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814B1 - 겹쳐입기용 의복, 겹쳐입기용 의복에 이용되는 아우터 웨어 및 내층 웨어 - Google Patents

겹쳐입기용 의복, 겹쳐입기용 의복에 이용되는 아우터 웨어 및 내층 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814B1
KR101753814B1 KR1020167020832A KR20167020832A KR101753814B1 KR 101753814 B1 KR101753814 B1 KR 101753814B1 KR 1020167020832 A KR1020167020832 A KR 1020167020832A KR 20167020832 A KR20167020832 A KR 20167020832A KR 101753814 B1 KR101753814 B1 KR 101753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layer
outerwear
openable
closable
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7373A (ko
Inventor
요타로 가나야마
Original Assignee
파인트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인트랙 filed Critical 파인트랙
Publication of KR20160097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6Undershirts; Chemi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6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 A41D31/065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41D31/125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through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41D31/145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20Air permeability;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60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 A41B2400/62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through several layers
    • A41D2400/20
    • A41D2400/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종래보다 환기 기능을 향상시킨 겹쳐입기용 의복, 해당 겹쳐입기용 의복의 아우터 웨어 및 내층 웨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우터 웨어와 해당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1벌 또는 1벌 이상의 내층 웨어를 가진 겹쳐입기용 의복으로서 상기 아우터 웨어 및 적어도 1벌의 내층 웨어가 개폐 가능한 통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겹쳐입기용 의복, 겹쳐입기용 의복에 이용되는 아우터 웨어 및 내층 웨어{GARMENT FOR LAYERING, AND OUTERWEAR AND INNER LAYER WEAR TO BE USED IN GARMENT FOR LAYERING}
본 발명은, 아우터 웨어와 해당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1벌 또는 1벌 이상의 내층 웨어를 가진 겹쳐입기(layering)용 의복, 해당 겹쳐입기용 의복에 이용되는 아우터 웨어 및 내층 웨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하이킹, 등산, 조깅 등의 운동시에 환기(ventilation)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겹쳐입기용 의복, 해당 겹쳐입기용 의복에 이용되는 아우터 웨어 및 내층 웨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겨드랑이 밑에서 옆구리 부분에 걸쳐, 또는 가슴 부분에 개폐 자유로운 통기부를 구비한 아우터 웨어가 알려져 있다. 이 통기부는 아우터 웨어를 착의한 사람의 온도 조정이나 습도 조정을 위한 환기구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 뒷판의 칼라 솔기 근방에 통기 구멍이 형성된 환기 기능이 있는 의복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 특허문헌 1에서는 점퍼나 블루종, 코트, 윈드브레이커 등 이른바 아우터 웨어 내부의 답답함을 개선하기 위해 이 아우터 웨어 뒷판의 칼라 솔기 근방에 통기 구멍을 형성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특개2005-163227호 공보
그러나 종래와 같이 아우터 웨어의 통기부 개폐로 급격한 체온 변화나 의복 내부의 습도 변화를 재빨리 개선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면 하이킹이나 등산시에는 산의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옷을 겹쳐입기한다. 예를 들면 피부측의 베이스 웨어, 중간층의 미들 웨어, 아우터 웨어 등을 겹쳐입기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이 겹쳐입기한 경우에 높아진 체온을 낮추거나 땀을 말리고 싶을 때 종래와 같이 아우터 웨어의 통기부만으로는 신속히 체온 하강이나 땀 건조를 할 수 없어 결과적으로 체력을 소모시킨다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었다.
또 아우터 웨어의 통기부 개폐로 상기 온도나 상기 습도 개선이 어렵다면 보통은 아우터 웨어를 벗음으로써 대처하여 왔다. 그러나 아우터 웨어를 벗는다는 대처 방법의 경우, 벗는다는 동작 하나를 취해도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다시 말하자면, 하이킹이나 등산시에 아우터 웨어를 벗기 위해서는 걸음을 멈추고 배낭을 내려놓기 위한 동작과, 아우터 웨어를 벗는 동작과, 벗은 아우터 웨어를 배낭에 넣는 동작, 배낭을 다시 메는 동작 등이 필요하고, 시간도 수고도 필요하여 매우 허비하게 된다. 또한 벼랑이나 바윗길의 위험한 루트에서는 벗는 동작 자체가 위험하기 때문에 아우터 웨어를 벗을 수 없다. 또 악천후시에는 아우터 웨어를 벗는 일 자체를 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또 암벽 등반시에는 하니스를 착용하고 있기 때문에 아우터 웨어를 벗기 어렵다.
