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493Y1 - 쿠션층을 구비하는 방충복 - Google Patents

쿠션층을 구비하는 방충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493Y1
KR200483493Y1 KR2020160007527U KR20160007527U KR200483493Y1 KR 200483493 Y1 KR200483493 Y1 KR 200483493Y1 KR 2020160007527 U KR2020160007527 U KR 2020160007527U KR 20160007527 U KR20160007527 U KR 20160007527U KR 200483493 Y1 KR200483493 Y1 KR 200483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ushion mat
insecticidal
attachable
out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수
Original Assignee
최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수 filed Critical 최명수
Priority to KR2020160007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4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4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Garments protecting against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1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5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having inflatable structure, e.g. non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41D19/0041Retaining means for connecting the glove to the garment or the arm of the user
    • A41D31/0016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41D31/145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28Shock absorbing
    • A41D31/285Shock absorbing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41D2400/20
    • A41D2400/6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oxi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은, 통기성을 갖는 쿠션매트의 양면에 내피와 외피가 각각 결합되는 구조의 방충원단으로 제작되되, 상측허리밴드와, 손목밴드와, 목밴드를 구비하는 긴팔 형태의 상의; 상기 상측허리밴드에 부착 가능한 하측허리밴드와, 발목밴드를 구비하는 긴바지 형태의 하의; 사용자의 머리가 인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사용자의 안면부와 대응되는 부위는 망사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상기 목밴드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헤드부; 상기 손목밴드에 부착 가능한 장갑밴드를 구비하는 장갑; 상기 발목밴드에 부착 가능한 양말밴드를 구비하는 양말; 로 구성되며, 상기 상의와 하의와 헤드부와 장갑과 양말은, 상기 쿠션매트의 양면에 각각 내피와 외피가 적층된 구조의 방충원단으로 제작된다.

