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114B1 -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 - Google Patents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114B1
KR101035114B1 KR1020090007199A KR20090007199A KR101035114B1 KR 101035114 B1 KR101035114 B1 KR 101035114B1 KR 1020090007199 A KR1020090007199 A KR 1020090007199A KR 20090007199 A KR20090007199 A KR 20090007199A KR 101035114 B1 KR101035114 B1 KR 101035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outer shell
endothelial
elastic member
insect repell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8175A (ko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김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영 filed Critical 김진영
Priority to KR1020090007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1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88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Garments protecting against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2Closures using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름철 야외에서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방충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기성이 우수한 망사형태의 외피와 내피로 구성되는 2겹구조로 형성되되 내피상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착용시 내피가 피부에 달라붙게 되어 외피와 내피 간에 이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종래 외피와 내피 간에 내입되는 별도의 부재가 없이도 완벽하게 모기 등의 해충으로부터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 방충기능과 통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를 감싸며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탄성부재가 설치된 내피와, 상기 내피와 분리되지 않도록 일측에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내피 외측에 배치되는 외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사용자가 착용시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내피가 피부에 달라붙게 됨에 따라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 간에 이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피 및 내피에는 목선, 어깨선, 옆구리선 및 허리선을 포함하는 봉제라인이 형성되되 상기 외피의 봉제라인에는 덧때기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외피의 불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방충의류는 모자부, 상의부, 하의부로 이루어지며 모자부와 상의부는 지퍼결합한다.
방충, 의류, 모기, 외피, 내피, 탄성부재, 2겹구조

