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942B1 -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942B1
KR101104942B1 KR1020090011517A KR20090011517A KR101104942B1 KR 101104942 B1 KR101104942 B1 KR 101104942B1 KR 1020090011517 A KR1020090011517 A KR 1020090011517A KR 20090011517 A KR20090011517 A KR 20090011517A KR 101104942 B1 KR101104942 B1 KR 101104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ontrol valve
closing contro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234A (ko
Inventor
임상훈
임상명
Original Assignee
임상명
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명, 임상훈 filed Critical 임상명
Priority to KR1020090011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942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25Ventilation using vent ports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4Natural ventilation using conv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체(W)에 매설되는 원통형 슬리브(S)의 실내와 실외의 외측에 결합되는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와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로 구성하되, 상기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는 원통캡의 원통부(111) 전방에 중앙의 회전축공(113) 원주상에 나비 형태로 대향되게 차단 형성하는 차단편(116)(116')과 상기 차단편의 좌우 위치에 부채꼴 형태로 관통 형성하는 관통공(117)(117')을 갖는 개폐부(115) 및, 상기 개폐부의 원주상에 단차 조립부(118)를 형성하여 이루고, 상기 개폐부(115)의 단차 조립부(118)에는 관통공(117)(117')을 나비 형태로 대향되게 차단하는 제1,2,3개폐조절변(121)(122)(123)을 차례로 회전축공(113)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 구성하되, 상기 제1,2,3개폐조절변(121)(122)(123)은 제3개폐조절변(123)을 회전 개폐에 의해 제1,2,3개폐조절변이 순차적으로 개폐되면서 실내의 환기량을 극대화하고 환기량의 조절을 간편하게 제공함은 물론 외부로부터 빗물의 침입 차단, 습기와 물기의 배출이 원활히 제공되어 세균이나 곰팡이의 서식을 방지함과 청소 등의 유지 관리가 간편하게 제공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벽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개폐조절변, 개폐부, 회전

Description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Ventilation device buried in wall}
본 발명은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로부터 빗물의 침입 차단, 습기와 물기의 배출이 원활히 제공되어 세균이나 곰팡이의 서식을 방지함과 청소 등의 유지 관리가 간편하게 제공됨은 물론 실내의 환기량을 극대화함과 함께 환기량의 조절을 간편하면서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사용 신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건축물의 외측 콘크리트 벽면에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와 습기를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여 다습에 의한 세균이나 곰팡이의 서식과 결로를 방지하도록 자연 환기장치를 매립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자연 환기장치는 다수의 형태가 알려진 바 있는데, 기본적으로 벽체에 매립되는 슬리브의 내외측에 실내외측 루버 조립체를 조립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자연 환기장치는 실외측 루버 조립체를 슬리브에 조립하는 구조에 틈새가 발생되어 우수 등의 침입 우려와, 상기 침입된 우수가 외부로 다시 배출 되지 못하는 이유로 슬리브와 실내외측 루버 조립체 내부 습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하게 되어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이나 피부질환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외측 루버 조립체의 경사 루버편 사이 틈새를 통해 형성되는 환기 단면적으로 매우 작게 형성되어 전체적인 환기량이 매우 미흡하게 제공됨은 물론 환기량의 조절 작동이 용이하지 못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외측 루버 조립체의 내측에 방충망이 결합되기 때문에 방충망의 착탈, 청소 및 그 밖의 유지관리가 불편함 문제점과 그 밖에 많은 부품수로 조립되어 제조 생산성이나 조립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자연 환기장치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7-14840호에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를 선 출원한 바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W)에 매설되는 슬리브(S)와; 상기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내측 루버 조립체(10) 및; 상기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외측 루버 조립체(20)로 대별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실내측 루버 조립체(10)는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에 삽입되는 실내측 원통캡(11)과 실내측 원통캡(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기량을 조절하는 환기량 조절변(12) 및 상기 실내측 원통캡(11)에 결합되는 방충망(13)으로 구성되고, 상기 실외측 루버 조립체(20)는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에 삽입되는 실외측 원통캡(21)과 상기 벽체(W) 및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와 실외측 원통캡(21)의 사이로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팽창지수재(22)로 구성되어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본 출원인의 선 출원 기술은 종래 자연 환기장치와 달리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여 습도 상승을 방지하고 세균이나 곰팡이 서식 및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과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응축수, 응결수 등의 냉각수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므로 습도 상승을 방지하고 세균이나 곰팡이 서식 및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과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되며, 방충망을 실내측에 위치시키고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청소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잇점을 제공하였다.
