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210B1 -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 - Google Patents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210B1
KR100701210B1 KR1020050063023A KR20050063023A KR100701210B1 KR 100701210 B1 KR100701210 B1 KR 100701210B1 KR 1020050063023 A KR1020050063023 A KR 1020050063023A KR 20050063023 A KR20050063023 A KR 20050063023A KR 100701210 B1 KR100701210 B1 KR 100701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repellent
endothelial
outer shell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086A (ko
Inventor
박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제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제일
Priority to KR1020050063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210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Garments protecting against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26UV ligh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防蟲服)에 관한 것으로, 여름철 야외에서 낚시와 같은 여가를 즐기거나 군인이나 경찰들이 경계근무를 할 때, 모기 등의 해충(害蟲)으로부터 신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도 착용감과 통풍성이 양호하여 활동하는데 지장이 없으며, 주간에는 햇빛에 그대로 노출될 피부를 보호하여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의 손상을 방지할 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어느 정도의 보온성을 갖는 의복으로도 전환하여 한기(寒氣)를 덜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본 발명의 방충복은 망사로 이루어진 외피와 이 외피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피를 포함하는 이중구조를 이루되, 상기 내피는 부분적으로 외피에 재봉되어 고정되고 일정 간격으로 절개선이 형성되어 외피에 고정된 반대 측을 잡아당길 때 상기 절개선이 벌어지면서 볼륨을 형성하여 외피가 신체에서 충분히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모기에 물리거나 벌에 쏘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방충복, 이중, 망사, 부직포, 절개선, 볼륨감, 당김

Description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 {A Mothproof suit capable of exclude sunlight and changeable as a warming sui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충복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충복의 정면도,
도 3은 도 2에서 내피당김수단이 당겨진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충복의 착용상태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방충복의 단면도로서 내피가 당겨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통 2 : 팔
3 : 머리 4 : 개폐구
5 : 재봉부 10 : 외피
20 : 내피 22 : 절개선
30 : 내피당김수단 32 : 당김끈
34 : 조절구 B : 신체
S : 햇빛 W : 바람
본 발명은 방충복(防蟲服)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망사로 된 외피의 내측에 내피당김수단에 의해 당겨지면서 절개선이 벌어지면서 볼륨감을 갖는 내피가 설치된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낚시 등의 레저활동이나 군경이 경계근무 등을 설 경우에 무게가 가볍고 착용감이 우수하여 활동하는데 지장이 없고, 특히 주간에도 우수한 통풍성을 가짐과 아울러 햇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피부손상을 방지하는데 유용하며, 또한 내피당김당김을 풀어 절개선이 오므라지도록 내피를 보온기능으로 전환하면 야외 활동시 체온을 유지하는데도 어느 정도의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에 관한 것이다.
야외에서 오랜 시간 동안 낚시나 야영 등의 활동을 할 경우에는 모기에 물리거나 벌에 쏘이게 되는 것이 가장 골치 아프고 성가시며, 때로는 전염병에 감염되거나 생명을 빼앗기게 되는 치명적인 불상사로까지 이어지기도 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둘레에 모기향을 피우거나 모기가 싫어하는 모기약을 피부에 바르면 어느 정도 모기 등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볼 수는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단순히 임시방편에 불과하고 지속적으로 모기향을 피우거나 모기약을 피부에 발라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상존함은 물론, 모기향이나 모기약이 환경과 신체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폐단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외부 망사지의 일측에 일정한 간격의 공간부가 형성되게 내부 망사지를 봉착 구성하고, 상기 방충 망사지를 이용하여 신체의 전 부분이 보호될 수 있도록 방충옷을 구성하여서 된 공개실용신안 제99-24214호(공개연월일; 1999.07.05)와, 동공개 제99-4288호(공개연월일; 1999.01.25)의 '방충용 의복' 및 실용신안등록 제365300호의 '방충복', 실용신안등록 제304317호의 '하절기용 방충복' 등이 공지되어 있다.
