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117B1 - 해충방제용 보호복 - Google Patents

해충방제용 보호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117B1
KR101415117B1 KR1020120061558A KR20120061558A KR101415117B1 KR 101415117 B1 KR101415117 B1 KR 101415117B1 KR 1020120061558 A KR1020120061558 A KR 1020120061558A KR 20120061558 A KR20120061558 A KR 20120061558A KR 101415117 B1 KR101415117 B1 KR 101415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control
head
insect
control part
p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9349A (ko
Inventor
강상수
Original Assignee
강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수 filed Critical 강상수
Priority to KR1020120061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1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9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Garments protecting against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2Professional or protective garments with pockets for particular uses, e.g. game pockets or with holding means for too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6Shoulder-pads; Hip-pads; Bust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 방제용 보호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망사로 이루어져 원피스 형상으로 제작된 해충 차단용 옷을 착용함으로써, 하절기에 야외활동이나 제초작업 등을 하는 경우에 모기나 벌, 기타 해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해충 방제용 보호복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망사천으로 이루어지는 해충방제용 보호복에 있어서, 상의방충부와, 하의방충부와, 머리방충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충방제용 보호복{A protecter clothes for cut-off of vermin}
본 발명은 해충 방제용 보호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망사로 이루어져 원피스 형상으로 제작된 해충 차단용 옷을 착용함으로써, 하절기에 야외활동이나 제초작업 등을 하는 경우에 모기나 벌, 기타 해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해충 방제용 보호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는 뇌염이나 말라리아 등의 질병을 전염시키고, 해충, 곤충, 작은 날벌레, 벌은 침을 이용하여 사람에게 치명적인 해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야외에서의 낚시, 산악활동, 등산, 식물 채취, 자연답사 등, 레저활동이나, 생산활동과, 한봉, 양봉작업 등을 함에 있어서 행동이 위축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실내외에서 모기나 벌 등에 물리지 않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된 신체부위에 연고 등을 바르거나 향 또는 살충제를 살포하기도 하고, 모기 등에 물릴 경우에 대비하여 별도의 예방약을 복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매우 번거롭기도 하고, 그 효과가 일시적이라는 문제가 있고, 더욱이 연고나 살충제 등은 인체에 부작용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개인 휴대용 방충망은 단순히 모자챙 둘레에 원형철사를 둘러씌우고 그 하방에 망사를 씌운 단순한 구조였던 바, 이는 망사가 활동 중 안면에 자주 접하게 됨으로써, 이물감을 느끼게 되어 작업에 지장을 주는 등 착용감이 좋지 않고, 망사의 접촉순간에 모기나 벌 등 해충이 피부를 침습하는 문제와 더불어, 사용 후 휴대보관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충망의 용도는 야간 낚시나 캠프 축제 등 모기 방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레저용을 비롯하여 양봉작업용, 군 작전용, 개인장구 등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말라리아, 장티푸스 등 전염병 매개 중간 해충인 모기의 침입 방지를 위한 방충망은 여름 하절기의 민수용뿐만 아니라 군수용으로도 그 수용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낚시용, 양봉작업용, 군수작전용 등 개인장구로써, 휴대 보관이 간편하고 사용시 눈앞에 망사가 펼쳐져 있어 작업현장이 어른거리는 불편 없이 선명하게 볼 수 있음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에 대해서 기존 보호망들은 불편을 감수하고 사용하고 있다.
또한, 작업 중 꿀맛의 감별이라던지 물의 음용시 보호망의 착용과 벗음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목과, 가슴부위 등 상반신 부분의 망사 일부가 들뜸에 따라 이 들뜬곳으로 모기나 벌레 및 벌 등이 침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4355호가 개시된바 있다.
즉,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4355호는 팔꿈치, 무릎부분등과 같은 팽창부에는 원안에 확대 도시하고 있는 제1,2,3의 망사지로서 3겹을 이루게 하고, 나머지 부분은 제1,2의 망사지로서 2겹 형성함과 동시에 외측의 제1망사지는 제2망사지에 비하여 탄력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길이와 폭을 내측의 제2망사지보다 크거나 길게 봉접시켜 봉접부에서 외측 제1망사지가 외측으로 팽창되어 제2망사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충의류는 종래 이중 망사지를 이용한 방충의류를 개선하여 필요한 부분은 한겹, 혹은 3겹으로 그 망사지 중첩 구조를 달리하고, 망사지와의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게 하고 있다.
