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852B1 - 방충복 - Google Patents

방충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852B1
KR101849852B1 KR1020160144839A KR20160144839A KR101849852B1 KR 101849852 B1 KR101849852 B1 KR 101849852B1 KR 1020160144839 A KR1020160144839 A KR 1020160144839A KR 20160144839 A KR20160144839 A KR 20160144839A KR 101849852 B1 KR101849852 B1 KR 101849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user
delete delete
opened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건욱
Original Assignee
강건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건욱 filed Critical 강건욱
Priority to KR1020160144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Garments protecting against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53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o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84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protection for the eyes, e.g. using shield or vis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4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41D31/0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D2500/54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coated form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방충복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머리와 몸체가 각각 착용되도록 몸체부와 머리부가 분리되어 착용이 편리하면서도 내부로 공기가 충진되어 해충이 사용자의 피부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해충으로부터 안전성이 향상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작업환경이 향상되는 방충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충복{A mothproof clothes}
본 발명은 해충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방충복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머리와 몸체가 각각 착용되도록 몸체부와 머리부가 분리되어 착용이 편리하면서도 내부로 공기가 충진되어 해충이 사용자의 피부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해충으로부터 안전성이 향상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작업환경이 향상되는 방충복에 관한 것이다.
야외에서 오랜 시간 동안 낚시나 야영 등의 레져활동 또는 벌초나 양봉작업 등의 야외작업을 할 경우에는 모기에 물리거나 벌에 쏘이게 되는 것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러한 모기나 말벌은 전염병에 감염되거나 독성에 의해 몸이 마비되거나 심한 통증을 유발시키며, 심하면 생명을 빼앗기게 되는 치명적인 안전사고로 이르게 할만큼 위험하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야외에서 모기향을 피우거나 마른쑥을 태운 연기를 내어 모기와 말벌이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고자 하였으나, 이는 임시방편에 불과하고 굉장히 번거로우며, 효율성조차 좋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사용자가 직접 착용하여 모기와 말벌과 같은 해충이 사용자의 피부에 달라붙지 않게 하기 위한 방충복이 시판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충복은 대략 투시창이 마련된 얼굴방충부, 상체 및 하체를 각각 보호하는 상의방충부 및 하의방충부로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 얼굴방충부, 상의방충부 및 하의방충부의 연결부분에서 곤충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고, 착용하기에 불편한 단점이 있어왔다.
이와 더불어 상의방충부와 하의방충부에 달라붙은 말벌의 경우 상의방충부와 하의방충부를 뚫고 사용자를 공격할 수 있어 안전성 또한 확실히 담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왔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8390호 (2012.12.10)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2172호 (2012.03.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머리와 몸체가 각각 착용되도록 몸체부와 머리부가 분리되어 착용이 편리하면서도 유입팬에 의해 방충복의 내부로 공기가 충진되어 해충이 사용자의 피부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해충으로부터 안전성이 향상되고,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방충복 내부의 온도를 내려주어 사용자가 쾌적한 상태로 작업할 수 있어 작업환경이 향상되는 방충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방충복을 이루는 몸체부는 나일론 재질로 되어 망사 형태인 내피와, 옥스포드 직물인 외피와, 상기 외피의 외면에 PVC가 코팅되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져 내피 및 외피로 하여금 사용자가 몸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착용성을 향상시키고, 코팅층으로 하여금 해충의 침입을 완벽히 방지하여 해충으로부터 안전하게 사용자를 보호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충복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머리를 제외한 몸통, 다리 및 팔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며, 상부의 목 부분이 개방됨과 아울러 개방되는 부위에 제1연결지퍼가 형성되고, 상부 