한편, 위에서 언급된 종래기술에 의한 방충복들은 접었을 때 부피가 크고 전체적인 무게가 무거워 야외활동을 할 때 이의 휴대성이 떨어지고 착용감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외피와 내피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라텍스 발포재나 폴리에틸렌 등의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착용감은 물론 통풍성이 현저하게 떨어져 실용성이 없었으며, 기능적으로도 단순한 방충복의 용도 외에는 다른 아무런 추가적인 기능이 없어서 이를 고가에 구입하여 사용하는 사람은 매우 드물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름철 야외에서 낚시나 캠핑과 같은 여가를 즐기거나 군인이나 경찰들이 경계근무를 할 때, 모기 등의 해충(害蟲)으로부터 신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도 착용감과 통풍성이 양호하여 활동하는데 지장이 없는 방충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은 주간에는 햇빛에 그대로 노출된 피부를 보호하여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어느 정도의 보온성을 갖는 의복으로도 전환하여 한기(寒氣)를 덜 수도 있는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망사로 이루어진 외피와 이 외피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피를 포함하는 이중구조를 이루되, 상기 내피는 부분적으로 외피에 재봉되고 일정 간격으로 절개선이 형성되어 외피에 고정된 반대 측을 잡아당길 때 상기 절개선이 벌어지면서 볼륨을 형성하여 외피가 신체에서 충분히 이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복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충복은 내피를 잡아당기기 위한 내피당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에는 내피당김수단은 내피의 일단과 외피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된 당김끈으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내피를 당길 수 있도록 한 방충복을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하기에는 상기 방충복은 상,하의 1벌 또는 상,하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내피당김수단은 방충복 상의에는 양팔의 끝 부분과 몸통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방충복 하의에는 허리 부분에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방충복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방충복은 망사로 이루어진 외피(10)와 이 외피(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피(20) 및 내피당김수단(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충복은 외피(10)와 내피(2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피(20)는 내피당김수단(30)에 의해 접혀진(가라앉은) 상태에서 펼쳐진(부푼)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 내피(20)는 부분적으로 외피(10)에 재봉되어 있고, 일정 간격으로 절개선(22)이 형성되어 외피(10)에 고정된 반대 측을 잡아당길 때 상기 절개선(22)이 벌어지면서 외피와 피부 사이에 볼륨을 형성하여 외피가 신체에서 충분히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충복의 어깨선 부분에 내피(20)와 외피(10)가 재봉된 재봉부(5)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피당김수단(30)은 몸통(1)의 하단부와 양 팔(2)의 끝 부분(소매부분)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 내피당김수단(30)은 내피(20)의 일단과 외피(10)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된 당김끈(32)과, 이 당김끈(32)을 끈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34)를 포함하며, 당김끈(32)을 당겨주면 내피(20)와 외피(10) 사이에 지그재그 상태로 연결된 당김끈(32)이 당겨지면서 몸통 부분의 경우에는 내피(20)를 밑으로 당겨주고 팔 부분의 경우에는 내피(20)를 양 외측으로 당겨 줌으로써 내피(20)의 절개선(22) 부분이 벌려지면서 부풀어 올라 신체의 피부와 외피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조절구(34)를 이동시켜 당겨진 당김끈(32)이 다시 들어가지 않도록 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 외피(10)의 외측에서 모기나 벌 등이 피부를 물거나 쏘려고 하더라도 내피(20)에 의해 이격된 공간에 의해 모기의 입이나 벌의 침이 피부까지 닿지 못하여 신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중 부호 6은 내피(20)의 몸통부분과 팔 부분이 상호 결합되는 재봉부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당김끈(32)은 신축성을 갖는 고무 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김끈(32)이 지그재그 형태로 걸리는 외피(10)와 내피(20)에는 구멍쇠(eyelet) 등의 연결고리를 설치하여 당김끈(32)의 당김동작 및 복귀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조절구(34)는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당김끈에 걸리는 통상적인 것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에서 방충복의 하의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하의의 경우에는 상의에 있어서의 팔 부분과 마찬가지의 구조로 제작하되 내피당김수단을 양측 다리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하거나 또는 허리 부분에 하나의 내피당김수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내피(20)에서 절개선(22)은 상의의 몸통(1)과 하의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의 팔(2) 부분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의 몸통(1)과 하의는 내피(20)가 상하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고, 상의 팔(2) 부분에는 내피(20)가 좌우의 길이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의 설명에서와 같이 방충복을 상,하의로 각각 제작할 수도 있으나, 상,하의를 하나의 옷으로, 예를 들면 