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201U - 방충을 위한 의복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의복 - Google Patents

방충을 위한 의복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201U
KR19990033201U KR2019990004593U KR19990004593U KR19990033201U KR 19990033201 U KR19990033201 U KR 19990033201U KR 2019990004593 U KR2019990004593 U KR 2019990004593U KR 19990004593 U KR19990004593 U KR 19990004593U KR 19990033201 U KR19990033201 U KR 199900332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material
clothing
garment
insect repellent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석
Original Assignee
한성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석 filed Critical 한성석
Priority to KR2019990004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201U/ko
Publication of KR199900332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201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피(1a)와 내피(2b)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1a)와 내피(2b)의 외주면까지의 거리는 대략 2 mm 이상의 폭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2 mm 이상 10 mm이하의 폭을 가진다. 또한 1인치 거리당 폴(작은공기구멍)수는 5개 이상으로부터 100개미만으로 하고, 외피(la)와 내피(2b)가 일체로 구성되는 속피(3c)를 가지며 상기 각각은 일체로 망사 형상처럼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재질은 동일 재질로써 탄성력을 가진 재료를 발포하는 방식 등으로 제조되어 방충의 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여름철 모기 등의 병충해로부터 사람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통풍 성이 대단히 우수하며 착용감이 뛰어나 야외 낚시, 야외 방충용 의복, 침낭, 등 레저용이나, 양봉업의 사업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피복재료와 이 피복재료를 사용하여 구성한 의복에 관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방충을 위한 의복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의복{MATERIAL AND CLOTHES FOR THE PROTECTION OF A NOXIOUS INSECT}
본 고안은 여름철 혹은 병충해 발생이 잦은 곳에서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각종 병충해와 곤충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의복용 피복재료와 이를 이용한 의복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병충해나 곤충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한 많은 아이디어가 있었으나, 그 대부분은 사람들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제약된 곳에 설치하는 수단을 주로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모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모기장이나, 혹은 일부에 출입구가 만들어진 레저용 텐트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병충해나 곤충 방지기구들은 한정된 공간에서 밖에 사용할 수 없으며, 보호 받는 대상인 사람이 그 방지 기구를 벗어난 순간부터는 병충해 방지기구로서의 역할을 상실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병충해나 곤충이 있는 곳을 돌아다니거나 양봉업 등의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병충해 혹은 곤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계절에 상관없이 두꺼운 옷을 입거나, 모기장 같은 그물 망 구조를 이용하여 자신을 보호하고자 하지만, 이는 한계가 있다. 즉, 더운 여름철에 사람들은 가능한 한 얇은 옷과 통풍이 잘되는 재질의 옷을 입으려 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병충해의 활동 지역에 직접적으로 노출이 될 수 밖에 없으며, 또한 병충해나 곤충의 활동지역에서 계속적으로 노출되어야만 하는 상황에 있는 사람의 경우는 실질적으로 병충해의 공격으로부터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도사리고 있다. 또한 가족들의 피서지로 함께 떠나는 대부분의 어린아이들에겐 병충해나 곤충의 노출이 치명타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여름철이나 병충해 발생이 잦은 곳에서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각종 병충해와 곤충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의복용 피복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병충해의 방지와 착용감이 우수하고 제조하기 쉬운 병충해 방지용 피복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의복용 피복재료로 만들어 통풍이 잘 되도록 함으로써 여름철에도 충분히 입을 수 있도록 하는 병충해 및 곤충의 접근을 막을 수 있는 병충해 방지용 의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a)는 본 고안에 따른 병충해 방지용 피복 재료를 보인 평면도
도 1 (b)는 본 고안에 따른 도1 (a)의 A-A 단면도
도 2 (a) ~ (e)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a)의 피복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의복들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충용 의복 도 2(a)의 A-A 단면도
도 4 (a)는 본 고안에 따른 원피스 형상의 의복을 보인 것으로서 의복 내부에 탄성부재가 있어 피부로부터 겉피가 이격 되어 있는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4 (b)는 본 고안에 따른 도 4(a)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4(a)의 B-B 단면도
도 6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의복 중 스폰지와 에어튜브 등을 내접시켜 만들어 보인 도4(a)의 C-C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5와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4(a)의 B-B 단면도
도 8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의복을 고무 탄성 부재를 등을 내접시켜 만든 도6과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4(a)의 C-C 단면도
도 9(a)는 본 고안에 따른 지침 시에 착용할 수 있는 우주복 형상의 방충복을 착용한 전체 정면도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의복을 착용후 지면에 다리 부위가 다 있을 때를 보인 도9(a)의 D-D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망사형 피복재 1a ... 외피