또한 상기 실내측 루버 조립체에는 실내측 원통캡과 환기량 조절변에 마련된 3개의 차단편과 3개의 통기공으로 환기량을 조절하도록 하되, 상기 환기량 조절변을 회전 좌우 회전하여 조절하는 것에 의해 통기공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므로 환기량을 증대시킴은 물론 환기량의 조절 사용이 가능한 잇점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본 출원인의 선 출원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실내측 루버 조립체의 실내측 원통캡과 환기량 조절변의 차단편과 통기공이 각각 60도 각도를 가지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완전히 개방된 상태, 즉 실내측 원통캡의 통기공과 환기량 조절변의 통기공이 완전히 일치한 상태에서 환기단면적이 실내측 원통캡의 전체 단면적에 대하여 1/2로 한정되기 때문에 여전히 환기량을 극대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실내측 원통캡과 환기량 조절변에 형성된 차단편과 통기공의 직경이 원통캡의 내경과 거의 동일 단면적 내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환기 단면적을 극대화하지 못하므로 환기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나 실외측 원통캡이 원통부의 외주면에 쐐기돌기가 형성된 상태로 슬리브 내주면에 밀착되게 삽입 결합하는데, 상기 원통부가 전체적으로 균일 두께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원통부와 슬리브 사이의 공차가 작거나 크게 형성됨에 따라 원통부의 삽입이 용이하지 못하거나 원통부가 슬리브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 출원 자연 환기장치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특허출원 제2008-88253호에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를 선 출원한 바 있다.
이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벽체(W)에 매설되는 슬리브(S)와; 상기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내측 루버 조립체(10') 및; 상기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외측 루버 조립체(20')로 대별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실내측 루버 조립체(10')는 슬리브(S)에 삽입되는 원통부(31)와, 외측 원주상에 조절변 설치홈(32a), 방충망 설치홈(32b)을 형성하는 플랜지부(32)와, 내부에 양측으로 대칭되게 45도의 부채꼴을 형성하는 일자형 차단편(33), 차단편(33)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135도의 부채꼴을 형성하는 통기공(34)을 형성하는실내측 원통캡(30)과; 상기 차단편(33)에 대응되게 45도의 부채꼴로 형성되는 일자형 차단편(41)과, 상기 차단편의 중심측에서 내,외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조절손잡이(45)와 회전축(46)를 갖는 환기량 조절변(40)과; 상기 상기 환기량 조절변(40)과 차단편(33) 사이에서 각각 회전하되, 차단편에 대응되게 45도의 부채꼴로 형성되는 일 자형 차단편(51)(56)과 중앙에 축공을 갖는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50)(55)과; 상기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50)(55)이 환기량 조절변(40)에 의해 연동 회전하기 위한 연동회전수단과; 상기 환기량 조절변(40)과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50)(55)을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에서 멈추게 하는 멈춤수단 및, 상기 실내측 원통캡(30)에 결합되는 방충망(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동열림수단은 상기 환기량 조절변(40)에 회전방향 양측에 걸림턱과 원호형 연동안내홈(42a)을 갖는 원호형 연동안내부(42)와; 상기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50)에 회전방향 일측에 걸림턱과 원호형 연동안내홈(52a)을 갖는 원호형 연동안내부(52)와; 상기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50)과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55)의 원호형 연동안내부의 회전방향 일측에 돌출되어 환기량 조절변(40)과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50)의 연동 걸림턱에 걸려 연동하는 연동안내돌기(53)(58)로 구성하고,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환기량 조절변(40)의 