Description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CLOTHING FOR PREVENTION FROM VERMIN HAVING SPACE BY ELASTIC MEMBER}
본 발명은 여름철 야외에서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는 방충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기성이 우수한 망사형태의 외피와 내피로 구성되는 2겹구조로 형성되되 내피상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착용시 내피가 피부에 달라붙게 되어 외피와 내피 간에 이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종래 외피와 내피 간에 내입되는 별도의 부재가 없이도 완벽하게 모기 등의 해충으로부터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 방충기능과 통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야외에서 오랜시간 동안 낚시 및 야영 등의 레저를 즐기다 보면각종 벌레 주로 모기한테 신체가 물려 가려움증과 흉터로 고생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를 예방하고자 각종 모기향, 전자파 모기퇴치기, 그리고 신체에 바르는 모기약 등을 준비하여 시의적절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방식들은 임시방편으로 미약하게 방충 효과만이 따를 뿐이다.
즉 모기향과 전자파모기퇴치기는 그 효력이 미치는 범위가 한정적으로 좁기 때문에 약효가 미치지 못하는 신체부는 모기로부터 물리는 것을 피할 도리가 없으며, 신체에 바르는 모기약은 약효가 오래가지 못해 일정한 시간마다 계속적으로 발라 주어야 한다.
그리고 모기의 침이 길고 뾰족하기 때문에 엷은 천으로 된 옷을 입고 있어도 모기의 침은 신체로 파고 들어오며, 상기 모기의 침이 침투되지 못하는 두꺼운 옷을 입어서 모기로부터 방어를 할 수 있으나 이는, 공기가 통하지 않아 무더운 여름날 더위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통기성이 우수한 망사형태의 외피와 내피로 구성되는 2겹구조로 형성되되 내피상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착용시 내피가 피부에 달라붙게 되어 외피와 내피 간에 이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종래 외피와 내피 간에 내입되는 별도의 부재가 없이도 완벽하게 모기 등의 해충으로부터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 방충기능과 통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를 감싸며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탄성부재가 설치된 내피와, 상기 내피와 분리되지 않도록 일측에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내피 외측에 배치되는 외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사용자가 착용시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내피가 피부에 달라붙게 됨에 따라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 간에 이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피 및 내피에는 목선, 어깨선, 옆구리선 및 허리선을 포함하는 봉제라인이 형성되되 상기 외피의 봉제라인에는 덧때기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외피의 불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방충의류는 모자부, 상의부, 하의부로 이루어지며 모자부와 상의부는 지퍼결합한다.
또한 상기 외피 및 내피는 망사형태로 형성되어 통기성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외피와 내피의 봉제라인 간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피와 외피 및 내피상에 형성되는 탄성부재의 조합 메커니즘을 통해 아주 간단한 구성으로 무더운 여름철 야외에서 모기 등의 해충으로부터 안전하게 몸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통기성 및 활동성이 우수하여 같은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종래 기술에 비해 작업공수 및 효과가 월등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충 의류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충의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방충의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충의류(100)는 크게 사용자의 피부를 감싸며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탄성부재(11)가 설치된 내피(10)와, 상기 내피(10)와 분리되지 않도록 일측에 결합부(50)를 가지며 상기 내피 외측에 배치되는 외피(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피(10) 및 외피(20)는 망사형태의 같은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여름철 야외에서 착용할 수 있도록 망사상에서 공극이 큰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피(10)에는 일정간격 이격 배치결합되는 탄성부재(11)가 형성되는데, 이는 착용시 내피(10)를 인체 피부에 달라붙게 하여 외피(20)와의 사이에 이격공간부(30)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내피(10)는 탄성부재(11)에 의해 펴진 상태가 아니라 구겨진 형태로 인체에 붙게 됨에 따라 내피(10)의 굴곡된 면에 의해 외피(20)가 내피와 접하려 해도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내피(10)와 외피(20) 및 탄성부재(11)를 통한 이격공간 형성 메커니즘이 효과적으로 달성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인체 적합 사이즈보다 10~30% 정도 넓은 원단 양을 적용해 방충의류를 제작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내피(10)와 외피(20) 및 탄성부재(11)를 통한 이격공간 형성 메커니즘은 종래 여타 방충기능을 가지는 의류에 비해 훨씬 간단한 구성으로 방충기능 및 통기기능이 극대화된 특징을 가진다.
방충기능만을 중요시할 경우 외피 및 내피로 2겹구조를 형성하고 외피와 내피 사이에 망사지 또는 충진부재와 같은 별도의 이격수단을 개재하는 것이 보다 목표달성에 효과적이겠지만, 무더운 여름날에 착용가능하기 위해서는 통기성과 의복 착용성(신축 및 활동성)을 겸비하여야 하므로 효과적일 수 없다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이격공간 형성 메커니즘은 통기성과 방충성이 높은 신뢰도를 가지며 함께 겸비됨에 따라 그 활용성이 크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내피(10) 및 외피(20)에는 봉제라인(60)이 형성되며 각각의 봉제라인(60) 중 목선, 허리선에 해당하는 봉제라인(60)은 내피(10)와 외피(20)가 같이 결합된 하나의 결합부(50)를 가지며, 팔꿈치부 또는 겨드랑이부의 일부에도 내피(10)와 외피(20) 간에 분리가 심하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결합부(5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50)가 지나치게 많이 형성될 경우에는 내피(10)의 인체 밀착에 따른 외피(20)와의 이격공간 형성 폭이 작아질 수 있으며, 지나치게 적게 형성될 경우에는 외피(20)와 내피(10)가 분리되어 옷의 안정적인 착용이 힘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50)는 이탈되지 않는 최소의 부위 또는 지점으로 축소됨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상의의 경우 목선, 허리선 및 양 팔꿈치의 일부분, 양 겨드랑이의 일부분으로 한정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의 봉제라인(60) 예에서는 상의부(80)에 대해 설명한 것이며, 하의부(90) 및 모자부(70)에서도 내피(10)와 외피(20)의 봉제라인(60) 및 결합부(50) 기능 및 구성은 동일하다.
한편 상기 외피(20)의 봉제라인(60)에는 착용시 외피(20)의 볼륨을 유지시킬 수 있는 덧때기부재(40)가 결합되는데, 이는 내피(10)와의 이격공간부(30) 형성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상기 덧때기부재(40)는 일정 정도의 유동성과 강도를 함께 구비하는 재질로 구성되어 활동성을 방해하지 범위에서 외피(20)의 불륨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충의류(100)는 모자부(70), 상의부(80), 하의부(90)로 구성될 수 있는데, 모자부(70)와 상의부(80) 간에는 지퍼결합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벨크로 결합 또는 버튼 결합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모자부(70)에서는 후면부의 경우 외피(20)와 내피(10) 및 탄성부재의 이중구조로 형성됨은 물론이나 전면부의 경우 시야 확보야 착용성을 고려하여 내피(10)와 외피(20)의 2겹구조가 아닌 하나의 겹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충의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방충의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도.
도 3은 도 1의 A에 대한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피 11 : 탄성부재
20 : 외피 30 : 이격공간부
40 : 덧때기부재 50 : 결합부
60 : 봉제라인 70 : 모자부
80 : 상의부 90 : 하의부
100 : 방충의류

