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569Y1 - 방충 원단 및 방충복 - Google Patents

방충 원단 및 방충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569Y1
KR200479569Y1 KR2020150000983U KR20150000983U KR200479569Y1 KR 200479569 Y1 KR200479569 Y1 KR 200479569Y1 KR 2020150000983 U KR2020150000983 U KR 2020150000983U KR 20150000983 U KR20150000983 U KR 20150000983U KR 200479569 Y1 KR200479569 Y1 KR 200479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nge
insect
diameter
vents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142U (ko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김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철 filed Critical 김종철
Publication of KR201500031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1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5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Garments protecting against ins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9/00Open-work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풍성과 방충성이 뛰어나고, 여름철에 땀의 흡수와 배출이 잘 이루어져 시원하며, 착용감이 좋고, 재봉 부위가 튼튼하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신체 중요 부위가 노출되지 않고 가려지게 한 방충 원단 및 방충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충 원단은, 시트 모양의 스펀지로 이루어지는데, 이 시트 모양의 스펀지의 표면측에는 다수의 미세 통풍구가 형성되고, 이 스펀지의 이면측에는 다수의 대경 통풍구가 형성되며, 하나의 대경 통풍구에 대해 둘 이상의 미세 통풍구가 연통되고, 스펀지를 두께방향으로 절단했을 때 나타나는 대경 통풍구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충 원단 및 방충복{Mothproof material and mothproof cloth from which is produced}
본 고안은 야외 활동 시나 수면 시에 모기나 벌 또는 거머리와 같은 각종 벌레에게 물리지 않게 하는 방충 원단과 방충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풍성과 방충성이 뛰어나고, 무더운 여름철에 땀의 흡수와 배출이 잘 이루어져 시원하며, 착용감이 좋고, 재봉 부위가 쉽게 뜯어지지 않아 튼튼하며, 쉽게 헤지는 부위와 신체 중요 부위에 커버층이 덧대어져 내구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신체 중요 부위가 노출되지 않고 가려질 수 있도록 한 방충 원단 및 방충복에 관한 것이다.
모기 등의 해충이 기승을 떠는 여름철에, 농사일이나 낚시 등의 야외 활동을 할 때, 해충에 물리는 경우가 많고, 모내기할 때는 거머리가 피부에 달라붙어 괴롭힘을 당하기 일쑤이며, 벌초할 때 자칫 잘못하여 벌집이라도 건드리는 날에는 벌에 쏘여서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벌레에게 공격당할 가능성이 있는 야외 활동 시에는, 옷이나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모기장 같은 것을 뒤집어쓴다든지, 스타킹 같은 것을 신는다든지, 또는 몸 여기저기에 방충제를 바르거나 뿌리게 된다.
그러나, 해충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한 과거의 예방책은,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후술하는 특허문헌 1 내지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방충 원단과 방충복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본 고안의 선행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2겹의 망포지를 재봉하거나, 2겹의 망포지 사이를 듬성듬성하게 파일사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원단으로 만든 방충복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충복은 속이 훤히 비치는 것이어서 그 밑에 반드시 평상복을 받쳐 입어야 하고, 또한 2겹의 그물망을 몸에 두른 것처럼 착용감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2)
다른 선행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모기나 벌과 같은 벌레의 침이 피부에 닿지 못하게 하면서도 바람이 잘 통하게 구성된 메쉬 구조의 외피와, 이 외피의 내측면(피부가 닿는 면)에 본딩되며 두께방향으로의 단면적(斷面績) 변화가 없는 다수의 큰 구멍(경량화 공간)이 관통 형성된 1.5~7mm 두께의 스펀지로 이루어진 방충 원단으로 만든 방충복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속이 내비치는 것이어서, 방충복 아래에 다른 옷을 받쳐 입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메쉬 구조의 외피와 다수의 큰 구멍이 관통 형성된 스펀지는 실로 꿰맬 수 없는 공극(空隙)이 많기 때문에, 방충복을 짓기 위해, 옷본에 따라 원단을 자르고 그것들을 서로 겹쳐 박음질할 때, 실에 의해 엉키는 부분이 너무 적어 튼튼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3)
또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문헌 3에는, 망사 내외피 사이에, 다수의 사각형 통풍구가 관통 형성된 합성수지재의 공간형성부를 삽입하여 일체로 박음질한 원단으로 만든 방충복이 개시되어 있다.