회전방향 일측에 돌출되어 개폐시 차단편에 지지됨과 함께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을 걸어 이동시키는 스토퍼(44)와 상기 조절변 설치홈(32a)에 환기량 조절변(40)과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50)(55)이 걸림작동하는 계단식 걸림턱(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출원인의 선 출원 발명은 환기량 조절변(40)의 조절손잡이(45)를 파지한 상태로 개폐조절하되, 상기 환기량 조절변(40),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55)이 차례로 개폐되면서 실내측 원통캡(30) 내부에 135도 부채꼴로 대칭 형성된 통기공(34)을 개폐하므로 전술한 본 출원인의 선 출원 장치에 비해 환기량을 증대하도록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본 출원인의 개선된 선 출원 기술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환기량 조절변(40)은 차단편(41)과 회전축(46)이 회전축 전방의 후크(46a) 성형을 위한 공간 제공을 위해서 상호 접촉 면적이 작게 성형되기 때문에 성형과정에서 변형(비틀림) 등이 발생되어 보강리브 및 재질 강화 등이 요구되고, 이는 곧 제조과정에서 많은 노력과 비용이 발생하고 재료비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환기량 조절변(40)은 후크의 탄발 작동을 위해 내부 절결홈(46b)을 형성하는데, 상기 절결홈 부위가 성형이나 조립 과정에서 후크(46a)가 변형되어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의 축공과 틈새가 발생하여 관통공의 완벽 차단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환기량 조절변(40)과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50)은 연동안내홈을 갖는 연동안내부(42)(52)가 돌출되어 상호 삽입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변형 방지를 위한 정밀 가공의 많은 노력이 요구됨은 물론 변형 방지를 위한 단면의 증가와 상기 연동안내부 가공시 턱높이 확보를 위한 많은 공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밖에 실내측 루버 조립체의 원통캡(30)은 상기 환기량 조절변(40)과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50)(55)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연동안내부, 연동안내돌기 등에 의해 많이 필요하게 되어 전체적인 돌출 길이를 부득이 길게 구성하여야 하므로 미관을 저해함은 물론 실내 공간활용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 및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환기 단면적을 최대화하여 환기량을 극대화함은 물론 환기량의 조절을 간편하면서 효과적으로 제공하며 실내측으로의 돌출을 최소화하여 미관을 개선하고, 사용 신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리브의 실내나 실외측에서 삽입 설치하는 작업이 간편함은 물론 이탈방지되는 견고한 조립을 제공하므로 사용 신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벽체에 매설되는 원통형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내측 루버 조립체 및; 상기 슬리브의 실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외측 루버 조립체로 구성하되, 상기 실내측 루버 조립체는 원통캡의 원통부 전방에 중앙의 회전축공 원주상에 나비 형태로 대향되게 차단 형성하는 차단편과 상기 차단편의 좌우 위치에 부채꼴 형태로 관통 형성하는 관통공을 갖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의 원주상에 단차 조립부를 형성하여 이루고, 상기 개폐부의 단차 조립부에는 관통공을 나비 형태로 대향되게 차단하는 제1,2,3개폐조절변을 차례로 회전축공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 구성하되, 상기 제1,2,3개폐조절변은 제3개폐조 절변을 회전 개폐에 의해 제1,2,3개폐조절변이 순차적으로 개폐되면서 관통공을 개폐 조절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내측 원통캡의 개폐부는 관통공과 차단편이 3/4:1/4의 넓이 비율로 형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내측 원통캡의 개폐부는 단차 조립부의 외주연으로 제1,2,3개폐조절변을 관통공의 차단 위치에 폐쇄 안내하도록 계단 형태로 단차 형성되는 단차 안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3개폐조절변과 제2개폐조절변의 일측에 제2개폐조절변과 제1개폐조절변을 걸림작동하여 순차 폐쇄하는 걸림돌기와, 상기 제3개폐조절변의 대향측 