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645B1 -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645B1
KR101070645B1 KR1020080088253A KR20080088253A KR101070645B1 KR 101070645 B1 KR101070645 B1 KR 101070645B1 KR 1020080088253 A KR1020080088253 A KR 1020080088253A KR 20080088253 A KR20080088253 A KR 20080088253A KR 101070645 B1 KR101070645 B1 KR 101070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ventilation
ventilation amount
indoor
cylindrical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047A (ko
Inventor
임상훈
임상명
Original Assignee
임상명
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명, 임상훈 filed Critical 임상명
Publication of KR20090101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0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composed of diaphragms or seg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25Ventilation using vent ports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4Natural ventilation using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리브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내측 원통캡에 40도의 부채꼴을 이루는 3개의 차단편과 80도의 부채꼴을 이루는 3개의 통기공을 교호로 형성하고, 이 원통캡의 내부에 중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환기량 조절변과 환기량 보조 조절변에 각각 40도의 부채꼴을 이루는 3개의 차단편과 80도의 부채꼴을 이루는 3개의 통기공을 교호로 형성하여 완전개방 상태에서 실내측 원통캡의 내부 종단면적의 2/3의 환기단면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환기량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실내측 원통캡의 단부에 확장한 방충망을 설치하여 환기단면적을 확보하고 필요시 방충망의 청소 및 교체 등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실내측 원통캡과 실외측 원통캡을 이루는 원통부를 각각 원주를 따라 교호로 형성되는 후육부와 박육부와 박육부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쐐기돌기로 구성하여 슬리브에 대한 실내측 원통캡과 실외측 원통캡의 삽입이 용이하고 슬리브에 대한 실내측 원통캡과 실외측 원통캡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실외측 원통캡과 벽체와의 틈으로 침투하는 빗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88253
자연환기, 벽체매립

Description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Ventilation device buried in wall}
본 발명은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로부터 빗물의 침입이 차단되고, 습기 및 물기의 배출 작용이 원활하여 세균이나 곰팡이 서식이 방지되며, 환기량이 극대화되고, 환기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청소 등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와 습기를 배출하고 신선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다습에 의한 세균이나 곰팡이의 서식과 결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기에 면하는 발코니 외측에 있는 콘크리트 벽체 상부와 하부에 매립 설치되는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W)에 매립되는 슬리브(S)와, 상기 슬리브(S)의 내측단과 외측단에 조립되는 실내측 루버 조립체(louver assembly)(400)와 실외측 루버 조립체(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리브(S)는 그 길이를 벽체(W)의 두께와 같게 하여 벽체(W)를 구축하기 위한 내외측 거푸집 패널(미도시) 사이에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에 의해 벽체(W)에 매설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실내측 루버 조립체(400)는 상기 슬리브(S)의 내측단에 삽입 결합되는 실내측 원통캡(410)과, 이 실내측 원통캡(410)의 외측단에 삽입 결합되는 루버 어댑터(420) 및, 상기 루버 어댑터(420)의 실내측에 결합되는 실내측 루버(430)로 구성된다.
상기 실내측 원통캡(410)은 상기 슬리브(S)의 내측단 안으로 삽입되는 원통부(411)와, 이 원통부(411)의 내측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슬리브(S)의 내측단과 벽체(W)의 내면에 접하는 플랜지부(412)와, 이 플랜지부(412)에 천공된 복수개(도시예에서는 4개이나 도 10에서는 2개만 보임)의 통공(413) 및, 상기 원통부(411)에서 절취, 절곡되어 슬리브(S)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걸림편(41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루버 어댑터(420)는 상기 원통부(411)의 내측단에 삽입되는 원통부(421)와, 상기 원통부(421)의 내측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부(422)와, 상기 원통부(421)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중심부의 통기공(424)과 이 통기공(424)을 중심으로 동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도시예에서는 2개)의 링형 리브(425)를 가지는 원판부(423)와, 상기 플랜지부(422)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상기 실내측 원통캡(410)의 플랜지부(412)에 형성된 통공(413)을 통하여 플랜지부(412)에 걸리는 후크(426)와, 상기 원판부(423)에 천공된 복수개(도시예에서는 4개이나 도 8에서는 2개만 보임)의 통공(427)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내측 루버(430)는 상기 루버 어댑터(420)의 원통부(421)에 삽입되며 복수개의 동심원형 경사루버편(432)을 가지는 원통형 몸체(431)와, 상기 원통형 몸체(431)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루버 어댑터(420)의 원판부(423)에 형성된 통공(427)을 통하여 원판부(423)에 걸리는 후크(433) 및, 중심부에서 실내를 향하여 돌출되는 손잡이(4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외측 루버 조립체(500)는 슬리브(S)의 내측단에 삽입 결합되는 실외측 원통캡(510)과, 이 실외측 원통캡(510)의 내측단에 삽입 결합되는 실외측 루버(520) 및, 상기 실외측 원통캡(510)의 외측단에 결합되는 방충망(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외측 원통캡(510)은 상기 슬리브(S)의 외측단 안으로 삽입되는 원통부(511)와, 이 원통부(511)의 외측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슬리브(S)의 외측단과 벽체(W)의 외면에 접하는 플랜지부(512)와, 이 플랜지부(512)에 천공된 복수개(도시예에서는 4개이나 도 10에서는 2개만 보임)의 통공(513) 및, 상기 원통부(511)에서 절취, 절곡되어 슬리브(S)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걸림편(51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외측 루버(520)는 상기 원통부(511)의 외측단에 삽입되는 원통부(521)와, 상기 원통부(521)의 외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512)의 외측면에 접하는 플랜지부(522)와, 상기 원통부(521)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개의 경사루버편(523)과, 상기 플랜지부(522)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실외측 원통캡(510)의 플랜지부(512)에 천공된 통공(513)을 통하여 플랜지부(512)에 걸리는 후크(5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방충망(530)은 상기 실외측 원통캡(510)의 원통 부(511)의 내측단에 결합되는 링형 결합홈(532)이 형성된 원통부(531)와, 이 원통부(531)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망체(5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상기 슬리브(S)는 벽체(W)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벽체(W)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된다.
슬리브(S)의 설치는 예컨대, 벽체(W)를 구축하기 위하여 내외측 거푸집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그 내외측 거푸집 패널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W)를 구축한 다음, 거푸집을 탈거하면 슬리브(S)가 벽체(W)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벽체(W)에 매설된 슬리브(S)의 내, 외측단에 각각 실내측 루버 조립체(400)와 실외측 루버 조립체(500)를 조립한다.
실내측 루버 조립체(400)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실내측 원통캡(410)의 원통부(411)를 슬리브(S)의 내측단에 삽입함과 아울러 그 플랜지부(412)가 슬리브(S)의 내측단과 벽체(W)의 외면에 접하도록 한다. 이때, 원통부(411)에 절취, 절곡된 걸림편(414)이 슬리브(S)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걸리게 되어 실내측 원통캡(410)이 슬리브(S)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루버 어댑터(420)의 원통부(421)를 실내측 원통캡(410)의 원통부(411)의 외측단에 삽입함과 아울러 그 플랜지부(422)가 실내측 원통캡(410)의 플랜지부(412)와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플랜지부(422)의 외주측에 형성된 후크(426)가 실내측 원통캡(410)의 플랜지부(412)에 형성된 통공(413)을 통하여 플랜지부(412)에 걸려서 루버 어댑터(420)가 실내측 원통캡(410)에 고정 결합된다. 실 내측 루버(430)의 원통형 몸체(431)를 루버 어댑터(420)의 원통부(421)의 내측단에 삽입한다. 이때 원통형 몸체(431)에 형성된 후크(433)가 루버 어댑터(420)의 원판부(423)에 형성된 통공(427)을 통하여 원판부(423)에 걸려서 실외측 루버(430)가 루버 어댑터(420)에 고정 결합된다.