전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착용지퍼가 형성되는 몸체부; 머리가 착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머리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되어 개방되는 하측에 제1연결지퍼와 맞물려 개폐되는 제2연결지퍼가 형성되고, 전면에 망사로 된 투시망사가 형성되는 머리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복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나일론 재질인 망사 형태의 내피와, 옥스포드 직물인 외피와, 상기 외피의 외면에 PVC가 코팅되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외부공기를 몸체부 및 머리부 내부로 유입, 순환시킬 수 있는 유입팬이 다수 형성되고, 유입팬에 의해 유입, 순환된 외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몸체부와 머리부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에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배출체가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와 머리부가 분리되며, 분리된 부위가 제1, 2연결지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머리와 몸체를 각각 구분하여 착용이 이루어져 착용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부는 나일론 재질로 된 망사 형태인 내피와, 옥스포드 직물인 외피와, 상기 외피의 외면에 PVC가 코팅되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져 내피 및 외피로 하여금 사용자가 몸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착용성을 향상시키고, 코팅층으로 하여금 해충의 침입을 완벽히 방지하여 해충으로부터 안전하게 사용자를 보호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부에 구비된 유입팬에 의해 유입된 외부공기로 인해 방충복 내부의 온도를 내려주어 사용자가 쾌적한 상태로 작업할 수 있으며, 유입된 외부공기가 공기층으로 형성되어 해충이 몸체부와 머리부에 달라붙어도 공기층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닿을 수 없어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전, 후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머리보호망에 대한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평힘살 및 수직힘살이 형성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 6은 본 발명의 유입팬이 작용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계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전, 후면을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충복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와 머리부(20)가 구분되어 구성된다.
몸체부(10)는 머리를 제외한 몸통, 다리 및 팔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며, 상부의 목 부분이 개방됨과 아울러 개방되는 부위에 제1연결지퍼(11)가 형성되고, 상부 전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착용지퍼(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다리 및 팔 부위에는 다리 및 팔을 쪼여주는 밴드가 구비되고, 외측으로 쪼여진 밴드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벨크로(15) 및 고정벨크로(15)에 착탈되는 고정띠(16)가 각각 구비된다.
머리부(20)는 머리가 착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머리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되어 개방되는 하측에 제1연결지퍼(11)와 맞물려 개폐되는 제2연결지퍼(21)가 형성되고, 머리부(20)의 전면에 망사로 된 투시망사(23)가 형성되어 시야를 확실히 확보되어 해충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다양한 작업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몸체부(10)와 머리부(20)가 분리되며, 분리된 부위가 제1, 2연결지퍼(11, 21)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머리와 몸체를 각각 구분하여 착용되어 착용이 편리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몸체부(10)는 나일론 재질인 망사 형태로 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내피와, 옥스포드 직물인 외피와, 상기 외피의 외면에 PVC가 코팅되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피를 나일론으로 책택하는 것은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부위로써 피부에 쉽게 달라붙지 않게 하기 위함이며, 나일론 재질과 더불어 망사형태로 이루어져 변형이 자유로워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피는 경사와 위사 2올씩을 한 종광에 끼워서 한 올로 나란히 제직한 얇은 옥스포드 직물로 이루어져 주름도 잘 안 잡히고 내구성이 좋으며, 경사와 위사 사이에 공간이 있어 통기성도 좋으며 볼륨감 있어 사용자의 착용성이 좋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PVC가 코팅처리되어 해충의 벌침이 코팅층을 뚫지 못하게 하여 사용자를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내피 및 외피로 하여금 사용자가 몸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착용성을 향상시키고, 코팅층으로 하여금 해충의 침입을 완벽히 방지하여 해충으로부터 안전하게 사용자를 보호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외피와 코팅층으로 하여금 보온기능을 향상시키면서도 자외선의 차단을 방지하여 겨울에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1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외부공기를 몸체부(10) 및 머리부(20) 내부로 유입, 순환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착용시에 몸체부(10)의 양측 등부위와, 양측 넓적다리 부위에 각각 유입팬(30)이 다수 형성된다.