엇갈린 위치에 관통공으로 삽입되게 수직 연장되어 차단편에 밀착 폐쇄됨과 함께 제2개폐조절변과 제1개폐조절변을 걸림작동하여 순차 개방하는 스토퍼를 형성하여 제1,2,3개폐조절변을 순차 개폐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3개폐조절변 중앙에는 외측에 회전손잡이와 내측에 요홈을 갖는 회전축부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부를 제1,2개폐조절변 및 개폐부의 회전축공에 삽입하되, 상기 회전축부의 요홈에 개폐부의 회전축공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분할되는 절결홈과 원주상에 다수의 경사걸림턱을 형성하는 고정핀의 삽입구를 탄발 삽입하여 제1,2,3개폐조절변이 회전가능하면서 이탈 방지되게 지지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내측 루버 조립체의 원통캡과 상기 실외측 루버 조립체의 원통캡은 각 원통부의 원주를 따라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후육부(厚肉部)를 다수 형성하고, 상기 후육부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슬리브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쐐기돌기를 형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는 외부로부터 빗물의 유입을 방지함과 내부의 물기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제공하여 내부에 세균이나 곰팡이의 서식을 방지함과 청소 등의 유지 관리가 간편하게 제공하고, 또한 상기 환기 단면적을 전체 단면적의 3/4으로 크게 형성함과 원형 단면적의 사이즈를 최대로 활용하여 실내의 환기량을 극대화함은 물론 환기량의 조절을 간편하면서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사용 신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W)에 매설되는 원통형의 슬리브(S)와; 상기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 및; 상기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로 대별 구성된다.
상기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는 도 1, 도 2, 도 3 및 도 5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에 삽입되는 원통부(111)와 슬리브 및 벽체(W)에 지지되는 플랜지부(112)를 갖는 원통캡(110)을 구성하되, 상기 원통캡의 원통부(111) 전방에는 중앙의 회전축공(113) 원주상에 나비 형태로 대향되게 차단 형성하는 차단편(116)(116')과 상기 차단편의 좌우 위치에 부채꼴 형태로 관통 형성하는 관통공(117)(117')을 갖는 개폐부(115) 및, 상기 개폐부의 원주상에 단차 조립부(118)를 형성하여 이루고,
상기 개폐부(115)의 단차 조립부(118)에는 관통공(117)(117')을 나비 형태로 대향되게 차단하는 제1,2,3개폐조절변(121)(122)(123)을 차례로 회전축공(113)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 구성하되, 상기 제1,2,3개폐조절변(121)(122)(123)은 제3개폐조절변(123)을 회전 개폐에 의해 제1,2,3개폐조절변이 순차적으로 개폐되면서 관통공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개폐부(115)의 관통공(117)(117')과 차단편(116)(116')의 비율은 도면에서와 같이 3/4:1/4의 넓이 또는 그 밖의 비율로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을 통해 환기량을 조절하되, 상기 관통공을 개폐하는 개폐조절변의 수효를 가감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조절변의 수효를 많이 형성할수록 환기량을 미세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부(115)의 관통공, 차단편의 크기나 관통공을 개폐하는 개폐조절변의 수효는 변형 가능하며, 이와 같은 단순 구조의 변경 정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개폐부의 단차 조립부(118) 외주연에는 제1,2,3개폐조절변(121)(122)(123)을 관통공의 차단 위치에 폐쇄 안내하도록 계단 형태로 단차 형성되는 단차 안내부(131)(132)(133)을 형성하고, 상기 제3개폐조절변(123)과 제2개폐조절변(122)의 일측에 제2개폐조절변(122)과 제1개폐조절변(121)을 걸림작동하여 순차 폐쇄하는 걸림돌기(123-1)(122-1)와, 상기 제3개폐조절변(123)의 대향측 엇갈린 위치에 관통공(117)(117')으로 삽입되게 수직 연장되어 차단편에 밀착 폐쇄됨과 함께 제2개폐조절변(122)과 제1개폐조절변(121)을 걸림작동하여 순차 개방하는 스토퍼(123-2)(123-2')를 형성하여 제1,2,3개폐조절변이 순차적으로 개폐되면서 관통공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이룬다.