또 조깅 등의 운동시에도 아우터 웨어를 벗는다는 동작은 조깅 등의 운동을 멈추고 이루어지기 때문에 허비하는 동작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보다 환기 기능을 높인 겹쳐입기용 의복, 해당 겹쳐입기용 의복에 이용되는 아우터 웨어 및 내층 웨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우터 웨어와 해당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1벌 또는 1벌 이상의 내층 웨어를 가진 겹쳐입기용 의복으로서, 상기 아우터 웨어 및 적어도 1벌의 내층 웨어가 개폐 가능한 통기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아우터 웨어와 내층 웨어에 개폐 가능한 통기부가 구비되어 있고, 이 통기부를 열어 체온을 재빨리 하강(냉각)시킬 수 있고 또 재빨리 땀을 건조시킬 수 있다(의복 내부의 상대 습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아우터 웨어에만 통기부가 구비된 것보다 비약적으로 환기 기능의 효과를 높인 겹쳐입기용 의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 통기부를 구비한 아우터 웨어와 통기부를 구비한 내층 웨어가 연속으로 착의(겹쳐입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발명의 일실시형태로서 통기부를 구비한 아우터 웨어와 통기부를 구비한 내층 웨어 사이에 환기성이 있는 천으로 된 웨어가 착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발명에서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통기부의 위치와 상기 아우터 웨어 밑에 착의되는 적어도 1벌의 내층 웨어의 상기 통기부 위치가 착의 상태에서 같은 위치 또는 근방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방 위치에 있는」은 실질적으로 같은 위치인 것을 포함하여 환기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위치 관계로서 통기부끼리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부분적으로 겹쳐 있을 뿐이어도 좋다. 또 각각의 통기부가 같은 형상, 같은 사이즈일 필요는 없다. 또 각각의 통기부를 개구한 상태의 개구 형상, 개구 사이즈의 각각이 같을 필요는 없다. 또 착의 상태에서 각각의 통기부의 개구 부분이 같은 위치, 근방 위치, 각각의 개구 부분이 겹치는 정도가 커지는 위치에 설정하는 것이 개폐 용이성, 온도 조정, 습도 조정의 용이성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착의 상태에서 통기부끼리 평행해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개폐 동작이 용이하고 그것들을 열었을 때에는 개구 부분끼리 겹치기 때문에 환기 기능이 높은 것이 된다. 또 통기부끼리는 평행 이외에 크로스 형태로 겹쳐지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발명에서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통기부가 해당 아우터 웨어의 프런트부에 위치하여 해당 아우터 웨어의 통기부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내층 웨어의 상기 통기부가 해당 내층 웨어의 프런트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통기부를 프런트부에 설치함으로써 전방으로부터의 공기류나 바람을 받기 쉬워 보다 재빨리 체온의 강하나 땀의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 프런트부에 적어도 하나의 통기부를 설치하고 추가로 웨어 측부에 통기부를 설치해도 좋고, 프런트부에서 측부로 연장되도록 통기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각각의 통기부를 프런트부에 설치하는 경우에 어깨에서 겨드랑이에 걸친 부분을 제외한 프런트부에 통기부를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어깨에서 겨드랑이에 걸친 부분, 허리 주위 및 등부분에 배낭이나 짐을 메고 있는 경우에는 이 부분에 통기부를 설치해도 환기 효과가 낮다고 추측되기 때문이다.
또 상기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상기 내층 웨어가 1벌이고, 상기 아우터 웨어 밑에 착의되는 해당 내층 웨어에 상기 통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내층 웨어 밑에 착의되는 1벌 또는 2벌의 베이스 웨어에는 상기 통기부가 설치되지 않았다. 피부에서 발생한 땀을 1벌 또는 2벌의 베이스 웨어로 빨아올려 아우터 웨어 및 내층 웨어의 통기부에 의해 베이스 웨어의 수분을 재빨리 건조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상기 내층 웨어가 2벌이고, 상기 아우터 웨어 밑에 착의되는 제1 내층 웨어에 상기 통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내층 웨어 밑에 착의되는 제2 내층 웨어에 상기 통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내층 웨어 밑에 착의되는 1벌 또는 2벌의 베이스 웨어에는 상기 통기부가 설치되지 않았다. 피부에서 발생한 땀을 1벌 또는 2벌의 베이스 웨어 및 제2 내층 웨어로 빨아올려 아우터 웨어 및 제1, 제2 내층 웨어의 통기부에 의해 베이스 웨어 및 제2 내층 웨어의 수분을 재빨리 건조시킬 수 있다. 2벌의 베이스 웨어로서는, 예를 들면 피부면에 직접 닿는 제1 베이스 웨어를 발수성 천으로 구성하고, 그 위에 착의되는 제2 베이스 웨어와 제2 내층 웨어를 보온성, 땀흡수 확산성, 조습성 등의 천으로 구성할 수 있다. 1벌의 베이스 웨어로서는, 예를 들면 피부면에 직접 닿는 천쪽을 발수성층으로 하고, 내층 웨어쪽을 땀흡수 확산성층으로 한 천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상기 겹쳐입기용 의복에 이용되는 개폐 가능한 통기부를 구비한 아우터 웨어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상기 겹쳐입기용 의복에 이용되는 개폐 가능한 통기부를 구비한 내층 웨어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통기부를 구비한 아우터 웨어와 피부 사이에 착의되는 내층 웨어로서 상기 내층 웨어는 개폐 가능한 통기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층 웨어 및 아우터 웨어에 통기부가 구비되어 있어 체온을 재빨리 하강(냉각)시킬 수 있고 또 재빨리 땀을 건조시킬 수 있다(의복 내부의 상대 습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아우터 웨어에만 통기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보다 비약적으로 환기 기능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발명에서 상기 내층 웨어의 상기 통기부 위치와,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통기부 위치가 착의 상태에서 같은 위치 또는 근방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아우터 웨어의 통기부를 개구시켜 상기 내층 웨어의 통기부 개폐가 가능하도록 해당 내층 웨어의 통기부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착의자가 아우터 웨어의 통기부를 개구시켜 해당 개구에 손을 넣고 내층 웨어의 통기부를 개구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내층 웨어의 통기부 개폐 동작을 아우터 웨어를 탈의하지 않고 간단하고 재빠르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약적으로 환기 기능의 효과를 높인 겹쳐입기용 의류를 제공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기부의 형상 및 위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통기부의 형상 및 위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통기부의 형상 및 위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통기부의 형상 및 위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통기부의 형상 및 위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통기부의 형상 및 위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통기부의 형상 및 위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통기부의 개구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통기부의 개구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통기부의 개구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통기부의 개구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통기부의 개구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통기부의 개구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겹쳐입기한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겹쳐입기한 상태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아우터 웨어 및 내층 웨어)
아우터 웨어는 그 기능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방한성, 방풍성, 방수성, 내우성 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내층 웨어는 피부측 베이스 웨어와 아우터 웨어 사이에 착의되는 미들 웨어로 구성된다. 베이스 웨어 및 미들 웨어는 그 기능에 따라 여러 종류의 기능성을 가진 웨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필요에 따라 복수의 웨어를 착의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베이스 웨어의 기능으로서는, 예를 들면 발수성, 보온성, 땀흡수 확산성, 조습성 등을 들 수 있으며, 베이스 웨어로서, 예를 들면 발수성이 있는 제1 베이스 웨어와, 보온성, 땀흡수 확산성 및 조습성이 있는 제2 베이스 웨어 등을 겹쳐입기 혹은 단독으로 착의할 수 있다. 또 미들 웨어의 기능으로서는, 예를 들면 보온성, 땀흡수 확산성, 방풍성, 투습성, 방수성 등을 들 수 있으며, 미들 웨어로서, 예를 들면 보온성 및 땀흡수 확산성이 있는 제1 미들 웨어와, 방풍성, 보온성 및 방수 투습성이 있는 제2 미들 웨어 등을 겹쳐입기 또는 단독으로 착의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 웨어 및 미들 웨어는 상기 기능을 가진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기능을 생략하고 다른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또 아우터 웨어 및 내층 웨어는 상반신용 의복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하반신용 의복, 예를 들면 타이즈, 바지 혹은 전신용 의복이어도 좋다. 하반신용의 경우, 예를 들면 아우터 웨어로서 방한성, 방풍성, 방수성 등이 있는 바지나, 내층 웨어로서, 예를 들면 타이즈, 레깅스, 하프 팬츠 등을 들 수 있다.