또한, 유입팬(30)에 의해 유입, 순환된 외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착용시에 몸체부(10)의 양측 겨드랑이 부위와, 양측 넓적다리 부위와, 양측 종아리 부위와, 목 아래 부위와, 머리부(20)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구(41) 및 상기 고정구(41)에 다수의 배출공(4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배출체(40)가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부(10)에 구비된 유입팬(30)에 의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몸체부(10)와 머리부(20)에 순환된 후 배출체(40)에 의해 배출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에 외부공기가 마찰되어 방충복 내부의 온도를 내려주어 사용자가 쾌적한 상태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몸체부(10)에 구비된 유입팬(30)에 의한 외부공기의 유입으로 몸체부(10)와 머리부(20)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해충이 몸체부(10)와 머리부(20)에 달라붙어도 공기층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닿을 수 없어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배출체(40)에 형성된 배출공(43)은 유입팬(30)의 의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유입량에 따라 그 형태 또는 개수를 가변하거나, 또한 배출공(43)의 형태 또는 개수에 따라 유입팬(30)의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몸체부(10)와 머리부(20)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20)의 내측에는 착용자의 머리가 인입되는 망사 형태의 머리보호망(27)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 부위를 공기층과 더불어 이중으로 보호하여 말벌과 같은 위험한 해충으로부터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머리부(20)에는 투시망사(23)의 상, 하부에 머리부(20)의 전체면을 수평방향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 얼굴의 전, 후면을 보호하도록 각각 수평힘살(25)이 형성되고, 투시망사(23)의 상부에 형성된 수평힘살(25)의 상측으로 머리부(20)의 상측면을 수직방향으로 둘러싸여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 머리의 상측을 보호하는 수직힘살(26)이 다수 형성되어 머리부(20)의 형태를 수평힘살(25)과 수직힘살(26)의 보강구조로 하여금 유지시켜주면서도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여 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투시망사(23)의 하부측에 형성된 수평힘살(25)과 제2연결지퍼(21)의 사이가 접혀지므로 사용자의 얼굴에 크기에 대응되어 착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팬(30)을 제어하는 온, 오프버튼(51)과, 유입팬(30) 및 온, 오프버튼(51)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부(53)가 각각 구비되는 제어수단(50)이 구성된다.
또한, 몸체부(10)에는 물품의 휴대가 가능한 포켓(17)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제어수단(50)은 몸체부(10)에 다수 형성된 포켓(17)에 인입되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50)의 배터리부(53)는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전지는 몸체부(10) 또는 머리부(20)에 구비되는 태양전지판(60)에 의해 전기를 공급받도록 구성되어 야외에서 방충복을 착용할 때 별도의 배터리를 소지하지 않아도 사용이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10 : 몸체부 11 : 제1연결지퍼
13 : 착용지퍼 15 : 고정벨크로
16 : 고정띠 17 : 포켓
20 : 머리부 21 : 제2연결지퍼
23 : 투시망사 25 : 수평힘살
26 : 수직힘살 27 : 머리보호망
30 : 유입팬 40 : 배출체
41 : 고정구 43 : 배출공
50 : 제어수단 51 : 온, 오프수단
53 : 배터리부 60 : 태양전지판

Claims (8)

  1. 머리를 제외한 몸통, 다리 및 팔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며, 상부의 목 부분이 개방됨과 아울러 개방되는 부위에 제1연결지퍼(11)가 형성되고, 상부 전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착용지퍼(13)가 형성되는 몸체부(10);
    머리가 착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머리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되어 개방되는 하측에 제1연결지퍼(11)와 맞물려 개폐되는 제2연결지퍼(21)가 형성되고, 전면에 망사로 된 투시망사(23)가 형성되는 머리부(20);가 포함되고,