실외측 루버 조립체(500)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실외측 원통캡(510)의 원통부(511)를 슬리브(S)의 외측단에 삽입함과 아울러 그 플랜지부(512)가 슬리브(S)의 외측단과 벽체(W)의 외면에 접하도록 한다. 이때, 원통부(511)에 절취, 절곡된 걸림편(514)이 슬리브(S)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걸리게 되어 실외측 원통캡(510)이 슬리브(S)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실외측 루버(520)의 원통부(521)를 실외측 원통캡(510)의 원통부(511)의 내측단에 삽입함과 아울러 그 플랜지부(522)가 상기 실외측 원통캡(510)의 플랜지부(512) 내측면에 접하도록 한다. 이때 플랜지부(522)에 형성된 후크(524)가 실외측 원통캡(510)의 플랜지부(512)에 천공된 통공(513)을 통하여 삽입되어 플랜지부(512)에 걸려서 실외측 루버(520)가 실외측 원통캡(510)에 고정 결합된다. 방충망(530)의 원통부(531)에 형성된 링형 결합홈(532)에 실내측 원통캡(510)의 원통부(511)의 내측단이 압입되도록 함으로써 실외측 원통캡(510)의 외측단에 방충망(530)이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이 있다.
첫째, 실외측 루버 조립체(500)를 구성하는 실외측 원통캡(510)이 슬리브(S)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슬리브(S)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걸리는 걸림편(514)에 의 하여 결합되므로 슬리브(S)와 원통부(511) 사이의 발생된 틈으로 우수가 침입하게 되어 슬리브(S)와 실내측 루버 조립체(400) 및 실외측 루버 조립체(500) 내의 습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그 내부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하게 되어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이나 피부질환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실외측 루버 조립체(500)를 구성하는 실외측 루버(520)에 형성된 경사루버편(523)이 위에서 아래로 가면서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최하단에 위치하는 경사루버편(523)의 하단부가 원통부(521)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칩입한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그대로 고여 있게 되어 슬리브(S)와 실내측 루버 조립체(400) 및 실외측 루버 조립체(500) 내의 습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그 내부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하게 되어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이나 피부질환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통기가 실외측 루버(520)의 경사루버편(523) 사이의 틈새와, 실내측 루버 어댑터(420)의 통기공(424) 및 실내측 루버(430)의 동심원형 경사루버편(432) 사이의 틈새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특히 실내측 루버 어댑터(420)의 통기공(424)의 환기단면적이 매우 작기 때문에 환기량이 미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환기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동심원형 경사루버편(432)이 형성된 실내측 루버(430)를 통기공(424)이 형성된 실내측 루버 어댑터(420)에 대하여 실내측으로 당겨 실내측 루버(430)와 실내측 루버 어댑터(420)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하고, 환기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동심원형 경사루버편(432)이 형성된 실내측 루버(430)를 통기공(424)이 형성된 실내측 루버 어댑터(420)에 대하여 실외측으로 밀어 실내측 루 버(430)와 실내측 루버 어댑터(420) 사이의 간격을 줄이게 되어 있으므로 환기량을 조절을 위한 조작에 대한 감지가 용이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방충망(530)이 실외측 루버 조립체(500)에 결합되어 슬리브(S)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방충망(530)의 착탈 및 청소 등 유지관리가 불가하여 장기간 사용시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섯째,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부재수가 6개로서 비교적 많기 때문에 제조비용 증가와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제2007년 특허출원 제0014840호와 같은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선출원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는 벽체에 매설되어 그 양단이 벽체 내,외면에서 개구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내측 원통캡과, 상기 실내측 원통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기량을 조절하는 환기량 조절변 및, 상기 실내측 원통캡에 결합되는 방충망을 포함하는 실내측 루버 조립체 및; 상기 슬리브의 실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외측 원통캡과, 상기 벽체 및 슬리브의 실외측 단부와 실외측 원통캡의 사이로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팽창 지수재를 포함하는 실외측 루버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선출원 발명의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는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여 습도 상승을 방지하고 세균이나 곰팡이 서식 및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과 피부질 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응축수, 응결수 등의 냉각수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습도 상승을 방지하고 세균이나 곰팡이 서식 및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과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실내측 루버 조립체에 돌출되지 않으면서 임의 조절이 가능한 환기량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원하는 환기량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방충망을 실내측에 위치시키고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청소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출원 발명의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는 벽체에 매립된 슬리브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며 3개의 차단편과 3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실내측 원통캡에 3개의 차단편과 3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환기량 조절변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실내측에서 환기량 조절변을 좌우로 돌리는 것에 의해 차단편들에 의한 통기공들의 개방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환기단면적이 조절되어 환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선출원 발명의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는 실내측 원통캡과 환기량 조절변의 차단편과 통기공이 각각 60도 각도를 가지고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완전히 개방된 상태, 즉 실내측 원통캡의 통기공과 환기량 조절변의 통기공이 완전히 일치한 상태에서 환기단면적이 실내측 원통캡의 전체 단면적에 대하여 1/2로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출원 발명의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는 실내측 원통캡의 실내측 단부의 내경과 원통부의 내경이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환기단면적이 적어 환기성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출원 발명의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는 벽체에 매립된 슬리브의 실내,외측 단부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실내,외측 원통캡의 원통부의 외주면에 4개의 쐐기돌기가 형성되어 슬리브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원통부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어서 원통부가 슬리브에 대하여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슬리브의 내경과 실내,외측 원통캡의 외경 간의 공차가 작을 경우에는 슬리브에 대한 실내,외측 원통캡의 삽입이 어렵게 되고, 상기 공차가 큰 경우에는 실내,외측 원통캡이 슬리브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단면적을 최대화하여 환기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체에 매립된 슬리브에 대한 실내,외측 원통캡의 삽입이 용이하면서도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벽체에 매설되어 그 양단이 벽체 내,외면에서 개구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내측 루버 조립체 및; 상기 슬리브의 실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외측 루버 조립체로 구성 되는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루버 조립체는, 상기 슬리브의 실내측 단부에 삽입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실내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슬리브의 실내측 단부와 벽체의 실내측면에 접하며 그 내주면의 실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조절변 설치홈과, 그 내주면의 실내측 단부에 상기 조절변 설치홈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방충망 설치홈과, 상기 조절변 설치홈과 방충망 설치홈 사이에 실내측을 향하여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를 가지는 플랜지부와, 상기 원통부와 플랜지부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40도의 부채꼴을 이루는 3개의 차단편과, 상기 복수개의 차단편 사이에 형성되며 80도의 부채꼴을 이루는 3개의 통기공을 가지는 실내측 원통캡과; 상기 실내측 원통캡의 조절변 설치홈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측에 형성되는 링형부와, 상기 차단편에 대응하여 이 링형부에서 중심을 향해 연장되며 40도의 부채꼴을 이루는 3개의 차단편과, 상기 통기공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편 사이에 형성되며 80도의 부채꼴을 이루는 3개의 통기공 및 상기 차단편의 중심측에서 실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조절손잡이를 가지는 환기량 조절변과; 상기 실내측 원통캡의 조절변 설치홈 내에서 환기량 조절변과 차단편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측에 형성된 링형부와 상기 차단편에 대응하여 이 링형부에서 중심을 향해 연장되며 40도의 부채꼴을 이루는 3개의 차단편과, 상기 통기공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편 사이에 형성되며 80도의 부채꼴을 이루는 3개의 통기공을 가지는 환기량 보조 조절변과; 상기 환기량 보조 조절변이 환기량 조절변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연동회전수단과; 상기 환기량 조절변과 환기량 보조 조절변을 완전열림 위치와 완전닫힘 위치에서 멈추게 하기 위한 멈춤수단 및, 상기 실 내측 원통캡에 결합되는 방충망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연동회전수단은 상기 환기량 조절변의 차단편의 실외측 면에 형성되며 닫힘방향 리딩에지측에 열림연동 걸림턱을, 열림방향 리딩에지측에 닫힘연동 걸림턱을 가지는 원호형 연동안내홈과, 상기 환기량 조절변의 차단편의 닫힘방향 리딩에지에서 실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원호형 