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998A -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 Google Patents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998A
KR20220056998A KR1020200141733A KR20200141733A KR20220056998A KR 20220056998 A KR20220056998 A KR 20220056998A KR 1020200141733 A KR1020200141733 A KR 1020200141733A KR 20200141733 A KR20200141733 A KR 20200141733A KR 20220056998 A KR20220056998 A KR 20220056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wind
central opening
exhaust cap
discharg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8087B1 (ko
Inventor
고의환
고재환
Original Assignee
고의환
고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의환, 고재환 filed Critical 고의환
Priority to KR1020200141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08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04F5/2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for evacu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 또는 화장실 등의 환기가 필요한 공간에 있어 공기 배출을 해야 하기 때문에 외부로 통하는 관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외부의 바람이 강하게 불게 되면 냄새 및 연기가 배출되지 못하고 오히려 역풍에 의해서 내부로 역류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배기구에 역풍을 이용하는 배기캡을 구성하게 되며 오히려 역풍을 이용해 원활한 배기가 상시 가능하게 하는 배기캡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부에 격벽을 구비하여 역풍을 이용하여 배출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역풍 등으로 인한 오염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필터부를 구비하여 배출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배기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은,
건물 외벽에 형성된 원통형태의 개방된 일측과 연통하면서 결합되는 중앙개방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역풍이 중앙개방부 외측면을 따라 선회되도록 형성되는 날개부; 중앙개방부의 외측면과 연결되며 중앙개방부 및 날개부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양측이 개방 형성되는 배출부; 및 날개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필터부를 포함하며, 배출부에 격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Exhaust cap utilizing reverse wind}
본 발명은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 또는 화장실 등의 환기가 필요한 공간에 있어 공기배출을 해야 하기 때문에 외부로 통하는 관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외부의 바람이 강하게 불게 되면 냄새 및 연기가 배출되지 못하고 오히려 역풍에 의해서 내부로 역류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배기구에 역풍을 이용하는 배기캡을 구성하여 원활한 배기가 상시 가능하게 하는 배기캡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배기는 화장실, 욕실, 주방 등의 배기와 보일러 배출구 등으로 다양한 배기구로 구성된다. 배출방식은 공기가 공용덕트에 집결하여 단일화된 관로를 통해서 옥상 등의 외부공간으로 배출되거나, 각 기구에서 벽을 관통하는 직배기로 이루어진다.
공용덕트를 이용하여 배기하는 방식은 모든 층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담배연기 등의 오염원이 올라오기도 하고 화재 발생시 상층 또는 하층으로 급격하게 화재가 확대되는 문제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0-263호, 2020. 3. 13.] 일부개정에서 요구하는 추가 시설을 설치하는 등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직배기를 이용하여 배기하는 방식은 각 구역에서 관로를 통해 건물의 측면 외부로 관통하여 배기를 하게 된다.
공용덕트는 지붕 또는 옥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부로 돌출되어 배기캡이 형성되는데 반해 직배기 방식은 각 층의 측면으로 배기캡이 형성되기 때문에 건물사이에 부는 바람 및 빌딩풍 등 역풍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직배기 방식은 건물사이에 부는 바람 및 빌딩풍 등에 노출되는 경우에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배기를 하면 기계 진동 및 소음으로 인하여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한편 역풍 등이 불 때 오염물질 등이 날개부를 통해 배출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막는 경우에 배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역풍방지부는 단지 역풍만을 막는 구조로서 효율적인 배기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직배기 방식에서 역풍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역풍이 불 때도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배출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하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7038호(2020.01.10)
본 발명은 역풍 및 빌딩풍이 불어도 역류되지 않고 배기되며 오히려 역풍으로 공기를 임펠러 틈으로 역류시켜 토출구의 압력을 낮게 유지시켜 역풍보다 항시 높은 풍속으로 안정적인 배기를 유지할 수 있는 배기 캡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배출부에 격벽을 구비하여 역풍을 이용하여 배출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배기 캡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필터부를 구비하여 역풍 등으로 인한 오염물질 유입을 방지하여 배출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배기 캡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직배기 캡은,
