统
CA2918647C (en) Throttled direct vent termination
KR200385590Y1 (ko) 창문 자연환기 장치
KR940007853Y1 (ko) 정풍량 배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