또 의복을 구성하는 아우터 웨어, 내층 웨어(미들 웨어), 베이스 웨어의 실 재료, 봉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또 각종 가공 처리(예를 들면 발수 가공, UV컷 가공 등)도 적절히 되어 있어도 좋다.
(통기부)
통기부는 아우터 웨어 및 내층 웨어의 환기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설치된다. 통기부를 설치하는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반신용 의복의 경우, 예를 들면 프런트부(앞면 혹은 앞판), 백부(뒷면 혹은 뒷판), 사이드부(옆구리나 겨드랑이부), 상완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전방으로부터의 공기류나 바람을 받기 쉬워 보다 빨리 체온의 강하나 땀의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아우터 웨어의 통기부가 해당 아우터 웨어의 프런트부에 위치하여 해당 아우터 웨어의 통기부 위치에 대응하도록 내층 웨어의 통기부가 해당 내층 웨어의 프런트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하반신용 의복의 경우, 예를 들면 대퇴부나 종아리부의 프런트부(앞면), 사이드부(측면), 백부(뒷면)를 들 수 있다.
또 각각의 통기부를 프런트부에 설치하는 경우에 어깨에서 겨드랑이에 걸친 부분을 제외한 프런트부에 통기부를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어깨에서 겨드랑이에 걸친 부분에 배낭이나 짐을 메고 있는 경우에는, 이 부분에 통기부를 설치해도 개구 면적이 작아져 환기 효과가 낮아지고 통기부의 개폐 동작도 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통기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직선, 곡선, 다각형, 원, 타원, 다른 형태 등이어도 좋다. 또 통기부가 개구된 상태의 개구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타원, 원, 다각형, 다른 형태여도 좋다. 웨어별 통기부의 수는 1개나 2개가 바람직하지만, 그 이상이어도 좋고 여러 형상의 통기부를 조합해도 좋다. 겹쳐입기되는 통기부끼리의 형상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도 1~7에 통기부 위치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은, 프런트부의 흉부 밑에서 옆구리쪽으로 연장되는 팔자형 통기부(11),(12)이다. 도 2는 흉부의 역L자형 통기부(13)이다. 도 3은 흉부의 상(上)원호형 통기부(14)이다. 도 4는 측면의 선형 통기부(15)이다. 도 5는 상완 하부의 선형 통기부(16)이다. 도 6은 상완 하부에서 겨드랑이를 통해 측면으로 연장되는 선형 통기부(17)이다. 도 7은 흉부의 선형 통기부(18)와 측면의 선형 통기부(19)이다. 아울러 통기부의 형상 및 위치는 도 1~7의 형상, 사이즈 및 위치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8~13에 도 1~7의 통기부 개구 상태의 예를 도시한다. 도 8~10은 팔자형 통기부(11),(12)의 개구 상태(111),(121)의 일례를 도시하고, 도 8은 정면도, 도 9 및 도 10은 측면도이다. 도 10은 중앙부를 잠근 상태로 하여 2개의 개구부를 형성한 상태이다. 도 11은 흉부의 역L자형 통기부(13)의 개구 상태(131)의 일례이다. 도 12는 상원호형 통기부(14)의 개구 상태(141)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3은 측면의 선형 통기부(15)가 완전히 열린 개구 상태(151)의 일례를 도시한다. 아울러 통기부의 개구 상태는 도 8~13의 개구 상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아우터 웨어와 내층 웨어의 통기부끼리, 복수의 내층 웨어의 통기부끼리 상이한 형상의 통기부의 조합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아우터 웨어의 통기부로서 팔자형 통기부를 채용하고, 미들 웨어의 통기부로서 아우터 웨어의 팔자형 통기부보다 사이즈가 작은 팔자형 통기부를 채용해도 좋고, 흉부의 선형 통기부나 측면의 선형 통기부를 채용해도 좋다. 아우터 웨어의 팔자형 통기부와 미들 웨어의 흉부의 선형 통기부 및 측면의 선형 통기부는 근방 위치에 설정되거나 혹은 아우터 웨어와 미들 웨어의 통기부 개구 부분끼리 겹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개폐 자유로운 잠금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잠금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통상의 버튼, 점 패스너(예를 들면, 스냅 버튼), 선 패스너(예를 들면, 지퍼) 또는 면 패스너(예를 들면, 매직 테이프(등록상표))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류 이상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통기부의 열림은 완전히 여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부분적으로 열리거나 잠금 장치로 일부분을 닫은 상태여도 좋다. 또 통기부의 개폐 부분을 웨어 천의 마찰성 또는 형상 가공을 이용하여 개폐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개폐 부분의 천끼리 겹치도록 하여 잠그는 구성이나, 한쪽 천에 혀를 설치하고 다른쪽 천 슬릿을 설치하여 혀를 슬릿에 끼우고 되접어 잠그는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또 통기부는 메쉬형 또는 환기성을 가진 주머니체(포켓) 또는 천이 안감 또는 안받침(backing)으로서 탈부착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꿰매는 등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통기부를 연 상태에서 해당 주머니 또는 천을 통해 환기 기능을 발휘한다. 또 통기부가 포켓 기능을 겸용하고 있어도 좋다.