이 또한 속이 내비치는 형태이므로, 다른 옷 위에 걸쳐 입을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고, 재봉질도 부실한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 1993-0006301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042357 [특허문헌 3]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15432
본 고안은 특허문헌 1 내지 3에 예시된 방충 원단과 방충복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통풍성과 방충성이 뛰어나면서 무더운 여름철에 땀의 흡수와 배출이 잘 이루어져 시원함은 물론, 착용감이 좋고, 재봉 부위가 쉽게 뜯어지지 않아 튼튼하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신체 중요 부위가 노출되지 않고 가려질 수 있게 한 방충 원단 및 방충복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방충 원단 및 방충복의 구성상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시트 모양의 스펀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 모양의 스펀지의 표면측에는 다수의 미세 통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스펀지의 이면측에는 다수의 대경 통풍구가 형성되며, 하나의 대경 통풍구에 대해 둘 이상의 미세 통풍구가 연통되고, 상기 시트 모양의 스펀지를 표면의 수직방향으로 절단했을 때 미세 통풍구와 대경 통풍구를 연결하는 전체 절단면의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원단.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의 이면에, 흡습속건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원단.
[3]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의 표면에, 망사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원단.
[4]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의 표면에, 발수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원단.
[5] 상기 [1] 내지 [4]에 기재된 방충 원단으로 만든 방충복.
[6] 상기 [5]에 있어서, 상기 방충복은 상의 또는 하의 또는 상하의 한 벌로 구성되며, 상의는 팔꿈치 부분과 가슴 부분에 커버층이 덧대어지고, 하의는 무릎 부분과 골반 둘레 부분에 커버층이 덧대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복.
여기서, 상기 방충 원단을 구성하는 스펀지로서는 네오프렌 스펀지가 바람직하며, 흡습속건층으로서는 Coolon(코오롱 제품, 등록상표)이나 Coolmax(E.I.뒤퐁드느무르앤컴퍼니 제품, 등록상표)가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방충 원단 및 방충복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ⅰ) 무수히 많은 미세 통기공을 갖는 스펀지가 소재로 사용되므로, 통풍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무게가 가벼워 착용감이 좋다.
(ⅱ) 벌레가 붙는 쪽(표면측)에 미세 통풍구가 형성되고, 피부가 닿는 쪽(이면측)에 대경(大徑) 통풍구가 형성되며, 대경 통풍구 하나당 적어도 둘 이상의 미세 통풍구가 연통함에 따라, 상기 (ⅰ)보다 통풍성 및 무게 경감 효과가 더 우수해지며, 스펀지만으로도 방충성을 발휘할 수 있다.
(ⅲ) 스펀지의 이면측에 흡습속건층이 적층되는 경우에는 상기 (ⅰ), (ⅱ)의 효과에 더해, 무더운 여름철에 땀의 흡수와 배출이 잘 이루어져 시원하고, 피부에 닿는 감촉이 좋아 착용감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ⅳ) 스펀지의 표면측에 망사층이 적층되는 경우에, 상기 (ⅰ)보다 방충성이 더 좋아지며, 옷본에 맞춰 잘라 놓은 다수의 원단 조각을 서로 겹쳐 재봉할 때 튼튼하게 재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재봉 부위가 쉽게 뜯어지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망사층은 재질에 한정은 없는데, 예로서 나일론을 들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망사층 대신에, 다소 성기게 직조된 직물이 사용되어도 된다.
(ⅴ) 스펀지의 표면측에 발수층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ⅳ)에서와 같이 재봉 부위가 튼튼해질 뿐 아니라, 비가 올 때나 습한 곳(예를 들면, 숲 속)에서도 방충복을 입고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발수층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로서, 비닐 시트를 들 수 있다.
(ⅵ) 또한, 잘 헤지는 부위와 신체 중요 부위에 커버층을 덧대는 경우에,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신체 중요 부위가 노출되지 않게 가려지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이 커버층은 패션 요소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충 원단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충 원단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충 원단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방충복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b)는 본 고안의 방충복의 상의에 커버층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충복의 하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방충 원단의 다양한 실시형태와 이 원단으로 만든 방충복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방충 원단의 실시형태]
도 1 내지 3은 본 고안의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충 원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방충 원단이 시트 모양의 스펀지(100)만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내고, 도 2는 방충 원단이 스펀지(100)와 흡습속건층(200)으로 구성된 2층 구조의 적층체인 경우를 나타내며, 도 3은 방충 원단이 스펀지(100)와 흡습속건층(200) 이외에, 망사층(300) 또는 발수층(400) 중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예시된 방충 원단은 시트 모양의 스펀지(10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렇게 상기 방충 원단을 스펀지(100)를 이용함으로써 제작 시 단가를 줄여 소비자의 구매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작 시 틀에 넣고 성형하는 것 외에 별도의 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작을 편리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펀지(100)를 이용하여 제작한 방충복 착용 시 재질이 유연하여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통풍이 잘 되고 스펀지(100) 재질의 방충복이 땀을 흡수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다.