2b ... 내피 3c ... 속피
10 ... 상의 20 ... 하의
30 ... 하의(치마) 40 ... 팔소매부
41... 바짓가랑이(스타킹형) 50 ... 에어튜브
60 ... 탄성고무 70 ... 플라스틱 탄성체
80 ... 신체(몸 일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내피와 외피가 동일 재질로 구성되며 내피와 외피가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의복재단용 피복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피복재료는 발포공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재단용 피복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내피와 외피가 동일 재질로 구성되며 내피와 외피가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의복재단용 피복재료로 이루어져 방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의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에 따르면, 그 외부에 의복의 무늬를 장식가능하도록 된 제1피복재료와, 상기 제1피복재료와 다른 재질로 구성되며 탄성력을 가지도록 된 제2피복재료가 상호 적층되어 일체로 재단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재단용 피복재료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피복재료와 제2피복재료는 의복 재단과정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연결수단에 의해 긴밀히 적층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재단용 피복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결수단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재단용 피복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결수단은 상기 피복재료들을 실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재단용 피복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피복재료는 망 형상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재단용 피복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피복재료는 탄성이 가능하도록 된 스폰지 또는 에어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재단용 피복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피복재료는 탄성체인 플라스틱 또는 금속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재단용 피복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피복재료는 병충해의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0.3센티미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재단용 피복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에 따르면, 그 외부에 의복의 무늬를 장식가능하도록 된 제1피복재료와, 상기 제1피복재료와 다른 재질로 구성되며 탄성력을 가지도록 된 제2피복재료와, 상기 제1피복재료와 제2피복재료의 사이에서 일정 공간을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탄성링과, 상기 탄성링과 각 피복부재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연결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재단용 피복재료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링은 상기 제1피복재료와 제2피복재료와 소정간격을 유지하며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재단용 피복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링은 고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재단용 피복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링은 제1피복재료와 제2피복재료를 0.3센티미터 이상의 간격을 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재단용 피복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에 따르면 그 외부에 의복의 무늬를 장식 가능하도록 된 제1피복재료와, 상기 제1피복재료와 다른 재질로 구성되며 탄성력을 가지도록 된 제2피복재료와, 상기 제1피복재료와 제2피복재료의 사이에서 일정 공간을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탄성링과, 상기 탄성링과 각 피복부재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연결수단이 형성된 의복재단용 피복재료로 이루어져 방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의복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에 따르면 그 외부에 의복의 무늬를 장식가능하도록 된 제1피복재료와, 상기 제1피복재료와 다른 재질로 구성되며 탄성력을 가지도록 된 제2피복재료가 상호 적층되어 일체로 재단가능하도록 된 의복 재단용 피복재료로 이루어져 방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의복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a)는 본 고안에 따른 병충해 방지용 피복재료이며, 도1(b)는 도1(a)의 A-A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외피(la)와 내피(2b)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la)와 내피(2b)의 외주 면까지의 거리는 대략 2 mm 이상의 폭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2 mm 이상 10 mm 이하의 폭을 가진다. 외피(1a)와 내피(2b)가 일체로 구성되는 속피(3c)를 가지며 상기 각각은 일체로 망사 형상처럼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재질은 동일 재질로써 탄성력을 가진 재료를 발포하는 방식 등으로 제조된다.
도2의 (a) 내지 (e)는 도1의 피복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의복의 간략 설명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의 피복재료를 발포 등의 공법으로 도2 (a)와 같이 상의(10)를 직접 형성하거나, 도2 (b)처럼 하의(20)를 직접 형성하거나, 또는 여성용 하의(30)인 치마 등을 형성할 수도 있고, 또한 도2 (d) 내지 (e)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팔 소매 부(40)이나, 바짓가랑이 부(41)등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미 도시되어 있으나 모자, 양말, 장갑 등의 형상과 방화 복 또는 침낭 형상의 일체형도 조합하여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도3은 도2 (a)의 A-A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1의 피복재료를 이용하여 의복용으로 형성된 것이다. 병충해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폭이 두꺼울수록 좋으나 사람의 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1O mm 를 초과할 경우는 다소 착용감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도4(a)는 얇은 외피와 다른 재질의 내피 등의 피복재료를 사용하여 구성한 방충용 의복의 설명도이다.