또한, 상기 제3개폐조절변(123)의 중앙에는 외측에 회전손잡이(123a)와 내측에 요홈(123c)을 갖는 회전축부(123b)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축부(123b)를 제1,2개폐조절변(121)(122) 및 개폐부(115)의 회전축공(121a)(122a)(113)에 삽입하되, 상기 회전축부의 요홈(123c)에 개폐부의 회전축공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분할되는 절결홈(142)과 원주상에 다수의 경사걸림턱(143)을 형성하는 고정핀(140)의 삽입구(141)를 탄발 삽입하여 제1,2,3개폐조절변이 회전가능하면서 이탈 방지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2,3개폐조절변(121)(122)(123)이 설치되는 개폐부의 단차 조립부(118)는 원통부 보다 단면 직경이 크게 형성된 플랜지부의 내부에 확장되도록 단차 형성하므로 개폐부의 관통공 직경을 최대화하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통캡의 단차 조립부(118)에 외측에는 제2 단차 조립부(119)를 형성하여 방충망(150)이 조립된다.
그 밖에 상기 원통캡의 원통부(111)는 원주를 따라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후육부(厚肉部)(111a)를 다수 형성하고, 상기 후육부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슬리브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쐐기돌기(111b)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는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외측 원통캡(210)과, 상기 벽체(W) 및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와 실외측 원통캡(210)의 사이로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재(220)의 충진으로 구성되어 이룬다.
상기 실외측 원통캡(210)은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에 삽입되는 원통부(211)와 슬리브 및 벽체(W)의 실외측면에 접하는 플랜지부(212)로 구성하되, 상기 원통부(211)의 실외측 단부 내주면에는 상하로 형성된 다수의 경사형 루버편(213)으로 환기공(215)을 구획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부(212)의 내측면에는 실링재 시공을 위한 실링재 삽입홈(214)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형 루버편(213)은 실내측이 높고 실외측이 낮은 경사각으로 외부 빗물의 유입을 방지함은 물론 최하단 위치의 경사형 루버편(213)과 원통부(211)의 내주면 사이에 유입된 빗물의 배출을 위한 배수공(216)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부(211)는 원주를 따라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후육부(厚肉部)(211a)를 다수 형성하고, 상기 후육부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슬리브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쐐기돌기(211b)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로서,151은 방충망(150)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을 나타내는 것이 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장치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벽체(W)에 매설된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와 실외측 단부에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와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를 설치하는데, 상기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는 실링재 삽입홈(214)에 실링재(220)를 충진하여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기밀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의 원통캡(110)과 상기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의 원통캡(210)은 각 원통부(111)(2111)의 원주를 따라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후육부(厚肉部)(111a)(211a)와 상기 후육부의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쐐기돌기(111b)(211b)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슬리브의 내주면과의 간극이 작거나 큰 경우에도 상기 후육부가 탄발 작동하여 삽입이 용이함은 물론 후육부의 쐐기돌기(111b)(211b)가 슬리브의 내주면에 탄발 밀착 설치되기 때문에 이탈 우려가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의 개폐부(115)에는 단차 조립부(118)로 제1,2,3개폐조절변(121)(122)(123)을 차례로 안착하되, 상기 제3개폐조절변의 회전축부(123b)를 제1,2개폐조절변(121)(122) 및 개폐부(115)의 회전축공(121a)(122a)(113)에 삽입하고, 상기 회전축부의 요홈(123c)에 개폐부의 회전축공 내측에서 고정핀(140)의 삽입구(141)를 삽입함에 의해 상기 삽입구의 길이방향으로 분할되는 절결홈(142)이 탄발 작동함과 함께 원주상에 형성된 다수의 경사걸 림턱(143)을 걸림작동하여 제3개폐조절편(123)을 회전가능하면서 지지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의 단차 조립부(118) 외측에 형성된 제2단차조립부(119)에는 방충망(150)을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환기장치를 조립 완료하게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본 발명 장치의 작용 및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세균이나 곰팡이 번식 방지>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의 실외측 원통캡(210)에는 플랜지부(212)의 실링재 삽입홈(214)에 실링재(220)가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벽체(W)를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 유입시 실링재(220)가 기밀을 유지하게 되어 빗물의 유입을 확실히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의 실외측 원통캡(210)에는 원통부(211) 내주면 하단과 최하단 경사루버편(213) 사이에 배수공(216)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응축수, 응결수 등이 발생하더라도 원활히 배수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환기장치 내부에는 습도 상승을 방지하고 세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과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환기량 조절>
환기량 조절은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의 개폐부(115)에 조립된 제1,2,3 개 폐조절변(121)(122)(123)에 의해 원통캡 단면적의 3/4 넓이를 개폐 조절하도록 행하게 된다.