나아가, 방충 원단인 스펀지(100)만을 이용하여 한 겹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으며 상기 스펀지(100) 재질의 방충 원단두께(t)가 4~6mm 정도(바람직하게는 4.5~5.5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침을 가지고 있는 모기 또는 벌 등의 해충의 침의 길이가 최대 3.5mm 정도이기 때문에 해충의 침으로부터 착용자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4~6mm 정도(바람직하게는 4.5~5.5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방충 원단의 두께(t)가 4mm 미만일 경우, 해충의 침이 방충원단을 뚫고 착용자의 피부에 닿을 수 있기 때문에 해충의 공격을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6mm를 초과할 경우, 착용자가 방충복을 입고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해 활동에 제약을 느낄 수 있으며, 제작 단가가 비싸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스펀지(100)의 표면측(벌레가 달라붙는 쪽)에는 직경이 1~3mm 정도(바람직하게는 2mm 이하)인 다수의 미세 통풍구(110)가 형성되어 있고, 스펀지(100)의 이면측(피부가 닿는 쪽)에는 직경이 10~15mm 정도인 다수의 대경 통풍구(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대경 통풍구(120)는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는 가슴, 등, 배, 팔 부분의 이면측(피부가 닿는 쪽)은 직경을 1cm로 작게 하고, 표면측(벌레가 달라붙는 쪽)의 미세통풍구(110)는 직경을 직경이 1mm 정도로 작게 하여 해충으로부터의 공격을 완벽하게 차단하되,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노출이 잘 되지 않아 해충으로부터의 공격을 덜 받을 수 있는 겨드랑이 부분 등의 이면측(피부가 닿는 쪽)의 대경 통풍구(120)는 직경을 15mm 정도로 크게 하고 표면측(벌레가 달라붙는 쪽)의 미세통풍구(110)의 직경을 3mm 정도로 크게 하여 통풍이 잘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함으로써, 팔을 많이 움직이는 농사일이나 낚시 등을 할 때 착용자는 움직임을 좀 더 편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팔의 움직임에 의해서 벌어지는 겨드랑이 부분의 표면측, 이면측의 직경을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는 가슴, 등, 배, 팔 부분보다 크게 함에 따라 착용자는 좀 더 움직임을 편안하게 할 수 있으며, 팔을 움직일 때 방충복의 배 부분이 위로 들어올려서 배나 등 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대경 통풍구(120)는 둘 이상의 미세 통풍구(110)와 연통해 있으며, 상기 시트 모양의 스펀지(100)를 표면의 수직방향으로 절단했을 때 미세 통풍구(110)와 대경 통풍구(120)를 연결하는 전체 절단면의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시트 모양의 스펀지(100)를 표면의 수직방향으로 절단했을 때 미세 통풍구(110)와 대경 통풍구(120)를 연결하는 전체 절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룸에 따라, 엉덩이 부분처럼 짓눌리기 쉬운 곳에 위치한 스펀지(100)도, 짓눌린 상태에서 벗어나면, 예컨대, 방충복 하의를 입은 채로 바닥에 앉아 있던 상태에서 일어서면, 짓눌려 있던 엉덩이 부분의 스펀지가 원래 형상으로 빠르게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옷본에 맞춰 잘라둔 다수의 원단 조각을 이어 붙여 방충복을 만들 때, 서로 맞붙이는 두 원단 조각 사이를 더 튼튼하게 재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방충복 상의의 경우, 어깨 소매와 몸통이 이어지는 부분처럼 통풍성이 더 요구되면서도 벌레에 쏘일 가능성이 없는 부분에는 방충복 상의의 다른 어떤 부분보다도 더 큰 직경의 대경 통풍구(120)가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방충 원단이 스펀지에 모기, 벌 등 해충이 싫어하는 특수 향을 도포하여 해충의 촉각을 자극해 흡혈을 시도하기 전 ?아내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2에 예시된 방충 원단은, 스펀지(100)의 이면측에, Coolon(코오롱 제품, 등록상표) 또는 Coolmax(E.I.뒤퐁드느무르앤컴퍼니 제품, 등록상표)로 된 흡습속건층(200)이 더 적층되어 있는 점에서, 도 1의 방충 원단과 차이가 있을 뿐, 그 외는 도 1에서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3의 방충 원단은 도 2의 방충 원단과 비교하여, 스펀지(100)의 표면측에, 망사층(300) 또는 발수층(400) 중 어느 하나가 더 적층된 점에만 차이가 있고, 그 외는 도 2에서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흡습속건층(200)과 망사층(300) 또는 발수층(400)은 본딩 또는 재봉 처리에 의해, 스펀지(100)의 표면 또는 이면에 적층된다.