즉, 상기 방충의류는 1겹의 망사지로 형성한 안면부와 스라이드파스너에 의한 1자형 개폐부로 형성된 머리부, 상의, 장갑, 하의, 발보호구들을 탈착부재에 의해 이루어지며, 탈착부재로는 벨크로 파스너나 슬라이드파스너로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방충의류는 통상의 의류 형식으로 제작하고 있어 상의나 하의를 입고, 벗고 하는데 조심히 입어야 하는 등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방충의류는 상의에 머리부, 장갑, 상의를 착용한 후 하의, 발보호구를 하나하나 결합하여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충의류를 착용 후 제초작업 등을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제초기를 등에 질머진 상태에서 제초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제초기의 접촉부가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파손된 위치로 벌이나 모기 등 각종 해충들이 침투하여 작업자를 쏘게 되며, 망사지의 특성상 제초기의 어깨끈이 어깨로부터 미끄러져 내려 제초작업을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름과 동시에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망사천을 이용하여 중간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2겹으로 제작함으로써, 모기나 벌 등으로부터 쏘이거나 물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의방충부와 하의방충부가 일체로 형성된 원피스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착용 및 벗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의방충부와 하의방충부가 일체로 형성된 원피스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해충방제용 보호복의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겉망사천과 속망사천으로 이루어지도록 2겹으로 형성하여 겉망사천과 속망사천의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벌이나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겉망사천과 속망사천의 사이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모기나 벌 등 해충으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망사천을 이용하여 상의방충부와 하의방충부 및 머리방충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해충방제용 보호복을 착용한 착용자의 몸 전체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자크의 일측부가 상의방충부의 전면 중앙부에 설치되고, 타측부는 머리방충부의 측부에 위치되게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게 해충방제용 보호복을 착용하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해충방제용 보호복에 크고 작은 다수개의 주머니를 형성하고, 이 주머니에 해충들이 싫어하는 냄새를 발산하는 약품 등을 수납함으로써, 야외활동 및 제조작업 등을 할 때 해충의 접근 및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손목부분이나 발목부분에는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밴드 등으로 재봉 되어 있어 해충방제용 보호복의 착용시 착용자의 손목부분과 발목부분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 발목과 손목부분의 틈으로 해충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겉망사천과 속망사천의 사이에 겉망사천이 속망사천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링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겉과 속망사천의 사이에 항상 공간이 유지되어 벌이나 모기 등의 침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상의방충부와 하의방충부의 경계부, 즉 허리부에 고무밴드를 구비함으로써, 해충방제용 보호복이 착용자의 몸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해충 방제용 보호복의 등부분에 천을 덧대어 해충방제용 보호복을 착용한 후 제조작업 등을 할 때 제초기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차단함과 동시에 진동이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해충방제용 보호복의 어깨부에 천을 덧대어 제초기 어깨끈으로 인해어깨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통증 등의 유발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어깨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어깨부에 덧댄 천에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초작업시 제초기의 어깨끈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망사천으로 이루어지는 해충방제용 보호복에 있어서, 상의방충부와, 하의방충부와, 머리방충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의방충부는 몸통 양측에 한 쌍의 소매가 형성되고, 이 소매의 끝단부에는 팔목밴드가 형성된 상의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의방충부는 상의방충부의 상의부재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지부재가 구비되고, 이 바지부재의 끝단부에는 발목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머리방충부는 전면의 눈 위치에 절개공이 형성된 머리커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머리커버부재의 절개공을 커버하는 투명수지재로 이루어진 커버부재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의방충부와 하의방충부의 경계부에 허리고정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의방충부와 하의방충부 및 머리방충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개방되는 지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퍼는 하의방충부의 상부에서 시작하여 상의방충부의 전면 중앙부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머리방충부의 일측부을 경유하여 타측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의방충부의 바지부재와, 하의방충부의 바지부재와, 머리방충부의 머리커버부재는 겉망사천과 속망사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상의방충부의 바지부재와, 하의방충부의 바지부재와, 머리방충부의 머리커버부재는 1겹 또는 2겹 이상의 겉망사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의부재와 바지부재의 겉망사천과 속망사천의 사이 공간에는 간격유지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면, 솜, 스펀지, 스티로폼 또는 합성수지 알갱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겉망사천과 속망사천의 서로 대응반향의 측면에는 내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의부재와 바지부재와 머리커버부재의 각각 