또 착의 상태에서 아우터 웨어의 통기부 위치와 적어도 1벌의 내층 웨어의 통기부 위치가 같은 위치 또는 근방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통기부 위치가 같은 위치 또는 근방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면 각각의 통기부를 개구한 상태에서 환기 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각각의 통기부 위치 관계와 상관없이 각각의 통기부 형상, 사이즈 등이 같을 필요는 없으며, 통기부를 개구한 상태의 형상, 사이즈 등도 같을 필요는 없다. 착의자가 원하는 착의 상태의 습도, 온도 환경을 유지하거나 혹은 재빨리 개선할 수 있도록 각각의 통기부 개구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 15는 최상부에 아우터 웨어(1), 중간부에 미들 웨어(2), 피부와 직접 접하는 부분에 베이스 웨어(3)를 겹쳐입기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우터 웨어(1)에는 팔자형 통기부(12)(도 14에서는 팔자의 한쪽만 도시한다)가 설치되고, 미들 웨어(2)에도 마찬가지로 팔자형 통기부(22)(도 14에서는 팔자의 한쪽만 도시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통기부의 잠금 장치는 선 패스너(지퍼)이다. 도 15는 상기 3종류를 겹쳐입기한 상태에서 아우터 웨어(1)의 통기부(12)를 개구시킨 상태와 미들 웨어(2)의 통기부(22)를 개구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또 아우터 웨어의 통기부 바로 아래에 통기부를 구비한 내층 웨어가 착의되는 것이 환기 기능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통기부는 방수성, 방풍성, 저투습성 또는 저통기성의 천을 갖는 웨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통기부를 구비한 아우터 웨어와 통기부를 구비한 내층 웨어 사이에 투습성 및/또는 환기성이 있는 웨어(내층 웨어)를 착의시킬 수도 있다. 또 피부에 직접 닿는 베이스 웨어에는 개폐 가능한 통기부를 구비하지 않고 투습성 및/또는 환기성 천으로 베이스 웨어를 구성해 둘 수도 있다.
또 착의 상태에서 아우터 웨어의 통기부를 개구시켜 내층 웨어의 통기부 개폐가 가능하도록 해당 내층 웨어의 통기부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착의자가 아우터 웨어의 통기부를 개구시켜 해당 개구에 손을 넣고 내층 웨어의 통기부를 개구시킬 수 있어 내층 웨어의 통기부 개폐 동작을 아우터 웨어의 탈의 동작 없이 간단하고 재빠르게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2종류의 베이스 웨어와 2종류의 미들 웨어와 아우터 웨어의 합계 5종류의 웨어를 겹쳐입기하고, 2종류의 미들 웨어 및 아우터 웨어의 통기부를 모두 완전히 연 조건(실시예 1)과, 아우터 웨어의 통기부만을 완전히 연 조건(비교예 1)과, 통기부를 완전히 닫은 조건(비교예 2) 각각에서의 환기 기능으로서 온도 및 습도 양자를 평가하였다.
베이스 웨어로서 피부측에 발수 가공된 제1 베이스 웨어(주식회사 finetrack 「드라이 레이어(DRY LAYER(등록상표))」:폴리에스테르100%)를 서멀 마네킹에게 착의하고, 이 제1 베이스 웨어 위에 땀흡수 확산성, 보온성, 조습성의 제2 베이스 웨어(주식회사 finetrack 「베이스 레이어」:울17%, 폴리에스테르83%)를 겹쳐입기하였다. 미들 웨어로서 땀흡수 확산성, 보온성의 제1 미들 웨어(주식회사 finetrack 「미들 레이어」:폴리에스테르100%)를 상기 베이스 웨어 위에 겹쳐입기하고, 그 위에 방풍성, 보온성, 투습성의 제2 미들 웨어(주식회사 finetrack 「미드 쉘(mid shell(등록상표))」:겉감:폴리에스테르100%, 안감:폴리에스테르100% 천에 방수 투습성 필름을 라미네이트)를 겹쳐입기하였다. 또한 아우터 웨어로서 방한성, 방풍성, 방수성 웨어(주식회사 finetrack 「아우터 쉘」:겉감:나일론100%, 안감:폴리에스테르100% 천에 방수 투습성 필름을 라미네이트)를 미들 웨어 위에 겹쳐입기하였다. 각각의 통기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슴 밑에서 옆구리로 향하는 팔자형 통기부로서, 잠금 장치에 지퍼를 이용하고 각각의 개구 사이즈는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측정 조건)
서멀 마네킹의 표면 온도를 36℃로 설정하고 그 마네킹 주위의 환경 온도를 10℃로 하고 마네킹의 프런트부를 향하는 바람의 풍속을 2m/sec로 하였다. 제2 베이스 웨어의 수분율을 100%로 조정하였다(웨어 전체에서 흡수할 수 있는 최대 수분량을 나타낸다).