도4(b)는 도4(a)의 의복에서 어깨 부위의 구성을 또 다른 실시예의 하나인 탄성플라스틱 등을 사용해 만든 방충용 의복을 보인 도4(a)의 A-A 단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 중 스폰지 등을 이용하여 만든 것을 보인 도4(a)의 B-B 단면도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피복재 외피(4)는 두께가 0.2센티미터 미만으로 부드럽고, 그 두께 만으론 방충 역할을 할 수 없는 얇은 망사 형상의 피복재 이며, 제2의 탄성력을 가진 내피(5)가 서로 내접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내피(5)는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 되어 피복재(4)와 연결되어 있고 내피(5)는 외피(4)를 사람의 피부로부터 0.3센티미터 이상 이격 시키게 되어있다.
도6 는 도4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a)스폰지을 (b)는 에어튜브를 망사형상의 제1피복재료와 결합하여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피복재료는 의복의 무늬를 장식할 수 있도록 별도로 재단하거나 가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의복재단용 피복재료의 또다른 실시 예로써, 도면을 참조하면 제1피복재 외피(4)와 제1피복재를 안쪽에서 지지해주는 플라스틱 탄성부재(6)그리고 탄성부재(6) 내부에 규칙적으로 탄성수단(7)으로 쓰이는 스타킹재 또는 고무밴드 등을 설치한 것이다. 즉 일정한 간격으로 탄성수단을 설치하여 다른 부위에는 중공부로 남겨둠으로 인해 통풍성을 확보하고 재료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는 외부면에 접촉해 있는 경우 도9(b) 처럼 한쪽으로 편심되어 있으나, 접촉면에서 멀어지면 그 본래의 모습 도6(a)같이 되돌아 갈 수 있는 탄성력을 구비하고 있는 발포 고무나 폴리에틸렌 등의 재질로 구성된다.
도8의 (a) 내지 (b)는 도7의 수단을 이용하되 탄성수단의 구성을 달리한 도면이다.
도9(a)는 방화복 이나 우주복 처럼 일체화 되어있는 모습의 의복으로 지침시에 방충용 침낭같이 쓰일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전체 정면도이다.
도9(b)는 방충복 착용후 누어 있거나 앉아 있을 때 외피가 바깥쪽으로 편심 되어 있는 모습을 보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외피와 내피 사이에 공기 층이 형성된 탄성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에 서술된 모든 피복재료는 망사형상이거나 중공 형상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더운 여름철에도 무난하게 착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피복재료를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여름철 모기 등의 병충해로부터 사람을 보호하고 특히 병충해에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들에게 효과적인 보호장비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둘째, 피복재료에 따라 의복을 갖가지로 디자인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병충해 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더운 여름철에 착용을 하더라도 통풍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내피와 외피가 동일 재질로 구성되고 탄성력을 가지며 발포공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과;
    내피와 외피가 소정간격 이격 되어 병충해 접근시 피해가 없도록 두께가 0.2센티미터 이상에서부터 1.0센티미터 미만인 것과;
    1인치 평면선상에서 폴(작은 공기구멍)수가 5개 이상 100개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재단용 피복재료.
  2. 제 1항에 있어서, 내피와 외피가 동일 재질로 구성되며, 내피와 외피의 두께가 모기 또는 벌 등의 침 에 의한 사람의 피부에 해를 주지 못할 정도로 소정간격 이격 되면서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망사 형상의 의복재단용 피복재료로 이루어져 통기성이 우수하면서도 방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용 침낭, 침구 류 또는 의복.
  3. 두께가 0.2센티미터 미만이면서 망사 형상의 구조로 그 외부에 의복의 무늬를 장식 가능하도록 된 제1피복재료와;
    상기 제1 피복재 하나만으로 두께가 얇아 방충 역활을 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피복재료와 다른 재질로 그내부에 탄성력을 가지도록 된 제2피복재료가 일정간격 구성되며, 상호 적층 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과;
    제2피복재료는 탄성이 가능하도록 된 스폰지, 에어튜브,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병충해 접근시 피해가 없도록 사람의 피부로 부터 소정간격 이격시킬수 있는 0.3센티미터 이상인 것과;
    재단과정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접착수단을 열 융합, 본드접착 또는 실을 이용 긴밀히 적층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재단용 피복재료.