겉망사천과 속망사천의 사이 공간에 충진된 간격유지부재를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재봉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의방충부의 상의부재 후부에는 등커버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상기 상의방충부의 상의부재의 어깨부에는 어깨보호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어깨보호부재의 상부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의방충부의 상의부재와, 하의방충부의 바지부재에는 다수개의 수납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구에는 약품이 수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망사천을 이용하여 중간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2겹으로 제작함으로써, 모기나 벌 등으로부터 쏘이거나 물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의방충부와 하의방충부가 일체로 형성된 원피스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착용 및 벗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의방충부와 하의방충부가 일체로 형성된 원피스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해충방제용 보호복의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겉망사천과 속망사천으로 이루어지도록 2겹으로 형성하여 겉망사천과 속망사천의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벌이나 모기 등과 같은 해충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겉망사천과 속망사천의 사이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모기나 벌 등 해충으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망사천을 이용하여 상의방충부와 하의방충부 및 머리방충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해충방제용 보호복을 착용한 착용자의 몸 전체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자크의 일측부가 상의방충부의 전면 중앙부에 설치되고, 타측부는 머리방충부의 측부에 위치되게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게 해충방제용 보호복을 착용하고 벗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충방제용 보호복에 크고 작은 다수개의 주머니를 형성하고, 이 주머니에 해충들이 싫어하는 냄새를 발산하는 약품 등을 수납함으로써, 야외활동 및 제조작업 등을 할 때 해충의 접근 및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손목부분이나 발목부분에는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밴드 등으로 재봉 되어 있어 해충방제용 보호복의 착용시 착용자의 손목부분과 발목부분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 발목과 손목부분의 틈으로 해충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겉망사천과 속망사천의 사이에 겉망사천이 속망사천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링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겉과 속망사천의 사이에 항상 공간이 유지되어 벌이나 모기 등의 침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의방충부와 하의방충부의 경계부, 즉 허리부에 고무밴드를 구비함으로써, 해충방제용 보호복이 착용자의 몸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충 방제용 보호복의 등부분에 천을 덧대어 해충방제용 보호복을 착용한 후 제초작업 등을 할 때 제초기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차단함과 동시에 진동이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해충방제용 보호복의 어깨부에 천을 덧대어 제초기 어깨끈으로 인해어깨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통증 등의 유발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의 어깨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어깨부에 덧댄 천에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초작업시 제초기의 어깨끈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제용 보호복의 정면을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A부를 보인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부를 보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제용 보호복의 배면을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제용 보호복에 대한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지퍼가 열린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제용 보호복에 대한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해충방제용 보호복을 착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제용 보호복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충 방제용 보호복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 방제용 보호복의 정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 방제용 보호복의 배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충 방제용 보호복(100)은 상의방충부(110)와, 하의방충부(210) 및 머리방충부(310)로 구성되되, 이 상의방충부(110)와, 하의방충부(210) 및 머리방충부(310)는 망사천으로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상의방충부(110)와, 하의방충부(210) 및 머리방충부(310)는 원피스 형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상의방충부(110)와, 하의방충부(210) 및 머리방충부(310)를 원피스 형상의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분실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바지부재(212)의 양측부 또는 일측에는 비상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비상약품 또는 물품을 수용하는 호주머니(21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호주머니(216)에 수용된 물품 또는 비상약품을 신속하게 인출시킬 수 있도록 무름 상단에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의방충부(110)는 양측부에 팔이 삽입되는 소매(114)가 형성되고, 이 소매(114)의 끝단부에는 팔목에 소매(114)의 일측 끝단부가 밀착되어 모기나 벌 등 해충이 소매(114)를 통하여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팔목밴드(116)가 형성된 상의부재(1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소매(114)의 