먼저, 도 10a에서와 같이 상기 제1,2,3 개폐조절변(121)(122)(123)이 개폐부(115)의 관통공(117)(117')을 모두 차단한 상태에서 관통공을 점차 개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3개폐조절변(123)의 회전손잡이(123a)를 파지하여 제3개폐조절변(123)을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3개폐조절변(123)이 회전하여 개방되는 위치의 관통공(117)(117')이 개방되게 된다.(도 10b 참조)
즉, 원통캡 단면적의 1/4 넓이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3개폐조절변(123)의 회전손잡이(123a)를 좀 더 회전하면 상기 제3개폐조절변(123)의 대향측 엇갈린 위치로 형성된 스토퍼(123-2)가 제2개폐조절변(122)을 걸림작동하여 제3개폐조절변의 개방과 함께 제2개폐조절변(122)이 회전하여 개방되는 위치의 관통공(117)(117')이 개방되게 된다.(도 10c 참조)
즉, 원통캡 단면적의 2/4 넓이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상기 제3개폐조절변(123)의 회전손잡이(123a)를 좀 더 회전하면 상기 제3개폐조절변(123)의 대향측 엇갈린 위치로 형성된 스토퍼(123-2)가 제2개폐조절변(122)과 함께 제1개폐조절변(121)을 걸림작동하여 제3개폐조절변의 개방과 함께 제1,2개폐조절변(121)(122)이 회전하여 개방되는 위치의 관통공(117)(117')이 개방되게 된다.(도 10d 참조)
즉, 원통캡 단면적의 3/4 넓이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3개폐조절변(121)(122)(123)은 개폐부(115)의 차단편(116)(116')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 상기 개방된 관통공을 제1,2,3개폐조절변(121)(122)(123)에 의해 폐쇄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전술한 개방 과정에 역순에 의해 행한다.
상기 제3개폐조절변(123)의 회전손잡이(123a)를 파지하여 제3개폐조절변(123)을 개방시와 역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3개폐조절변(123)이 회전하여 제3개폐조절변의 넓이 만큼 관통공(117)(117')을 폐쇄되게 된다.
즉, 원통캡 단면적의 1/4 넓이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3개폐조절변(123)의 회전손잡이(123a)를 좀 더 회전하면 상기 제3개폐조절변(123)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23-1)가 제2개폐조절변(122)에 걸림작동하여 제3개폐조절변과 함께 제2개폐조절변(122)을 회전하여 제2,3개폐조절변의 넓이 만큼 관통공(117)(117')이 폐쇄되게 된다.
즉, 원통캡 단면적의 2/4 넓이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3개폐조절변(123)의 회전손잡이(123a)를 좀 더 회전하면 상기 제2개폐조절변(122)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22-1)가 제1개폐조절변(121)에 걸림작동하여 제3개폐조절변과 함께 제1,2개폐조절변(121)(122)을 회전하여 제1,2,3개폐조절변의 넓이 만큼 관통공(117)(117')이 폐쇄되게 된다.