  4. 제3항에 있어서, 그 외부에 의복의 무늬를 장식가능 하도록 된 제1피복재료와, 상기 제1피복재료와 다른 재질로 구성되며 탄성력을 가지도록 된 제2피복재료와, 상기 제1피복재료와 제2피복재료의 사이에서 일정 공간을 이격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의복재단용 피복재료로 이루어져 방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용 침낭, 침구 류 또는 의복.
  5. 그 외부에 의복의 무늬를 장식가능 하도록 된 망사형상의 제1피복재료와, 제1피 복재를 내부에서 지지해 주면서 탄성력을 가지도록 연결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는 의복 착용자가 앉아있거나, 누어있어 지면에 닫는 경우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은 쪽으로 중심이동 되어 있다가 일어서게 되면 사람의 몸과, 팔목 또는 발목 등으로부터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탄성부재 안쪽에 탄성고무 또는 고무밴드가 연결되어 해충 접근 시 피해가 없도록 탄성부재가 제1 피복재를 사람의 피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및 침구 재단용 피복재료.
  6. 제5항에 있어서, 그 외부에 의복의 무늬를 장식가능 하도록 된 망사 형상의 제1피복재료와, 상기 제1피복재료를 내부에서 지지해주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가 사람의 몸통, 팔목 또는 발목 등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 같은 거리로 이격 시킬 수 있도록 그 내부에 탄성 고무 또는 밴드 등을 상호 연결시켜, 방충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용 침낭, 침구 류 또는 의복.
KR2019990004593U 1999-03-22 1999-03-22 방충을 위한 의복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의복 KR199900332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593U KR19990033201U (ko) 1999-03-22 1999-03-22 방충을 위한 의복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593U KR19990033201U (ko) 1999-03-22 1999-03-22 방충을 위한 의복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의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201U true KR19990033201U (ko) 1999-08-05

Family

ID=5475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593U KR19990033201U (ko) 1999-03-22 1999-03-22 방충을 위한 의복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20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858A (ko) * 2000-08-07 2000-11-06 강위성 땅벌 방충복
KR20010016249A (ko) * 2000-11-27 2001-03-05 이영일 피해 방지 직물
KR200483493Y1 (ko) * 2016-12-24 2017-05-22 최명수 쿠션층을 구비하는 방충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858A (ko) * 2000-08-07 2000-11-06 강위성 땅벌 방충복
KR20010016249A (ko) * 2000-11-27 2001-03-05 이영일 피해 방지 직물
KR200483493Y1 (ko) * 2016-12-24 2017-05-22 최명수 쿠션층을 구비하는 방충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47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on of skin against mosquitos and other insects
US4716594A (en) Protective garment for protection against mosquitoes and other insects
CA2199794C (en) Mesh garment for protection against insects
US5003635A (en) Clothing including insect repellent strips
WO2002074113A3 (en) Insect barrier garment
US20170347722A1 (en) Mosquito-repelling wearables
EP3379926B1 (en) Parasitic acari barrier
KR101415117B1 (ko) 해충방제용 보호복
US20090282597A1 (en) Protective device against biting of arthropods
KR19990033201U (ko) 방충을 위한 의복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의복
US20060048291A1 (en) Insect protector shield
KR100507538B1 (ko) 해충방제용 보호복
KR200170091Y1 (ko) 2중 망사 체에 의한 신체 부위별 착용 방충구
US109051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it with protective material
WO2017066524A1 (en) Insect barrier fabric
CN205522731U (zh) 防虫布料及防虫服
KR200215432Y1 (ko) 해충방지용 망사의류
JP3859664B2 (ja) 防虫衣料
KR200479569Y1 (ko) 방충 원단 및 방충복
KR101035114B1 (ko) 탄성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를 가지는 방충의류
US11832729B2 (en) Cover for protecting against insects
JPH1096108A (ja) 防虫スーツ
JPH0351297Y2 (ko)
KR19980033545A (ko) 해충 침투 방지용 의류
RU95228U1 (ru) Одежда для защиты от вредных биологических факторов - кровососущих насекомы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