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471A - 직배기용 환기캡 - Google Patents

직배기용 환기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471A
KR20200061471A KR1020180146589A KR20180146589A KR20200061471A KR 20200061471 A KR20200061471 A KR 20200061471A KR 1020180146589 A KR1020180146589 A KR 1020180146589A KR 20180146589 A KR20180146589 A KR 20180146589A KR 20200061471 A KR20200061471 A KR 20200061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hole
ventilation
cap
direct exhaus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3650B1 (ko
Inventor
양정훈
천창현
김영환
이상헌
손유라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6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65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ins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r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용 외부 캡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실내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환기공; 상기 환기공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환기공과 실내 환기구를 결합하는 결합관; 상기 환기공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환기공과의 사이 간격에 배기공간을 형성하는 이중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배기용 환기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배기용 환기캡 {VENTILATOR CAP FOR DIRECT SUPPLY}
본 발명은 환기용 외부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구 정면에 설치되는 곡면 판부가 구비되고, 환기공의 외부에는 이중관을 설치하여 외부 맞바람과 외부 기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기가 이루어지는 직배기용 환기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배기시스템은 공동주택 건축물 내에 욕실, 주방 및 거실에 대하여 각각 하층에서부터 옥상까지 수직 연통되는 에어 덕트를 설치하고, 이 덕트의 선단부에 장치된 무동력 팬의 바람에 의한 구종에 의해 배기되도록 하는 입상덕트 방식으로 되어 있었다.
다만, 최근에는 전술한 입상덕트 방식의 연돌효과와 건축 공사비 증가 등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직접 배기하는 시스템이 증가하고 있다. 직배기 방식의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환기구 장치가 외풍과 외부 기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작동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환기캡의 설치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환기용 외부 캡은 환기구에 외부로부터 모기 등의 해충이 출입하거나 빗물의 유입하는 것 등을 방지하여, 환기구의 원활한 환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환기용 외부캡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외부 바람에 의해 이물질이나 빗방울이 역류하는 등의 경우, 실내외 공기의 환기 효과에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급기 또는 배기판이 손상되거나 환기구 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기존의 환기용 외부 후드캡은 단순히 환기구 결합관에 방충망을 구비하여, 곤충 등의 이물질과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만 구성된다. 다만 기존의 기술에 의하더라도 과도한 외풍에 의해 바람이 실내로 역류하거나, 고층 건물의 경우 건물의 벽체를 따라 기류의 영향으로 과도한 배기와 급기가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선행등록특허 제10-1528028호(명칭: 환기용 외부 후드캡)은 환기용 외부 후드캡에 있어, 후드캡부의 전면에 맞바람 차단 곡면판부가 구비되고 환기구결합관의 토출구에 베르누이 기류유도부가 구비되며, 후드캡부의 상부에 빗물유입차단판부가 형성되고. 후드캡부의 양측 하부에 벽면 이격 낙수 유도부가 형성되게 구성된 발명을 개시한다.