끝단부에 구비되는 팔목밴드(116)는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밴드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이 고무밴드에 벨크로테잎을 구비하여 착용자의 신체, 즉 팔목의 두께에 따라 착용자가 직접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의방충부(210)는 상의부재(11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끝단부에 발목밴드(214)가 형성된 바지부재(2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바지부재(212)의 끝단부에 구비된 발목밴드(214)는 신축성을 가지는 고무밴드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이 고무밴드에 벨크로테잎을 구비하여 착용자의 신체, 즉 발목의 두께에 따라 착용자가 직접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머리방충부(310)는 전면의 위치, 즉 해충방제용 보호복(110)을 착용한 착용자의 눈이 위치하는 곳에 절개공(314)이 형성된 머리커버부재(3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머리커버부재(312)의 절개공(314)에는 착용자의 눈을 보호하는 커버부재(3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320)는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투명하고,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아 착용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투명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상의방충부(110)의 상의부재(112)와, 하의방충부(210)의 바지부재(212) 및 머리방충부(310)의 머리커버부재(312)는 2겹으로 이루어지게 겉망사천(412a)과 속망사천(412b)을 겹친 후 양측부를 박음질하여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을 제작함으로써, 겉망사천(412a)과 속망사천(412b)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을 제작할 때 겉망사천(412a)과 속망사천(412b)의 양측부 박음부에 커버천(414)을 덧대고 박음질을 함으로써, 겉망사천(412a) 및 속망사천(412b)의 박음부가 망사천의 특성상 풀림이 발생하게 되는 현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의 착용시 박음질부가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시 쓸림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의부재(112)와 바지부재(212) 및 머리커버부재(312)를 구성하는 겉망사천(412a)과 속망사천(412b)의 사이 공간부에는 겉망사천(412a)과 속망사천(412b)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재(416)가 충진된다.
여기서, 상기 간격유지부재(416)는 면 등의 섬유재를 겉망사천(412a)과 속망사천(412b) 사이에 위치되게 하거나, 솜이나 스티로폼 및 스펀지 또는 알갱이 형상의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를 충전시켜 겉망사천(412a)과 속망사천(412b)의 사이 공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부재(416)는 겉망사천(412a)과 속망사천(412b)의 사이 공간부에 충전될 때 머리커버부재(312)의 전면, 즉 착용자의 얼굴 방향에는 시야 확보를 위하여 충전하지 않고, 얼굴부를 제외한 머리커버부재(312)의 전체에 충전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겉망사천(412a) 및 속망사천(412b)의 사이 공간부로 충전된 간격유지부재(416)의 유동 및 일측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간격유지부재(416)가 충전된 상의부재(112)와 바지부재(212) 및 머리커버부재(312)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재봉선(41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의부재(112)와 바지부재(212) 및 머리커버부재(312)에 형성된 재봉선(418)과 이웃하는 재봉선(418)의 사이 공간에 간격유지부재(416)가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의 형상을 유지함과 동시에 겉망사천(412a)과 속망사천(412b)의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은 망사천으로 이루어지되, 겉망사천(412a)과 속망사천(412b)으로 이루어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겉망사천(412a) 한겹으로만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을 구성할 수도 있고, 다수개의 망사천을 서로 덧대어 다수의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을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을 구성하는 겉망사천(412a)의 내면과 속망사천(412b)의 외측면, 즉 겉망사천(412a)과 속망사천(412b)이 서로 대응되는 면, 또는 겉망사천(412a) 및 속망사천(412b) 중 어느 하나에는 면소재로 이루어진 내피(41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겉망사천(412a)과 속망사천(412b)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충전된 간격유지부재(416)의 재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재봉선(418)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의방충부(110)의 상의부재(112)와 하부방충부(210)의 바지부재(212)의 경계부, 즉 착용자의 허리부에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의 상의부재(112)와 바지부재(212)의 경계부가 착용자의 허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허리고정밴드(4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의 상의부재(112)와 바지부재(212) 및 머리커버부재(312)에는 하나로 이루어진 지퍼(42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퍼(422)는 상의부재(112)의 전면 중앙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바지부재(212)의 상부 일정길이까지 연장형성되고, 상단 끝단부는 머리커버부재(312)의 일측을 지나 타측의 측부에 위치되게 구비되어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을 착용하기 편한 구조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지퍼(422)는 한번에 연속적인 동작에 의해 바지부재(212)의 상부에서 출발하여 상의부재(112)와 머리커버부재(312) 까지 열리게 되어 용이하게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을 입거나 벗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지퍼(422)는 머리커버부재(312)의 측부에 위치되도록 구비할 수도 있고, 지퍼(422)의 일측 끝단부가 머리커버부재(312)의 절개공(314)의 하단 까지 직선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의부재(112)의 소매(114)와 바지부재(212)에 다수개의 