연동안내홈에 삽입 안내되는 연동안내돌기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환기량 조절변의 닫힘측 리딩에지를 따라서 실외측으로 돌출되어 환기량 보조 조절변의 통기공에 삽입되며 완전열림 위치에서는 실내측 원통캡의 차단편의 닫힘방향 에지에 걸리고 완전닫힘 위치에서는 실내측 원통캡의 차단편의 열림방향 에지에 걸리는 제1 스토퍼와, 상기 실내측 원통캡의 지지보스의 실내측 면에서 돌출되어 환기량 보조 조절변의 통기공에 삽입되며 완전열림 위치에서는 환기량 보조 조절변의 닫힘방향 리딩에지에 걸리고 완전닫힘 위치에서는 환기량 보조 조절변의 열림방향 리딩에지에 걸리는 원호형 제2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실외측 루버 조립체는 상기 슬리브의 실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외측 원통캡과, 상기 벽체 및 슬리브의 실외측 단부와 실외측 원통캡의 사이로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팽창 지수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원통부는 그 원주를 따라 교호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후육부와 복수개의 박육부와, 상기 박육부의 외주면 중간부에 그 중심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 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쐐기돌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벽체에 매설되어 그 양단이 벽체 내,외면에서 개구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내측 루버 조립체 및; 상기 슬리브의 실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외측 루버 조립체로 구성되는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루버 조립체는, 상기 슬리브의 실내측 단부에 삽입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실내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슬리브의 실내측 단부와 벽체의 실내측면에 접하며 그 내주면의 실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조절변 설치홈과, 그 내주면의 실내측 단부에 상기 조절변 설치홈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방충망 설치홈과, 상기 조절변 설치홈과 방충망 설치홈 사이에 실내측을 향하여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를 가지는 플랜지부와, 상기 원통부와 플랜지부의 사이에 양측으로 대칭되게 45도의 부채꼴로 형성되는 일자형의 차단편과, 상기 차단편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각각 부채꼴로 형성되는 135도의 통기공을 가지는 실내측 원통캡과; 상기 차단편에 대응하여 양측으로 대칭되게 45도의 부채꼴로 형성되는 일자형의 차단편과, 상기 차단편의 중심측에서 실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조절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환기량 조절변과; 상기 실내측 원통캡의 조절변 설치홈 내에서 환기량 조절변과 차단편 사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차단편에 대응하여 양측으로 대칭되게 45도의 부채꼴로 형성되는 일자형의 차단편과, 상기 차단편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에 각각 동심원상으로 지지되는 축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과; 상기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이 환기량 조절변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연동회전수단과; 상기 환 기량 조절변과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을 완전열림 위치와 완전닫힘 위치에서 멈추게 하기 위한 멈춤수단 및, 상기 실내측 원통캡에 결합되는 방충망을 포함하여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를 구성한 것이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이다.
상기 연동회전수단은 상기 환기량 조절변과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의 차단편의 실외측면에 형성되며 닫힘방향 리딩에지측에 열림연동 걸림턱을, 열림방향 리딩에지측에 닫힘 연동걸림턱을 가지는 원호형 연동안내홈 및 원호형 연동안내부와, 상기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의 차단편의 원호형 연동안내부에 열림방향 리딩에지에서 실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환기량 조절변의 원호형 연동안내홈에 삽입 안내되어 닫힘시 환기량 조절변의 닫힘 연동걸림턱에 걸리도록 하는 연동안내돌기와, 상기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의 차단편에 열림방향 리딩에지에서 실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원호형 연동안내홈에 삽입 안내되어 열림시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의 닫힘 연동걸림턱에 걸리도록 하는 연동안내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환기량 조절변의 닫힘방향 리딩에지를 따라서 실외측으로 돌출되어 완전열림 위치에서는 실내측 원통캡의 차단편의 닫힘방향 에지에 걸리고 완전닫힘 위치에서는 실내측 원통캡의 차단편의 열림방향 에지에 걸리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는 기본적으로 빗물의 침입을 차단하여 습도 상승을 방지하고 세균이나 곰팡이 서식 및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과 피부질 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와, 응축수, 응결수 등의 냉각수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와, 실내측 루버 조립체에 환기량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원하는 환기량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와, 방충망을 실내측에 위치시키고 착탈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청소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는 환기단면적을 슬리브의 종단면적의 2/3까지 확대할 수 있어 환기량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는 슬리브의 실내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내,외측 원통캡의 원통부에 부분적으로 얇게 형성한 탄성부와 이 탄성부에 형성되어 슬리브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쐐기돌기에 의하여 슬리브에 실내,외측 원통캡의 삽입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실내,외측 원통캡이 슬리브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설치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실내,외측 루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실내측 루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실내측 원통캡의 정면도, A-A선 단면도 및 배면도, 도 5는 도 4의 "B"부 확대도, 도 6은 환기량 조절변의 정면도, C-C선 단면도 및 배면도, 도 7은 환기량 보조 조절변의 정면도, D-D선 단면도 및 배면도, 도 8은 설치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E"부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F"부 확대도, 도 11은 환기량 조절 단계를 보인 실내측 루버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도 11a는 완전열림 상태, 도 11b는 중간 열림 상태, 도 11c는 완전닫힘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12는 환기량 조절 단계를 보인 실내측 루버 조립체의 배면도로서, 도 12a는 완전열림 상태, 도 12b는 중간 열림 상태, 도 12c는 완전닫힘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는 벽체(W)에 매설되어 그 양단이 벽체 내,외면에서 개구되는 슬리브(S)와; 상기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 및; 상기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리브(S)는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벽체(W)를 구축하기 위한 내외측 거푸집 패널(미도시) 사이에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에 의하여 벽체(W)에 매설된 상태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는 도 1 내지 도 12와 같이, 상기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내측 원통캡(110)과,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의 실내측 단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기량을 조절하는 환기량 조절변(120)과,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의 실내측 단부 내의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의 배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기량을 조절하는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과, 상기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이 환기량 조절변(120)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연동회전수단과,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과 환기량 보조 조절 변(130)을 완전열림 위치와 완전닫힘 위치에서 멈추게 하기 위한 멈춤수단 및,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에 결합되는 방충망(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은, 상기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에 삽입되는 원통부(111)와, 상기 원통부(111)의 실내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와 벽체(W)의 실내측면에 접하는 플랜지부(112)와, 상기 원통부(111)와 플랜지부(112)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개(도시례에서는 3개)의 차단편(113)과, 상기 복수개의 차단편(113)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도시례에서는 3개)의 통기공(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통부(111)는 슬리브(S)에 대한 삽입이 용이함과 아울러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원주를 따라 교호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후육부(厚肉部)(111a)와 복수개의 박육부(薄肉部)(111b)와, 상기 박육부(111b)의 외주면 중간부에 그 중심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S)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쐐기돌기(111c)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육부(111a)와 박육부(111b) 및 쐐기돌기(111c)는 도시례와 같이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랜지부(112)는 그 내주면의 실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조절변 설치홈(112a)과, 그 내주면의 실내측 단부에 상기 조절변 설치홈(112a)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방충망 설치홈(112b)과, 상기 조절변 설치홈(112a)과 방충망 설치홈(112b) 사이에 실내측을 향하여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112c)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편(113)과 통기공(114)은 각각 3개씩 형성되며, 차단편(113)은 40 도의 부채꼴로 형성되며, 상기 통기공(114)은 80도의 부채꼴로 형성되어 통기공(114)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환기단면적이 전체 360도 중에서 240도 범위에 이르도록 한다.