다만 기존의 특허기술에 의하더라도, 외부의 기후에 따른 바람 및 기류의 영향을 완전하게 배제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환기구 후드캡의 배기 기능을 담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528028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캡의 전면에 형성되 맞바람을 차단하는 정면곡면 판부 및 환기캡 토출구 외부에 설치되어 배기공간을 형성하는 이중관을 구비하는 직배기용 환기캡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실내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환기공; 상기 환기공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환기공과 실내 환기구를 결합하는 결합관; 상기 환기공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환기공과의 사이 간격에 배기공간을 형성하는 이중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배기용 환기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중관은 상기 환기공 정면의 맞바람을 차단하도록 곡면 형상의 판부가 상기 환기공의 실외 방향 일단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정면 차단부; 상기 환기공 외측 측면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환기공의 외측 측면 둘레를 따라 감싸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는 측면 차단부; 상기 정면 차단부 둘레의 일측과 상기 상기 측면 차단부 둘레의 일측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환기공에 슬라이딩되어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결합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기공은 원통 정방면에 형성되어, 실내 공기가 토출되는 정면 토출부; 원통 측면에 일정하게 배열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어, 실내공기의 기류를 유도하는 기류 유도베인부; 복수 개의 상기 기류 유도베인부 사이에 상기 결합판부가 슬라이딩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결합판 유도 슬라이딩부; 상기 환기공의 내측 일단에 상기 환기공의 외측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형성되며, 건물 벽채에 상기 환기공을 결합하는 링형 테두리부; 및 상기 링형 테두리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이중관이 상기 환기공에 결합되도록 방지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류 유도베인부는 상기 환기공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환기공의 외부를 향하여 절개되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류 유도베인부는 상기 환기공의 외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환기공의 원통 후방면을 향하여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면 차단부는 상기 환기공의 단면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면 차단부의 외측면이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곡면 형상의 판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면 차단부의 내측면이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곡면 형상의 판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은 원통 내부에 형성되는 방충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외부 맞바람을 차단하고 외부 기류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외부의 기후에 따른 바람의 세기와 기류방향의 영향을 최소화하게 되어, 배기팬의 정압이 증가하지 않고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 배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 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직배기용 환기캡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이중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환기공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직배기용 환기캡이 적용된 직배기 환기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직배기용 환기캡이 적용된 직배기 환기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충망을 포함하는 직배기용 환기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방충망을 포함하는 직배기용 환기캡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환기용 외부 캡에 관한 것으로서, 욕실 및 주방 환기 시 기존의 입상 덕트 방식의 연돌효과와 건축의 공사비 증가 등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직접 배기하는 시스템이 증가하는 추세에서, 외부의 기후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직배기용 환기캡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배기용 환기캡은 내부에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실내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환기공(100); 상기 환기공(100)의 실내 방향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환기공(100)과 실내 환기구를 결합하는 결합관(200); 상기 환기공(100)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환기공(100)과의 간격에 배기공간(10)을 형성하는 이중관(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인 본 발명 구성의 실시예는 도2 내지 도5을 통해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상기 이중관(300)의 사시도를, 도3은 본 발명의 상기 환기공(100)의 사시도를, 도4은 본 발명이 적용된 환기시스템의 상시도를, 도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환기시스템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이중관(300)은 상기 환기공(100) 정면의 맞바람을 차단하도록 곡면 형상의 판부가 상기 환기공(100)의 실외 방향 일단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정면 차단부(310); 상기 환기공(100) 외측 측면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환기공(100)의 외측 측면 둘레를 따라 감싸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는 측면 차단부(320); 상기 정면 차단부(310) 둘레의 일측과 상기 상기 측면 차단부(320) 둘레의 일측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환기공(100)에 슬라이딩되어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결합판부(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면 차단부(310)는 후드캡, 상기 환기공(100)의 정면에서 부는 맞바람 및 맞바람에 의해 유입될 수 있는 빗물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환기공(100)의 정면 부분에 곡면 형상의 판부로 형성된다.