수납구(42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납구(424)는 상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이 수납공간의 개방부에는 수납공간에 수납된 해충 퇴치약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추 등으로 잠기는 수납커버부재(42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구(424)에 벌이나 모기 등 해충이 싫어하는 냄새를 풍기는 약품을 수납하여 이 약품에서 풍기는 약품 냄새에 의해 모기나 벌 등과 같은 해충으로부터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을 착용한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의부재(112)의 후면에는 덧대는 형상으로 등부를 커버하는 등커버부재(5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등커버부재(512)는 면소재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완충효과를 갖도록 완충수단을 내장되며, 완충수단은 솜이나 스펀지, 스티로폼, 알갱이 형상의 합성수지 또는 대나무 중 어느 하나를 내장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상의부재(112)의 후부에 등커버부재(512)를 구비함으로써, 해충방재용 보호복(100)을 착용한 후 제초작업을 수행할 때 제초기에서 발산하는 열기가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을 착용한 착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의부재(112)의 어깨부에는 제초기 끈으로부터 어깨를 보호하는 어깨보호부재(5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어깨보호부재(514)는 쿠션을 가지도록 내측에 스펀지나 솜 등이 내장되어 어깨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시켜 착용자의 어깨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상기 어깨보호부재(514)의 상부에는 어깨부에 맨 끈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51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의부재(112)의 어깨부에 구비된 미끄럼방지부재(516)에 의해 어깨부에 제초기나 가방 등 끈을 맨 상태로 이동시 흘러내리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 및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지부재(212)에 모기약이나 구급약 등 기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호주머니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제용 보호복에 대한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제용 보호복에 대한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지퍼가 열린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제용 보호복에 대한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해충방제용 보호복을 착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의 착용을 설명하면, 착용자는 바지부재(212) 및 상의부재(112)와 머리보호부재(312)에 구비된 지퍼(422)가 열린 상태에서 하의방충부(210)를 먼저 착용 후 발목밴드(214)를 착용자의 발목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상의방충부(110)의 소매(114)에 양팔을 집어넣은 후 팔목밴드(116)가 착용자의 팔목에 위치도록 한 다음 머리방충부(310)를 머리에 덮어씌우고 지퍼(422)를 잠그게 되면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의 착용이 모두 완료되게 된다.
이때, 상기 머리방충부(310)를 머리에 덮어쓸 때 머리커버부재(312)의 내측에 별도의 모자를 쓴 다음 머리커버부재(312)를 쓸 수도 있고, 착용자의 머리로부터 머리방충부(310)의 머리커버부재(312)가 일정한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양한 수단이 적용 가능하다.
이렇게, 상기 지퍼(422)를 열고 하의방충부(210)를 착용 후 상의방충부(110)를 착용한 다음 머리방충부(310)를 쓴 후 지퍼(422)를 닫게 되면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의 착용이 모두 끝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착용자의 팔목이나 발목에 맞도록 팔목밴드(116)와 발목밴드(214)를 조절하여 고정시키게 되면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의 틈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해충의 침습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의부재(112)와 바지부재(212)에 형성된 수납구(424)에 벌이나 모기 등 각종 해충들이 싫어하는 냄새를 풍기는 약품을 수납함으로써, 야외활동이나 제초작업시 벌이나 모기 등 해충이나 뱀 등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는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머리방충부(310)의 머리커버부재(312)의 전면부에는 간격유지부재(416)가 충전되지 않아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을 착용하는 착용자는 안전하게 숨을 쉴 수 있게 되고, 벌초 작업시 착용자가 숨을 쉴 때 발생하는 입김에 의해 눈을 보호하는 커버부재(320)에 서리가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머리커버부재(312)의 전면에 투명한 수지재로 이루어진 커버부재(320)를 구비함으로써,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을 착용한 착용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안전하게 눈을 보호하면서 작업을 수행하거나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의부재(112)의 배면부에 등커버부재(512)를 구비하고, 어깨부에 어깨보호부재(514)가 구비됨과 동시에 이 어깨보호부재(514)에 미끄럼방지부재(516)를 구비함으로써,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을 착용 후 제초작업을 수행할 때 제초기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초기의 어깨끈이 작업 중에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 중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을 착용한 후 양봉작업이나 낚시, 레저활동, 제초작업 등의 수행시 모기나 벌 등 해충의 침습에 대하여 착용자의 전신을 보호 및 방어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을 벗고자 하는 경우에는 머리커버부재(312)의 측부에 위치한 지퍼(422)를 내려 열게 되면 머리커버부재(312)와 상의부재(112)의 전면이 개방되게 되어 착용자는 간편하고 쉽게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을 벗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을 구성하는 상의부재(112)와 바지부재(212) 및 머리커버부재(312)의 겉망사천(412a)과 속망사천(412b)의 사이 공간부에는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대나무나 합성수지봉 