건물 외벽에 형성된 원통형태의 개방된 일측과 연통하면서 결합되는 중앙개방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역풍이 중앙개방부 외측면을 따라 선회되도록 형성되는 날개부; 중앙개방부의 외측면과 연결되며 중앙개방부 및 날개부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양측이 개방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이 개방되는 본체부를 구비하여 개방된 일측을 중앙개방부와 연통하면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날개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중앙개방부는 측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측단부 직경이 상기 본체부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날개부는 중앙개방부의 외주면에서 넓게 확장되고 측부를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중앙개방부는 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배출부의 단면적보다 상기 날개부와 배출부 외주면 사이의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중앙개방부와 배출부 내주면 사이의 단면적보다 날개부와 외주면 사이의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중앙개방부와 배출부 내주면 사이의 단면적보다 배출부의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출부에 격벽을 구비하여 유입되는 역풍으로 배출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날개부를 덮을 수 있는 필터부를 구비하여 오염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하부 및 측면 풍압이 배출부와 역풍방지부 사이를 관통할 때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빠르게 배출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역풍방지부를 타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출부를 상협하광 형상으로 구성하여 벤츄리 효과로 배기를 원활하게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타원형인 역풍방지부의 하부 양 끝부분이 위로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는 배출부도 상부 양 끝부분을 아래로 경사면을 구비하여 역풍을 방지하고 배출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역풍방지부와 배출부사이에서 어떠한 방향에서 바람이 불어도 배출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역풍방지부와 배출부를 지지하는 이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날개부 하부에 홈을 형성하여 빗물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물사이에 부는 바람 및 빌딩풍 등의 역풍이 가해지는 배기 캡에 유입된 공기를 활용하여 토출구의 압력을 낮게 유지시켜 역풍보다 높은 풍속을 유지하며 배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역풍을 이용함으로서 기계진동 및 소음 등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오염물질로 인하여 배출효율을 저하시키는 경우를 예방하여 역풍시에도 배출공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역풍방지부를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빠르게 배출공기를 배출할 수 있으며, 역풍방지부와 배출부의 양 끝에 경사면을 구비하여 역풍을 방지하고 배출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이 환기 또는 배기 구역으로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배기 캡을 건물 벽이나 천정 어디에나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종류의 환기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아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배기 캡이 손상을 입어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할 시 용이하게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의 풍속 및 바람 방향을 표현한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에 격벽과 필터부를 구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에 격벽과 필터부를 구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B′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에 배출부의 내/외측면에 격벽을 구비한 상세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의 풍속 및 바람 방향을 표현한 구조도를 나타내며, 직배기 캡의 구체적인 동작 원리에 대해서 살펴보면,
풍압 공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01
W = 풍압
C = 풍압계수(풍압이 대기압보다 높을 때는 +, 낮을 때는 -가 되고 건물의 형상이나 풍향, 주위 조건 등에 따라 실험적으로 구해지는 상수)
F = 바람을 직각으로 받는 판의 면적
Figure pat00002
= 공기밀도
V²= 풍속의 제곱
풍량 공식은 아래와 같다.
Q = A * V
풍속 공식은 아래와 같다.
V = Q / A
(Q = 풍량, A = 단면적, V = 풍속)
원의 단면적 공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03
위의 공식을 통해서 도 2에 도시된 배기 풍속(V3)이 역풍(V1)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풍속 공식에 의해서 풍속(V)은 단면적(A)에 반비례하고, 원의 단면적 공식에 의해서 단면적(A)은 반지름 제곱에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배출부의 단면적(A1)보다 상기 날개부와 배출부 외주면 사이의 단면적(A2)이 넓게 형성된다.
상기 중앙개방부와 배출부 내주면 사이의 단면적(A3)보다 날개부와 배출부 외주면 사이의 단면적(A2)이 넓게 형성된다.
상기 중앙개방부와 배출부 내주면 사이의 단면적(A3)보다 배출부의 단면적(A1)이 넓게 형성된다.
여기서 날개부와 배출부 외주면 사이의 단면적(A2)은 항상 배출부의 단면적(A1)보다 크고 중앙개방부와 배출부 내주면 사이의 단면적(A3)은 항상 날개부와 배출부 외주면 사이의 단면적(A2)보다 크다.
그러므로 상기 단면적의 크기는 항상 A2>A1>A3 순으로 정의되며 역풍(V1)은 A1,A2에 임의 절대시간에 대한 평균값으로 동일하게 작용한다.
풍속 공식에 의해 A3<A2 일 때, A3의 역풍전환 풍속(V2)은 A2에 가해지는 역풍(V1)보다 크다.
그러므로 A1에 가해지는 배기 풍속(V3)에 기계식 팬 풍속(V0)이 합쳐지기 때문에 항상 역풍(V1)보다 큰 풍속을 가지게 된다.
역풍(V1)이 A2를 지나 A3까지 상기 날개부(22)내의 벽면 곡선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코안다 효과에 의해 가장 깊은 부분인 A4에서 방향이 급격히 전환되면서 일정 속도 저하가 발생한다.
하지만 단면적 감속에 따른 속도의 증가폭이 더 크기 때문에 배기 풍속(V3)이 역풍(V1)보다 항상 크다.(코안다 효과란 벽면이나 천장면에 접근하여 분출된 기류가 해당 면에 부착하여 흐르는 경향을 가지는 것을 말하며, 이 경우 한쪽으로만 확산하기 때문에 자유 분류에 비해 속도의 감쇠가 작고 도달거리가 길어진다.)