(습도(답답함) 경감 효과의 비교)
제1 베이스 웨어와 제2 베이스 웨어 사이에 습도계를 두고 측정치가 거의 정상이 된 타이밍(약 15분후)에 습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통기부를 완전히 연 실시예 1은 63.0%RH, 아우터 웨어의 통기부만 완전히 연 비교예 1은 77.0%RH, 통기부를 모두 닫고 있었던 비교예 2는 88.3%RH였다. 실시예 1의 습도는 비교예 1의 그것보다 14%나 습도가 저하되었으며, 이로써 실시예 1은 비교예 1보다 답답함을 빨리 해소하여 쾌적한 의복 내부 환경을 실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도 저하 효과의 비교)
제2 베이스 웨어와 제1 미들 웨어 사이에 온도계를 두고 측정치가 거의 정상이 된 타이밍(약 15분후)에 온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통기부를 완전히 연 실시예 1은 19.1℃, 아우터 웨어의 통기부만 완전히 연 비교예 1은 23.7℃, 통기부를 모두 닫고 있었던 비교예 2는 27.0℃였다. 실시예 1의 온도는 비교예 1의 그것보다 4.6℃나 온도가 저하되었으며, 이로써 실시예 1은 비교예 1보다 더위를 느끼는 온도에서 운동시 쾌적하다고 느끼는 온도까지 재빠르게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아우터 웨어
2 미들 웨어
3 베이스 웨어
11, 12 팔자형 통기부
111, 121 팔자형 통기부의 개구 상태

Claims (12)

  1. 아우터 웨어와, 상기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1벌의 내층 웨어와, 상기 내층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1벌 또는 2벌의 베이스 웨어를 가지는 겹쳐입기용 의복으로서,
    상기 아우터 웨어 및 상기 내층 웨어가, 닫힌 상태에서 개구되어 있지 않고 열린 상태에서 개구 형상이 되는 개폐 가능한 통기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1벌 또는 2벌의 베이스 웨어에는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 및 개구된 상태의 통기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의 위치와 상기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상기 내층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의 위치가, 착의 상태에서 같은 위치 또는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끼리의 개구가 부분적으로 겹치는 근방 위치에 있고,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가 상기 아우터 웨어의 어깨에서 겨드랑이에 걸친 부분을 제외한 프런트부, 측면, 상완 하부 및 흉부 하부에서 옆구리 쪽으로 연장되는 위치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내층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가 상기 내층 웨어의 어깨에서 겨드랑이에 걸친 부분을 제외한 프런트부, 측면, 상완 하부 및 흉부 하부에서 옆구리 쪽으로 연장되는 위치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며,
    피부면에 직접 닿는 상기 베이스 웨어가, 발수성 천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피부면에 직접 닿는 천쪽을 발수성층으로 하고 상기 내층 웨어쪽을 땀흡수 확산성층으로 하는 천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층 웨어가, 땀흡수 확산성을 가지는 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겹쳐입기용 의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의 위치와, 상기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상기 내층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 위치가, 착의 상태에서 평행 또는 크로스 형태로 겹치는 겹쳐입기용 의복.
  3. 아우터 웨어와, 상기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1벌의 내층 웨어와, 상기 내층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2벌의 베이스 웨어를 가지는 겹쳐입기용 의복으로서,
    상기 아우터 웨어 및 상기 내층 웨어가, 닫힌 상태에서 개구되어 있지 않고 열린 상태에서 개구 형상이 되는 개폐 가능한 통기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2벌의 베이스 웨어에는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 및 개구된 상태의 통기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의 위치와 상기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상기 내층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의 위치가, 착의 상태에서 같은 위치 또는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끼리의 개구가 부분적으로 겹치는 근방 위치에 있고,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가 상기 아우터 웨어의 어깨에서 겨드랑이에 걸친 부분을 제외한 프런트부, 측면, 상완 하부 및 흉부 하부에서 옆구리 쪽으로 연장되는 위치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내층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가 상기 내층 웨어의 어깨에서 겨드랑이에 걸친 부분을 제외한 프런트부, 측면, 상완 하부 및 흉부 하부에서 옆구리 쪽으로 연장되는 위치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웨어가, 상기 내층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제2 베이스 웨어와, 상기 제2 베이스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제1 베이스 웨어로 구성되며,
    피부면에 직접 닿는 상기 제1 베이스 웨어가, 발수성 천, 또는 피부면에 직접 닿는 천쪽을 발수성층으로 하고 내층 웨어쪽을 땀흡수 확산성층으로 하는 천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베이스 웨어가, 땀흡수 확산성을 가지는 천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층 웨어가 땀흡수 확산성을 가지는 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겹쳐입기용 의복.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의 위치와, 상기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상기 내층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 위치가, 착의 상태에서 평행 또는 크로스 형태로 겹치는 겹쳐입기용 의복.