등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봉이나 바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바는 겉망사천(412a)의 내측면에 재봉이나 천 등으로 대나무나 합성수지봉 등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봉이나 바가 커버되게 덧대어 고정시키거나, 속망사천(412b)의 겉면에 재봉이나 천을 덧대어 고정시켜 항상 겉망사천(412a)과 속망사천(412b)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공간이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겉망사천(412a)과 속망사천(412b)의 사이 공간부에 간격유지바(430)를 구비함으로써, 겉망사천(412a)과 속망사천(412b)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벌이나 모기의 침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겉망사천(412a)과 속망사천(412b)으로 외부공기가 착용자의 몸으로 전달되게 되어 활동이나 작업 중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면서 시원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제용 보호복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머리방충부(310)의 머리커버부재(312)의 전면, 즉 착용자의 이마 부분에는 이름이나 기타 문구를 작성한 인식표를 수납하는 인식표수납구(5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의 머리방충부(310)에 구비된 인식표수납구(520)는 착용자의 이마부에 위치되게 구비하는 것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착용자의 가슴부분이나 팔 등에 위치되게 해충방제용 보호복(100)에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제용 보호복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인식표수납구(520)에 이름이나 기타 문구를 기입한 인식표를 수납함으로 본인의 것을 쉽게 찾을 수 있고, 특히 군대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착용자의 계급과 이름을 기입하여 수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해충방제용 보호복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해충방제용 보호복 110 : 상의방충부
112 : 상의부재 114 : 소매
116 : 팔목밴드 210 : 하의방충부
212 : 바지부재 214 : 발목밴드
310 : 머리방충부 312 : 머리커버부재
314 : 절개구 320 : 커버부재
412a : 겉망사천 412b : 속망사천
414 : 커버천 416 : 간격유지부재
418 : 재봉선 420 : 허리고정밴트
422 : 지퍼 424 : 수납구
426 : 수납커버부재 512 : 등커버부재
514 : 어깨보호부재 516 : 미끄럼방지부재
520 : 인식표수납구

Claims (18)

  1. 망사천으로 이루어지는 해충방제용 보호복에 있어서,
    상의방충부와, 하의방충부와, 머리방충부가 일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의방충부와 하의방충부 및 머리방충부에는 일체로 형성되어 개방되는 지퍼가 구비되며,
    상기 지퍼는 하의방충부의 상부에서 시작하여 상의방충부의 전면 중앙부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머리방충부의 일측부을 경유하여 타측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용 보호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방충부는 몸통 양측에 팔이 삽입되는 한 쌍의 소매가 형성되고, 이 소매의 끝단부에는 팔목밴드가 형성된 상의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용 보호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의방충부는 상의방충부의 상의부재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지부재가 구비되고, 이 바지부재의 끝단부에는 발목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용 보호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방충부는 전면의 눈 위치에 절개공이 형성된 머리커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머리커버부재의 절개공을 커버하는 투명수지재로 이루어진 커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용 보호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방충부와 하의방충부의 경계부에 허리고정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용 보호복.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방충부의 상의부재와, 하의방충부의 바지부재와, 머리방충부의 머리커버부재는 겉망사천과 속망사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용 보호복.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방충부의 상의부재와, 하의방충부의 바지부재와, 머리방충부의 머리커버부재는 1겹 또는 2겹 이상의 겉망사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용 보호복.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부재와 바지부재의 겉망사천과 속망사천의 사이 공간에는 간격유지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용 보호복.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면, 솜, 스펀지, 스티로폼 또는 합성수지 알갱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용 보호복.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겉망사천과 속망사천의 서로 대응방향의 측면에는 내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용 보호복.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부재와 바지부재와 머리커버부재의 각각 겉망사천과 속망사천의 사이 공간에 충진된 간격유지부재를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재봉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용 보호복.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방충부의 상의부재 후부에는 등커버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용 보호복.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방충부의 상의부재의 어깨부에는 어깨보호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용 보호복.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보호부재의 상부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용 보호복.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방충부의 상의부재와, 하의방충부의 바지부재에는 다수개의 수납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용 보호복.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구에는 약품이 수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방제용 보호복.