또한 단면적이 좁아지는 구간에도 별도의 속도증가가 발생하게 된다.
위의 내용을 종합하면, 토출되는 기계식 팬 풍속(V0)이 항상 일정(법적기준에 근거하는 평균 8m/sec 내외)하면 역풍(V1)을 활용하여 증가된 역풍전환 풍속(V2)이 더해진 배기 풍속(V3)이 역풍(V1)보다 크다.
또한 배기되는 방향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구조로 인해 풍속이 일정비율 증가하기 때문에 역풍(V1)에 의해 내부로 공기가 역류할 수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역풍(V1)보다 기계식 팬 풍속(V0)과 역풍전환 풍속(V2)의 합인 배기 풍속(V3)이 더 크다.
그러므로 직배기 캡은 역풍이 가해지는 배기 캡에 유입된 공기를 활용하여 토출구의 압력을 낮게 유지시켜 역풍보다 높은 풍속을 유지하며 배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언급한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의 직배기 캡에 오염물질 유입을 방지하며 배출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격벽과 필터부를 구비한 배기 캡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에 격벽과 필터부를 구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 B′ 단면도, 도 6은 배출부 내/외측면에 격벽을 구비한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1)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1)은,
건물 외벽에 형성된 원통형태의 개방된 일측과 연통하면서 결합되는 중앙개방부(20);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역풍이 중앙개방부 외측면을 따라 선회되도록 형성되는 날개부(22); 중앙개방부의 외측면과 연결되며 중앙개방부 및 날개부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양측이 개방형성되는 배출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개방부(2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이 개방되는 본체부(10)를 구비하여 개방된 일측과 연통하면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상기 본체부(10)는 건물 외벽에 끼워지기 때문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부가 관통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부(10)는 관로와 연결되며, 관로는 환기 또는 배기가 필요한 구역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역은 주방 또는 욕실 등 이며 공기를 흡입하고 관로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하는 기기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앙개방부(20)는 건물 외벽에 형성된 본체부의 원통형태의 개방된 일측과 연통하면서 결합되며, 반대방향은 개방된 개구부가 연장되는 연장부(24)가 형성된다.(도 4 참조)
한편 연장부(24)는 외측으로 연장할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개방부(20)와 연장부(24)가 꺽이는 부분은 인입되는 바람을 이용하기 위하여 꺽이는 것이 아닌 유속을 방해하지 않는 굴절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이 개방되는 본체부(10)를 포함하여 개방된 일측을 중앙개방부와 연통하면서 결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부(22)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역풍이 상기 중앙개방부(20) 외측면을 따라 선회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중앙개방부(20)의 외측면에서 넓게 확장되고 측부를 향해 연장되어 역풍의 유입을 원활하게 받아들이는 것은 물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이 날개부의 아래쪽 외측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앙개방부(20), 날개부(22) 및 연장부(24)는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도 4, 5 참조).
또한 상기 배출부(30) 외측면에 격벽(31)을 구비하여 외부로 유입되는 역풍을 보다 원활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격벽(31)의 형태는 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필요시 상기 배출부(30) 내측면에만 회오리형태의 격벽(32)을 구비할 수 있으며 격벽(31, 32)을 함께 구비할 수도 있다.(도 6 참조).
한편 역풍으로 인하여 오염물질 등이 날개부(22)를 통해 배출부(30)로 배출되는 통로를 막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날개부(22)를 덮을 수 있는 메쉬 형상의 필터부(40)를 구비하며 날개부와 체결부(52)로 암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5 참조).
또한 필요시 중앙개방부 내부로 오염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름망을 필터부(40)없이 연장부(24) 상부에만 구비할 수 있으며 필터부와 거름망을 함께 구비할 수도 있다.(미도시).
상기 배출부(30)는 상기 중앙개방부(20)에 형성되는 연장부(24)에 연결되는체결부(51)에 암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5 참조).