  5. 아우터 웨어와, 상기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2벌의 내층 웨어와, 상기 내층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1벌 또는 2벌의 베이스 웨어를 가지는 겹쳐입기용 의복으로서,
    상기 아우터 웨어 및 적어도 1벌의 내층 웨어가, 닫힌 상태에서 개구되어 있지 않고 열린 상태에서 개구 형상이 되는 개폐 가능한 통기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1벌 또는 2벌의 베이스 웨어에는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 및 개구된 상태의 통기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의 위치와 상기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적어도 1벌의 내층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의 위치가, 착의 상태에서 같은 위치 또는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끼리의 개구가 부분적으로 겹치는 근방 위치에 있고,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가 상기 아우터 웨어의 어깨에서 겨드랑이에 걸친 부분을 제외한 프런트부, 측면, 상완 하부 및 흉부 하부에서 옆구리 쪽으로 연장되는 위치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내층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가 상기 내층 웨어의 어깨에서 겨드랑이에 걸친 부분을 제외한 프런트부, 측면, 상완 하부 및 흉부 하부에서 옆구리 쪽으로 연장되는 위치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내층 웨어가, 상기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제1 내층 웨어와, 상기 제1 내층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제2 내층 웨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내층 웨어보다 내층에 상기 1벌 또는 2벌의 베이스 웨어가 착의되며,
    피부면에 직접 닿는 상기 베이스 웨어가, 발수성 천 또는 피부면에 직접 닿는 천쪽을 발수성층으로 하고 상기 제2 내층 웨어쪽을 땀흡수 확산성층으로 하는 천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내층 웨어가 땀흡수 확산성을 가지는 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겹쳐입기용 의복.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의 위치와, 상기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상기 내층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 위치가, 착의 상태에서 평행 또는 크로스 형태로 겹치는 겹쳐입기용 의복.
  7. 아우터 웨어와, 상기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2벌의 내층 웨어와, 상기 내층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2벌의 베이스 웨어를 가지는 겹쳐입기용 의복으로서,
    상기 아우터 웨어 및 상기 2벌의 내층 웨어가, 닫힌 상태에서 개구되어 있지 않고 열린 상태에서 개구 형상이 되는 개폐 가능한 통기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2벌의 베이스 웨어에는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 및 개구된 상태의 통기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의 위치와 상기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상기 2벌의 내층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의 위치가, 착의 상태에서 같은 위치 또는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끼리의 개구가 부분적으로 겹치는 근방 위치에 있고,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가 상기 아우터 웨어의 어깨에서 겨드랑이에 걸친 부분을 제외한 프런트부, 측면, 상완 하부 및 흉부 하부에서 옆구리 쪽으로 연장되는 위치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내층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가 상기 내층 웨어의 어깨에서 겨드랑이에 걸친 부분을 제외한 프런트부, 측면, 상완 하부 및 흉부 하부에서 옆구리 쪽으로 연장되는 위치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내층 웨어가, 상기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제1 내층 웨어와, 상기 제1 내층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제2 내층 웨어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웨어가, 상기 제2 내층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제2 베이스 웨어와, 상기 제2 베이스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제1 베이스 웨어로 구성되며,
    피부면에 직접 닿는 상기 제1 베이스 웨어가 발수성 천 또는 피부면에 직접 닿는 천쪽을 발수성층으로 하고 내층 웨어쪽을 땀흡수 확산성층으로 하는 천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베이스 웨어가 땀흡수 확산성을 가지는 천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내층 웨어가 땀흡수 확산성을 가지는 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겹쳐입기용 의복.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의 위치와, 상기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상기 내층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 위치가, 착의 상태에서 평행 또는 크로스 형태로 겹치는 겹쳐입기용 의복.
  9. 닫힌 상태에서 개구되어 있지 않고 열린 상태에서 개구 형상이 되는 개폐 가능한 통기부를 구비한 아우터 웨어와, 닫힌 상태에서 개구되어 있지 않고 열린 상태에서 개구 형상이 되는 개폐 가능한 통기부 및 개구한 상태의 통기부를 구비하지 않으며 피부면에 직접 닿는 베이스 웨어 사이에 착의되는 내층 웨어로서,
    상기 내층 웨어는 닫힌 상태에서 개구되어 있지 않고 열린 상태에서 개구 형상이 되는 개폐 가능한 통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층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 위치와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 위치가, 착의 상태에서 같은 위치 또는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끼리의 개구가 부분적으로 겹치는 근방 위치에 있고,
    상기 내층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가, 상기 내층 웨어의 어깨에서 겨드랑이에 걸친 부분을 제외한 프런트부, 측면, 상완 하부 및 흉부 하부에서 옆구리 쪽으로 연장되는 위치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며,
    피부면에 직접 닿는 상기 베이스 웨어가, 발수성 천 또는 피부면에 직접 닿는 천쪽을 발수성층으로 하고 내층 웨어쪽을 땀흡수 확산성층으로 하는 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내층 웨어가 땀흡수 확산성을 가지는 천으로 구성되어 있는 내층 웨어.
  10. 아우터 웨어와, 상기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1벌의 내층 웨어와, 상기 내층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1벌 또는 2벌의 베이스 웨어를 가지는 겹쳐입기용 의복으로서,
    상기 아우터 웨어 및 상기 내층 웨어가, 닫힌 상태에서 개구되어 있지 않고 열린 상태에서 개구 형상이 되는 개폐 가능한 통기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1벌 또는 2벌의 베이스 웨어에는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 및 개구된 상태의 통기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의 위치와 상기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상기 내층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의 위치가, 착의 상태에서 같은 위치 또는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끼리의 개구가 부분적으로 겹치는 근방 위치에 있고,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가 상기 아우터 웨어의 어깨에서 겨드랑이에 걸친 부분을 제외한 프런트부, 측면, 상완 하부 및 흉부 하부에서 옆구리 쪽으로 연장되는 위치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내층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가 상기 내층 웨어의 어깨에서 겨드랑이에 걸친 부분을 제외한 프런트부, 측면, 상완 하부 및 흉부 하부에서 옆구리 쪽으로 연장되는 위치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1벌 또는 2벌의 베이스 웨어가, 보온성, 땀흡수 확산성 또는 조습성을 적어도 가지는 천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층 웨어가, 땀흡수 확산성을 가지는 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겹쳐입기용 의복.