맞바람에 의해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하기 위하여는 상기 정면 차단부(310)는 상기 환기공(100)의 정면보다 큰 면적을 갖고 충분한 이격거리를 두고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면 차단부(310)는 상기 환기공(100)의 단면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면 차단부(310)는 맞바람이 상기 환기공(1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에 용이하도록 상기 정면 차단부(310)의 외측면이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곡면 형상의 판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면 차단부(310)는 상기 환기공(100) 내부에서 토출된 실내공기가 상기 이중관(300)과 상기 환기공(100) 사이의 상기 배기공간(10)으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정면 차단부(310)의 내측면이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곡면 형상의 판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차단부(320)는 상기 환기공(100) 외부를 둘러싸는 이중관 형태로서 기본적으로 외부기류와 빗물이 상기 환기공(1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상기 환기공(100)이 외부 기류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측면 차단부(320)는 상기 환기공(100)의 외측 측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이격되어서 상기 환기공(100)의 외곽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환기공(100)과의 사이 간격에 배기공간(1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공간(10)은 상기 환기공(100)으로부터 토출된 실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공간의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판부(330)는 상기 정면 차단부(310)와 상기 정면 차단부(310)를 연결하면서, 이를 상기 환기공(100)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아 상기 정면 차단부(310)의 외측 둘레 일측과 상기 측면 차단부(320) 내측 둘레의 일측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판부(330)는 각각 상기 화기공의 외부 측면에 슬라이딩하여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정면 차단부(310)와 상기 측면 차단부(320)를 상기 환기공(100)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환기공(100)은 원통 정방면에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토출되는 정면 토출부(110); 원통 측면에 복수 개로 일정하게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실내공기의 기류를 유도하는 기류 유도베인부(120); 복수 개의 상기 기류 유도베인부(120) 사이에 상기 결합판부(330)가 슬라이딩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결합판 유도 슬라이딩부(130); 상기 환기공(100)의 내측 일단에 상기 환기공(1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형성되며, 건물 벽채에 상기 환기공(100)을 결합하는 링형 테두리부(140); 및 상기 링형 테두리부(140)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이중관(300)이 상기 환기공(100)에 결합되도록 방지턱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내 환기구로부터 상기 환기공(100)으로 유출된 실내 공기는 상기 정면 토출부(110)를 통하여 상기 환기공(100)으로부터 토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정면 토출부(110)는 내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의 상기 환기공(100)의 외부 방향 정면 끝면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기류 유도베인부(120)는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서 상기 환기공(100) 내부에서 이동하는 공기의 기류를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환기공(100)의 측면에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기류 유도베인부(120)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환기공(100)의 원통 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류 유도베인부(120)의 개수나 형상, 배열, 배치 등은 본 발명의 직배기용 환기캡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류 유도베인부(120)가 상기 환기공(100) 외측면을 따라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환기공(100) 내로 외부 맞바람 또는 맞바람으로 인한 빗물이나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상기 기류 유도베인부(120)의 일실시예가 상기 환기공(100)의 외측을 따라 고기 비늘 모양으로 설계되는 경우,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기류 유도베인부(120)는 상기 환기공(1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환기공(100)의 외부를 향하여 절개되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상기 기류 유도베인부(120)는 개방 방향을 상기 환기공(100)의 후방면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상기 환기공(100)의 외측에 사선 방향으로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판 유도 슬라이딩부(130)는 상기 이중관(300)의 상기 결합판부(330)와 결합되어, 상기 이중관(300)을 상기 환기공(100)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판 유도 슬라이딩부(130)는 일정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상기 기류 유도베인부(12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판부(330)가 상기 결합판 유도 슬라이딩부(130)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결합된다.
상기 링형 테두리부(140)는 건물의 벽체에 상기 환기공(1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링형 테두리부(140)와 상기 이중관(300)의 사이에는 실내공기가 유출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므로, 상기 이중관(300)과 상기 링형 테두리부(14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결합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방지턱부(150)는 상기 이중관(300)과 상기 링형 테두리부(140)가 일정한 간격이 생기도록, 상기 결합판부(330)가 상기 환기공(100)의 소정의 범위까지 슬라이딩되는 경우에, 상기 결합판부에 슬라이딩을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을 바탕으로, 도4 내지 도5를 통하여 본 발멸의 직배기용 환기캡이 적용된 경우의 환기시스템을 설명한다. 실내공기의 흐름은 빨간색 화살표를 통해, 실외공기의 흐름은 파란색 화살표를 통해 각각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관(200)이 건물 벽면을 관통한 환기구와 결합하게 되고, 실내 공기가 상기 환기공(100) 내로 유출된다. 상기 환기공(100) 내부로 유출된 실내 공기는 원통 구조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정면 토출부(110)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기류 유도베인부(120)는 상기 환기공(100)의 실내공기의 흐름에 기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면 토출부(110)를 통해 토출된 실내공기는 상기 정면 차단부(310)의 방해를 받아, 상기 환기공(100)의 외측면과 상기 측면 차단부(32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배기공간(10)으로 이동하고, 배기공간(10)을 따라서 상기 이중관(300)의 후면을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정면 차단부(310)는 상기 환기공(100)의 정면에 위치하여 맞바람 및 맞바람에 의한 외부 이물질이 상기 환기공(100)의 정면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측면 차단부(320)는 상기 환기공(100)의 측면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한다.