즉, 원통캡 단면적의 3/4 넓이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3개폐조절변(121)(122)(123)의 폐쇄과정에서 상기 제1,2,3 개폐조절변의 폐쇄위치는 개폐부의 단차 조립부(118) 외주연에 계단 형태로 단차 형성되는 단차 안내부(131)(132)(133)에 의해 상기 제1,2,3개폐조절변(121)(122)(123)이 일정 위치까지 폐쇄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개폐조절변(121)은 단차안내부(131), 상기 제2개폐조절변(122)은 단차안내부(132), 제3개폐조절변(123)은 단차안내부(133)에 의해 안내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폐쇄작동시에 제3개폐조절변(123)의 대향측 엇갈린 위치로 형성된 스토퍼(123-2)가 관통공(117)(117')의 측면에 밀착되어 더욱 기밀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1,2,3개폐조절변(121)(122)(123)을 순차 회전시키면서 관통공(117)(117')을 간단하게 개폐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개폐부의 관통공(117)(117') 크기를 원통캡 단면적의 3/4에 해당되는 넓은 면적으로 확보함과, 상기 제1,2,3개폐조절변(121)(122)(123)이 설치되는 개폐부의 단차 조립부(118)를 원통캡의 원통부 보다 단면 직경이 크게 형성된 플랜지부의 내부에 확장되도록 단차 형성하므로 개폐부의 관통공(117)(117') 직경을 최대화하기 때문에 환기량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부의 관통공을 개폐하는 개폐조절변의 수효는 가감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조절변의 수효를 많이 형성할수록 환기량을 미세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청소 등 유지관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망(150)이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실내측 원통캡(110)의 개폐부(115) 외측에 형된 제2단차조립부(119)에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방충망(150)의 분리에 의한 청소, 교체 등 유지관리가 매우 간편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 실내측 루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외측 루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내측 루버 조립체의 원통캡 바탕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a,b는 도 5의 평면도와 단면도.
도 7a,b는 본 발명 제1개폐조절변을 보여주는 배면도와 단면도.
도 8a,b는 본 발명 제2개폐조절변을 보여주는 배면도와 단면도.
도 9a,b는 본 발명 제3개폐조절변을 보여주는 배면도와 단면도.
도 10a,b,c,d는 본 발명 작동 순서도.
도 11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조립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다른 장치의 단면도.
도 14 내지 도 15는 도 13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실내측 루버 조립체 110 : 실내측 원통캡
111 : 원통부 111a : 후육부
111b : 쐐기돌기 121,122,123 : 제1,2,3개폐조절변
115 : 개폐부 113 : 회전축공
116,116' : 차단편 117,117' : 관통공
118 : 단차 조립부 121a,122a,113 : 회전축공
122-1,123-1 : 걸림돌기
131,132,133 : 단차안내부
140 : 고정핀 141 : 삽입구
142 : 절결홈 143 : 경사걸림턱
150 : 방충망 123-2 : 스토퍼
200 : 실외측 루버 조립체
210 : 실외측 원통캡 211 : 원통부
211a : 후육부 211b : 쐐기돌기
214 : 실링재 삽입홈 220 : 실링재

Claims (3)

  1. 벽체(W)에 매설되는 원통형의 슬리브(S)와; 상기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 및; 상기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로 구성하되, 상기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는 원통부(111)와 플랜지부(113)를 갖는 실내측 원통캡(110)의 원통부(111) 전방에 중앙의 회전축공(113) 원주상에 나비 형태로 대향되게 차단 형성하는 차단편(116)(116')과 상기 차단편의 좌우 위치에 부채꼴 형태로 관통 형성하는 관통공(117)(117')을 갖는 개폐부(115) 및 상기 개폐부(15)의 차단편과 관통공이 포함되도록 함몰 형성된 단차 조립부(118)를 형성하여 이루고, 상기 개폐부(115)의 단차 조립부(118)에는 관통공(117)(117')을 나비 형태로 대향되게 차단하는 제1,2,3개폐조절변(121)(122)(123)을 차례로 회전축공(113)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는 원통부(211)와 플랜지부(212)를 갖는 실외측 원통캡(210)의 경사형 루버편에 의해 형성된 환기공으로 환기를 이루는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의 개폐부(115)는 단차 조립부(118)의 외주연으로 제1,2,3개폐조절변(121)(122)(123)을 관통공의 차단 위치에 폐쇄 안내하도록 계단 형태로 단차 형성되는 단차 안내부(131)(132)(133)를 형성하고,