항공기 조종사용 의복과 같은 형태를 갖는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방충복에서 머리(3) 부분은 외피(10)와 같은 소재를 2겹으로 제작하되 외피가 내피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피를 내피에 비해 풍성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얼굴 부분은 활동의 편의를 위하여 개방된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머리(3) 부분은 얼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모기 등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고무줄이나 당김 끈 등을 조여줄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몸통(1)의 하단부와 팔(2)의 말단부에도 모기 등이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고무줄을 넣거나 별도로 당김끈 등을 조여줄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한다. 이와 같은 몸통(1)의 하단부와 팔(2)의 소매부분의 고무줄 또는 당 김끈의 설치구조는 일반적인 의류 등에서와 같은 구조로 제작하면 되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의의 몸통(1) 앞 부분에는 지퍼나 벨크로 테이프 등의 개폐구(4)가 구비되어 방충복을 일반 의류와 마찬가지의 요령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하며, 작은 물품을 수납하거나 손을 넣기 위한 주머니를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하의의 경우에도 지퍼 등의 개폐구를 구비하여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하의에도 주머니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방충복에서 상기 외피(10)는 망사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망사 자체는 방충복의 외관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망사의 패턴과 크기도 다양하게 함으로써 방충복의 디자인이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충복에서 내피(20)의 소재는 절개선이 형성되는 이유 등에 의하여 헤짐이 없는 직물 또는 부직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내피(20)는 신체의 팔 다리와 같은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땀 흡수성이 우수하되 방오성을 갖는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내피당김수단(30)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당김끈 대신 내피의 말단 과 외피의 말단에 각각 부착되는 암수형의 벨크로 테이프 일수도 있으며, 기타 단추나 단춧구멍 등 내피를 적정하게 당겨줄 수 있는 가능한 모든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충복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충복을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사시도이다.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충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내피당김수단(30)을 잡아당겨 조여주면 내피(20)가 당겨지면서 망사로 이루어진 외피(10)와 신체 사이에 내피(20)의 절개선(22)이 벌어지면서 만들어낸 공간만큼 이격되게 되는 것이며, 이에 의해 외피(10)의 외측에서 모기나 벌 등의 해충이 신체를 향하여 물거나 쏘려고 하더라도 모기나 벌 등이 신체까지 접근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모기나 벌 등에 쏘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피(20)의 절개선(2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되므로 내피(20)를 잡아당긴 경우 이 절개선(22)을 따라 내피(20)가 벌려지면서 입체적인 볼륨감을 갖게 됨으로써 외피(10)를 신체에서부터 이격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내피(20)는 상의의 몸통(1)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부풀게 되고, 팔(2) 부분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부풀게 되며, 하의의 경우에는 상 하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부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피(20)가 내피당김수단(30)에 의해 당겨지면서 절개선(22)이 대체로 마름모형태로 벌어지게 되므로 이 벌어진 부분을 통해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주간에 본 발명의 방충복을 착용한 상태로 야외활동을 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내피(20)의 절개선(22)이 하방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한다면 내피(20)가 블라인드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선(22)이 벌어진 부분을 통해 바람(W)이 유입되어 통풍성이 유지된 상태에서 햇빛(S)은 신체(B)의 피부로 유입되는 것을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피부가 타거나 하는 등의 피부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피(20)를 잡아당기진 않은 상태로 하여 착용하면 내피(20)의 절개선(22)부분이 벌어지지 않고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어느 정도의 보온효과를 갖게 됨으로써 야외 활동중 한기를 느낄 경우에는 보온을 위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러모로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충복은 작은 부피로 접을 수 있으며, 보관용 주머니에 넣어 가방이나 배낭 등에 휴대할 수 있고, 야외에서 간편한 복장을 입은 상태로 그대로 그 위에 덧입으면 되며, 가볍고 통풍성이 우수하여 활동하는데 불편이 없고 우수한 방충기능을 가지므로 야외에서의 활동시 모기나 벌 등의 해충으로부터 신체를 효과적 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망사로 된 외피의 내측에 절개선이 형성된 내피가 당김수단의 당김 상태에 따라서 볼륨감 있게 변형되면서 외피를 신체로부터 충분히 이격시켜 줌으로써 모기나 벌이 피부까지 닿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망사로 된 외피와 이 외피의 내측에 절개선이 형성된 내피 