상기 원통부(111)의 실내측 단부와 조절변 설치홈(112a)의 내주면의 실외측 단부 사이에는 실내측으로 개방되는 링형 회전안내홈(115)이 형성된다.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은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의 조절변 설치홈(112a)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측에 형성되는 링형부(121)와, 상기 차단편(113)에 대응하여 이 링형부(121)에서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개(도시예에서는 3개)의 차단편(122)과, 상기 통기공(114)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편(122)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도시예에서는 3개)의 통기공(123) 및, 상기 차단편(122)의 중심측에서 실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조절손잡이(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은 단순히 실내측 원통캡(110)의 조절변 설치홈(112a)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으나, 환기량 조절변(1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의 차단편(113)의 중심측에서 실외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지지보스(116)와,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의 차단편(122)의 중심측에서 실외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보스(11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125)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이 실내측 원통캡(110)에 대하여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125)의 실외측 단부를 탄성후크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축(125)을 상하로 분할된 2개의 탄성편(125a)과, 이 탄성편(125a)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보스(116)의 단부에 걸리는 걸림돌기(125b)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은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의 조절변 설치홈(112a) 내에서 환기량 조절변(120)과 차단편(11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측에 형성된 링형부(131)와,
상기 차단편(113)에 대응하여 이 링형부(131)에서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개(도시예에서는 3개)의 차단편(132)과, 상기 통기공(114)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편(132)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도시예에서는 3개)의 통기공(133) 및, 상기 차단편(132)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25)에 지지되는 축공(1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형부(131)는 상기 차단편(132)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실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그 돌출부가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의 링형 회전안내홈(115)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편(122)(132)은 각각 열림방향 리딩에지(122a)(132a)와 닫힘방향 리딩에지(122b)(132b)를 가진다.
상기 연동회전수단은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의 차단편(122)의 실외측 면에 형성되며 닫힘방향 리딩에지(122b)측에 열림연동 걸림턱(141a)을, 열림방향 리딩에지(122a)측에 닫힘연동 걸림턱(141b)을 가지는 원호형 연동안내홈(141)과, 상기 환기량 조절변(130)의 차단편(132)의 닫힘방향 리딩에지(132b)에서 실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원호형 연동안내홈(141)에 삽입 안내되는 연동안내돌기(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림연동 걸림턱(141a)은 닫힘방향 리딩에지(122b)와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닫힘연동 걸림턱(141b)은 열림방향 리딩에지(122a)보다 연동안내돌기(142)의 두께만큼 열림방향으로 회전 편위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의 닫힘측 리딩에지(122b)를 따라서 실외측으로 돌출되어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통기공(133)에 삽입되며 완전열림 위치에서는 실내측 원통캡(110)의 차단편(113)의 닫힘방향 에지(113b)에 걸리고 완전닫힘 위치에서는 실내측 원통캡(110)의 차단편(113)의 열림방향 에지(113a)에 걸리는 제1 스토퍼(151)와,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의 지지보스(116)의 실내측 면에서 돌출되어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통기공(133)에 삽입되며 완전열림 위치에서는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닫힘방향 리딩에지(132b)에 걸리고 완전닫힘 위치에서는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열림방향 리딩에지(132a)에 걸리는 원호형 제2 스토퍼(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스토퍼(151)는 완전닫힘 상태에서 차단편(113)(122)(132)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상기 방충망(160)은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의 방충망 설치홈(116) 내에 삽입되는 외곽망틀(161)과, 상기 외곽망틀(161)의 내주측에 결합되는 망체(162) 및, 망체(162)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의 조절손잡이(124)가 삽입, 관통되는 안내보스(1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는 상기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외측 원통캡(210)과, 상기 벽체(W) 및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와 실외측 원통캡(210)의 사이로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팽창 지수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외측 원통캡(210)은 상기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에 삽입되는 원통부(211)와, 상기 원통부(211)의 실외측 단부의 외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와 벽체(W)의 실외측면에 접하는 플랜지부(212)와, 상기 원통부(211)의 실외측 단부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경사형 루버편(213) 및, 상기 플랜지부(212)의 실내측면에 형성되는 지수재 설치홈(2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통부(211)는 슬리브(S)에 대한 삽입이 용이함과 아울러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원주를 따라 교호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후육부(厚肉部)(211a)와 복수개의 박육부(薄肉部)(211b)와, 상기 박육부(211b)의 외주면 중간부에 그 중심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S)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쐐기돌기(211c)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육부(211a)와 박육부(211b) 및 쐐기돌기(211c)는 도시례와 같이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경사형 루버편(213)들은 실내측이 높고 실외측이 낮은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어 빗물이 들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형 루버편(213)들 중 최하단 경사형 루버편(213)과 원통부(211)의 내주면 사이에는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입한 빗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수공(21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수재 설치홈(214)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반경방향 폭(B)을 상기 슬리브(S)의 두께(t)보다 크게 하여 수팽창 지수재(220)가 슬리브(S)의 실외측단부와 벽체(W)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를 보인 다른 실시예로써,
도 13은 실내,외측 루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실내측 루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실내측 원통캡의 정면도, A′- A′선 단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16은 환기량 조절변의 정면도, B′- B′선 단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17은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의 정면도, C′- C′선 단면도 및 배면도이며, 도 18은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의 정면도, D′- D′선 단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19a,19b는 환기량 조절 단계를 보인 실내측 루버 조립체의 열림 및 닫힘과정도이며, 도 20은 설치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는 도 13 내지 도 20과 같이, 상기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내측 원통캡(110)과,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의 실내측 단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환기량을 조절하는 환기량 조절변(120)과,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의 실내측 단부 내의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의 배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2중으로 각각 설치되어 환기량을 3/4으로 조절하는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130B)과, 상기 제1,2환기량 보조 조절 변(130A)(130B)이 환기량 조절변(120)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연동회전수단과,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과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을 완전열림 위치와 완전닫힘 위치에서 멈추게 하기 위한 멈춤수단 및,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에 결합되는 방충망(16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이다.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은, 상기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에 삽입되는 원통부(111)와, 상기 원통부(111)의 실내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와 벽체(W)의 실내측면에 접하는 플랜지부(112)와, 상기 원통부(111)와 플랜지부(112)의 사이에 양측으로 대칭되게 45도의 부채꼴로 형성되는 일자형의 차단편(113)과, 상기 차단편(113)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부채꼴로 각각 형성되는 135도의 통기공(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부(112)는 상기 일실시예에서 기술한 내용과 동일하며, 다만 조절변 설치홈(112a)의 면은 양측에 상호 대응되게 환기량 조절변(120)과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130B)의 순차적인 닫힘시 지나치게 회동되지 않도록 계단식의 제1,2걸림턱(112a′)(112a˝)을 형성하여 조절변 설치홈(112a)의 면을 3등분하여 주므로써 적층되어 있는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130B)의 닫힘각도를 제어하게 한다.
이때 상기 조절변 설치홈(112a)의 면을 3등분 한다는 것은 통기공(114)의 닫힘각도를 3등분하여 닫혀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조절변 설치홈(112a)의 면을양측에 대응되게 제1,2걸림턱(112a′)(112a˝)을 형성한다는 것은 환기량 조절변(120)과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130B)의 각 양측 차단 편(113)(132A)(132B)이 회동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양측 통기공(114)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차단편(113)과 통기공(114)은 각각 2개씩 형성되며, 차단편(113)은 45도의 부채꼴로 대칭되게 형성하며, 상기 통기공(114)은 135도의 부채꼴로 형성되어 통기공(114)이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환기단면적이 전체 360도 중에서 3/4인 270도 범위에 이르도록 한다.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은 상기 차단편(113)에 대응하여 양측으로 대칭되게 45도의 부채꼴로 형성되는 일자형의 차단편(122)과, 상기 차단편(122)의 중심측에서 실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조절손잡이(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130B)은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의 조절변 설치홈(112a) 내에서 환기량 조절변(120)과 차단편(113) 사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차단편(113)에 대응하여 양측으로 대칭되게 45도의 부채꼴로 형성되는 일자형의 차단편(132A)(132B)과, 상기 차단편(132A)(132B)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25)에 각각 동심원상으로 지지되는 축공(134a)(134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단편(122)(132A)(132B)은 각각 열림방향 리딩에지(122a)(132a)(132a′)와 닫힘방향 리딩에지(122b)(132b)(132b′)를 가진다.