또한, 상기 배출부(30)는 벤츄리 효과로 배출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연장할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상협하광 형상의 원통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30)의 외측부에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역풍방지부(33)가 형성되고 역풍방지부(33)는 바람이 중앙개방부(20)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고 내부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하부 및 측면 풍압이 배출부(30)와 역풍방지부(33) 사이를 관통할 때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빠르게 이동하면서 배출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역풍방지부(33)를 타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역풍방지부(33)와 배출부(30) 사이에서 역풍의 진입을 방지하고 배출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타원형인 역풍방지부의 하부 양 끝부분이 위로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는 배출부의 상부 양 끝부분도 아래로 경사면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30)와 역풍방지부(33)사이에는 이들을 지지하는 이격부(34)를 구비하며 상기 이격부(34)는 공기저항을 감안하여 다수의 원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필요시 빗물 배수하기 위하여 날개부 하부에 홈을 형성하여 빗물이 아래쪽으로 떨어지게 처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 : 배기캡 10 : 본체부
20 : 중앙개방부 22 : 날개부
24 : 연장부 30 : 배출부
31 : 격벽(배출부의 외측면에 부착)
32 : 격벽(배출부의 내측면에 부착)
33 : 역풍방지부 34 : 이격부
40 : 필터부
51 : 체결부(연장부와 배출부 결합)
52 : 체결부(날개부와 필터부 결합)
V0 : 기계식 팬 풍속 V1 : 역풍
V2 : 역풍전환 풍속 V3 : 배기 풍속
A1 : 배출부의 단면적 A2 : 날개부와 배출부 외주면 사이의 단면적
A3 : 중앙개방부와 배출부 내주면 사이의 단면적
A4 : 역풍전환면

Claims (10)

  1. 건물 외벽에 형성된 원통형태의 개방된 일측과 연통하면서 결합되는 중앙개방부(20);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역풍이 중앙개방부 외측면을 따라 선회되도록 형성되는 날개부(22);
    중앙개방부의 외측면과 연결되며 중앙개방부 및 날개부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양측이 개방 형성되는 배출부(30);를 포함하며,
    중앙개방부에 측부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2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외측부에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역풍방지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풍방지부와 상기 배출부를 지지하는 이격부(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30)에 격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2)를 덮을 수 있는 필터부(40) 및/또는 연장부(24) 상부에 거름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6. 제5항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일측을 중앙개방부와 연통하면서 결합하는 본체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2)는 중앙개방부의 외주면에서 넓게 확장되고 측부를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배출부의 외측면(31) 및/또는 내측면(32)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개방부(20), 날개부(22) 및 연장부(24)는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역풍방지부(33)의 하부 양 끝부분이 위로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배출부의 상부 양 끝부분도 아래로 경사면을 구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KR1020200141733A 2020-10-29 2020-10-29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KR102508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733A KR102508087B1 (ko) 2020-10-29 2020-10-29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733A KR102508087B1 (ko) 2020-10-29 2020-10-29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998A true KR20220056998A (ko) 2022-05-09
KR102508087B1 KR102508087B1 (ko) 2023-03-09

Family

ID=8158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733A KR102508087B1 (ko) 2020-10-29 2020-10-29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0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0870A (ja) * 1999-05-12 2000-11-24 Akiyama Seisakusho:Kk ベントキャップ
JP2012026611A (ja) * 2010-07-21 2012-02-09 Kimura Kohki Co Ltd 変風量吹出装置
KR102067038B1 (ko) 2018-04-27 2020-02-11 박태업 무동력 환기구
KR20200061471A (ko) * 2018-11-23 2020-06-0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배기용 환기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0870A (ja) * 1999-05-12 2000-11-24 Akiyama Seisakusho:Kk ベントキャップ
JP2012026611A (ja) * 2010-07-21 2012-02-09 Kimura Kohki Co Ltd 変風量吹出装置
KR102067038B1 (ko) 2018-04-27 2020-02-11 박태업 무동력 환기구
KR20200061471A (ko) * 2018-11-23 2020-06-0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직배기용 환기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087B1 (ko)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6594A (en) Toilet ventilating manifold system
AU2007204583B2 (en) An odour extraction device for a toilet pan
EP3190239A1 (en) Toilet ventilation apparatus
KR20220056998A (ko)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KR20220005213A (ko)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KR200432485Y1 (ko) 건축물 제연구역의 풍량 과압조절 장치.
TWI751117B (zh) 閥裝置及管道系統
KR100816525B1 (ko) 배기용 후드
KR102173650B1 (ko) 직배기용 환기캡
US6893339B1 (en) Eaves vent apparatus
KR20220063593A (ko)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배기캡
US20100058525A1 (en) Toilets
KR102592130B1 (ko) 역풍방지 후드캡
BE1016650A3 (nl) Verbeterde inrichting voor het verdelen en/of afvoeren van ventilatielucht in een gebouw.
JP3218042U (ja) 換気装置
KR19990037673A (ko) 컨트롤밸브
KR200141311Y1 (ko) 건축용 환기구
KR100648384B1 (ko) 역류 방지 댐퍼
US992882A (en) Ventilation system for soil and waste pipes.
RU147326U1 (ru)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JP4179854B2 (ja) 換気構造
US20060031980A1 (en) Toilet ventilation
KR102475401B1 (ko) 공동주택의 통합 배기 및 배수 시스템
JPH02142993A (ja) 展開用排水継手
KR102035204B1 (ko) 공동건물의 입상 덕트용 드레인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