상기 정면 차단부(310)와 상기 측면 차단부(320)의 사이 공간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나, 외부 공기는 상기 환기공(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배기공간(10)을 통해 실내 공기와 함께 유출된다.
이 때, 상기 기류 유도베인부(120)는 전술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환기공(100)의 외측면을 따라 고기 비늘 모양을 형성하도록 설계되어, 실외 공기 및 이물질 출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 기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관(200)은 원통 내부에 형성되는 방충망부(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6 내지 도7은 상기 결합관(200) 내에 방충망을 구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상기 환기공(100)과 상기 이중관(300)의 구조에 따른 기술적 특징에 의해 외부 기후 및 기류 방향 등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결합관(200)이 상기 방충망부(21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실내 환기구 내로의 이물질 출입을 완전하게 배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직배기용 환기구 캡뿐만 아니라, 본 발명과 연결되는 환기구, 스리브 등의 손상 및 고장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배기공간
100: 환기공
110: 정면 토출부
120: 기류 유도베인부
130: 결합판 유도 슬라이딩부
140: 링형 테두리부
150: 방지턱부
200: 결합관
210: 방충망부
300: 이중관
310: 정면 차단부
320: 측면 차단부
330: 결합판부

Claims (9)

  1. 내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실내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환기공;
    상기 환기공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환기공과 실내 환기구를 결합하는 결합관;
    상기 환기공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환기공과의 사이 간격에 배기공간을 형성하는 이중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배기용 환기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관은
    상기 환기공 정면의 맞바람을 차단하도록 곡면 형상의 판부가 상기 환기공의 실외 방향 일단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정면 차단부;
    상기 환기공 외측 측면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환기공의 외측 측면 둘레를 따라 감싸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는 측면 차단부;
    상기 정면 차단부 둘레의 일측과 상기 상기 측면 차단부 둘레의 일측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환기공에 슬라이딩되어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결합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배기용 환기캡.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공은
    원통 정방면에 형성되어, 실내 공기가 토출되는 정면 토출부;
    원통 측면에 일정하게 배열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어, 실내공기의 기류를 유도하는 기류 유도베인부;
    복수 개의 상기 기류 유도베인부 사이에 상기 결합판부가 슬라이딩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결합판 유도 슬라이딩부;
    상기 환기공의 내측 일단에 상기 환기공의 외측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형성되며, 건물 벽채에 상기 환기공을 결합하는 링형 테두리부; 및
    상기 링형 테두리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이중관이 상기 환기공에 결합되도록 방지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배기용 환기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유도베인부는 상기 환기공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환기공의 외부를 향하여 절개되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배기용 환기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유도베인부는 상기 환기공의 외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환기공의 원통 후방면을 향하여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배기용 환기캡.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차단부는 상기 환기공의 단면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배기용 환기캡.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차단부의 외측면이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곡면 형상의 판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배기용 환기캡.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차단부의 내측면이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곡면 형상의 판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배기용 환기캡.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은
    원통 내부에 형성되는 방충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배기용 환기캡.