    상기 몸체부(10)는 나일론 재질인 망사 형태의 내피와, 옥스포드 직물인 외피와, 상기 외피의 외면에 PVC가 코팅되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10)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외부공기를 몸체부(10) 및 머리부(20) 내부로 유입, 순환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착용시에 몸체부(10)의 양측 등부위와, 양측 넓적다리 부위에 각각 유입팬(30)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유입팬(30)에 의해 유입, 순환된 외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착용시에 몸체부(10)의 양측 겨드랑이 부위와, 양측 넓적다리 부위와, 양측 종아리 부위와, 목 아래 부위와, 머리부(20)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구(41) 및 상기 고정구(41)에 다수의 배출공(4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배출체(40)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0)의 내측에는 착용자의 머리가 인입되는 망사 형태의 머리보호망(27)이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20)에는 투시망사(23)의 상, 하부에 머리부(20)의 전체면을 수평방향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 얼굴의 전, 후면을 보호하도록 각각 수평힘살(25)이 형성되고, 투시망사(23)의 상부에 형성된 수평힘살(25)의 상측으로 머리부(20)의 상측면을 수직방향으로 둘러싸여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 머리의 상측을 보호하는 수직힘살(26)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유입팬(30)을 제어하는 온, 오프버튼(51)과, 유입팬(30) 및 온, 오프버튼(51)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부(53)가 각각 구비되는 제어수단(50)이 포함되고,
    상기 몸체부(10)에는 포켓(17)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포켓(17)에 제어수단(50)이 인입되고,
    상기 배터리부(53)는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전지는 몸체부(10) 또는 머리부(20)에 구비되는 태양전지판(60)에 의해 전기를 공급받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144839A 2016-11-02 2016-11-02 방충복 KR101849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839A KR101849852B1 (ko) 2016-11-02 2016-11-02 방충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839A KR101849852B1 (ko) 2016-11-02 2016-11-02 방충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852B1 true KR101849852B1 (ko) 2018-04-17

Family

ID=6208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839A KR101849852B1 (ko) 2016-11-02 2016-11-02 방충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8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1208A (zh) * 2022-03-10 2022-06-10 浙江理工大学 一种太阳能驱蚊空调钓鱼服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9143B2 (ja) * 1993-10-26 2001-08-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時分割多重化装置
KR101017329B1 (ko) * 2010-11-23 2011-02-28 노인식 말벌 방호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9143B2 (ja) * 1993-10-26 2001-08-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時分割多重化装置
KR101017329B1 (ko) * 2010-11-23 2011-02-28 노인식 말벌 방호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1208A (zh) * 2022-03-10 2022-06-10 浙江理工大学 一种太阳能驱蚊空调钓鱼服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7635A (en) Ventilated beekeeper's suit
CA2199794C (en) Mesh garment for protection against insects
US52147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on of skin against mosquitos and other insects
KR101849852B1 (ko) 방충복
KR101315357B1 (ko) 방제복 안면 보호대
JP3204500U (ja) 防虫生地及び防虫スーツ
KR20090042357A (ko) 방충 원단 및 이를 이용한 방충 복
KR200170091Y1 (ko) 2중 망사 체에 의한 신체 부위별 착용 방충구
KR101897921B1 (ko) 차양방충망을 구비한 다목적 모자
US20200196686A1 (en) Positive pressure beekeeper suit
US20150313293A1 (en) Insect Protection Garment
KR101760880B1 (ko) 이중보호막을 내장한 방제복
KR200483493Y1 (ko) 쿠션층을 구비하는 방충복
KR100701210B1 (ko) 햇빛 차단이 가능하고 보온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충복
JP3859664B2 (ja) 防虫衣料
CN209846200U (zh) 一种新型防蚊虫叮咬的诱蚊服
CN216853873U (zh) 一种透气防蚁虫的林业种植用防护服
KR200424160Y1 (ko) 모기장용 망을 이용한 방충복
CA3117146A1 (en) Protective device against the biting of insects
JPH1096108A (ja) 防虫スーツ
US20220211187A1 (en) Cover for protecting against insects
KR19980033545A (ko) 해충 침투 방지용 의류
JP3098289U (ja) 防虫シート
KR200168042Y1 (ko) 방충옷
KR20030064355A (ko) 방충의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