Description

쿠션층을 구비하는 방충복 {Insect proof cloth having cushion layer}
본 고안은 모기나 벌 등과 같은 해충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충복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통풍성이 매우 우수한 쿠션매트가 구비되어 해충 피해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으면서 땀 배출 및 통풍이 원활하여 착용감이 우수한 방충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는 뇌염이나 말라리아 등의 질병을 전염시키고, 해충, 곤충, 작은 날벌레, 벌은 침을 이용하여 사람에게 치명적인 해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야외에서의 낚시, 산악활동, 등산, 식물 채취, 자연답사 등, 레저활동이나, 생산활동과, 한봉, 양봉작업 등을 함에 있어서 행동이 위축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실내외에서 모기나 벌 등에 물리지 않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된 신체부위에 연고 등을 바르거나 향 또는 살충제를 살포하기도 하고, 모기 등에 물릴 경우에 대비하여 별도의 예방약을 복용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매우 번거롭기도 하고, 그 효과가 일시적이라는 문제가 있고, 더욱이 연고나 살충제 등은 인체에 부작용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개인 휴대용 방충망은 단순히 모자챙 둘레에 원형철사를 둘러씌우고 그 하방에 망사를 씌운 구조이므로, 사용자의 얼굴은 보호할 수 있지만 나머지 부위는 보호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말벌 등과 같이 침이 매우 큰 곤충은 일반 직물을 뚫고 침을 쏠 수 있으므로, 피부가 직접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긴팔과 긴바지를 입고 장갑을 착용하더라도 해충 피해를 막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팽창재가 구비된 방충복이 제안된바 있으나, 종래의 방충복은 상의와 하의 사이, 상의의 소매와 장갑 사이, 하의의 바지단과 신발 사이가 외부로 노출되어 해충 피해을 입을 수 있고, 팽창재가 피부를 압박하여 착용감이 매우 떨어질 뿐만 아니라, 통기성이 낮아 쉽게 땀이 찬다는 단점이 있다.
KR 10-2010-0088175 A KR 10-2012-0099349 A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방충원단으로 제작되되 사용자의 피부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부위가 없어 해충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착용감과 통기성이 우수하여 사용이 편리한 방충복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은,
통기성을 갖는 쿠션매트의 양면에 내피와 외피가 각각 결합되는 구조의 방충원단으로 제작되되,
상측허리밴드와, 손목밴드와, 목밴드를 구비하는 긴팔 형태의 상의;
상기 상측허리밴드에 부착 가능한 하측허리밴드와, 발목밴드를 구비하는 긴바지 형태의 하의;
사용자의 머리가 인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사용자의 안면부와 대응되는 부위는 망사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상기 목밴드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헤드부;
상기 손목밴드에 부착 가능한 장갑밴드를 구비하는 장갑;
상기 발목밴드에 부착 가능한 양말밴드를 구비하는 양말;
로 구성되며,
상기 상의와 하의와 헤드부와 장갑과 양말은, 상기 쿠션매트의 양면에 각각 내피와 외피가 적층된 구조의 방충원단으로 제작된다.
상기 내피와 외피는, 망사원단으로 제작되고,
상기 쿠션매트는, 탄성 및 쿠션을 갖는 탄성사가 입체적으로 얽혀진 구조로 구성된다.
액체는 통과하지 못하고 기체는 통과할 수 있는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상기 쿠션매트에 매설되며, 방충액주입구가 외부로 인출되는 방충액저장튜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충액주입구는 개폐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상의와 하의에는,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의 공간으로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기체주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기체주입구는 개폐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쿠션매트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외피에 개폐지퍼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방충원단으로 제작되되 사용자의 피부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부위가 없어 해충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착용감과 통기성이 우수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해충이 싫어하는 향의 방충액을 내장할 수 있어 해충의 근접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을 구성하는 방충원단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 제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방충액저장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 제2 실시예의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을 구성하는 방충원단의 분해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은 벌이나 독충의 침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일정 수준 이상의 두께를 갖는 방충원단(10)으로 제작되되, 상기 방충원단(10)이 통기성을 갖는 쿠션매트(12)의 양면에 내피(14)와 외피(16)가 각각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의 땀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면서 무게가 매우 가벼워 착용감이 우수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첫 번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은 사용자의 신체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긴팔 형태의 상의(100)와, 긴바지 형태의 하의(200)와, 헬멧 형태의 헤드부(300)와, 장갑(400) 및 양말(500)로 구성된다.
상기 상의(100)는, 사용자의 허리를 조이는 상측허리밴드(110)와, 사용자의 손목을 조이는 손목밴드(120)와, 사용자의 목을 조이는 목밴드(13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하의(200)는 사용자의 허리를 조이되 상기 상측허리밴드(110)에 부착 가능한 하측허리밴드(210)와, 사용자의 발목을 조이는 발목밴드(220)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부(300)는 사용자의 머리가 인입 가능한 헬멧 형상으로 형성되되, 사용자의 안면부와 대응되는 부위는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망사(320)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상기 목밴드(130)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장갑(400)은 상기 손목밴드(120)에 부착 가능한 장갑밴드(410)를 구비하고, 상기 양말(500)은 상기 발목밴드(220)에 부착 가능한 양말밴드(51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은, 사용자의 상체와 하체만을 감싸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머리와 손발까지 모두 감싸며, 각 구성요소들이 일체로 연결되는바 사용자의 목이나 손목, 허리, 발목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여, 해충의 공격을 완벽하게 방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은, 사용자가 입고 벗기 쉬울 수 있도록 상기 각 밴드들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데, 상기 각 밴드들이 단추결합으로 결합되면 상호 결합되는 밴드 사이가 이격될 우려가 있고, 상기 각 밴드들이 지퍼로 결합되면 밴드를 결합시키고 분리하는 작업이 불편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각 밴드들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 