KR1020180146589A 2018-11-23 2018-11-23 직배기용 환기캡 KR102173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589A KR102173650B1 (ko) 2018-11-23 2018-11-23 직배기용 환기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589A KR102173650B1 (ko) 2018-11-23 2018-11-23 직배기용 환기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471A true KR20200061471A (ko) 2020-06-03
KR102173650B1 KR102173650B1 (ko) 2020-11-05

Family

ID=7108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589A KR102173650B1 (ko) 2018-11-23 2018-11-23 직배기용 환기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998A (ko) * 2020-10-29 2022-05-09 고의환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241B1 (ko) 2021-09-02 2022-03-22 주식회사 거양 일방향 개방형 덕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896U (ja) * 1993-09-24 1995-04-21 利春 高橋 換気口
JP2008057244A (ja) * 2006-08-31 2008-03-13 Kyoritsu Seisakusho:Kk 墓用換気具
KR20100011116U (ko) * 2009-05-06 2010-11-16 (주)로얄기공 배기가스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면서도 역풍에 대한 대처와 불꽃에 의한 화재의 위험성을 방지토록 한 연도 커버
KR20150008222A (ko) * 2013-07-11 2015-01-22 주식회사 에코텍코리아 환기용 외부 후드캡
KR101512409B1 (ko) * 2014-01-23 2015-04-16 주식회사 제일테크 결로방지용 후드캡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896U (ja) * 1993-09-24 1995-04-21 利春 高橋 換気口
JP2008057244A (ja) * 2006-08-31 2008-03-13 Kyoritsu Seisakusho:Kk 墓用換気具
KR20100011116U (ko) * 2009-05-06 2010-11-16 (주)로얄기공 배기가스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면서도 역풍에 대한 대처와 불꽃에 의한 화재의 위험성을 방지토록 한 연도 커버
KR20150008222A (ko) * 2013-07-11 2015-01-22 주식회사 에코텍코리아 환기용 외부 후드캡
KR101528028B1 (ko) 2013-07-11 2015-06-12 주식회사 에코텍코리아 환기용 외부 후드캡
KR101512409B1 (ko) * 2014-01-23 2015-04-16 주식회사 제일테크 결로방지용 후드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998A (ko) * 2020-10-29 2022-05-09 고의환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650B1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028B1 (ko) 환기용 외부 후드캡
KR20200061471A (ko) 직배기용 환기캡
KR101865100B1 (ko) 에어커튼
KR101865613B1 (ko) 무동력 실내기류 배기장치
KR20140110211A (ko) 결로방지형 환기 시스템
KR101558141B1 (ko) 작업성이 개선된 일체형 환기구 챔버.
KR20180012957A (ko) 상치형 열회수형환기장치
KR100852765B1 (ko) 환기 캡 및 이를 적용한 환기장치
KR100698851B1 (ko) 공동주택용 환기 시스템 및 방법
KR102173643B1 (ko) 역풍방지댐퍼를 구비한 직배기용 벽 관통 이중 스리브 및 이를 이용한 직배기 방식의 환기 방법
KR200491399Y1 (ko) 다기능 역풍 빗물 방지캡
KR101559119B1 (ko) 자동 역류 환기장치
KR200428326Y1 (ko) 다층 공동주택의 주방 환기설비용 이중관덕트의 연결구조
JP3218042U (ja) 換気装置
KR200382865Y1 (ko) 기류형성 루버가 구비된 배기장치
JP4733440B2 (ja) 高層建物
JP2005257090A (ja) 換気システム及び吹出口
JPH0466034A (ja) 動物飼育装置
KR102669481B1 (ko) 필터교체가 용이한 디퓨저
KR20190005664A (ko) 건축물용 후드 벤트
KR20110108105A (ko) 역풍방지를 위한 환기시스템
JP2567121Y2 (ja) 給気口装置
US11181297B2 (en) Vent assembly for a ventilation system
KR20060091841A (ko) 기류형성 루버가 구비된 배기장치
KR20100038354A (ko) 멀티환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