상기 연동회전수단은,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에는 차단편(122)의 실외측면에 형성되며 닫힘방향리딩에지(122b)측에 닫힘연동걸림턱(141b)을, 열림방향 리딩에지(122a)측에 열림연동걸림턱(141a)을 가지는 원호형 연동안내홈(141) 및 원호형 연동안내부(143)와, 상기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에는 차단편(132A)의 실외측면에 형성되며 닫힘방향 리딩에지(132b)측에 닫힘연동 걸림턱(135b)을, 열림방향 리딩에지(132a)측에 열림 연동개방홈(135a)을 가지는 원호형 연동안내홈(135) 및 원호형 연동안내부(136)와, 상기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의 원호형 연동안내부(136)의 열림방향 리딩에지(132a)에 실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의 원호형 연동안내홈(141)에 삽입 안내되어 닫힘시 환기량 조절변(120)의 닫힘 연동걸림턱(141b)에 걸리도록 하는 연동안내돌기(142a)와, 상기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B)의 차단편(132B)에 열림방향 리딩에지(132a′)에서 실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원호형 연동안내홈(135)에 삽입 안내되어 열림시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의 닫힘 연동걸림턱(135b)에 걸리도록 하는 연동안내돌기(142b)로 구성한다.
상기 닫힘연동 걸림턱(142a)(142b)은 닫힘방향 리딩에지(122b)(132b)와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열림연동 걸림턱(135b)(141b)은 열림방향 리딩에지(122a)(132a)보다 연동안내돌기(142a)(142b)의 두께만큼 열림방향으로 회전 편위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편위되어 돌출된 연동 안내돌기(142a)(142b)의 돌출크기만큼 실내측 원통캡(110)의 차단편(113)의 열림방향 리딩에지(113a)에는 삽입홈(113c)이 형성되어 완전열림시 스톱퍼(151)를 삽입시켜 각 차단편(113)(122)(132A)(132B)이 동일한 위치에서 겹쳐지게 위치되어 270도의 열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의 열림 연동개방홈(135a)에는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B)의 연동 안내돌기(142b)가 위치되게 하여 완전 열림상태에서 각 차단편(113)(122)(132A)(132B)이 적층되어 일치되도록 한다.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의 닫힘방향 리딩에지(122b)를 따라서 실외측으로 돌출되어 완전열림 위치에서는 실내측 원통캡(110)의 차단편(113)의 닫힘방향 에지(113b)에 걸리고 완전닫힘 위치에서는 조절변(120)과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130B)이 조절변 설치홈(112a)의 계단식의 제1,2걸림턱(112a′)(112a˝)에 각각 걸리는 동시에 실내측 원통캡(110)의 차단편(113)의 열림방향 리딩에지(113a)의 삽입홈(113c)에 걸리는 스토퍼(151)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의 차단편(113)의 열림방향 리딩에지(113a)와 삽입홈(113c)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는 스토퍼(151)의 길이와 일치되게 하기 위함이고, 이로 인해 각 차단편(113)은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스토퍼(151)는 닫힘시에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2A)과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132B)의 닫힘방향 리딩에지(132b)(132b′)를 각각 순차적으로 밀어 주도록 한다.
이하 상기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차이점만을 발췌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는 상기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외측 원통캡(210)과, 상기 벽체(W) 및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와 실외측 원통캡(210)의 사이로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코킹(220′)을 포함하여 구 성된다.
상기 실외측 원통캡(210)은 상기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에 삽입되는 원통부(211)와, 상기 원통부(211)의 실외측 단부의 외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와 벽체(W)의 실외측면에 접하는 플랜지부(212)와, 상기 원통부(211)의 실외측 단부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경사형 루버편(213) 및, 상기 플랜지부(212)의 실내측면에 형성되는 코킹홈(212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벽체(W)에 매설된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와 실외측 단부에 미리 조립된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와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를 설치한다.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실내측 원통캡(110)의 플랜지부(112) 내주면에 형성된 조절변 설치홈(112a)에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을 삽입하면서 그 링형부(131)의 실외측 돌출부가 실내측 원통캡(110)의 회전안내홈(115)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실내측 원통캡(110)의 보스부(116)의 실내측 면에 돌출 형성된 원호형 제2 스토퍼(152)가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통기공(132)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 환기량 조절변(120)이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에 적층되도록 실내측 원통캡(110)의 조절변 설치홈(112a)에 삽입하면서 그 회전축(125)이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축공(134)을 통해 실내측 원통캡(110)의 지지보스(116)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회전축(125)은 2개의 탄성편(125a)과 이 탄성편(125a)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25b)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축(125)이 지지보스(116)에 삽입할 때 걸림돌기(125b)와 지지보스(116)의 내주면의 접촉에 의하여 탄성편(125a)이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걸림돌기(125b)를 선두로 하여 지지보스(116)에 삽입되며, 걸림돌기(125b)가 지지보스(116)를 완전히 통과하면 탄성편(125a)이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걸림돌기(125b)가 지지보스(116)의 실내측 단부에 걸리게 되어 실내측 원통캡(110)에 대한 환기량 조절변(120)의 결합이 임의로 해체되는 일이 없게 되며,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도 실내측 원통캡(110)의 지지보스(116)와 차단편(113)과 환기량 조절변(120)의 사이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조립된다.
또한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의 원호형 연동안내홈(141)에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연동안내돌기(142)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멈춤수단을 구성하는 제1 스토퍼(151)와 제2 스토퍼(152)가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통기공(132)에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 실내측 원통캡(110)의 방충망 설치홈(112b)에 방충망(160)을 삽입하면서 환기량 조절변(120)의 조절손잡이(124)가 방충망(160)의 안내보스(163)를 관통하여 실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방충망(160)은 실내측 원통캡(110)의 방충망 설치홈(112b)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져 힘을 가하여 분리하기 전에는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조립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를 슬리브(S)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실내측 원통캡(110)의 원통부(111)를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에 삽입하면 쐐기돌기(111c)와 슬리브(S)의 내주면과 접촉에 의하여 박육부(111b)가 탄성적으로 휘어지게 되어 슬리브(S)에 대한 실내측 원통캡(110)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며,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박육부(111b)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그 외주면에 형성된 쐐기돌기(111c)가 슬리브(S)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실내측 원통캡(110)이 슬리브(S)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는 실외측 원통캡(210)의 원통부(211)의 지수재 설치홈(214)에 수팽창 지수재(220)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나, 실질적으로는 실외측 원통캡(210)과 수팽창 지수재(220)를 미리 조립할 필요는 없으며, 시공현장에서 실외측 원통캡(211)을 슬리브(S)에 삽입하기 직전에 수팽창 지수재(220)를 지수재 설치홈(214)에 삽입하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도 13 내지 도 20과 같이,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실내측 원통캡(110)의 플랜지부(112) 내주면에 형성된 조절변 설치홈(112a)에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130B)을 삽입하면서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132B)의 연동안내돌기(142b)가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의 원호형 연동안내홈(135)내에 위치되게 하여 실내측 원통캡(110)과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130B)의 지지보스(116)와 축공(134a)(134b)이 동축선상으로 일치되게 하며, 그 후 환기량 조절변(120)이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130b)에 슬라이딩되게 적층되도록 실내측 원통캡(110)의 조절변 설치 홈(112a)에 삽입하면서 그 회전축(125)이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130B)의 축공(134a)(134b)을 통해 실내측 원통캡(110)의 지지보스(116)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과 인접되는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과의 조립시 환기량 조절변(120)의 원호형 연동안내홈(141)에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의 원호형 연동안내부(136)와 연동돌기(142a)가 삽입되도록 한다.
한편, 회전축(125)은 2개의 탄성편(125a)과 이 탄성편(125a)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25b)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축(125)이 지지보스(116)에 삽입할 때 걸림돌기(125b)와 지지보스(116)의 내주면의 접촉에 의하여 탄성편(125a)이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걸림돌기(125b)를 선두로 하여 지지보스(116)에 삽입되며, 걸림돌기(125b)가 지지보스(116)를 완전히 통과하면 탄성편(125a)이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걸림돌기(125b)가 지지보스(116)의 실내측 단부에 걸리게 되어 실내측 원통캡(110)에 대한 환기량 조절변(120)의 결합이 임의로 해체되는 일이 없게 되며,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130B)도 실내측 원통캡(110)과 환기량 조절변(120)의 사이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조립된다.