  11. 아우터 웨어와, 상기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2벌의 내층 웨어와, 상기 내층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1벌 또는 2벌의 베이스 웨어를 가지는 겹쳐입기용 의복으로서,
    상기 아우터 웨어 및 적어도 1벌의 내층 웨어가, 닫힌 상태에서 개구되어 있지 않고 열린 상태에서 개구 형상이 되는 개폐 가능한 통기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1벌 또는 2벌의 베이스 웨어에는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 및 개구된 상태의 통기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의 위치와 상기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적어도 1벌의 내층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의 위치가, 착의 상태에서 같은 위치 또는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끼리의 개구가 부분적으로 겹치는 근방 위치에 있고,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가 상기 아우터 웨어의 어깨에서 겨드랑이에 걸친 부분을 제외한 프런트부, 측면, 상완 하부 및 흉부 하부에서 옆구리 쪽으로 연장되는 위치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아우터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내층 웨어의 상기 개폐 가능한 통기부가 상기 내층 웨어의 어깨에서 겨드랑이에 걸친 부분을 제외한 프런트부, 측면, 상완 하부 및 흉부 하부에서 옆구리 쪽으로 연장되는 위치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내층 웨어가, 상기 아우터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제1 내층 웨어와, 상기 제1 내층 웨어보다 내층에 착의되는 제2 내층 웨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내층 웨어보다 내층에 상기 1벌 또는 2벌의 베이스 웨어가 착의되며,
    상기 1벌 또는 2벌의 베이스 웨어가, 보온성, 땀흡수 확산성 또는 조습성을 적어도 가지는 천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내층 웨어가 땀흡수 확산성을 가지는 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겹쳐입기용 의복.
  12. 삭제
KR1020167020832A 2010-07-26 2011-06-30 겹쳐입기용 의복, 겹쳐입기용 의복에 이용되는 아우터 웨어 및 내층 웨어 KR101753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7268 2010-07-26
JPJP-P-2010-167268 2010-07-26
JPJP-P-2011-138589 2011-06-22
JP2011138589A JP5181142B2 (ja) 2010-07-26 2011-06-22 重ね着用の衣服、重ね着用の衣服に用いられるアウターウェアおよび内層ウェア
PCT/JP2011/065083 WO2012014626A1 (ja) 2010-07-26 2011-06-30 重ね着用の衣服、重ね着用の衣服に用いられるアウターウェアおよび内層ウェア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531A Division KR20130115206A (ko) 2010-07-26 2011-06-30 겹쳐입기용 의복, 겹쳐입기용 의복에 이용되는 아우터 웨어 및 내층 웨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373A KR20160097373A (ko) 2016-08-17
KR101753814B1 true KR101753814B1 (ko) 2017-07-04

Family

ID=455298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832A KR101753814B1 (ko) 2010-07-26 2011-06-30 겹쳐입기용 의복, 겹쳐입기용 의복에 이용되는 아우터 웨어 및 내층 웨어
KR1020137000531A KR20130115206A (ko) 2010-07-26 2011-06-30 겹쳐입기용 의복, 겹쳐입기용 의복에 이용되는 아우터 웨어 및 내층 웨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531A KR20130115206A (ko) 2010-07-26 2011-06-30 겹쳐입기용 의복, 겹쳐입기용 의복에 이용되는 아우터 웨어 및 내층 웨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09898B2 (ko)
EP (1) EP2599397B1 (ko)
JP (1) JP5181142B2 (ko)
KR (2) KR101753814B1 (ko)
CN (1) CN103108560B (ko)
CA (1) CA2804502C (ko)
TW (1) TWI448252B (ko)
WO (1) WO20120146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44858A4 (en) * 2019-11-26 2023-11-22 Nemo Equipment, Inc. VENTILATION AND TEMPERATURE ADJUSTMENT OPENING FOR OUTDOOR EQUIP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GE20120045U1 (it) * 2012-10-24 2014-04-25 O M P Racing S R L Abbigliamento per piloti impegnati in competizioni motoristiche (quali ad esempio competizioni automobilistiche o di go-kart) costituito da tuta e intimo sotto tuta, con inserti traspiranti su tuta e intimo sotto tuta sovrapponibili in modo da coinci
US9615610B2 (en) * 2013-06-14 2017-04-11 Hope Biller Outdoor convertible garment
US11998072B2 (en) 2014-05-22 2024-06-04 Nemo Equipment, Inc. Ventilation and temperature adjustment opening for outdoor equipment
US20160095366A1 (en) * 2014-10-07 2016-04-07 Viola L. PRUITT Garments for Dialysis Patients
US10098395B2 (en) * 2015-10-16 2018-10-16 Nike, Inc. Air duct ventilation system for apparel items
US10285463B2 (en) 2016-01-11 2019-05-14 Nike, Inc. Apparel item with integrated parachute structure
US11297888B2 (en) 2016-01-15 2022-04-12 Nike, Inc. Garment with integral wipe zones
US20170290383A1 (en) * 2016-04-07 2017-10-12 Nike, Inc. Ventillation insert for an apparel item
WO2018049387A1 (en) * 2016-09-12 2018-03-15 Mcgargill Tim Athletic garment with weather barrier insert
US11412796B2 (en) 2016-11-16 2022-08-16 Nike, Inc. Garment with wipe zones
US11564428B2 (en) * 2016-11-21 2023-01-31 Donavan Lamont McIntosh Fitness garment
USD902529S1 (en) * 2018-06-04 2020-11-24 Alejandro Mariscal Dialysis gear jacket