    상기 제3개폐조절변(123)과 제2개폐조절변(122)의 일측에는 걸림돌기(123-1)(122-1)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123-1)(122-1)에 의해 제2개폐조절변(122)과 제1개폐조절변(121)이 걸림작동하여 순차 폐쇄되게 하며,
    상기 제3개폐조절변(123)의 양측 끝단에는 서로 엇갈려 배치되는 스토퍼(123-2)(123-2')를 수직 연장 형성하여 상기의 스토퍼(123-2)(123-2')가 관통공(117)(117')으로 삽입되어 차단편의 끝단에 밀착 폐쇄됨과 함께 제2개폐조절변(122)과 제1개폐조절변(121)을 걸림작동하여 순차 개방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123-1)(122-1)와 스토퍼(123-2)(123-2')에 의해 제1,2,3개폐조절변이 순차 개폐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90011517A 2009-02-12 2009-02-12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KR101104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517A KR101104942B1 (ko) 2009-02-12 2009-02-12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517A KR101104942B1 (ko) 2009-02-12 2009-02-12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234A KR20100092234A (ko) 2010-08-20
KR101104942B1 true KR101104942B1 (ko) 2012-01-12

Family

ID=42757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517A KR101104942B1 (ko) 2009-02-12 2009-02-12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9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78462U1 (ru) * 2017-03-30 2018-04-0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ысь" Приточный вентиляционный клапан
KR200494401Y1 (ko) * 2021-04-23 2021-10-05 강희준 조립이 용이한 환기구
RU210001U1 (ru) * 2021-11-03 2022-03-24 Ооо "Бау Сити" Приточный вентиляционный клапа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710U (ko) * 1997-10-13 1999-06-05 박태업 실내 환기구
KR20080075650A (ko) * 2007-02-13 2008-08-19 임상훈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710U (ko) * 1997-10-13 1999-06-05 박태업 실내 환기구
KR20080075650A (ko) * 2007-02-13 2008-08-19 임상훈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234A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942B1 (ko)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RU2605375C2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кна или двери
KR200442087Y1 (ko) 창문용 다단조절 통풍장치
KR100887403B1 (ko)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JP3133187U (ja) 換気フード
KR101350352B1 (ko) 창호용 환기장치
KR101070645B1 (ko)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KR101249337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100890932B1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KR20090005887U (ko)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
JP4460887B2 (ja) 自然換気装置
KR101249338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KR200440195Y1 (ko) 창문용 통풍 개폐장치
KR100532023B1 (ko) 공동주택용 환기장치
PL206475B1 (pl) Okno
JP2017089367A (ja) 建具
JP6557580B2 (ja) 建具
DE10341098A1 (de) Lüftungseinheit zur Integration in ein Rahmenprofil
KR101945500B1 (ko) 도어용 자연환기장치
JP7377537B2 (ja) 窓装置
WO2001009473A1 (en) Intake ventilator
KR0133267Y1 (ko) 건물의 환기구용 셔터
KR101811572B1 (ko) 방풍 및 단열이 우수한 방문용 자연환기구
KR200449486Y1 (ko) 창호용 환기창
KR102263459B1 (ko) 에어 벤트 그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