[ 방충복의 실시형태]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충복의 상의(A)와 하의(B)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도 3에 예시된 방충 원단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방충 원단으로 제작되는 방충복은 상의(A)와 하의(B)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방축복의 표면측(벌레가 달라붙는 쪽)의 미세통풍구(110)의 직경이 1~3mm 정도(바람직하게는 2mm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축복의 이면측(피부가 닿는 쪽)은 직경이 10~15mm 정도인 다수의 대경 통풍구(120)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충복의 겨드랑이 부분 등은 팔로 인하여 자체적으로 은폐, 엄폐가 되기 때문에 움직임이 편하고 통풍이 잘 되도록 이면측에 형성되는 대경통풍구(120)는 15mm 정도로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표면측에 형성되는 미세통풍구(110)도 마찬가지로 겨드랑이 부분은 팔로 인하여 자체적으로 은폐, 엄폐가 되기 때문에 3mm로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의(A)의 경우는, 팔꿈치 부분과 가슴 부분에 커버층(C)이 덧대져 있고, 하의의 경우는, 무릎 부분과 골반 둘레 부분에 커버층(C)이 덧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커버층(C)을 덧댈 경우, 상기 커버층(C)의 소재는 통상의 직물, 인조가죽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층(C)이 손상될 경우, 교체가능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쉽게 헤지는 부위의 내구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신체 중요 부위가 노출되지 않고 가려질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커버층(C)은 패션 요소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방충복 상의와 하의 전면 또는 측면에는 착용자가 방충복을 쉽게 입고 벗을 수 있도록 하되, 밀폐가 잘 될 수 있도록 통상의 지퍼(Z)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방충복의 상의에는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모자(미도시)가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모자는 상기 상의와 일체 또는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모자의 재질은 상기 방충복의 재질도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모자에는 착용자의 얼굴 전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보호부재 중 눈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이물질이 착용자의 눈으로 튀어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하고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방축복의 하의의 발목 부분은 벌레 또는 해충이 하의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목의 두께에 따라 상기 하의의 발목 부분을 조일 수 있도록 조임 끈(미도시)이 형성되거나,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또는, 착용자의 발 부분 보호를 위하여 상기 하의는 착용자의 발을 모두 감싸 덮을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하지 않는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 언급된 형태로 한정됨이 없이 실용신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는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하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스펀지
110...미세 통풍구
120...대경 통풍구
200...흡습속건층
300...망사층
400...발수층
A...상의
B...하의
C...커버층
t...스펀지의 두께

Claims (6)

  1. 시트 모양의 스펀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 모양의 스펀지의 표면측에는 다수의 미세 통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 모양의 스펀지의 이면측에는 다수의 대경 통풍구가 형성되며,
    하나의 대경 통풍구에 대해 둘 이상의 미세 통풍구가 연통되며,
    상기 시트 모양의 스펀지를 표면의 수직방향으로 절단했을 때 미세 통풍구와 대경 통풍구를 연결하는 전체 절단면의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원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의 이면에, 흡습속건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원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의 표면에, 망사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원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의 표면에, 발수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원단.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충 원단으로 만든 방충복.
  6. 삭제
KR2020150000983U 2014-02-11 2015-02-11 방충 원단 및 방충복 KR20047956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275 2014-02-11
KR20140015275 2014-0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142U KR20150003142U (ko) 2015-08-19
KR200479569Y1 true KR200479569Y1 (ko) 2016-02-12

Family

ID=5433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983U KR200479569Y1 (ko) 2014-02-11 2015-02-11 방충 원단 및 방충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5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142U (ko)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47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on of skin against mosquitos and other insects
CN1040836C (zh) 通风的养蜂服
US4716594A (en) Protective garment for protection against mosquitoes and other insects
US5357635A (en) Ventilated beekeeper's suit
US20020162161A1 (en) Insect barrier garment
US20120005812A1 (en) Insect protective garment
US20170347722A1 (en) Mosquito-repelling wearables
KR101415117B1 (ko) 해충방제용 보호복
KR200434838Y1 (ko) 통풍되는 우의
KR200479569Y1 (ko) 방충 원단 및 방충복
JP3204500U (ja) 防虫生地及び防虫スーツ
KR100507538B1 (ko) 해충방제용 보호복
KR20090042357A (ko) 방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방충 복
KR200215432Y1 (ko) 해충방지용 망사의류
GB2542407A (en) Protective garment
US20170105460A1 (en) Insect barrier fabric
JP3859664B2 (ja) 防虫衣料
KR20180003254U (ko) 방충 원단 및 방충복과 방충 이불
US20150313293A1 (en) Insect Protection Garment
KR200170091Y1 (ko) 2중 망사 체에 의한 신체 부위별 착용 방충구
JPH1096108A (ja) 防虫スーツ
JP3150328U (ja) 防虫ウエア
KR200483493Y1 (ko) 쿠션층을 구비하는 방충복
CN203676185U (zh) 多功能防蚊服
KR200455486Y1 (ko) 방제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