이격 틈새가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벨크로테이프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쿠션매트(12)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해충의 침에 의해 뚫릴 우려가 없어지지만, 상기 쿠션매트(12)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활동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되는바, 상기 쿠션매트(12)의 두께는 사용장소 및 용도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됨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원단의 두께가 3mm 이상이면 모기나 일반 벌침으로부터 보호가 가능하고, 원단의 두께가 5mm 이상이면 말벌침으로부터도 보호가 가능하므로, 상기 쿠션매트(12)는 5mm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피(14)와 외피(16)는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을 입은 사용자의 땀이 최대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망사원단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망사원단은 다양한 형태로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망사원단의 망사패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내피(14)와 외피(16)가 망사원단으로 제작된다 하더라도 상기 쿠션매트(12)가 고무매트와 같이 통기성이 불량한 재료로 제작되면 방충원단(10)의 전체적인 통기성이 불량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쿠션매트(12)를 스펀지 등으로 제작하면 쉽게 찢어지거나 부식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땀을 흡수한 후 배출시키지 아니하여 방충복의 무게가 매우 무거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포함되는 쿠션매트(12)는, 통기성과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땀을 흡수하지 아니하도록 탄성 및 쿠션을 갖는 탄성사가 입체적으로 얽혀진 구조 즉, 에어메쉬 구조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쿠션매트(12)가 입체적으로 얽혀진 탄성사로 구성되면, 매우 높은 쿠션감을 제공하면서 통기성이 극대화되므로, 땀이 차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탄성사는 수 회에 걸쳐 외력이 반복적으로 인가되더라도 납작하게 소성변형되지 아니하도록 기준치 이상의 굵기와 강도를 갖도록 제작되는데, 이와 같이 탄성사가 입체적으로 얽혀진 구조를 갖는 쿠션매트(12)는 차량용 통풍매트나 방석매트 등에 유사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쿠션매트(12)의 제조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 제2 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방충액저장튜브(600)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 제2 실시예의 배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은 단순히 해충의 침이 뚫고 들어오지 못하는 것만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해충이 싫어하는 향을 갖는 방충액을 저장함으로써 해충의 근접을 적극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매트(12)에 매설되되 방충액주입구(610)가 외부로 인출되는 방충액저장튜브(6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충액저장튜브(600)는 액체는 통과하지 못하고 기체는 통과할 수 있도록 눈에 보이지 아니하는 미세한 기공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상기 방충액주입구(610)는 마개(620)에 의해 개폐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바, 상기 방충액주입구(610)를 통해 방충액을 주입시킨 후 마개(620)를 닫아두면, 상기 방충액저장튜브(600)에 채워져 있던 방충액의 향이 미량으로 발산되어 해충의 근접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액체는 통과하지 못하고 기체는 통과할 수 있는 합성수지는 종래의 방향제품에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방충액저장튜브(600)의 재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방충액저장튜브(600)는 상의(100)와 하의(200) 전체에 걸쳐 방충액 향을 고르게 발산시킬 수 있도록 상의(100)와 하의(200)의 각 부위로 분기되는 구조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충액저장튜브(600)의 배열패턴은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의 규격 및 방충액저장튜브(600)의 재질, 상기 방충액저장튜브(600)에 저장되는 방충액의 종류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을 구성하는 방충원단(10)이 높은 통기성을 갖도록 제작된다 하더라도, 기온이 높은 날씨에 방충복을 입으면 내부에 땀이 차는 현상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은, 공기압축기에서 발생되는 고압의 공기가 내부로 강제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의(100)와 하의(200)에는 내피(14)와 외피(16) 사이의 공간으로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기체주입구(7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의(100)와 하의(200)에 기체주입구(700)가 구비되면, 사용자는 상기 기체주입구(700)로 고압의 공기를 불어 넣었을 때 내피(14)와 외피(16) 사이로 유입된 공기가 쿠션매트(12) 내부를 타고 흐르면서 각 부위의 땀을 건조시킨 후 외부로 방출되는바, 보다 상쾌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내피(14)외 외피(16) 사이로 공기를 주입하지 아니하는 동안에는 상기 기체주입구(700)가 폐쇄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때, 내피(14)와 외피(16) 사이로 주입되어 쿠션매트(12) 내부를 지난 공기가 빠르게 외부로 방출되어야만 땀을 건조시키는 효율이 향상되는데, 쿠션매트(12) 내부를 지난 공기가 외피(16)의 기공으로만 배출되어서는 시간당 배출량이 매우 적으므로 땀을 건조시키는 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은 쿠션매트(12) 내부를 지난 고압의 공기가 빠르게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즉, 상기 쿠션매트(12)가 외부로 직접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외피(16)에 개폐지퍼(140, 2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기체주입구(700)를 통해 고압의 공기를 주입시킬 때 상기 개폐지퍼(140, 230)를 열어두면, 쿠션매트(12)로 주입된 공기가 빠르게 외부로 방출될 수 있으므로, 건조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쿠션매트(12)가 내피(14)와 외피(16)로 완전히 감싸져 있으면,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을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쿠션매트(12)로는 세탁수가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는바, 방충복의 내부를 깨끗하게 세탁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6)에 개폐지퍼(140, 230)가 구비되면, 본 고안에 의한 방충복을 세탁할 때 개폐지퍼(140, 230)를 개방시킴으로써, 세탁수가 보다 원활하게 쿠션매트(12)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 즉, 방충복을 보다 효과적으로 세탁할 수 있다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100)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방충원단 12 : 쿠션매트
14 : 내피 16 : 외피
100 : 상의 110 : 상측허리밴드
120 : 손목밴드 130 : 목밴드
200 : 하의 210 : 하측허리밴드
220 : 발목밴드 300 : 헤드부
320 : 망사 400 : 장갑
410 : 장갑밴드 500 : 양말
510 : 양말밴드 600 : 방충액저장튜브
610 : 방충액주입구 620 : 마개
700 : 기체주입구