그리고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는 시공현장에서 실외측 원통캡(211)을 슬리브(S)에 삽입한 후 코킹홈(212a)에 직접 코킹(220′)하여 벽체(W) 및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와 실외측 원통캡(210)의 사이를 밀폐시켜 누수되지 않도록 하면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균이나 곰팡이 번식 방지>
본 발명에 의한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는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를 구성하는 실외측 원통캡(210)의 플랜지부(212)에 형성된 지수재 설치홈(214)에 수팽창 지수재(22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벽체(W)를 따라 흘러내리는 빗물이 플랜지부(212)와 벽체(W)사이의 틈새로 흘러들어오더라도 수팽창 지수재(220)가 팽창하면서 플랜지부(212)와 벽체(W) 사이를 기밀하게 유지하게 되어 빗물의 침입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를 구성하는 실외측 원통캡(210)의 원통부(211) 내주면 하단과 최하단 경사루버편(213) 사이에 배수공(215)이 형성되어 있어 응축수, 응결수 등의 냉각수가 발생하더라고 배수공(215)을 통해 배수되므로 습도 상승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습도 상승을 방지하고 세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과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환기량 조절>
도 11a 및 도 12a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의 완전열림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환기량 조절변(120)의 차단편(122) 및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차단편(132)은 실내측 원통캡(110)의 차단편(113)에 완전히 일치하고, 환기량 조절변(120)의 통기공(123)과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통기공(133)은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에 완전히 일치하여 실내측 원통캡(110)의 내부 종 단면의 2/3이 개방된 상태로 되어 환기량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연동안내돌기(142)는 환기량 조절변(120)의 연동안내홈(141)의 열림방향 걸림턱(141a)에 걸려 있고, 제1 스토퍼(151)는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차단편(132)의 닫힘방향 리딩에지(132b)에 걸려 있으며, 실내측 원통캡(110)의 제2 스토퍼(152)는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차단편(132)의 열림방향 리딩에지(132a)에 걸려 있게 된다.
도 11a 및 도 12a에 도시한 완전열림 상태에서 환기량 조절변(120)의 조절손잡이(124)를 잡고 반시계방향(실질적으로 실내측에서 볼 때는 시계방향임)으로 돌리면, 환기량 조절변(120)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지지보스(116)에 삽입, 지지된 회전축(125)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환기량 조절변(120)의 차단편(122)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을 차단하기 시작한다.
이때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차단편(132)의 닫힘방향 리딩에지(132b)측에 형성되어 있는 연동안내돌기(142)는 환기량 조절변(120)의 연동안내홈(141)의 열림연동 걸림턱(141a)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은 회전하지 않는다.
도 11b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량 조절변(120)이 40도 회전하여 그 차단편(122)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의 절반을 차단한 상태에 이르면 연동안내돌기(142)가 연동안내홈(141)의 닫힘연동 걸림턱(141b)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하여 환기량 조절변(120)을 닫힘방향으로 돌리면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이 환기량 조절변(120)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그 차단편(132)이 실 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을 차단하기 시작한다.
도 11b 및 도 12b의 중간열림 상태에서 계속하여 환기량 조절변(120)을 닫힘방향으로 40도 돌리게 되면, 도 11c 및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은 환기량 조절변(120)의 차단편(122)과 환기량 보조 조절편(130)의 차단편(132)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을 완전히 차단하여 완전닫힘 상태로 된다.
도 11c 및 도 12c에 도시한 완전닫힘 상태에서는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연동안내돌기(142)는 환기량 조절변(120)의 연동안내홈(141)의 담힘방향 걸림턱(141b)에 걸려 있고, 제1 스토퍼(151)는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차단편(132)의 열림방향 리딩에지(132a)에 걸려 있으며, 실내측 원통캡(110)의 제2 스토퍼(152)는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차단편(132)의 닫힘방향 리딩에지(132b)에 걸려 있게 된다.
또한 도 11c 및 도 12c의 완전닫힘 상태에서는 제1 스토퍼(151)가 차단편(113)(122)(132)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를 통해 통기가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도 11c 및 도 12c의 완전닫힘 상태에서 도 11b 및 도 12b의 중간열림 상태 및 도 11a 및 도 12a의 완전열림 상태로의 작동은 상술한 닫힘 작동과 역방향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의 닫힘 및 열림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즉, 환기량 조절변(120)의 차단편(122) 및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130B)의 차단편(132A)(132B)은 실내측 원통캡(110)의 차단편(113)에 완전히 일치하여 일열로 배열되어 있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은 3/4(270도)이 개방된 상태로 되어 환기량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B)의 연동안내돌기(142b)는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의 연동안내홈(135)의 열림방향개방홈(135a)에,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의 연동안내돌기(142a)는 환기량 조절변(120)의 연동안내홈(141)의 열림방향 걸림턱(141a)에 각각 걸려 있고, 스토퍼(151)는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130B)의 차단편(132A)(132B)의 닫힘방향 리딩에지(132b)(132b′)에 걸려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 19a는 완전열림 상태에서 닫힘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환기량 조절변(120)의 조절손잡이(124)를 잡고 반시계방향(실질적으로 실내측에서 볼 때는 시계방향임)으로 돌리면, 환기량 조절변(120)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지지보스(116)에 삽입, 지지된 회전축(125)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환기량 조절변(120)의 차단편(122)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을 차단하기 시작한다.
이때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의 차단편(132A)의 닫힘방향 리딩에지(132b)측에 형성되어 있는 연동안내돌기(142a)는 환기량 조절변(120)의 연동안내홈(141)의 열림연동 걸림턱(141a)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은 회전하지 않는다. 물론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B)도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과 동일하게 회전을 하지 않게 된다.
계속적인 환기량 조절변(120)이 45도 회전하여 그 차단편(122)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을 1/3 차단한 상태에 이르면 연동안내돌기(142a)가 연동안내홈(141)의 닫힘연동 걸림턱(141b)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하여 환기량 조절변(120)을 닫힘방향으로 돌리면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이 환기량 조절변(120)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그 차단편(132)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을 차단하기 시작한다.
계속적인 환기량 조절변(120)의 회전으로 90도의 각도만큼 닫혀지게 되어 환기량 조절변(120)과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의 차단편(122)(132A)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을 2/3 차단한 상태에 이르면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B)의 연동안내돌기(142b)가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의 연동안내홈(135)의 닫힘연동 걸림턱(135b)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하여 환기량 조절변(120)을 닫힘방향으로 돌리면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B)이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그 차단편(132B)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을 차단하게 된다.
계속하여 환기량 조절변(120)을 닫힘방향으로 135도 돌리게 되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은 환기량 조절변(120)의 차단편(122)과 제1,2환기량 보조 조절편(130A)(130B)의 차단편(132A)(132B)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을 완전히 차단하여 완전닫힘 상태로 된다.
이때, 제1,2환기량 보조 조절편(130A)(130B)의 차단편(132A)(132B)의 닫힘방향 리딩에지(132b)(132b′)가 제1,2걸림턱(112a′)(112a˝)에 각각 걸리게 되어 지 나친 회동을 제어하여 완전닫힘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제1환기량 보조 조절편(130A)의 차단편(132A)의 닫힘방향 리딩에지(132b)는 제2걸림턱(112a˝)에, 제2환기량 보조 조절편(130B)의 차단편(132B)의 닫힘방향 리딩에지(132b′)는 (112a′)에 각각 걸리게 되고, 계단식 제1,2걸림턱(112a′)(112a˝)에 의한 조절변 설치홈(112a)과 환기량 조절변(120) 및 제1,2환기량 보조 조절편(130A)(130B)의 차단편(122)(132A)(132B)사이가 상호 밀폐되어 공기의 출입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완전닫힘 상태에서는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의 연동안내돌기(142a)는 환기량 조절변(120)의 연동안내홈(141)의 담힘방향 걸림턱(141b)에 걸려 있고,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B)의 연동안내돌기(142b)는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의 연동안내홈(135)의 담힘방향 걸림턱(141b)에 걸려 있으며, 스토퍼(151)는 실내측 원통캡(110)의 차단편(113)의 닫힘방향 리딩에지(113a)의 삽입홈(113c)에 걸려 있게 된다.