Claims (5)

  1. 사용자의 피부를 감싸며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탄성부재가 설치된 내피와,
    상기 내피와 분리되지 않도록 일측에 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내피 외측에 배치되는 외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사용자가 착용시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내피가 피부에 달라붙게 됨에 따라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 간에 이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및 내피에는 목선, 어깨선, 옆구리선 및 허리선을 포함하는 봉제라인이 형성되되 상기 외피의 봉제라인에는 덧때기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외피의 불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충의류는
    모자부, 상의부, 하의부로 이루어지며 모자부와 상의부는 지퍼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및 내피는 망사형태로 형성되어 통기성을 증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외피와 내피의 봉제라인 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
KR1020090007199A 2009-01-30 2009-01-30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 KR101035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199A KR101035114B1 (ko) 2009-01-30 2009-01-30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199A KR101035114B1 (ko) 2009-01-30 2009-01-30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175A KR20100088175A (ko) 2010-08-09
KR101035114B1 true KR101035114B1 (ko) 2011-05-19

Family

ID=42754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199A KR101035114B1 (ko) 2009-01-30 2009-01-30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1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493Y1 (ko) * 2016-12-24 2017-05-22 최명수 쿠션층을 구비하는 방충복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195U (ko) * 1999-03-20 1999-08-05 오형인 2중 망사 체에 의한 신체 부위별 착용 방충구
KR200215432Y1 (ko) 2000-08-23 2001-03-15 김봉준 해충방지용 망사의류
KR200261043Y1 (ko) 2001-07-26 2002-01-19 김천식 방충복
KR20020015432A (ko) * 2000-08-22 2002-02-28 윤종용 텔레비젼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업데이트 방법
KR20020061043A (ko) * 2001-01-12 2002-07-22 권동일 연속압입시험을 이용한 인장강도 결정방법
KR20030064355A (ko) * 2003-07-04 2003-07-31 강준구 방충의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195U (ko) * 1999-03-20 1999-08-05 오형인 2중 망사 체에 의한 신체 부위별 착용 방충구
KR20020015432A (ko) * 2000-08-22 2002-02-28 윤종용 텔레비젼의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업데이트 방법
KR200215432Y1 (ko) 2000-08-23 2001-03-15 김봉준 해충방지용 망사의류
KR20020061043A (ko) * 2001-01-12 2002-07-22 권동일 연속압입시험을 이용한 인장강도 결정방법
KR200261043Y1 (ko) 2001-07-26 2002-01-19 김천식 방충복
KR20030064355A (ko) * 2003-07-04 2003-07-31 강준구 방충의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493Y1 (ko) * 2016-12-24 2017-05-22 최명수 쿠션층을 구비하는 방충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175A (ko) 2010-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47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on of skin against mosquitos and other insects
US6442760B2 (en) Ventilated item of clothing
WO2002074113A3 (en) Insect barrier garment
US20170347722A1 (en) Mosquito-repelling wearables
CN103653380B (zh) 一种在野外环境中使用的防蚊虫套装
KR101035114B1 (ko)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
KR200170091Y1 (ko) 2중 망사 체에 의한 신체 부위별 착용 방충구
CN102356932A (zh) 胡蜂防蜇服
US20170105460A1 (en) Insect barrier fabric
JP3204500U (ja) 防虫生地及び防虫スーツ
JP3859664B2 (ja) 防虫衣料
US202003450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it with protective material
CN204363006U (zh) 一种空间隔离透气防蜂服
JPH1096108A (ja) 防虫スーツ
CN215270711U (zh) 一种户外防蚊服
CN218640466U (zh) 一种防风保暖面料
JP3973102B2 (ja) 遮光効果を発揮できる上着
RU32367U1 (ru) Средство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защиты от укусов клещей
CN209505110U (zh) 一种服装用途防蚊虫的绳网纱
KR200483493Y1 (ko) 쿠션층을 구비하는 방충복
CN209846200U (zh) 一种新型防蚊虫叮咬的诱蚊服
RU95228U1 (ru) Одежда для защиты от вредных биологических факторов - кровососущих насекомых
KR19990033201U (ko) 방충을 위한 의복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의복
KR200479569Y1 (ko) 방충 원단 및 방충복
US20190104773A1 (en) One piece underwear or middle layer insect resistant net fabric unisex bodys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