및 내피당김수단만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가볍고 부피가 작아 그동안 방충복이 너무 무겁거나 부피가 커서 이의 착용감이 좋지 않고 휴대가 불편했던 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내피는 필요시 절개선이 오므라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으므로 한기를 느낄 경우에는 보온을 위한 피복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주간에도 통풍성이 양호하여 입은 채로 야외활동을 자유로이 할 수 있음은 물론 주간에 착용한 경우에는 강렬한 햇빛에 피부가 노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으므로 자외선에 의해 피부가 타는 등의 피부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망사로 이루어진 외피(10)와 이 외피(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피(20)를 포함하는 이중구조를 이루되, 상기 내피(20)는 부분적으로 외피(10)에 재봉되고 일정 간격으로 절개선(22)이 형성되어 외피(10)에 고정된 반대측을 잡아당길 때 상기 절개선(22)이 벌어지면서 볼륨을 형성하여 외피(10)가 신체에서 이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피(20)를 잡아당기기 위한 내피당김수단(3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피당김수단(30)은 내피(20)의 일단과 외피(10)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된 당김끈(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피당김수단(30)은 방충복 상의의 경우 양 팔(2)의 끝 부분과 몸통(1)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피당김수단(30)은 방충복 하의의 경우 허리 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22)은 상의 몸통(1)과 하의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의 팔(2) 부분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충복은 상,하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
KR1020050063023A 2005-07-13 2005-07-13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 KR100701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023A KR100701210B1 (ko) 2005-07-13 2005-07-13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023A KR100701210B1 (ko) 2005-07-13 2005-07-13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086A KR20070008086A (ko) 2007-01-17
KR100701210B1 true KR100701210B1 (ko) 2007-03-29

Family

ID=3801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023A KR100701210B1 (ko) 2005-07-13 2005-07-13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2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383B1 (ko) * 2015-03-03 2015-12-30 고경찬 씨스루 효과를 갖는 광발열 패딩자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401A (ja) * 1993-10-05 1995-04-18 Kuramoto Sangyo:Kk 蜂による刺傷の防止方法、および蜂防護服
JPH1096108A (ja) * 1996-09-18 1998-04-14 Kazumaro Sueyasu 防虫スーツ
KR19980025269U (ko) * 1998-05-14 1998-07-25 박주열 해충 침입 방지용 망사의류
KR19990033195U (ko) * 1999-03-20 1999-08-05 오형인 2중 망사 체에 의한 신체 부위별 착용 방충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401A (ja) * 1993-10-05 1995-04-18 Kuramoto Sangyo:Kk 蜂による刺傷の防止方法、および蜂防護服
JPH1096108A (ja) * 1996-09-18 1998-04-14 Kazumaro Sueyasu 防虫スーツ
KR19980025269U (ko) * 1998-05-14 1998-07-25 박주열 해충 침입 방지용 망사의류
KR19990033195U (ko) * 1999-03-20 1999-08-05 오형인 2중 망사 체에 의한 신체 부위별 착용 방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086A (ko)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4263A (en) Insect protective garment
US5035006A (en) Convertible mask, ascot and visor garment and method of conversion therebetween
US6260206B1 (en) Temperature regulating modular hat
US7240372B2 (en) Multi-purpose hat
US5357635A (en) Ventilated beekeeper's suit
US5091993A (en) Insect protective garment
US20130318679A1 (en) Moisture-Resistant Cape
US4685152A (en) Insect protective garment
US9615610B2 (en) Outdoor convertible garment
US5249307A (en) Ventilated beekeeper's suit
US10362817B2 (en) Multi-use garment
US20140352043A1 (en) Bed bug protective garment
KR101788981B1 (ko) 5단 멀티 디자인가변형 아웃웨어
US9185940B2 (en) Sectionalized over-garment
US4979236A (en) Insect protective garment
WO2015190766A1 (ko) 배코드
WO2006086548A2 (en) Cold weather outerwear
KR101415117B1 (ko) 해충방제용 보호복
US7275269B2 (en) Warming scarf
KR100701210B1 (ko)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
KR100507538B1 (ko) 해충방제용 보호복
CN209769047U (zh) 一种带有散热孔的外衣
US109051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it with protective material
KR101790473B1 (ko) 낚시용 신체 보온커버
GB2542407A (en) Protective gar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