따라서 완전닫힘 상태에서는 각 차단편(113)(122)(132A)(132B)이 마치 부채형태로 펼쳐지게 되어 각 차단편 사이의 틈새는 발생하지 않아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를 통해 통기가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도 19a의 완전닫힘 상태에서 도 19b 중간열림 상태 및 완전열림 상태로의 작동은 상술한 닫힘 작동과 역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즉, 완전닫힘 상태에서 환기량 조절변(120)의 조절손잡이(124)를 잡고 시계방향(실질적으로 실내측에서 볼 때는 반시계방향임)으로 돌리면, 환기량 조절변(120)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지지보스(116)에 삽입, 지지된 회전축(125)을 중 심으로 회전하면서 환기량 조절변(120)의 차단편(122)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을 개방하기 시작한다.
이때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의 차단편(132A)의 닫힘방향 리딩에지(132b)측에 형성되어 있는 연동안내돌기(142a)는 환기량 조절변(120)의 연동안내홈(141)의 닫힘연동 걸림턱(141b)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은 회전하지 않는다. 물론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B)도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과 동일하게 회전을 하지 않게 된다.
환기량 조절변(120)이 45도 회전하여 그 차단편(122)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을 1/3 개방한 상태에 이르면 연동안내돌기(142a)가 연동안내홈(141)의 열림연동 걸림턱(141a)에 걸리게 되며, 이와 동시에 환기량 조절변(120)의 스톱퍼(151)가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의 차단편(132A)의 열림방향 리딩에지(132a)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하여 환기량 조절변(120)을 닫힘방향으로 돌리면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의 열림방향 리딩에지(132a)와 환기량 조절변(120)의 스톱퍼(151)에 의하여 환기량 조절변(120)과 연동하여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이 회전하면서 그 차단편(132A)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을 개방하기 시작한다. 이때에는 환기량 조절변(120)과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이 상호 겹쳐져서 일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계속적인 환기량 조절변(120)의 회전으로 90도의 각도만큼 열려지게 되어 환기량 조절변(120)과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의 차단편(122)(132A)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을 2/3 개방한 상태에 이르면 환기량 조절변(120)의 스톱퍼(151)가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B)의 차단편(132B)의 열림방향 리딩에지(132a′)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하여 환기량 조절변(120)을 열림방향으로 돌리면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B)이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과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그 차단편(132B)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을 개방하기 시작한다. 즉, 상술한 방법과 같이 환기량 조절변(120)의 스톱퍼(151)가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B)의 차단편(132B)의 열림방향 리딩에지(132a′)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하여 환기량 조절변(120)을 닫힘방향으로 돌리면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B)의 열림방향 리딩에지(132a′)와 환기량 조절변(120)의 스톱퍼(151)에 의하여 환기량 조절변(120)과 연동하여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B)이 회전하면서 그 차단편(132B)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을 개방하기 시작한다.
이때에는 환기량 조절변(120)과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130B)이 각각 상호 겹쳐져서 일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계속하여 환기량 조절변(120)을 열림방향으로 135도 돌리게 되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은 환기량 조절변(120)의 차단편(122)과 제1,2환기량 보조 조절편(130A)(130B)의 차단편(132A)(132B)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을 완전히 개방하여 완전 열림 상태로 된다.
완전 열림 상태에서는 환기량 조절변(120)의 스톱퍼(151)가 실내측 원통 캡(110)의 차단편(113)의 열림방향 리딩에지(132a)의 삽입홈(113c)에 걸려 있게 되고, 또한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130B)의 차단편(132A)(132B)도 스톱퍼(151)에 의하여 걸려 있게 되므로 각 차단편(113)(122)(132A)(132B)은 상호 겹쳐져서 일열로 적층되어 실내측 원통캡(110)의 통기공(114)이 3/4인 270도로 개방되어 환기량을 극대화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청소 등 유지관리>
본 발명에 의한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는 방충망(160)이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를 구성하는 실내측 원통캡(110)의 실내측 단부에 형성된 방충망 설치홈(112b)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방충망(160)의 청소 등 유지관리가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필요시에는 방충망(160)을 방충망 설치홈(112b)로부터 탈거하여 방충망(160)의 청소 및 교체 등 유지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설치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실내,외측 루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실내측 루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실내측 원통캡의 정면도, A-A선 단면도 및 배면도,
도 5는 도 4의 "B"부 확대도,
도 6은 환기량 조절변의 정면도, C-C선 단면도 및 배면도,
도 7은 환기량 보조 조절변의 정면도, D-D선 단면도 및 배면도,
도 8은 설치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E"부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F"부 확대도,
도 11은 환기량 조절 단계를 보인 실내측 루버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도 11a는 완전열림 상태, 도 11b는 중간열림 상태, 도 11c는 완전닫힘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12는 환기량 조절 단계를 보인 실내측 루버 조립체의 배면도로서, 도 12a는 완전열림 상태, 도 12b는 중간열림 상태, 도 12c는 완전닫힘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를 보인 다른 실시예로써,
도 13은 실내,외측 루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실내측 루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실내측 원통캡의 정면도, A′- A′선 단면도 및 배면도,
도 16은 환기량 조절변의 정면도, B′- B′선 단면도 및 배면도,
도 17은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의 정면도, C′- C′선 단면도 및 배면도,
도 18은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의 정면도, D′- D′선 단면도 및 배면도,
도 19a,19b는 환기량 조절 단계를 보인 실내측 루버 조립체의 열림 및 닫힘과정도
도 20은 설치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실내측 루버 조립체 110 : 실내측 원통캡
111 : 원통부 111a : 후육부
111b : 박육부 111c : 쐐기돌기
113 : 차단편 114 : 통기공
120 : 환기량 조절변 122 : 차단편
123 : 통기공 130 : 환기량 보조 조절변
132 : 차단편 133 : 통기공
141 : 연동안내홈 142 : 연동안내돌기
151 : 제1 스토퍼 152 : 제2 스토퍼
160 : 방충망 200 : 실외측 루버 조립체
210 : 실외측 원통캡 211 : 원통부
211a : 후육부 211b : 박육부
211c : 쐐기돌기

Claims (6)

  1. 벽체(W)에 매설되어 그 양단이 벽체 내,외면에서 개구되는 슬리브(S)와; 상기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 및; 상기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로 구성되는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는, 상기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에 삽입되는 원통부(111)와 상기 원통부(111)의 실내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와 벽체(W)의 실내측면에 접하며 그 내주면의 실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조절변 설치홈(112a)과, 그 내주면의 실내측 단부에 상기 조절변 설치홈(112a)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방충망 설치홈(112b)과, 상기 조절변 설치홈(112a)과 방충망 설치홈(112b) 사이에 실내측을 향하여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112c)를 가지는 플랜지부(112)와 상기 원통부(111)와 플랜지부(112)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40도의 부채꼴을 이루는 3개의 차단편(113)과 상기 3개의 차단편(113) 사이에 형성되며 80도의 부채꼴을 이루는 3개의 통기공(114)을 가지는 실내측 원통캡(110)과;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의 조절변 설치홈(112a)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측에 형성되는 링형부(121)와 상기 차단편(113)에 대응하여 이 링형부(121)에서 중심을 향해 연장되며 40도의 부채꼴을 이루는 3개의 차단편(122)과 상기 통기공(114)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편(122) 사이에 형성되며 80도의 부채꼴을 이루는 3개의 통기공(123) 및 상기 차단편(122)의 중심측에서 실내,외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조절손잡이(124)와 회전축(125)를 가지는 환기량 조절변(120)과;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의 조절변 설치홈(112a) 내에서 환기량 조절변(120)과 차단편(11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측에 형성된 링형부(131)와 상기 차단편(113)에 대응하여 이 링형부(131)에서 중심을 향해 연장되며 40도의 부채꼴을 이루는 3개의 차단편(132)과 상기 통기공(114)에 대응하여 상기 차단편(132) 사이에 형성되며 80도의 부채꼴을 이루는 3개의 통기공(133)을 가지는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과;