EP3886626A4 (en) * 2019-12-20 2022-03-09 Neves, Joao, M P Correia WEARABLE AERODYNAMIC PROFILE
CN111493420B (zh) * 2020-03-27 2022-04-05 福建工程学院 一种单日工作期间免脱防护服
USD952292S1 (en) * 2020-05-28 2022-05-24 Marvin Blair Garment
JP2023128841A (ja) * 2022-03-04 2023-09-14 株式会社ナカヒロ ファン装着可能な衣服、ファン付き衣服およびファン装着可能な衣服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0503A (ja) 2000-07-21 2002-01-31 Shimano Inc アウトドアレジャーにおける重ね着システム
KR100964968B1 (ko) * 2009-11-30 2010-06-21 주식회사 파이로 에어셀을 갖는 소방용 방수 방화복 내부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소방용 방수 방화복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3711A (en) * 1935-12-09 1937-03-16 Robinsohn Jacob Garment
US2715226A (en) * 1953-06-11 1955-08-16 Louis I Weiner Ventilative garment
JPS499345A (ko) * 1972-05-27 1974-01-26
JPS5669614U (ko) * 1979-11-05 1981-06-09
US4608715A (en) * 1985-08-12 1986-09-02 Fitch-Wyckoff International, Inc. Protective garment having variable ventilation entry and exit panels
US4868928A (en) * 1987-10-21 1989-09-26 W. L. Gore & Associates, Inc. Windproof weather-resistant lined garment material
WO1993005671A1 (en) * 1991-09-25 1993-04-01 Dawson Consumer Products Limited Exercise clothing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498472A (en) * 1993-06-22 1996-03-12 Kombi Ltd. Non-laminated differential wind barrier fabrics and garments
US5704064A (en) * 1994-12-05 1998-01-06 Vanson Leathers, Inc. Garment with structural vent
US5752277A (en) * 1994-12-05 1998-05-19 Vanson Leathers, Inc. Garment with structural vent
US5727256A (en) 1995-12-04 1998-03-17 Sportailor, Inc. Sunlight protecting garments having convective ventilation
US6085353A (en) * 1998-02-20 2000-07-11 Vanson Leathers, Inc. Ventilated garments
US6339845B1 (en) * 1998-11-20 2002-01-22 Salomon S.A. Wearing apparel with venting apparatus
US6125472A (en) * 1999-10-21 2000-10-03 Yoshimitsu Nakagawa Ventilative and/or decorative clothing, headgear, or sacks and bags
US7043766B1 (en) * 2002-09-02 2006-05-16 Enventys, Llc Garment for cooling and insulating
FR2848385B1 (fr) * 2002-12-12 2005-11-11 Salomon Sa Systeme de ventilation pour vetement
US20040237169A1 (en) * 2003-03-13 2004-12-02 Wood Michael Tate Hunter's coat
US20050172381A1 (en) * 2003-11-24 2005-08-11 Spyder Active Sports, Inc. Garment Having Biased Opening
JP2005163227A (ja) 2003-12-03 2005-06-23 East Fashion Japan:Kk ベンチレーション機能付き衣服
US7540037B1 (en) * 2006-02-23 2009-06-02 Robert Bittler Ventilated weatherproof garment
JP2008038324A (ja) * 2006-08-08 2008-02-21 Toshikazu Kobayashi 袖のある衣類において,左右の胴体側面から脇の下を通り上腕部にかけスリットを入れ、スリットの縁にボタンを縫いつけた衣類。
US20080196140A1 (en) * 2007-02-15 2008-08-21 Adam Mayerson Thermoregulated Recreational Garment
US7678718B2 (en) * 2007-03-01 2010-03-16 Longworth Industries, Inc. Base layer apparel
WO2012054769A2 (en) * 2010-10-20 2012-04-26 Columbia Sportswear North America, Inc. Adjustable fit jack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0503A (ja) 2000-07-21 2002-01-31 Shimano Inc アウトドアレジャーにおける重ね着システム
KR100964968B1 (ko) * 2009-11-30 2010-06-21 주식회사 파이로 에어셀을 갖는 소방용 방수 방화복 내부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소방용 방수 방화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44858A4 (en) * 2019-11-26 2023-11-22 Nemo Equipment, Inc. VENTILATION AND TEMPERATURE ADJUSTMENT OPENING FOR OUTDOOR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04277A (en) 2012-02-01
JP2012046859A (ja) 2012-03-08
CA2804502A1 (en) 2012-02-02
TWI448252B (zh) 2014-08-11
JP5181142B2 (ja) 2013-04-10
EP2599397A1 (en) 2013-06-05
CN103108560B (zh) 2016-02-03
WO2012014626A1 (ja) 2012-02-02
KR20130115206A (ko) 2013-10-21
US20130117903A1 (en) 2013-05-16
CN103108560A (zh) 2013-05-15
CA2804502C (en) 2018-07-17
KR20160097373A (ko) 2016-08-17
EP2599397B1 (en) 2016-04-27
US9609898B2 (en) 2017-04-04
EP2599397A4 (en) 201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814B1 (ko) 겹쳐입기용 의복, 겹쳐입기용 의복에 이용되는 아우터 웨어 및 내층 웨어
US11992072B2 (en) Vented garment
US11998071B2 (en) Vented garment
US6427242B1 (en) Garment lining system characterized by localized performance properties
CA3001345C (en) Vented garment
US6018819A (en) Garment with moisture vapor transmissive wind barrier panels
EP2775872B1 (en) Multi-layered garment
US20040132367A1 (en) Multi-layer garment system
US20170245560A1 (en) Vented Garment
JP5726192B2 (ja) 通気開口を備えた衣服
CA3034446C (en) Vented gar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