Claims (5)

  1. 통기성을 갖는 쿠션매트(12)의 양면에 내피(14)와 외피(16)가 각각 결합되는 구조의 방충원단(10)으로 제작되되,
    상측허리밴드(110)와, 손목밴드(120)와, 목밴드(130)를 구비하는 긴팔 형태의 상의(100);
    상기 상측허리밴드(110)에 부착 가능한 하측허리밴드(210)와, 발목밴드(220)를 구비하는 긴바지 형태의 하의(200);
    사용자의 머리가 인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사용자의 안면부와 대응되는 부위는 망사(320)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상기 목밴드(130)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헤드부(300);
    상기 손목밴드(120)에 부착 가능한 장갑밴드(410)를 구비하는 장갑(400);
    상기 발목밴드(220)에 부착 가능한 양말밴드(510)를 구비하는 양말(500);
    액체는 통과하지 못하고 기체는 통과할 수 있는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상기 쿠션매트(12)에 매설되며, 방충액주입구(610)가 외부로 인출되는 방충액저장튜브(600)를 포함하며,
    상기 상의(100)와 하의(200)와 헤드부(300)와 장갑(400)과 양말(500)은, 상기 쿠션매트(12)의 양면에 각각 내피(14)와 외피(16)가 적층된 구조의 방충원단(10)으로 제작되고,
    상기 방충액주입구(610)는 개폐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피(14)와 외피(16)는, 망사원단으로 제작되고,
    상기 쿠션매트(12)는, 탄성 및 쿠션을 갖는 탄성사가 입체적으로 얽혀진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복.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의(100)와 하의(200)에는, 상기 내피(14)와 외피(16) 사이의 공간으로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기체주입구(700)가 구비되며,
    상기 기체주입구(700)는 개폐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복.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쿠션매트(1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외피(16)에 개폐지퍼(140, 2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복.
KR2020160007527U 2016-12-24 2016-12-24 쿠션층을 구비하는 방충복 KR200483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27U KR200483493Y1 (ko) 2016-12-24 2016-12-24 쿠션층을 구비하는 방충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27U KR200483493Y1 (ko) 2016-12-24 2016-12-24 쿠션층을 구비하는 방충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493Y1 true KR200483493Y1 (ko) 2017-05-22

Family

ID=5902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527U KR200483493Y1 (ko) 2016-12-24 2016-12-24 쿠션층을 구비하는 방충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493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121U (ko) * 1998-05-25 1998-08-17 오형인 2중 망사체에 의한 신체 부위별 착용 방충구
KR19990033201U (ko) * 1999-03-22 1999-08-05 한성석 방충을 위한 의복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의복
KR20040022001A (ko) * 2002-09-06 2004-03-11 서정은 해충 방어구
KR20100088175A (ko) 2009-01-30 2010-08-09 김진영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
KR20120099349A (ko) 2012-06-08 2012-09-10 강상수 해충방제용 보호복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121U (ko) * 1998-05-25 1998-08-17 오형인 2중 망사체에 의한 신체 부위별 착용 방충구
KR19990033201U (ko) * 1999-03-22 1999-08-05 한성석 방충을 위한 의복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의복
KR20040022001A (ko) * 2002-09-06 2004-03-11 서정은 해충 방어구
KR20100088175A (ko) 2009-01-30 2010-08-09 김진영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
KR101035114B1 (ko) * 2009-01-30 2011-05-19 김진영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
KR20120099349A (ko) 2012-06-08 2012-09-10 강상수 해충방제용 보호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7635A (en) Ventilated beekeeper's suit
US5249307A (en) Ventilated beekeeper's suit
US20140352043A1 (en) Bed bug protective garment
KR101415117B1 (ko) 해충방제용 보호복
JP2005538263A (ja) 害虫防御具
CN103653380B (zh) 一种在野外环境中使用的防蚊虫套装
KR200483493Y1 (ko) 쿠션층을 구비하는 방충복
KR100507538B1 (ko) 해충방제용 보호복
CN107019264A (zh) 防护服及防护套装
KR20090042357A (ko) 방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방충 복
KR200170091Y1 (ko) 2중 망사 체에 의한 신체 부위별 착용 방충구
JP3204500U (ja) 防虫生地及び防虫スーツ
KR101849852B1 (ko) 방충복
KR200264328Y1 (ko) 방충 안전복
GB2542407A (en) Protective garment
CN203676185U (zh) 多功能防蚊服
KR20030064355A (ko) 방충의류
KR200424160Y1 (ko) 모기장용 망을 이용한 방충복
KR200261043Y1 (ko) 방충복
KR200479569Y1 (ko) 방충 원단 및 방충복
US11832729B2 (en) Cover for protecting against insects
KR101035114B1 (ko)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
KR101149884B1 (ko) 방제복
JP3181349U (ja) 害虫忌避効果を備えた編成手袋
KR19980033545A (ko) 해충 침투 방지용 의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