KR1020120061558A 2012-06-08 2012-06-08 해충방제용 보호복 KR101415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558A KR101415117B1 (ko) 2012-06-08 2012-06-08 해충방제용 보호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558A KR101415117B1 (ko) 2012-06-08 2012-06-08 해충방제용 보호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349A KR20120099349A (ko) 2012-09-10
KR101415117B1 true KR101415117B1 (ko) 2014-07-10

Family

ID=4710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558A KR101415117B1 (ko) 2012-06-08 2012-06-08 해충방제용 보호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1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102B1 (ko) * 2021-02-04 2021-07-20 정성준 방호복
KR102280101B1 (ko) * 2021-02-04 2021-07-21 정성준 내구성이 개선된 방호복
KR102280100B1 (ko) * 2021-02-04 2021-07-22 주식회사 디엠메디칼 소취기능이 향상된 방호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346Y1 (ko) * 2013-09-24 2015-03-02 (주)네오피에스 기능성 티셔츠
KR20160020877A (ko) 2014-08-14 2016-02-24 이현화 해충방지 신발 커버
KR200483493Y1 (ko) 2016-12-24 2017-05-22 최명수 쿠션층을 구비하는 방충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432Y1 (ko) 2000-08-23 2001-03-15 김봉준 해충방지용 망사의류
JP2005082955A (ja) * 2003-09-09 2005-03-31 Masahiro Shimada 防虫服(まもるくん)
KR200424160Y1 (ko) 2006-05-29 2006-08-16 공재수 모기장용 망을 이용한 방충복
KR20120035814A (ko) * 2010-10-06 2012-04-16 임상구 해충방제용 보호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432Y1 (ko) 2000-08-23 2001-03-15 김봉준 해충방지용 망사의류
JP2005082955A (ja) * 2003-09-09 2005-03-31 Masahiro Shimada 防虫服(まもるくん)
KR200424160Y1 (ko) 2006-05-29 2006-08-16 공재수 모기장용 망을 이용한 방충복
KR20120035814A (ko) * 2010-10-06 2012-04-16 임상구 해충방제용 보호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102B1 (ko) * 2021-02-04 2021-07-20 정성준 방호복
KR102280101B1 (ko) * 2021-02-04 2021-07-21 정성준 내구성이 개선된 방호복
KR102280100B1 (ko) * 2021-02-04 2021-07-22 주식회사 디엠메디칼 소취기능이 향상된 방호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349A (ko) 2012-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117B1 (ko) 해충방제용 보호복
US5119510A (en) Insect-proof garment
US4716594A (en) Protective garment for protection against mosquitoes and other insects
US8549662B2 (en) Protective gear
US20140352043A1 (en) Bed bug protective garment
US20170347722A1 (en) Mosquito-repelling wearables
US9828707B2 (en) Parasitic acari barrier
US20090282597A1 (en) Protective device against biting of arthropods
KR100507538B1 (ko) 해충방제용 보호복
US202003451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leeping bag with protective material
US109051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it with protective material
KR200264328Y1 (ko) 방충 안전복
KR200424160Y1 (ko) 모기장용 망을 이용한 방충복
GB2542407A (en) Protective garment
JP7164857B2 (ja) 動物用フェイスカバー
KR200170091Y1 (ko) 2중 망사 체에 의한 신체 부위별 착용 방충구
US20150313293A1 (en) Insect Protection Garment
KR101760880B1 (ko) 이중보호막을 내장한 방제복
JP3859664B2 (ja) 防虫衣料
KR200483493Y1 (ko) 쿠션층을 구비하는 방충복
KR200479569Y1 (ko) 방충 원단 및 방충복
JPH1096108A (ja) 防虫スーツ
KR100701210B1 (ko)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
KR19980033545A (ko) 해충 침투 방지용 의류
KR200353799Y1 (ko) 방충 의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