    상기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이 환기량 조절변(120)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연동회전수단과;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과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을 완전열림 위치와 완전닫힘 위치에서 멈추게 하기 위한 멈춤수단 및,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에 결합되는 방충망(16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회전수단은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의 차단편(122)의 실외측 면에 형성되며 닫힘방향 리딩에지(122b)측에 열림연동 걸림턱(141a)을, 열림방향 리딩에지(122a)측에 닫힘연동 걸림턱(141b)을 가지는 원호형 연동안내홈(141)과, 상기 환기량 조절변(130)의 차단편(132)의 닫힘방향 리딩에지(132b)에서 실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원호형 연동안내홈(141)에 삽입 안내되는 연동안내돌기(14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의 닫힘측 리딩에지(122b)를 따라서 실외측으로 돌출되어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통기공(133)에 삽입되며 완전열림 위치에서는 실내측 원통캡(110)의 차단편(113)의 닫힘방향 에지(113b)에 걸리고 완전닫힘 위치에서는 실내측 원통캡(110)의 차단편(113)의 열림방향 에지(113a)에 걸리는 제1 스토퍼(151)와,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의 지지보스(116)의 실내측 면에서 돌출되어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통기공(133)에 삽입되며 완전열림 위치에서는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닫힘방향 리딩에지(132b)에 걸리고 완전닫힘 위치에서는 환기량 보조 조절변(130)의 열림방향 리딩에지(132a)에 걸리는 원호형 제2 스토퍼(15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4. 벽체(W)에 매설되어 그 양단이 벽체 내,외면에서 개구되는 슬리브(S)와; 상기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 및; 상기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로 구성되는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루버 조립체(100)는, 상기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에 삽입되는 원통부(111)와, 상기 원통부(111)의 실내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슬리브(S)의 실내측 단부와 벽체(W)의 실내측면에 접하며 그 내주면의 실외측 단부에 형성되는 조절변 설치홈(112a)과, 그 내주면의 실내측 단부에 상기 조절변 설치홈(112a)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되는 방충망 설치홈(112b)과, 상기 조절변 설치홈(112a)과 방충망 설치홈(112b) 사이에 실내측을 향하여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112c)를 가지는 플랜지부(112)와, 상기 원통부(111)와 플랜지부(112)의 사이에 양측으로 대칭되게 45도의 부채꼴로 형성되는 일자형의 차단편(113)과, 상기 차단편(113)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각각 부채꼴로 형성되는 135도의 통기공(114)을 가지는 실내측 원통캡(110)과;
    상기 차단편(113)에 대응하여 양측으로 대칭되게 45도의 부채꼴로 형성되는 일자형의 차단편(122)과, 상기 차단편(122)의 중심측에서 실내,외측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는 조절손잡이(124)와 회전축(12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환기량 조절변(120)과;
    상기 실내측 원통캡(110)의 조절변 설치홈(112a) 내에서 환기량 조절변(120)과 차단편(122) 사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상기 차단편(113)(122)에 대응하여 양측으로 대칭되게 45도의 부채꼴로 형성되는 일자형의 차단편(132A)(132B)과, 상기 차단편(132A)(132B)의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25)에 각각 동심원상으로 지지되는 축공(134a)(134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130B)과;
    상기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130B)이 환기량 조절변(120)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연동회전수단과;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과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130B)을 완전열림 위치와 완전닫힘 위치에서 멈추게 하기 위한 멈춤수단 및, 상기 실내측 원통 캡(110)에 결합되는 방충망(16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회전수단은,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에는 차단편(122)의 실외측면에 형성되며 닫힘방향리딩에지(122b)측에 닫힘연동걸림턱(141b)을, 열림방향 리딩에지(122a)측에 열림연동걸림턱(141a)을 가지는 원호형 연동안내홈(141) 및 원호형 연동안내부(143)와, 상기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에는 차단편(132A)의 실외측면에 형성되며 닫힘방향 리딩에지(132b)측에 닫힘연동 걸림턱(135b)을, 열림방향 리딩에지(132a)측에 열림 연동개방홈(135a)을 가지는 원호형 연동안내홈(135) 및 원호형 연동안내부(136)와, 상기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의 원호형 연동안내부(136)의 열림방향 리딩에지(132a)에 실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의 원호형 연동안내홈(141)에 삽입 안내되어 닫힘시 환기량 조절변(120)의 닫힘 연동걸림턱(141b)에 걸리도록 하는 연동안내돌기(142a)와, 상기 제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B)의 차단편(132B)에 열림방향 리딩에지(132a′)에서 실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원호형 연동안내홈(135)에 삽입 안내되어 열림시 제1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의 닫힘 연동걸림턱(135b)에 걸리도록 하는 연동안내돌기(142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멈춤수단은 상기 환기량 조절변(120)의 열림방향 리딩에지(122b)를 따라서 실외측으로 돌출되어 완전열림 위치에서는 실내측 원통캡(110)의 차단편(113)의 닫힘방향 에지(113b)에 걸리고 완전닫힘 위치에서는 조절변(120)과 제1,2환기량 보조 조절변(130A)(130B)이 조절변 설치홈(112a)에 형성된 계단식의 제1,2걸림턱(112a′)(112a˝)에 각각 걸리는 동시에 실내측 원통캡(110)의 차단편(113)의 열림방향 에지(113a)에 걸리는 스토퍼(151)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6.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루버 조립체(200)는 상기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원통부(211)가 형성된 실외측 원통캡(210)과, 상기 벽체(W) 및 슬리브(S)의 실외측 단부와 실외측 원통캡(210)의 사이로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수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외측 원통캡(210)의 원통부(211)는 그 원주를 따라 교호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후육부(211a)와 복수개의 박육부(211b)와, 상기 박육부(211b)의 외주면 중간부에 그 중심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S)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복수개의 쐐기돌기(211c)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KR1020080088253A 2008-03-20 2008-09-08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KR101070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5945 2008-03-20
KR1020080025945 2008-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047A KR20090101047A (ko) 2009-09-24
KR101070645B1 true KR101070645B1 (ko) 2011-10-11

Family

ID=41359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253A KR101070645B1 (ko) 2008-03-20 2008-09-08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6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389B1 (ko) * 2010-01-07 2010-07-15 주식회사 대율케이앤피 실내공기 조화용 환기구
KR101532305B1 (ko) * 2014-12-09 2015-06-29 재우이엔지(주) 공동주택의 배기관용 개폐댐퍼
KR101716710B1 (ko) * 2015-10-22 2017-03-16 김의웅 유모차용 덮개의 환기장치
KR102263459B1 (ko) * 2019-07-26 2021-06-09 김영식 에어 벤트 그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047A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645B1 (ko)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KR100887403B1 (ko)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CN113123537B (zh) 具有邻近屋顶窗户安装的通风单元的屋顶窗户系统及其提供和改装方法、包括其的屋顶结构
JP3133187U (ja) 換気フード
EA010557B1 (ru) Рам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оконных, дверных или фасадных элементов
KR20130105038A (ko) 문에 구비된 환기장치
KR100890932B1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KR101104942B1 (ko) 벽체 매립형 자연 환기장치
KR101399167B1 (ko) 이중 외피 커튼 월
JP2004353361A (ja) 通気や遮光・採光等に用いる回転型案内装置
JP7337000B2 (ja)
KR200446716Y1 (ko) 환기장치용 통풍연결구조
KR20090005887U (ko)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환기구 후드
KR100647792B1 (ko) 환기 도어
JP2006296216A (ja) ハウスの防虫ネット付きの換気扇
JP2022132397A (ja) 開口部建材
RU120691U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EP2141424A2 (en) ventilation device
KR101945500B1 (ko) 도어용 자연환기장치
KR100636884B1 (ko) 통풍과 배수 기능을 가진 건축용 조적 조립체.
KR100916848B1 (ko) 자연 환기장치
KR100867305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구조
KR20190046492A (ko) 건축용 환기 장치
RU2150565C1 (ru) Блок для перекрытия проемов в наружных стенах зданий
KR100433393B1 (ko) 건축용 개폐식 주방 배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